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88B1 - Drink bottle - Google Patents

Drink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88B1
KR101590388B1 KR1020140158664A KR20140158664A KR101590388B1 KR 101590388 B1 KR101590388 B1 KR 101590388B1 KR 1020140158664 A KR1020140158664 A KR 1020140158664A KR 20140158664 A KR20140158664 A KR 20140158664A KR 101590388 B1 KR101590388 B1 KR 101590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ntainer
lid
additive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6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웰그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웰그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웰그린
Priority to KR1020140158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8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auxiliary containers for additional articles o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bott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bottle comprises: a main body storing a beverage; an additive container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storing additives added to the beverage; and a cover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to cover the main body and the additive container. An upper end of the additive container comprises: an extension unit extend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be wider than a side circumference of the additive container and to be widened; and a protrusion unit w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unit protrudes. The cover has a hole penetrated by the protrusion unit to enable the protrusion unit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ver.

Description

음료수 용기{Drink bottle}[0001]

본 발명은 내부에 첨가물 용기를 수용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된 음료수 용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having a cover for accommodating an additive container therein

기에 관한 것이다.
Lt; / RTI >

차나 음료는 일정한 형상의 음료 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고 사용된다.Tea and beverages are sold and used in beverage containers of a certain shape.

일반적으로, 음료 용기에는 마실 수 있는 액상의 음료나 차가 들어있고, 캡을 개봉하여 음용하게 된다. Generally, the beverage container contains a liquid beverage or a tea that can be drunk, and the cap is opened for drinking.

이러한 액상의 음료 또는 차에는 시럽이나 탄산수, 비타민 등의 첨가물을 부가하여 음용할 수 있다.These liquid beverages or tea can be added with additives such as syrup, carbonated water, and vitamins.

따라서, 차나 음료의 판매 시에 이러한 첨가물을 함께 판매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Therefore, these additives are often sold together when selling tea or drink.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첨가물을 음료 용기에 함께 포장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various methods for packing the additives together in the beverage container have been proposed.

미국 공개특허 2006-0151414에는 고체의 복용제와 음료가 분리된 상태로 보관하고 음용시 각각 별개로 음용될 수 있는 용기캡이 개시되어 있다.U.S. Patent Publication 2006-0151414 discloses a container cap which can be stored separately in a solid dosage form and beverage and can be consumed separately in drinking.

하지만, 미국 공개특허 2006-0151414에 개시된 용기캡은 음료 용기의 상단형상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뚜껑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을 상기 음료 용기의 내부까지 연장시켜, 상기 음료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tainer cap disclosed in US-A-2006-0151414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s an additional lid corresponding to the top shape of the beverage container and extends the lid to the inside of the beverage contain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

또한, 최근 첨가물 용기의 경우 개봉이 용이하도록 첨가물 용기의 커버에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다양한 형상의 첨가물 용기를 폭넓게 수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in the case of the additive container, a protrusion is formed on the cover of the additive container so that the container can be widely opened.

따라서, 음료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음료 용기와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함께 포장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for packing together a beverage container and an additive to be added to the beverage without reducing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음료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수용할 수 있는 덮개가 구비된 음료수 용기에 관한 것이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cover capable of receiving an additive added to beverage without reducing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수용하는 첨가물 용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및 첨가물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물 용기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첨가물 용기의 측면 둘레에 비해 단면적이 넓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덮개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음료수 용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r other objects, An additive container which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an additive to be added to the beverage; And a cov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the main body and the additive container, where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additive container and has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a side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And a protrusion protruding at least a part of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lid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the protrusion protrudes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id.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용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음료수 용기의 덮개 상단에 첨가물 용기의 커버 돌출부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여 첨가물 용기가 음료수 용기의 덮개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Firs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ole through which the cover protrusion of the additive containe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additive container is firmly fixed within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둘째, 음료수 용기의 덮개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첨가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since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kind of the additive.

