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52B1 -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52B1
KR101590352B1 KR1020140029173A KR20140029173A KR101590352B1 KR 101590352 B1 KR101590352 B1 KR 101590352B1 KR 1020140029173 A KR1020140029173 A KR 1020140029173A KR 20140029173 A KR20140029173 A KR 20140029173A KR 101590352 B1 KR101590352 B1 KR 10159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relay
specific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738A (ko
Inventor
안동건
이응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12Detection or prevention of frau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CALL RE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통화호중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이 최소한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을 소지하는 것이 보편화되었으며,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한 다양한 목적의 통화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기업이나 단체에서는,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텔레마케팅팀을 두고, 현 고객 또는 잠재적인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로 광고 또는 홍보를 위한 목적의 통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사람들은, 이동통신 단말 내 전화번호부에 저장되지 않은 불특정 인으로부터의 전화를 받는 경우, 누구로부터 온 전화인지 모르기 때문에 무작정 받지 않을 수도 없고, 받았을 때 원하지 않는 광고 또는 홍보인 경우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란, 발신 단말에서 착신 단말 즉 이동통신 단말로의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발신 단말 측에서 미리 지정해 둔 문구(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이동통신 단말에 표시해 줌으로써, 착신 측의 사용자가 누구로부터 온 전화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처럼, 발신 단말 측이 미리 지정해 둔 문구(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착신 측의 이동통신 단말에 표시해주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전화를 받게 되는 사용자 입장에서 원하는 전화만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전술한 문제점이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
헌데, 현재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는, 이동통신사와 제휴된 통신사 회선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다.
이는, 현재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발신 단말 측의 통신사 및 착신 측의 이동통신사 간 제휴를 전제로 해야만 달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 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는,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통화호연결부; 상기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변조여부확인부; 상기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하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 및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에서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발신단말과 관련된 중계 발신요청에 대해서만 상기 가입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발신요청처리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계발신요청처리부는,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 내에서 상기 가입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상기 특정 착신번호의 착신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단말에서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신단말은,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특정 착신번호의 착신단말과 통화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 또는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전화번호 및 상기 특정 착신번호가 기 등록된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은,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특정 중계장치를 통해서 착신되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인 경우,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서 가입자DB를 기초로 상기 발신단말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른 가입식별자 또는 미가입식별자가 설정되도록 기 지정된 필드이며,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가 아닌 경우,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 의해 상기 미가입식별자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변조여부확인부는,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발신번호에 맵핑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면,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된 번호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서 기초하는 상기 가입자DB와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통화호연결단계; 상기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변조여부확인단계; 상기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하는 중계발신요청발생단계;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중계발신요청처리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며, 특히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도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은, 단말이 다른 단말과의 통화를 시도하는 배경과 관련된다. 여기서, 통화를 시도하는 측이 발신단말, 통화 시도를 받는 측이 착신단말이 될 것이며,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은 특히 착신단말이 이동통신 단말인 경우와 관련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단말1을 발신단말인 것으로 단말2를 착신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가 포함된 시스템은, 단말1,2와, 발신단말 즉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에서 운영하는 중계장치(10), 착신단말 즉 단말2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에서 운영하는 호교환장치(20,30), 네트워크장치(200), 통화호중계장치(100)를 포함한다.
이때,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는, 이동통신사일 수도 있고, 유선통신사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발신단말 즉 단말1이 착신단말 즉 단말2로의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단말2 내 전화번호부에 단말1의 전화번호가 저장되지 않다면, 단말2 측 사용자 입장에서는 누구로부터 온 전화인지 모르기 때문에 무작정 받지 않을 수도 없고, 받았을 때 원하지 않는 광고 또는 홍보인 경우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이에, 발신단말 즉 단말1에서 착신단말 즉 단말2로의 통화 즉 발신을 시도하는 경우 단말1 측에서 미리 지정해 둔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단말2에 표시해 줌으로써, 단말2 측의 사용자가 누구로부터 온 전화인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등장하였다.
