KR101590928B1 - 무선충전 리시버 - Google Patents

무선충전 리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928B1
KR101590928B1 KR1020150066549A KR20150066549A KR101590928B1 KR 101590928 B1 KR101590928 B1 KR 101590928B1 KR 1020150066549 A KR1020150066549 A KR 1020150066549A KR 20150066549 A KR20150066549 A KR 20150066549A KR 101590928 B1 KR101590928 B1 KR 101590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less charging
case
charging receiver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령에이엠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령에이엠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령에이엠디
Priority to KR1020150066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9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2J7/025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에 단자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리시버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분리할 필요없이 단자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는 무선충전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충전 리시버{RECEIVER FOR NON-CONTACT CHARGER}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에 단자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리시버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어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분리할 필요없이 휴대단말기에 단자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토록 되는 무선충전 리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및 정보 처리 기술이 발달됨에 따라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과 같이 휴대하기 편리한 개인용 단말기들의 사용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있으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된 새로운 모델의 단말기가 계속적으로 보급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충전에는 접촉형 충전기나 접촉 단자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접촉형 충전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적 접촉 없이 자기 결합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종래의 대한민국 특허 제524254호에 무접점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무접점 충전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무선 충전용 패드(A), 무선 충전용 패드(A)와 자기 결합되어 무접점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충전용 리시버 모듈(B), 충전용 리시버 모듈(B)에 단자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충전용 리시버 모듈(B)에 공급된 전력에 의해 충전되는 충전용 배터리(BAT), 충전용 배터리의 상태를 검출하여 충·방전 여부를 조절하는 보호회로 모듈(PCM)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무선 충전용 패드(A)는 코발트 계열 또는 페라이트 재질의 소형 코어를 다수 개 붙인 평판 코어 상에 일정 패턴을 가진코일을 형성한 코어 블록을 구비하여 변압기 1차측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충전용 리시버 모듈(B)은 코발트 계열의 비정질 금속(Amorphous metal)이 다수 겹으로 적층된 비정질금속 박막 코어에 일정 패턴을 가진 코일이 권선된 것으로 변압기 2차측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충전용 리시버 모듈(B)[또는 충전용 리시버 모듈(B)이 내부에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나 배터리]은 무선 충전용 패드(A)위에 올려 놓아 양자가 평행하게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배치되도록 한 후 충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충전시스템은, 충전용 리시버 모듈(B)및 상기 충전용 리시버 모듈(B)이 연결되는 충전용 배터리(BAT)가 단자로 연결되면서 서로 고정되는 구성으로 단자의 분리시 충전용 리시버 모듈(B)및 상기 충전용 리시버 모듈(B)을 서로 분리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무선충전 리서버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무선에 의한 충전이 가능토록 하고, 케이스의 분리없이 무선충전 리시버를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토록 하며, 단자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소켓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에 단자를 구비하는 무선충전 리시버가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의 일측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되는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단자는, 무선충전 리시버가 케이스에 고정되면서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무선충전 리시버의 일측에 지그재그로 신축가능토록 연결되는 플렉시블케이블을 통하여 단자가 연결되어 단자만이 이동될 때 케이스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구성,
무선충전 리시버가 케이스에서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로서 단자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와 단자가 동시에 이동할 때 케이스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구성,
무선충전 리시버가 탄성수단을 통하여 케이스에서 이동 및 복원가능토록 연결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로서 단자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와 단자가 일체로 이동할 때 케이스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되는 구성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연결되는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더하여, 본 발명의 케이스는, 무선충전리시버가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토록 상,하부케이스 및 공간을 갖는 간격유지부재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측에 케이블이 수납되어 이송되는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무선충전리시버와 단자는 일체형 구조로 케이스의 일측에서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면서 가이드레일 갖는 장착홀에 가이드돌기를 통하여 무선충전리시버가 결합되어 케이스를 중심으로 단자가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되는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수단은, 흡착판고정 또는 접합패드고정 및 억지끼움에 의한 프레임고정의 구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계속하여, 본 발명의 탄성수단은, 스프링, 고무밴드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진 무선충전 리시버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반적인 휴대 단말기에 무선충전 리서버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충전이 가능하고, 케이스의 분리없이 무선충전 리시버를 단말기에서 용이하게 연결 및 분리하며, 단자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소켓에서 분리하고, 단말기에 용이하게 적용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충전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다.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의 동작상태도이다.