셋째, 음료수 용기의 덮개를 본체의 상단에 배치하므로 본체의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음료 용기와 함께 포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ird, since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 additive to be added to the beverage can be packed together with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reducing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가물 용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ditive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identical or similar element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arts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blurre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 ≪ / RTI >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본 발명에 의한 음료수 용기는 용기의 모양과 형태 등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 가능할 것이며, 내부에 음식물 또는 약 등을 보관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용기(일 예로 라면 용기)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The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the shape and shape of the container, and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kinds of containers (for example, a container) .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알루미늄 또는 철로 만들어진 캔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a can made of aluminum or ir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체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everag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수 용기(1)는, 음료가 수용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놓여 상기 본체(100)에 수용되는 음료에 가미되는 첨가물을 수용하는 첨가물 용기(200)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면 및 용기(200)를 덮는 덮개(300)를 포함한다.1 and 2, a beve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in which a beverage is received, a main body 100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a lid 300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ntainer 200. The additive container 200 includes an additive container 200 for containing additives to be added to the beverage.

상기 본체(100)는 상, 하 단면이 원형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 및 하단은 단면적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증가되도록 걸림턱(110, 1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110, 120)은 상기 본체(100)의 상단 및 하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The main body 100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having an upper and a lower end face in a circular shape. The engaging protrusions 110 and 120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are relatively increased in the cross sectional area as compared with the other portions. That is, the latching protrusions 110 and 120 protru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ain body 100.

상기 본체(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20)은 상기 본체(100)가 지면에 대하여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기능하고, 상기 본체(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걸림턱(110)은 후술할 덮개(300)가 걸리도록 기능한다.The latching jaws 120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0 function to firmly support the main body 100 against the ground and the latching jaws 110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lid 300 is hooked.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는 상기 본체(100)에 수용된 음료를 취출할 수 있도록 뚜껑(130)이 구비된다. A lid 130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allow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main body 100 to be taken out.

상기 뚜껑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100)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양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지만 모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톱으로 레버(140)를 들어올려 개방하도록 구성된다.The lid is configured to open the main body 100 by a user's operation and is formed to have various structures, but is configured to lift the lever 140 with the user's nail using the principle of leverage .

또한,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는 함몰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A depression 15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상기 함몰부(15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의 압력에 상기 본체(100)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의 내측을 향하여 소정의 깊이로 함몰되며, 반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depressed portion 150 prevents the main body 100 from being deformed by the pressure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depressed portion 150 is recessed to a predetermined depth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는 다양한 종류의 음료가 수용될 수 있다.Various types of drinks can b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첨가물 용기의 사시도 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ditive con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첨가물 용기(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면에 놓인다. 상기 첨가물 용기(200)는 상기 첨가물이 수용되는 첨가물 용기 본체(210)와,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상면을 커버하는 커버(220)를 포함한다.The additive container 20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additive container 200 includes an additive container body 210 containing the additive and a cover 220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측면 둘레에 비해 단면적이 넓어지는 연장부(212)가 형성된다.An extension 21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so as to exten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side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그리고, 상기 연장부(2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연장부(212)의 나머지에 비하여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212)와 돌출부(214)의 사이에는 접힘홈(2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214)를 상기 연장부(212)에 대하여 절곡시킴으로써 상기 돌출부(214)와 상기 연장부(212)를 분리시킬 수 있다.At least a portion of the extension 212 is formed with a protrusion 214 protru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compared with the rest of the extension 212. A folding groove 216 is formed between the extending portion 212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4. Therefore, the protrusion 214 can be separated from the extension 212 by bending the protrusion 214 with respect to the extension 212.

상기 커버(220)는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The cover 220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따라서, 상기 커버(220)는 상기 연장부(212) 및 돌출부(214)를 포함한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상면을 커버한다.Therefore, the cover 220 covers the upper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including the extending portion 212 and the protruding portion 214.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214)를 상기 연장부(212)에 대하여 분리시키고, 상기 돌출부(214)의 상면에 놓여 있던 상기 커버(220)의 일부분을 잡아 당김으로써 상기 커버(220)를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에 대하여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user removes the protrusion 214 relative to the extension 212 and pulls the cover 220 away from the insert 220 by pulling a portion of the cover 220 that rests on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214. [ So that it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210.