헌데, 현재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는, 단말2 즉 착신단말이 가입된 이동통신사와 제휴된 통신사 회선에 대해서만 제공 가능하다. 즉, 현재는, 착신단말의 이동통신사와 제휴된 단말에서 시도되는 발신에 대해서만 전술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것이다.
이는, 현재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 발신단말 측의 통신사 및 착신단말 측의 이동통신사 간 제휴를 전제로 해야만 달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도 1를 참조하여,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더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1이 유선통신사1에 가입된 단말인 것을 예로서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예컨대, 단말1이 단말2로의 통화 즉 발신을 시도하게 되면, 단말1의 발신요청이 단말1이 가입된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를 통해서 단말2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의 호교환장치(20)로 전달된다.
여기서, 중계장치(10)로부터 호교환장치(20)로 전달되는 단말1의 발신요청에는, 발신번호 즉 단말1의 전화번호와,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고, 더 나아가 사업자ID도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단말1이 가입된 유선통신사1가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해 단말2의 이동통신사와 사전 제휴된 경우라면,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는 가입자DB를 기초로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른 가입식별자(예 : 1), 미가입식별자(예 : 0)을 단말1의 발신요청 내 기 지정된 특정 필드에 실어 호교환장치(20)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발신요청은 ISUP_IAM(ISDN User Part_Initial Address Message) 규격에 따르며,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는 ISUP_IAM에 포함된 UUI(User to User Information) 정보 내 LTR 비트일 수 있다.
그리고, 중계장치(10)에서 이용하는 가입자DB는, 단말1을 비롯하여 유선통신사1에 가입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한 가입절차를 거쳐 가입된 각 가입 단말의 정보가 저장되는 DB로서, 유선통신사1에 의해 관리된다.
즉, 이동통신사와 사전 제휴된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는,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 경우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 예컨대 UUI정보 내 LTR 비트에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고,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이 아닌 경우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 예컨대 UUI정보 내 LTR 비트에 미가입식별자(예 : 0)를 설정하여, 호교환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단말1이 가입된 유선통신사1가 단말2의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지 않은 경우 즉 미 제휴된 경우라면,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 예컨대 UUI정보 내 LTR 비트를 가입식별자(예 : 1)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미설정된 상태 그대로, 호교환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UUI정보 내 LTR 비트에 가입식별자(예 : 1)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미설정된 상태는, LTR 비트에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단말1이 가입된 유선통신사1가 단말2의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지 않은 경우 즉 미 제휴된 경우라면,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 즉 UUI정보 내 LTR 비트를 항상 미설정된 상태 예컨대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로 고정 설정하여, 호교환장치(2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이동통신사의 호교환장치(20)는, 중계장치(10)를 통해서 수신한 단말1의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이 접속된 위치 즉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착신단말 즉 단말2가 접속된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확인하고, 확인한 착신측 호교환장치(30)와 연동하여 단말1 및 단말2 간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통화호 연결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네트워크장치(200)는, 이동통신사에 가입된 각 단말의 단말정보, 서비스가입정보, 위치정보 등을 저장/관리하는 홈위치등록기(HLR :Home Location Register)에 해당한다.
여기서, 전술과 같은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네트워크장치(200)에 의해 발신단말 즉 단말1에 대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 가입식별자(예 : 1)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TIIS(Telephony & IP Integration System, 400)로부터 획득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로 제공함으로써, 단말2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동안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TIIS(300)는, 부가서비스 가입/변경/조회/삭제의 기능을 수행하는 Legacy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에 가입된 가입 단말 별로 기 등록된 발신자정보(예 : 문구, 이미지 등)를 저장/관리하는 서버로서, 전술과 같이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단말1의 발신자정보 획득이 요청되면 단말1의 발신요청에 포함된 발신번호,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의 가입식별자(예 : 1), 사업자ID 등을 이용한 인증 후, 단말1에 대응하여 등록된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장치(20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예컨대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이 아니기 때문에 중계장치(10)에 의해 특정 필드에 미가입식별자(예 : 0)이 설정되거나, 또는 중계장치(10)를 운영하는 유선통신사1가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지 않았기 때문에 중계장치(10)에 의해 특정 필드에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라면, 단말1에 대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다.
