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604B1 -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604B1
KR101589604B1 KR1020140022919A KR20140022919A KR101589604B1 KR 101589604 B1 KR101589604 B1 KR 101589604B1 KR 1020140022919 A KR1020140022919 A KR 1020140022919A KR 20140022919 A KR20140022919 A KR 20140022919A KR 101589604 B1 KR101589604 B1 KR 10158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document
creato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334A (ko
Inventor
박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트리케어
Priority to KR1020140022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960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4Program or device authent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문서인증시스템이 전자문서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각 시점별로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THE AUTHENTICITY OF THE ELECTRONIC DOCUMENT AND THE WRITER IDENTIFICATION}
본 발명은 전자문서의 진위와 작성자를 확인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등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전자문서 작성시 촬영장치를 통해 작성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다양한 단말에서 작성된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문서를 작성하는 방법으로 작성자가 직접 기입하는 수기방식 외에 컴퓨터 또는 스마트폰 등 다양한 단말을 이용하여 문서를 전자적으로 작성하고 있다.
이렇게 전자적으로 작성된 문서는 보관, 편집, 배포에 있어서 기존의 수기방식에 비해 노력과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렇게 전자적으로 작성된 문서는 그 형태가 무형으로 전자문서의 위조 및 변조가 용이하고,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와 전자문서에 전자적으로 서명날인한 사람이 동일한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0-0103419 호는 바코드를 이용한 발급문서 진위확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발급문서의 진위확인을 하는 확인서버의 주소를 발급문서에 바코드로 인쇄하여, 이동 단말의 촬영장치로 상기 바코드를 촬영하면 즉시 발급문서의 사본파일을 불러와서 보여주는 바코드를 이용한 발급문서 진위확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술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에서 작성되는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작성자 또는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와 작성된 전자문서의 작성시점 및 작성내용을 확정하여 전자문서에 신뢰성을 부여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작성자를 촬영한 작성자정보와 작성된 전자문서를 통합한 공인전자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공인전자문서를 통해 전자문서를 작성한 자의 신원 및 작성된 전자문서의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문서인증시스템이 전자문서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각 시점별로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르면,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문서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작성자기록부,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기록동기화부 및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인전자문서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인전자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도록 상기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변경하는 공인문서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단말에서 작성되는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자의 신원을 확인하기 위해,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는 작성자 또는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을 기록함으로써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와 작성된 전자문서의 작성시점 및 작성내용을 확정하여 전자문서에 신뢰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일실시예는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작성자를 촬영한 작성자정보와 작성된 전자문서가 표시되는 화면을 기록한 화면기록정보 그리고 작성된 전자문서를 통합한 공인전자문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제공된 공인전자문서를 통해 전자문서를 작성한 자의 신원 및 작성된 전자문서의 위변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따르면 기존 자필 작성을 원칙으로 하는 유언장, 유언신탁 또는 공인인증 시스템을 통해 전자문서에 인증을 하는 전자계약서, 공문 및 행정용 전자문서 그리고 전자연구노트 등에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파일이나 공인인증서를 내장하지 않고, 단말에 포함된 촬영장치와 입력장치만으로 전자문서의 유효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전자문서가 작성된 시점에 대한 증거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를 설명하기에 앞서,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의 의미를 먼저 정의한다.
본 발명에서 ‘전자문서’란 정보처리장치를 통해 전자적인 형태로 작성되고 송수신 또는 저장될 수 있는 문서를 말하고, 이러한 전자문서로는 계약서, 유언장 등과 같은 법률상 효과를 발생시키는 문서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처리장치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를 ‘입력장치’라고 하며, 이러한 입력장치에는 예를 들어,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에 구현되는 가상 키보드 그리고 마우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입력장치상태정보’는 작성자가 전자문서를 작성할 때 이용한 입력장치에 대한 정보로 예를 들어, 2벌식, 천지인, 쿼티(QWERTY), 숫자형 중 전자문서를 작성하는데 사용된 키보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장치를 통해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라 한다.
이러한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동안 작성자의 모습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기록한 정보를 ‘작성자기록정보’라고 하며, 이러한 작성자기록정보는 정보처리장치에 포함되거나 연결된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될 수 있다.