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용 단자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의 적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및 분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를 도시한 분해도이며,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고, 도7 및 도8은 각각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를 도시한 요부 분해도이며,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시버의 동작상태도이고,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리시버용 단자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측면에 고정수단(300)을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단자(130)가 이탈 및 밀착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0)은, 흡착판고정(302) 또는 접합패드고정(301) 및 억지끼움되는 프레임고정(3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단자(130)는 휴대단말기의 소켓(2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내측면에 공간(S)을 형성한 후 그 내측 또는 일측에서 무선충전리시버(150)가 이동가능토록 설치되고,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에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상태로 케이스의 일측에 밀착 또는 이탈토록 되는 단자(130)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무선충전리시버가 내장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무선충전리시버에 순차로 연결되는 케이블 및 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토록 설치되고, 상기 공간에 연결되면서 케이블이 이동토록 하기의 슬라이딩홀이 일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자(130)는, 휴대단말기(200)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3) 및 간격유지판(115)의 접합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유지판(115)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에 단자(130)가 밀착되거나 케이블이 이동되는 슬라이딩홀(117)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130)의 상대운동은,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케이스(110)에 고정되면서 고정되는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지그재그로 신축가능토록 형성되는 플렉시블케이블(160)을 통하여 단자(130)가 연결되어 단자(130)만이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케이스(110)에서 이동가능토록 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165)로서 단자(130)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150)와 단자(130)가 동시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130)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110)에 대한 단자(130)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탄성수단(120)을 통하여 케이스(110)에서 이동 및 복원가능토록 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165)로서 단자(130)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150)와 단자(130)가 동시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130)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130)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20)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부재중에서 선택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10)는, 일체형 사출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무선충저리시버(150) 및 단자(130)는 케이스와 동일한 일체형 사출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는 케이스(110)에 구비되면서 가이드레일(112) 갖는 장착홀(114)에 가이드돌기(116)를 통하여 결합되어 케이스를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단자(13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측면 둘레중 적어도 한면 이상에 손잡이(135)이 일체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11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선충전패드(100)는 휴대단말기(200)의 측면에 고정수단(300)을 통하여 연결되는 케이스(110)의 일측에서 휴대단말기에 연결되는 단자(130)가 이탈 및 밀착토록 설치되어 무선충전패드(100)를 휴대단말기(200)에서 분리하지 않코도 단자(130)를 휴대단말기(200)의 소켓(210)에서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300)은, 휴대단말기(200)의 일측면에서 디태치블(detachable)하게 고정되는 흡착판고정(302) 또는 접합패드고정(301) 구성 및 휴대단말기(200)의 둘레에 억지끼움되는 프레임고정(303)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구성으로 연결되어 휴대단말기(200)의 휴대시 무선충전패드(100)도 동시에 휴대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단자(130)는 휴대단말기의 측면에 케이스(110)를 고정수단(300)에 의해 고정할 때 케이스의 일측에서 소켓(2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노출되어 용이하게 연결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0)는 다양한 형상 및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내측면에 공간(S)을 형성한 후 그 내측에서 무선충전리시버(150)가 이동가능토록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에는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130)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130)를 휴대단말기(200)의 소켓에 연결하면 상기 무선충전리시버에서 전달받는 전원을 휴대단말기의 충전배터리에 공급하여 저장토록 한다.
이때, 상기 단자(130)는, 휴대단말기(200)에 고정되는 케이스(110)를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0)를 휴대단말기(200)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단자를 소켓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케이스(110)는, 상부커버(111)와 하부커버(113) 및 간격유지판(115)의 접합구조로 이루어질 때 상기 간격유지판(115)에 의해 공간을 형성하면서 일측에 단자(130)가 연결되는 슬라이딩홀(117)이 형성되어 단자가 연결되는 무선충전리시버(150)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130)의 상대운동은,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케이스(110)에 고정되면서 고정되는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지그재그로 신축가능토록 형성되는 플렉시블케이블(160)을 통하여 단자(130)가 연결되어 단자(130)만이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단자(130)는 플렉시블케이블(160)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케이스(110)의 측면에 밀착토록 된다.
또한, 상기 단자(130)의 상대운동은, 상기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케이스(110)에서 이동가능토록 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165)로서 단자(130)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150)와 단자(130)가 동시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130)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110)에 대한 단자(130)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단자(130)를 케이스(110)를 향하여 미는 동작에 의해 단자(130) 및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이동하면서 단자(130)의 케이스의 측면에 밀착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단자(130)의 상대운동은, 상기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탄성수단(120)을 통하여 케이스(110)에서 이동 및 복원가능토록 하면서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정형화 되는 케이블(165)로서 단자(130)가 연결되어 무선충전리시버(150)와 단자(130)가 동시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케이스(110)에서 단자(130)가 밀착 및 이탈되면서 케이스(130)에 대한 단자의 상대운동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단자(130)는 무선충전 리시버(150)에 연결되는 탄성수단의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케이스(110)의 측면에 밀착토록 된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20)은, 신축성을 갖는 고무부재 또는 스프링부재중에서 선택되어 외력이 작용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복원토록 된다.
한편, 도9에서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는, 일체형 사출물로 이루어질 때 그 일측에 무선충전 리시버(150)가 장착되는 장착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무선충전리시버(150) 역시 단자(130)와 일체형 사출물로 이루어져 결합시 동일한 외형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를 장착홀에서 결합할 때 일체로 형성되는 단자(130)가 소켓(210)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를 장착홀에서 이동시킬 때 단자(130)가 소켓(210)에서 분리되어 케이스(110)를 휴대단말기에서 분리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무선충전리시버(150)는 케이스(110)에 구비되면서 가이드레일(112) 갖는 장착홀(114)에 가이드돌기(116)를 통하여 결합되어 케이스를 중심으로 상대운동하도록 설치되어 단자(130)를 소켓(210)에서 분리하거나 결합토록 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단자(130)는, 측면 둘레중 적어도 한면 이상에 손잡이(135)가 일체로 돌출되어 단자(130)를 소켓(210)에 연결할 때 돌출되는 손잡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어 사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00...무선충전패드 110...케이스
130...단자 150...무선충전리시버
160...플렉시블케이블 165...고정케이블
200...휴대단말기