여기서, 보다 구체적인 예를 언급하여 설명하면, 호교환장치(20)에서 네트워크장치(200)로 단말1의 발신요청을 제공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Location Request메시지라 하며, 이때 Location Request메시지에는 금번 발신요청(예 : 단말1의 발신요청)이 착신 전환된 착신단말로의 발신이거나 또는 이미 다른 단말과의 통화 중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인 경우,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하고자, 추가 필드가 지정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필드는, Location Request메시지의 P_SFI(PCS_Service Features Indicator) 정보 내 LTR 비트일 수 있다.
이에, 호교환장치(20)는, 전술과 같이 중계장치(10)를 통해서 수신한 단말1의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이 접속된 위치 즉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착신 전환된 착신단말로의 발신 또는 이미 다른 단말과의 통화 중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인 경우에는 P_SFI 내 LTR 비트에 미가입식별자(예 : 0)을 설정할 수 있고, 착신 전환된 착신단말로의 발신 또는 이미 다른 단말과의 통화 중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아닌 경우에는 P_SFI 내 LTR 비트에 가입식별자(예 : 1)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단말1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고 추가 필드 즉 P_SFI 내 LTR 비트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TIIS(300)로부터 획득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로 제공함으로써, 단말2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동안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단말1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더라도 추가 필드 즉 P_SFI 내 LTR 비트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지 않은 경우라면, 단말1에 대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의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은, 발신단말 즉 단말1의 유선통신사1 및 착신단말 즉 단말2의 이동통신사 간 제휴를 전제로 해야만 달성되는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결국, 이동통신사와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한 제휴를 맺지 않은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의 단말에 대해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현재의 방법은, 유선통신사1가 이동통신사와 제휴를 맺는 방법 뿐이다.
헌데,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 제공을 위해 유선통신사1가 이동통신사와 제휴를 맺게 되면, 발신단말에 대해서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지 여부 판단 및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 가입식별자(예 : 1)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유선통신사1의 기존 네트워크 즉 기존 중계장치를 변경해야만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단말에서 시도되는 발신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헌데, 전술과 같이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단말에서 시도되는 발신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면,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이동통신사의 네트워크에 진입되기 전 예컨대 발신측 호교환장치(20)에 진입되기 전에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발신번호 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지 않고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발신단말에 대해서만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이를 실현하는 통화호중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는, 발신단말 및 착신단말 간의 통화호를 중계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면 ARS(Automatic Response Service)서버 또는 IVR(Interactive Voice Response)서버의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통화호중계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는,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통화호연결부(110)와, 상기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변조여부확인부(120)와, 상기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하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와,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에서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발신단말과 관련된 중계 발신요청에 대해서만 상기 가입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를 포함한다.
통화호연결부(110)는,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의를 위해, 전술과 같이 이동통신사의 단말2과의 통화를 위한 발신을 시도하는 발신단말로서,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따라서, 이 경우 전술한 특정 착신번호는, 단말1이 실제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2의 전화번호일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여, 발신단말 즉 단말1은, 착신단말 즉 단말2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지 않은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에 가입된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발신단말 즉 단말1은,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를 통해서 착신단말 즉 단말2와의 통화호가 중계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는, 이동통신사의 네트워크에 진입되기 전 예컨대 발신측 호교환장치(20)에 진입되기 전에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발신번호 변조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는 점을 감안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서 발신단말은,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중계를 통해 상기 특정 착신번호의 착신단말 즉 실제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2와 통화호를 연결하기 위해,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 또는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 및 특정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가 기 등록된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일 수 있다.