이때 촬영장치는 정보처리장치의 내부에 포함될 수 있거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어 정보처리장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작성자기록정보는 전자문서의 작성 중에 정보처리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면출력방향을 촬영하여 획득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를 포함하며, 이는 스틸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작성자기록정보는 전자문서의 작성 중에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획득된 ‘시선이동기록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시선이동기록정보는 작성자의 시선이 이동한 궤적을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작성자기록정보는 해당 정보가 획득된 시간과 함께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는 전자문서 작성 중 한번 또는 수회에 걸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된 스틸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전자문서 작성 중 적어도 일정기간 동안 획득된 동영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선이동기록정보는 전자문서 작성 중 한번 또는 수회에 걸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된 좌표정보를 포함하거나 한번 또는 수회에 걸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획득된 ‘좌표이동궤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와 시선이동기록정보의 획득시점이나 획득시간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촬영장치상태정보’는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를 촬영한 촬영장치에 대한 상태정보로, 예를 들어 촬영 시점의 시스템 계정정보, 촬영장치의 제조사, 모델, 해상도, 코덱(Codec) 및 이미지 파일 타입 정보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전자문서의 작성과정 동안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녹화 또는 작성자가 전자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한 명령을 시간에 따라 기록한 것을 ‘문서작성기록정보’라 하고, 문서작성기록정보는 이미지 또는 동영상의 형태일 수 있으며 녹화된 시간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공인전자문서’는 작성자가 작성한 전자문서의 진위 및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는 전자문서로서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 작성자기록정보 그리고 문서작성기록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우선 문서인증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이 통신하기 위해 이용하는 네트워크(N)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Mobile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정보처리장치인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하거나, 타 단말 및 서버와 연결 가능한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 텔레비전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스마트폰(Smart Phone), 모바일 WiMAX(Mobile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텔레비전은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인터넷 TV(Internet Television), 지상파 TV, 케이블 TV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단말(10)은 네트워크(N)를 통하여 후술할 문서인증서버(20)와 통신할 수 있으며,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고, 작성자가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동안 사용자단말(10)에 연결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작성자를 촬영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의 화면에 출력되는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을 녹화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단말(10)은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의 작성자기록정보, 문서기록정보, 입력장치상태정보 또는 출력장치상태정보 등을 작성된 전자문서를 결합하여,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공인전자문서를 저장하거나, 또는 후술할 문서인증서버(2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문서인증서버(20)는 사용자단말(10)로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된 공인전자문서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는 문서인증서버(20)는 사용자단말(10)에서 수행될 수 있는 일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문서인증시스템(100)의 각 구성이 수행하는 기능은 사용자단말(10)에서만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사용자단말(10)과 문서인증서버(20)에서 각각 분리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문서인증시스템(100)의 기능이 사용자단말(10)에서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으나, 전자문서를 입력하고, 작성자기록정보와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은 사용자단말(1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생성된 작성자기록정보와 문서작성기록정보 등을 전자문서에 대응하고,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는 기능은 문서인증서버(2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단말(10)은 사용주체에 따라 나누어지는 것이고, 구성의 차이에 따라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단말(10)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문서인증시스템(100)을 설명하기 위해, 도 2 를 참조하여 문서인증시스템(100)의 각 구성부를 설명한다.
우선, 문서인증시스템(100)의 감지부(210)는 작성자가 전자문서의 작성을 개시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210)는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인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단말(10)에서 실행되면, 감지부(210)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사용자단말(10)의 운영체제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성자가 전자문서의 작성을 개시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감지부(210)는 사용자단말(10)에서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사용자단말(10)의 입력장치를 통해 작성자로부터 입력이 있는 경우에 작성자가 전자문서의 작성을 개시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후, 감지부(210)가 사용자단말(10)에서 전자문서 작성 개시 여부를 감지하면, 작성자기록부(220)는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성자기록부(220)는 사용자단말(10)에 연결되어 있는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작성자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 일정한 시간단위로 작성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자기록부(220)는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일정한 시간간격마다 이미지 형태로 작성자를 촬영하거나 또는, 작성자기록부(220)는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 모든 기간 동안 동영상 형태로 작성자를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작성자기록부(220)는 작성자를 촬영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촬영된 시간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자기록부(220)는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마다 촬영 시간을 년, 월, 일, 시, 분, 초 단위로 구분하여 기록할 수 있고, 촬영 시간은 사용자단말(10)에서 제공하는 표준 시간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작성자기록부(220)는 이렇게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예를 들어, 사용자단말(10)에 연결된 촬영장치에서 지원하는 이미지 파일 포맷 또는 코덱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작성자기록정보는 추가적으로 촬영시점의 시스템 계정정보, 촬영장치의 제조사, 모델, 해상도, 코덱 및 이미지 파일 포맷 등의 촬영장치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이 전자문서가 작성될 때 사용된 사용자단말(10)의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것인지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한편, 작성자기록부(220)는 작성자를 촬영하는 동안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고,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시선이동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성자기록부(220)는 작성자를 촬영하는 촬영장치의 위치를 (0, 0)으로 하여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에 좌표를 부여할 수 있고,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되는 작성자가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보는 시선이 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하는 최대 변동 각을 기초로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의 좌우 또는 상하의 길이에 비례하여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좌표로 변환하여 기록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된 시선이동기록정보는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작성자기록부(220)는 추가적으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시킬 수 있고,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로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 이름, 운영체제 버전, 사용자 고유 식별번호(Unique User Identifier), 단말 고유 식별번호(Unique Device Identifier), 통신 모뎀의 MAC 주소, 온라인 가입자 계정정보 등일 수 있다.