Claims (7)

  1. 충전배터리가 연결되는 소켓이 노출토록 설치되는 휴대단말기의 일면에 디테치블 한 접착패드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통하여 케이스가 접합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는,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어 무선충전리시버가 내장토록 설치되면서 상기 무선충전리시버에 순차로 연결되는 케이블 및 단자의 적어도 일부가 내장토록 설치되고, 상기 공간에 연결되면서 케이블이 이동토록 슬라이딩홀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리시버와 케이블은 공간에서 동시에 이동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면서 케이스의 외측면에 노출토록 연결되는 단자가 휴대단말기에 접합되는 케이스의 외측면에서 밀착 및 이탈될 때 휴대단말기에 고정되는 케이스를 중심으로 무선충 전리시버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 및 단자가 동시에 이동토록 설치되며,
    상기 무선충 전리시버와 이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케이스의 내측에서 동시에 이동될 때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는 단자 역시 동시에 이동되어 휴대단말기의 소켓에서 단자가 분리되거나 접속토록 설치되는 무선충전 리시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무선충전리시버가 내장되는 공간을 형성토록 상,하부케이스 및 그 사이에서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간격유지부재의 연결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일측에 케이블이 수납되어 이송되는 슬라이딩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리시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측면 둘레 중 적어도 한면 이상에 손잡이가 일체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충전 리시버.
KR1020150066549A 2015-05-13 2015-05-13 무선충전 리시버 KR101590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49A KR101590928B1 (ko) 2015-05-13 2015-05-13 무선충전 리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549A KR101590928B1 (ko) 2015-05-13 2015-05-13 무선충전 리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928B1 true KR101590928B1 (ko) 2016-02-02

Family

ID=55354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549A KR101590928B1 (ko) 2015-05-13 2015-05-13 무선충전 리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92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9832B2 (en) Headphones
US7750508B2 (en) Contactless power transferring apparatus
US889047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US20160336789A1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CN107863800B (zh) 无线充电电池
US20110227527A1 (en) Wireless charging ki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329532A1 (en) Battery charge apparatus for mobilephone
US9935486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KR20160146478A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8610403B2 (en) Charging cradle
US10805706B2 (en) Battery changeable-type earbuds and apparatus for the same
JP2023510335A (ja) ワイヤレス充電伝送器及び方法
US20060214628A1 (en) Induction charger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447950B1 (ko) 무선 충전기
KR101590928B1 (ko) 무선충전 리시버
WO20181294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mart platform charging
US9735611B2 (en) 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US20210057937A1 (en) Modular charging devices and methods for using them
CN206908311U (zh) 无线充电夹式构造
KR101709869B1 (ko) 차량용 무선 충전 장치
US20190182376A1 (en) Digital device protective case method and device
KR20220002515U (ko) 양방향 무선 충전기
US20190386500A1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apparatus
TW201037939A (en) Charging system
CN220553836U (zh) 两段式无线充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