즉,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2와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1의 발신자가,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함으로써, 통화호중계장치(100)와의 통화호 연결을 선행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단말1의 발신자는, 단말1 및 통화호중계장치(100) 간의 통화호 연결 후, 통화호중계장치(100)로부터의 안내에 따라서 비밀번호(예 : 0001) 및 착신단말 즉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를 차례로 입력할 수 있다.
한편,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여 단말2와 통화하고자 하는 단말1의 발신자가,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 및 비밀번호(예 : 0001) 및 착신단말 즉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를 등록한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함으로써, 통화호중계장치(100)와의 통화호 연결을 선행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Pause 기능에 등록된 1599-1000, 0001, 010-XXXX-YYYY에 의해, 단말1 및 통화호중계장치(100) 간의 통화호 연결 후, 비밀번호(예 : 0001) 및 착신단말 즉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가 자동으로 통화호중계장치(100)에 입력되기 때문에, 단말1의 발신자는 통화호중계장치(100)로부터의 안내를 기다리거나 수동으로 입력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발신단말이 통화호중계장치(100)를 통해서 다수의 착신단말들로 전화를 걸고자 하는 대기업의 단말인 경우, 전술한 자동전화걸기 기능 예컨대 Pause 기능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결국, 발신단말 즉 단말1은,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중계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와 통화호를 연결하기 위해, 통화호중계장치(100)와의 통화호 연결을 선행하는 단말이다.
이에, 단말1이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거나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이에 따른 단말1의 발신요청이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를 통해서 통화호중계장치(100)에 착신됨으로써, 통화호중계장치(100)의 통화호연결부(110)는, 발신단말 즉 단말1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단말1과의 통화호를 연결한다.
이에, 단말1 및 통화호중계장치(100) 간에는 통화호가 연결된다.
변조여부확인부(12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단말1의 발신요청 내에는,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라면 발신번호로서 단말1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고,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라면 발신번호로서 단말1의 전화번호가 아닌 다른 전화번호(예 : 단말7의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변조여부확인부(1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변조여부확인부(120)는,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 기초하여, 발신단말 즉 단말1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가 발신번호에 맵핑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면, 발신번호가 변조된 번호가 아닌 것으로 확인한다.
이때,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는, 발신단말 즉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에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해 이용하는 전술의 가입자DB와는 상이한 것이다.
여기서, 중계장치(10)에서 이용하는 가입자DB란, 이동통신사와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해 사전에 제휴를 맺은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에 의해 관리되는 DB로서, 단말1을 비롯하여 유선통신사1에 가입된 다수의 단말 중에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한 가입절차를 거쳐 가입된 각 가입 단말의 정보가 저장된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는 이동통신사이므로, 이동통신사에서는,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해, 단말1을 비롯하여 이동통신사가 아닌 다른 통신사에 가입된 단말에 대해서도 통신사 구분 없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등록절차를 거쳐 등록된 각 등록 단말의 정보를 DB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 및 관리되는 DB를,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라 할 수 있다.
이에, 변조여부확인부(120)는, 통화호연결부(110)를 통해서 발신단말 즉 단말1과 통화호가 연결되면 단말1의 발신요청에서 발신번호를 확인하고, 확인한 발신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를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확인한다.