그리고 문서작성기록부(230)는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이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녹화하거나 또는 작성자가 전자문서를 작성하기 위해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한 명령을 시간에 따른 기록을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문서작성기록부(230)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때 화면의 변화를 녹화하거나 또는 입력된 명령을 기록한 시간인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작성기록부(230)는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사용자단말(10)의 화면으로 출력되는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을 일정시간 간격으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녹화할 수 있거나 또는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녹화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예를 들어 문서작성기록부(230)는 전자문서의 작성과정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커서의 이동궤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문서작성기록부(230)는 추가적으로, 작성된 전자문서의 포맷, 전자문서의 버전 또는 작성자의 문서 옵션 등을 포함하는 문서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문서상태정보를 통해 전자문서에 대한 문서작성기록정보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와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동일한 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된 정보인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기록동기화부(240)는 상술한 작성자기록부(220)에서 생성한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부(230)에서 생성한 문서작성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작성자가 작성한 전자문서에 대응시킬 수 있다.
즉, 기록동기화부(240)는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과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 각각에 포함된 시간 정보가 일치하도록 각 시간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동기화부(240)는 전자문서에 포함된 각 문장이 작성된 시점의 시간과 동일한 시간에 촬영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를 각 문장에 대응하도록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할 수 있고, 작성된 전자문서의 각 문장과 대응하는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사이에 동일한 시간태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설정된 시간태그를 통해서, 작성된 전자문서의 각 문장과 대응하는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 각각에 설정된 태그의 동일 여부에 따라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 및 작성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기록동기화부(240)는 작성된 전자문서와 문서작성기록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록동기화부(240)는 문서작성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작성된 전자문서의 각 문장이 작성된 시점의 시간과 작성된 전자문서의 각 문장과 동일한 문장이 작성되는 화면이 녹화된 시간 정보 또는 명령어가 입력되는 시간 정보를 조절함으로써, 전자문서에 문서작성기록정보를 대응시킬 수 있다.
이렇게, 기록동기화부(240)에 의해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가 대응되면, 공인문서생성부(250)는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함께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공인문서생성부(250)는 작성된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구분하여 공인전자문서로 저장하고, 저장된 공인전자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도록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
즉, 공인문서생성부(250)는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작성자기록정보와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작성된 전자문서와 시간 단위로 비교할 수 있도록 저장할 수 있으며, 촬영장치와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 구동 시간 지연 등의 오차에 대해서도 촬영시간 이나 작성시간을 반영하여 오차를 확인할 수 있도록 작성자기록정보, 문서작성기록정보 그리고 전자문서에 각각 포함된 시간 정보를 각각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공인전자문서가 저장되면, 공인문서생성부(250)는 저장된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변경하여, 공인전자문서가 다른 사용자단말(10)로 배포되어도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각종정보가 변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검증부(260)는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전자문서가 위변조가 되었는지 검증을 요청받으면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동시에 표시하여 전자문서의 위변조를 확인하거나,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검증부(260)는 공인전자문서를 기초로 전자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위변조 여부에 대한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증부(260)는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전자문서와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녹화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포함된 전자문서의 내용과 일치하는지 여부와 문서상태정보에 포함된 전자문서의 포맷, 전자문서의 버전 등이 작성자가 작성한 전자문서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전자문서의 위변조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검증부(260)는 문서작성기록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와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양 정보가 동일한 사용자단말(10)에서 생성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에 촬영된 작성자가 전자문서를 작성한 사람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후술할 문서인증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문서인증시스템(100)이 제공하는 문서인증방법을 도 3 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후술하겠다.