한편,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에 수용되는 첨가물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상기 첨가물은 시럽 또는 분말 가루일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kind of the additive contained in the additive container main body 210. For example, the additive may be a syrup or a powdered powder.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첨가물을 상기 본체(100)에 첨가하여 음용하거나, 별도의 컵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100)에 수용된 음료수와 상기 첨가물을 혼합하여 음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may drink the additive by adding the additive to the main body 100 or by mixing the additive with the beverage stored in the main body 100 by using a separate cup.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덮개의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l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덮개(3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놓여, 상기 첨가물 용기(200) 및 본체(100)의 상면을 커버한다. The lid 300 is placed on the top of the main body 100 and covers the top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200 and the main body 100.

상기 덮개(300)는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상기 덮개(300)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첨가물 용기(200)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다. The lid 3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confirm the type of the additive container 200 disposed inside the lid 300.

일 예로 상기 덮개(300)의 재질은 플라스틱 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material of the lid 300 may be plastic.

상기 덮개(300)에서 상기 본체(100)와 접하는 부분을 하부, 그 반대를 상부라고 할 때, 상기 덮개(300)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lid 300 may be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id 300 increases as it goes downward when a portion of the lid 300 contacting the main body 100 is referred to as a lower portion and vice versa.

그리고, 상기 덮개(300)의 하부측 내주면에는 상기 본체(100)의 걸림턱(110)의 수용되도록 걸림홈(3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300)는 상기 본체(100)와 상기 걸림턱(110)이 상기 걸림홈(31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An engagement groove 310 is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side of the lid 300 so as to receive the engagement protrusion 110 of the body 100. Accordingly, the main body 100 and the latching jaw 110 are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310 and coupled to the lid 300.

상기 덮개(300)와 상기 본체(100)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착부재(400)가 구비될 수 있다. An adhesive member 400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lid 300 and the main body 10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접착부재(400)는 상기 덮개(300)의 일부와 상기 본체(100)의 일부를 둘러싸며 상기 덮개(300)를 상기 본체(100)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The adhesive member 400 may surround a part of the lid 300 and a part of the main body 100 to fix the lid 300 to the main body 100. [

일예로 상기 접착부재(400)는 스티커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adhesive member 400 may be a sticker.

상기 덮개(300)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잡힘홈(32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catching grooves 320 may be radially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3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ircumference.

사용자가 상기 덮개(300)를 파지시에 상기 잡힘홈(320)과 사용자의 손이 마찰력이 발생되어 사용자의 손에서 상기 음료수 용기(1)가 쉽게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When the user grasps the lid 300, frictional force is generated between the catch groove 320 and the user's hand to prevent the beverage container 1 from being easily dislodged from the user's hand.

상기 덮개(300)의 상면에는 상기 첨가물 용기 본체(210)의 돌출부(214)가 관통하도록 홀(330)이 형성된다. A hole 330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00 so that the protrusion 214 of the additive container body 210 passes through.

상기 홀(330)은 상기 덮개(300)의 상면 중 일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홀(330)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2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The hole 330 is formed through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300. In detail, the length of the hole 330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13.

따라서, 상기 덮개(300)가 상기 본체(100)의 상부에 놓이면 상기 돌출부(213)가 상기 홀(330)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lid 300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the protrusion 213 may protrude out through the hole 330.

한편, 상기 홀(330)은 상기 덮개(3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는, 상기 돌출부(213)가 상기 덮개(300)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Meanwhile, the hole 330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lid 300. At this time, the projecting portion 213 penetrates the side surface of the lid 300 and protrudes outward.

이와 같이, 상기 덮개(300)에 상기 돌출부(213)가 외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홀(330)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첨가물 용기(200)는 상기 덮개(30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The additive container 200 can be firmly fixed within the lid 300 by forming the holes 330 in the lid 300 so that the protrusions 213 protrude to the outside .