이때,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이라면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는 단말1의 전화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가 존재할 것이고,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이 아니라면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는 단말1의 전화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변조여부확인부(120)는, 단말1의 발신요청에서 확인한 발신번호가 단말1의 전화번호라면,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발신번호 즉 단말1의 전화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비록 단말1은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이 아니더라도,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인 다른 단말(예 : 단말7)의 전화번호로 변조된 경우라면, 변조여부확인부(120)는, 단말1의 발신요청에서 확인한 발신번호 즉 단말7의 전화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를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발신번호를 변조한 단말1로부터 발신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통해 자동으로 제공되는 비밀번호가,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 단말7의 전화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와 동일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에, 변조여부확인부(120)는, 통화호중계장치(100)로부터의 안내에 따라서 단말1로부터 제공된 비밀번호 또는 단말1로부터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통해 제공된 비밀번호가,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확인한 발신번호의 비밀번호(예 : 0001)와 서로 동일하면, 금번 통화호 연결된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의 인증 방식은, 각 단말의 전화번호 별로 일정 주기(예 : 1개월) 마다 갱신되는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일 수 있고, 또는 각 단말의 전화번호 별로 특정 난수생성알고리즘에 따라 매번 자동 생성하는 일회성의 비밀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일 수 있다.
한편,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단말1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는, 단말1과의 통화호 연결 시에 착신한 단말1의 발신요청을 기초로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한다.
이때,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 즉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를, 통화호중계장치(100)로부터의 안내에 따라서 단말1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 또는 단말1로부터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통해 제공된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로 변경하여,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에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포함되어 있던 발신번호와, 특정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고, 더 나아가 사업자ID도 포함될 수 있다.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변조여부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에서 발생한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고, 변조여부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에서 발생한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장치(200)에서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발신단말과 관련된 중계 발신요청에 대해서만 가입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필드는, 특정 중계장치 즉 중계장치(10)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특정 네트워크장치 즉 네트워크장치(200)와 제휴된 장치인 경우, 중계장치(10)에서 가입자DB를 기초로 발신단말 즉 단말1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른 가입식별자(예 : 1) 또는 미가입식별자(예 : 0)가 설정되도록 기 지정된 필드이다.
그리고, 특정 필드는, 특정 중계장치 즉 중계장치(10)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네트워크장치(200)와 제휴된 장치가 아닌 경우, 중계장치(10)에 의해 가입식별자(예 : 1)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미설정된 상태로 유지(또는 설정)된다.
이때, 가입식별자(예 : 1)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 즉 미설정된 상태는, 특정 필드에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정 필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발신요청이 ISUP_IAM 규격에 따르는 경우 ISUP_IAM에 포함된 UUI 정보 내 LTR 비트일 수 있다.
헌데,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위해 이동통신사와 제휴를 맺지 않은 통신사이기 때문에,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 예컨대 UUI 정보 내 LTR 비트는 가입식별자(예 : 1)가 미설정된 상태 즉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어 있을 것이다.
이에,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변조여부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에서 발생한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 예컨대 UUI 정보 내 LTR 비트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는 변경 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통화호중계장치(100)로 인입되는 발신요청 중 발신번호 변조가 없는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단말1의 발신요청에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에는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반면,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변조여부확인부(120)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에서 발생한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것이다.
다시 말해,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통화호중계장치(100)로 인입되는 발신요청 중 발신번호 변조가 있는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단말1의 발신요청과 동일하게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된 단말1 대응 중계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더불어,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변조여부확인부(120)의 확인 과정에서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이 아니므로 중계발신요청발생부(130)에서 발생한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할 것이다.