우선,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할 수 있다(S3000).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에서 전자문서를 작성할 수 있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거나 또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작성자로부터 사용자단말(10)의 입력장치에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단말(10)의 촬영장치를 초기화하여, 작성자를 촬영할 준비를 수행할 수 있고, 또한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자단말(10)의 화면 중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영역만을 녹화할 준비를 할 수 있다.
이렇게 문서인증시스템(100)이 전자문서 작성의 개시를 감지하면,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각 시점별로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3001).
즉, 문서인증시스템(100)은 S3000에서 초기화한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하는 작성자를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전자문서 작성이 개시되는 시점부터 작성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고, 또는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작성자를 녹화한 동영상을 포함하는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촬영장치로 작성자를 촬영함과 동시에 촬영 시간을 기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촬영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마다 촬영된 시간을 시간 정보로 기록하거나 또는 촬영이 시작된 시간 및 종료된 시간만을 시간 정보로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한 시점을 0으로 하여 시간을 측정할 수 있거나 또는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한 시점에 사용자단말(10)의 시스템에서 이용하는 시간을 기준으로 시간을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자기록정보에 추가적으로 촬영장치상태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촬영장치상태정보에 포함된 코덱과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의 코덱이 동일한지 여부에 기초하여 촬영한 단말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동안 사용자단말(10)의 촬영장치에 촬영된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고,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상기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시선이동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안구추적기술을 이용하여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으며, 추적된 작성자의 시선의 위치를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기준으로 한 좌표로 인식할 수 있고, 이러한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좌표로 기록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과정 동안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녹화하거나 또는 작성자가 입력장치를 통해 입력하는 데이터의 기록을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의 화면 중 실행된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이 표시된 영역을 녹화할 수 있으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미지 또는 동영상 형태로 녹화하여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거나, 작성자가 전자문서의 작성을 위해 입력장치에 입력하는 명령어 또는 데이터의 입력순서를 기록할 수 있다. 이때 녹화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마다 녹화된 시간 또는 데이터가 입력된 시간인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에서 실행되고 있는 문서인증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커서의 위치를 기록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사용자단말(10)의 전체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를 기준으로 하여 커서의 이동궤적에 좌표를 부여함으로써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문서작성기록정보로 입력장치상태정보, 문서상태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예를 들어, 문서상태정보와 작성된 전자문서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입력장치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전자문서를 작성한 단말과 사용자단말(10)의 일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된 전자문서에 문서작성기록정보 또는 작성자기록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대응시킬 수 있다(S3002).
즉,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에 기초하여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의 시간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전자문서의 각 문장이 작성이 된 각 시점마다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 중 동일한 시점의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가 각각 대응하도록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작성된 전자문서에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가 각각 대응되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공인전자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도록 상기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변경할 수 있다(S3003).
즉,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작성된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문서인증시스템(100)은 공인전자문서에 추가적으로 촬영장치상태정보, 입력장치상태정보, 문서상태정보 또는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 등이 포함된 부가단말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문서인증시스템(100)은 저장된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읽기전용으로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자문서의 위변조를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배포된 공인전자문서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004).
즉, 문서인증시스템(100)는 작성된 전자문서와 작성자기록정보 또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각각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문서상태정보와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의 정보가 일치하는지 여부 그리고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녹화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에 녹화된 전자문서의 내용과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의 내용이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문서상태정보, 입력장치상태정보,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와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 촬영장치상태정보, 사용자단말(10)의 식별정보를 각각 상호 비교함으로써 위변조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문서인증시스템(100)은 문서작성기록정보 및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사용자단말(10)의 화면을 녹화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작성자이미지기록정보 그리고 전자문서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전자문서의 위변조 여부 및 작성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별도의 공인인증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작성된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단말과 연결된 촬영장치를 통해 전자문서를 작성한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방법은 도 2 에 도시된 문서인증시스템(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에 도시된 문서인증시스템(10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문서인증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문서인증시스템
10: 사용자단말
20: 문서인증서버
N: 네트워크
210: 감지부 240: 기록동기화부
220: 작성자기록부 250: 공인문서생성부
230: 문서작성기록부 260: 검증부

Claims (10)

  1.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문서인증시스템이 전자문서를 인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각 시점별로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작성자를 촬영한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동안 상기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상기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상기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시선이동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시선이동기록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인증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과 상기 각 시점별로 촬영된 작성자가 매칭되도록, 상기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문서인증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과정 동안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녹화한 정보 또는 상기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를 기록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단계는,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과 상기 각 시점별로 녹화된 상기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 또는 상기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의 기록 중 적어도 하나가 매칭되도록, 상기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공인전자문서는,
    상기 문서작성기록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인증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생성된 공인전자문서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인전자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도록 상기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문서인증방법은,
    상기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작성자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전자문서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서인증방법.