따라서, 본 발명의 의하면 음료수 용기의 덮개 상단에 첨가물 용기의 커버돌출부가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여 첨가물 용기가 음료수 용기의 덮개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hole into which the cover protrusion of the additive container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so that the additive container is fixed firmly inside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또한, 음료수 용기의 덮개가 투명한 재질로 제작되므로 사용자가 손쉽게 첨가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료수 용기의 덮개를 음료수 용기의 상단에 배치하므로 음료 용기의 용적을 감소시키지 않고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음료 용기와 함께 포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the type of the additive. In addition, since the cover of the beverage container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beverage contain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dditive to be added to the beverage can be packed together with the beverage container without reducing the volume of the beverage contain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

100: 본체 200: 첨가물 용기
300: 덮개 400: 접착부재
100: main body 200: additive container
300: cover 400: adhesive member

Claims (8)

음료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에 놓이며, 상기 음료에 첨가되는 첨가물을 수용하는 첨가물 용기; 및
상기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 및 첨가물 용기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첨가물 용기의 상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첨가물 용기의 측면 둘레에 비해 단면적이 넓어지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는 돌출부가 포함되며,
상기 덮개에는,
상기 돌출부가 상기 덮개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돌출부가 관통하는 홀이 형성되는 음료수 용기.
A body for containing the beverage;
An additive container which is plac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ccommodates an additive to be added to the beverage; And
And a cover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covering the main body and the additive container,
An extension part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having a cross-sectional area wider than that of a side surface of the additive container, at an upper end of the additive container; And
And a protrusion from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extending portion protrudes is included,
In the cover,
Wherein a hole is formed through the protrusion so that the protrusion protrudes outside the cov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돌출부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hole is formed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는 접힘홈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와 상기 돌출부가 분리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olding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so that the extending portion and the protruding portion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방사상으로 잡힘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atching groove is formed radial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v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circumferen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덮개의 상면 또는 측면 중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ole is formed on one of the upper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of the li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단에서 원주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의 내주면에는, 상기 걸림턱이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body includes:
And a latching protrusion protruding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a latching groove for inserting the latching jaw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id, and the latching jaw is inserted into the latching groove, To the beverage contain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상기 본체의 내측을 향하여 함몰되는 함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a depressed portion that is recess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is form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덮개가 접하는 부분에는 접착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일부와 상기 덮개의 일부를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수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dhesive member is provided at a portion where the main body and the lid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surround a part of the main body and a part of the lid.
KR1020140158664A 2014-11-14 2014-11-14 Drink bottle KR1015903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64A KR101590388B1 (en) 2014-11-14 2014-11-14 Drink bott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64A KR101590388B1 (en) 2014-11-14 2014-11-14 Drink bott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88B1 true KR101590388B1 (en) 2016-02-18

Family

ID=5545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64A KR101590388B1 (en) 2014-11-14 2014-11-14 Drink bott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8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350A (en) * 2000-07-25 2002-02-06 Ishii Sangyo Kk Portable container with two separated chambers
KR200474817Y1 (en) * 2014-01-28 2014-10-15 송희준 Take-out cu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350A (en) * 2000-07-25 2002-02-06 Ishii Sangyo Kk Portable container with two separated chambers
KR200474817Y1 (en) * 2014-01-28 2014-10-15 송희준 Take-out cu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356B1 (en) Capsule cap for beverage containers
AU2012375478B2 (en) Pump safety device for various containers
GB2398729A (en) Container device with two spaced-apart accommodating spaces
US20160325883A1 (en) Stacking cup cap
KR200363704Y1 (en) Cover assembly enable to mix interior material at opening
US9821936B1 (en) Bottle cap with integrated bottle opener
KR101590388B1 (en) Drink bottle
KR20160012490A (en) Different kind material mixing container
US20160015198A1 (en) Can type container changeable to type of cup or glass
KR101811247B1 (en) Container lid for mixing different kind material
KR101395301B1 (en) Capsule cap for beverage containers additive individual input means
KR101444309B1 (en) Double Cap For Adding Addition In Use
KR200485378Y1 (en) Container for food
JP2009234611A (en) Cup-shaped container with lid body, and package for food and drink
KR20130038079A (en) Vertically laminated liqued container
KR101592184B1 (en) Can type container which is changed to cup or glass type
KR200482947Y1 (en) Dual cup container
TWM557721U (en) Container and container assembly
KR20180001679U (en) Disposable Portion Pack
JP2022051984A (en) Improved cap for beverage pet bottle
KR20090105494A (en) Functional bottle
US20170283109A1 (en) Bottle
KR101652296B1 (en) A Sanitary-cap For adding addition in use
KR200484114Y1 (en) Multi-functional Container
EP3174811B1 (en) A package structure for bever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