다시 말해, 중계발신요청처리부(140)는,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이 아닌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단말1의 발신요청과 동일하게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된 단말1 대응 중계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더불어, 통화호중계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통화호를 연결한 단말1에 대응하여 중계 발신요청을 전술과 같이 변경 없이 또는 변경 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이 접속된 위치 즉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함에 따라,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착신단말 즉 단말2가 접속된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확인한다. 그리고, 통화호중계장치(100)는, 확인한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단말2와의 통화호를 연결하고, 단말1과의 통화호 및 단말2와의 통화호를 중계하여 단말1 및 단말2가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통화호 연결절차 및 통화호 중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통화호중계장치(100)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TIIS(300)로부터 획득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로 제공하고,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단말2로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착신단말 즉 단말2에서는, 발신번호 변조가 없는 정당한 단말1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에만, 전화벨이 울리는 동안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TIIS(300)에는 전술한 Legacy서버(미도시)와의 연동을 통해 전술의 통신사 구분 없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등록되는 등록 단말에 대응하는 발신자정보(예 : 문구, 이미지 등)가 기 저장되어 있을 것이며, 이에 TIIS(300)는, 전술과 같이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단말1의 발신자정보 획득이 요청되면 중계 발신요청에 포함된 발신번호 즉 단말1의 전화번호,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의 가입식별자(예 : 1), 사업자ID 등을 이용한 인증 후, 단말1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네트워크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역시, 통화호중계장치(100)는, 전술과 같이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이 접속된 위치 즉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하는 과정에서, 착신 전환된 착신단말로의 발신 또는 이미 다른 단말과의 통화 중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인 경우에는 P_SFI 내 LTR 비트에 미가입식별자(예 : 0)을 설정할 수 있고, 착신 전환된 착신단말로의 발신 또는 이미 다른 단말과의 통화 중인 착신단말로의 발신이 아닌 경우에는 P_SFI 내 LTR 비트에 가입식별자(예 : 1)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 역시,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통화호중계장치(100)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고 추가 필드 즉 P_SFI 내 LTR 비트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TIIS(300)로부터 획득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로 제공함으로써, 단말2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동안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통화호중계장치(100)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더라도 추가 필드 즉 P_SFI 내 LTR 비트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라면, 단말1에 대한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는,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중계를 통해서 착신단말로의 통화를 시도하는 발신단말에 대하여, 발신번호 변조 없는 정당한 단말인 경우에만, 이동통신사와 제휴를 맺은 통신사의 중계장치에 의해 설정되는 것처럼 발신단말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에 가입식별자(예 : 1)을 설정한 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장치(200)에서 기존과 같이 중계 발신요청의 가입식별자(예 : 1)에 따라 발신자정보를 착신단말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발신단말 즉 단말1이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착신단말 즉 단말2로의 통화를 시도할 수도 있다. 이 경우라면, 단말1 및 단말2 간의 통화 호 연결 과정은 통화호중계장치(100)를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전술과 같이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에서 발신번호 변조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는 일 자체가 수행되지 않는다.
결국, 발신단말 즉 단말1이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중계를 통하지 않고 착신단말 즉 단말2로의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라면, 단말1이 단말2의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의 가입 단말이라는 전제 하에서,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이든 변조되지 않은 경우이든 착신측의 단말2로 발신자정보가 제공되어 표시되는 일은 없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100)에 따르면, 기존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며, 특히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도출한다.
한편, 전술에서는 호교환장치와는 별도로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통화호중계장치를 구성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이다. 예컨대, 이동통신사에서 운영하는 다수의 호교환장치 중 하나를 전술한 본 발명의 통화호중계장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통화호중계장치(100)를 언급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과 같이 이동통신사의 단말2과의 통화를 위한 발신을 시도하는 발신단말로서, 단말1을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여, 발신단말 즉 단말1은, 착신단말 즉 단말2가 가입된 이동통신사와 제휴되지 않은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에 가입된 단말인 것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발신단말 즉 단말1의 발신요청을 착신하여, 단말1과의 통화호를 연결한다(S100).