  7.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의 신원을 확인하는 문서인증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작성자의 전자문서 작성 개시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에 상기 작성자를 촬영하여 작성자기록정보를 생성하는 작성자기록부;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에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를 대응시키는 기록동기화부; 및
    작성이 완료된 전자문서와 상기 전자문서에 대응된 작성자기록정보를 포함하는 공인전자문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공인전자문서를 저장하고, 저장된 공인전자문서를 열람만 가능하도록 상기 공인전자문서의 속성을 변경하는 공인문서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작성자기록부는,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작성자를 녹화한 동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전자문서가 작성되는 동안 상기 작성자의 시선을 추적하고, 상기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을 기준으로 하는 좌표로 상기 작성자의 시선의 이동궤적을 나타내는 시선이동기록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작성자기록정보는,
    상기 동영상 및 상기 시선이동기록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인증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인증시스템은,
    상기 전자문서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적어도 일정시간 동안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과정 동안 출력되는 화면의 변화를 녹화한 정보 또는 상기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를 기록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문서작성기록정보를 생성하는 문서작성기록부를 더 포함하는, 문서인증시스템.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동기화부는,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과 상기 각 시점별로 촬영된 작성자가 매칭되도록, 상기 작성자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하고, 상기 전자문서의 작성 개시시점으로부터 작성완료시점까지의 기간 내의 각 시점과 상기 각 시점별로 녹화된 상기 전자문서가 출력되는 화면 또는 상기 작성자로부터 입력받는 데이터의 기록 중 적어도 하나가 매칭되도록, 상기 문서작성기록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조절하고,
    상기 문서인증시스템은,
    상기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작성자기록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공인전자문서에 포함된 전자문서를 확인하는 검증부를 더 포함하는, 문서인증시스템.
KR1020140022919A 2014-02-26 2014-02-26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58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19A KR101589604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919A KR101589604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34A KR20150101334A (ko) 2015-09-03
KR101589604B1 true KR101589604B1 (ko) 2016-01-28

Family

ID=54242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919A KR101589604B1 (ko) 2014-02-26 2014-02-26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96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329B1 (ko) * 2022-03-25 2022-12-07 (주)사이버라인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20828A1 (de) * 2020-01-29 2021-07-29 Eto Magnetic Gmbh Verfahren zu einer Zuordnung eines Urhebers einer digitalen Mediendatei und/oder zu einer Distribution der digitalen Mediendatei, Aufnahmegerät und Anzeigegerä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580A (ja) 2010-10-12 2011-02-17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2697A (ko) * 2000-06-12 2001-12-21 한장섭 온라인 인증시험 답안 실시간 전송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34580A (ja) 2010-10-12 2011-02-17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及び個人認証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329B1 (ko) * 2022-03-25 2022-12-07 (주)사이버라인 전자연구노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334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98706B2 (en) Method for generating an electronic signature
US10348726B2 (en) Online identity verification platform and process
US96791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 electronic signature on a first device and incorporating the signature into a document on a second device
US9432368B1 (en) Document distribution and interaction
US2018029377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sharing, and performing augmented reality
US20170250820A1 (en) Electronic document notarization
WO2019075840A1 (zh) 身份验证方法、装置、存储介质和计算机设备
AU2013379774A1 (en) Tax document imaging and processing
US11838475B2 (en) Secure document certification and execution system
CN111542824A (zh) 用于自动化在线公证会议恢复的系统及方法
US10339334B2 (en) Augmented reality captcha
AU201821708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notary meeting interactions between multiple software clients
JP6663455B2 (ja) サインの記録方法、及びサインの記録装置
KR101589604B1 (ko) 전자문서의 진위 여부와 작성자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2021001950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ng a user signing an electronic document
US10970548B1 (en) Virtual assistant of safe locker
US20220408165A1 (en) Interactive broadcast media content provider with direct audience interaction
TWM471107U (zh) 電子簽章系統
US10447691B2 (en) Method for generating an authenticating document
US20190208406A1 (en) Document signing platform capable of capturing substantiating event data
RU2792876C1 (ru) Способ привязки цифрового представления фактического события к реальному времени его наступления
US20240187539A1 (en) Secure Document Certification and Execution System
US11582044B2 (en) Systems and methods to timestamp and authenticate digital documents using a secure ledger
US2023035653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oken authentication
US20230409754A1 (en) Method for certifying the authenticity of digital files generated by a communic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