즉, 단말1이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거나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이에 따른 단말1의 발신요청을 단말1이 가입된 통신사(예 : 유선통신사1)의 중계장치(10)를 통해서 착신함으로써, 단말1과의 통화호를 연결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화호중계장치(100)로부터의 안내에 따라서 단말1로부터 제공된 비밀번호(예 : 0001) 및 특정 착신번호, 또는 단말1로부터 자동전화걸기 기능(예 : Pause 기능)을 통해 제공된 비밀번호(예 : 0001) 및 특정 착신번호를 수신한다(S110).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단말1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한다(S120). 이때, 특정 착신번호는, 단말1이 실제 통화하고자 하는 착신단말 즉 단말2의 전화번호일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과의 통화호 연결 시에 착신한 단말1의 발신요청을 기초로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 즉 통화호중계장치(100)의 전화번호(예 : 1599-1000)를, S110단계에서 수신한 특정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예 : 010-XXXX-YYYY)로 변경하여,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에는, 단말1의 발신요청 내 포함되어 있던 발신번호와, 특정 착신번호 즉 단말2의 전화번호가 포함되고, 더 나아가 사업자ID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4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단말1의 발신요청에서 발신번호를 확인하고, 확인한 발신번호와 맵핑된 비밀번호를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확인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10단계에서 단말1로부터 수신한 비밀번호와,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서 확인한 발신번호의 비밀번호(예 : 0001)가 서로 동일하면, 금번 통화호 연결된 단말1의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S130 No).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S130 No), S120단계에서 발생한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 예컨대 UUI 정보 내 LTR 비트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는 변경 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한다(S15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화호중계장치(100)로 인입되는 발신요청 중 발신번호 변조가 없는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단말1의 발신요청에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어 있었지만,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에는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예 : 1)를 설정하여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S130단계의 확인 결과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S130 Yes), S120단계에서 발생한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한다(S15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통화호중계장치(100)로 인입되는 발신요청 중 발신번호 변조가 있는 발신요청에 대해서는, 단말1의 발신요청과 동일하게 미가입식별자(예 : 0)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된 단말1 대응 중계 발신요청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전술과 같이 통화호를 연결한 단말1에 대응하여 중계 발신요청을 전술과 같이 변경 없이 또는 변경 후 네트워크장치(200)로 전송하여 착신단말이 접속된 위치 즉 착신측 호교환장치 확인을 요청함에 따라, 네트워크장치(200)로부터 착신단말 즉 단말2가 접속된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확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100)의 동작 방법은, 확인한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단말2와의 통화호를 연결하고, 단말1과의 통화호 및 단말2와의 통화호를 중계하여 단말1 및 단말2가 서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의 일반적인 통화호 연결절차 및 통화호 중계를 수행하게 된다(S160).
그리고, 네트워크장치(200)는, 전술과 같은 통화호중계장치(100) 및 단말2 간의 통화호 연결절차가 수행되는 중에, 단말1에 대응하는 중계 발신요청 내 특정 필드에서 가입식별자(예 : 1)가 확인되는 경우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TIIS(300)로부터 획득하여 착신측 호교환장치(30)를 통해 착신단말 즉 단말2로 제공함으로써, 단말2에서 전화벨이 울리는 동안 단말1의 발신자정보(예 : OO은행 영업부입니다)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은, 기존의 네트워크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발신단말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하며, 특히 발신번호가 변조된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까지 도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이동통신사와 미 제휴된 통신사 측의 단말에서 시도되는 발신에 대해서도 발신자정보 표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 : 중계장치
20, 30 : 호교환장치
100 : 통화호중계장치
200 : 네트워크장치
300 : TIIS

Claims (7)

  1.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특정 중계장치를 통해 착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통화호연결부;
    상기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변조여부확인부;
    상기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하는 중계발신요청발생부; 및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여,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에서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발신단말과 관련된 중계 발신요청에 대해서만 상기 가입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계발신요청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발신요청처리부는,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된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을 변경 없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 내에서 상기 가입식별자가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상기 특정 착신번호의 착신단말로 제공하여, 상기 착신단말에서 상기 발신단말의 발신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은,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중계를 통해 상기 특정 착신번호의 착신단말과 통화호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전화번호를 착신번호로 입력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 또는 상기 통화호중계장치의 전화번호 및 상기 특정 착신번호가 기 등록된 자동전화걸기 기능을 활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는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인 경우,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서 가입자DB를 기초로 상기 발신단말이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한 가입 단말인지 여부를 판단함에 따른 가입식별자 또는 미가입식별자가 설정되도록 기 지정된 필드이며,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가 아닌 경우,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 의해 상기 미가입식별자 또는 블랭크(blank)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변조여부확인부는,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에 기초하여,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발신번호에 맵핑된 비밀번호와 동일하면,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된 번호가 아닌 것으로 확인하며,
    상기 발신자정보표시대상DB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에서 기초하는 상기 가입자DB와는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
  7. 발신단말의 발신요청을 특정 중계장치를 통해 착신하여, 상기 발신단말과의 통화호를 연결하는 통화호연결단계;
    상기 발신요청 내 발신번호가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변조여부확인단계;
    상기 발신요청 내 착신번호를 상기 발신단말로부터 제공된 특정 착신번호로 변경한 중계 발신요청을 발생하는 중계발신요청발생단계;
    상기 발신번호가 변조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중계 발신요청의 특정 필드에 발신자정보 표시 대상임을 나타내는 가입식별자를 설정하는 변경 후 특정 네트워크장치로 전송하는 중계발신요청처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특정 필드는,
    상기 특정 중계장치가 발신자정보 표시를 위해 상기 특정 네트워크장치와 제휴된 장치인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40029173A 2014-03-12 2014-03-12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90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73A KR101590352B1 (ko) 2014-03-12 2014-03-12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73A KR101590352B1 (ko) 2014-03-12 2014-03-12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38A KR20150106738A (ko) 2015-09-22
KR101590352B1 true KR101590352B1 (ko) 2016-02-01

Family

ID=5424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173A KR101590352B1 (ko) 2014-03-12 2014-03-12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1991B1 (ko) * 2008-07-11 2014-11-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발신정보 인증 장치와 이를 이용한 발신정보 제공 시스템및 그 제공 방법
KR20100006992A (ko) * 2008-07-11 2010-01-22 주식회사 케이티 중계 장치 및 중계 장치를 이용한 호처리 방법
KR101072669B1 (ko) * 2008-11-14 2011-10-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19216A (ko) * 2009-04-30 2010-11-09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발신번호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38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94340B2 (ja) 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方法及びリングバック・トーンサウンドの提供装置
AU2012229630B2 (en) Method for performing information telephone calls
JP5614357B2 (ja) 電話制御装置、電話システム、および転送制御方法
KR20080002430A (ko) 유선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2077561B (zh) 电信系统中管理多个主叫方身份的方法
US201900450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all setup
KR101590352B1 (ko) 통화호중계장치 및 통화호중계장치의 동작 방법
KR101521785B1 (ko) 이동통신망에서의 멀티 넘버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194998B1 (ko) 모바일단말기간의 피싱 방지를 위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20634B1 (ko) 발신자 정보 표시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881548B1 (ko) 사용자상태 기반 호처리 방법
KR100764431B1 (ko) 발신자 정보 전송 서비스 처리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31198B1 (ko) 푸쉬 메시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하는 호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936596B1 (ko) 데이터 망을 이용한 ars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880492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wing virtual private network users to obtain presence status and/or location of others on demand
KR101954373B1 (ko) 호교환장치 및 호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KR20080064774A (ko) 전화와 휴대인터넷/무선랜을 이용한 유무선 통합 통화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562780B1 (ko) 발신자정보제공장치 및 발신자정보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JP2005167982A (ja) 着信転送機能のための通話装置及び方法
KR100591894B1 (ko) 착신 가입자의 착신 통화를 녹음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4094316B2 (ja) インターネット電話方式および方法
KR100716185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원격 접속 방법 및 그 장치
JP5983602B2 (ja) 通話連動システム、宅内制御装置、通話連動方法
KR20080002431A (ko) 메신저/웹(/왑) 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통화 서비스 시스템및 그 방법
KR100392770B1 (ko) 시스템 라우팅 데이터를 이용한 가입자 기반 링백톤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