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987B1 - 서비스 링크 확립 - Google Patents

서비스 링크 확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987B1
KR101588987B1 KR1020147012560A KR20147012560A KR101588987B1 KR 101588987 B1 KR101588987 B1 KR 101588987B1 KR 1020147012560 A KR1020147012560 A KR 1020147012560A KR 20147012560 A KR20147012560 A KR 20147012560A KR 101588987 B1 KR101588987 B1 KR 101588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equipment
data traffic
service link
access node
network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142A (ko
Inventor
니콜라 퍼들
그라함 알. 브렌드
신 홍 웡
Original Assignee
알까뗄 루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까뗄 루슨트 filed Critical 알까뗄 루슨트
Publication of KR20140088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04W76/16Involving different core network technologies, e.g. a packet-switched [PS] bearer in combination with a circuit-switched [CS] bear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의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이 방법은,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1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추가의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제2 서비스 링크상에서의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성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고 있다면,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사용자 장비가 제2 서비스 링크가 성공적으로 확립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허용하여, 그로 인해 불필요한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제2 서비스 링크가 제1 서비스 링크를 끌어내릴(pull down)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기회를 제공하게 한다.

Description

서비스 링크 확립{SERVICE LINK ESTABLISHMENT}
본 발명은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wireless telecommunication network)에서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 해당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 및 해당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관한 것이다.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들이 알려져 있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무선 커버리지가, 셀들로 알려진 지역들에서 예를 들어 이동 전화들인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된다. 기지국은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셀에 위치된다. 각각의 셀에서의 사용자 장비는 기지국으로부터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고, 정보 및 데이터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기지국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게 전송되는 정보 및 데이터는 다운링크 캐리어들로 알려진 무선 캐리어들의 채널들상에서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에 의해 기지국에게 전송되는 정보 및 데이터는 업링크 캐리어들로 알려진 무선 캐리어들의 데이터 채널들상에서 발생한다.
스마트폰들의 광범위한 인기는 공지된 원격 통신 네트워크들에서 전달되는 데이터 트래픽 프로파일들에 대한 상당한 변화를 야기하였다. 사용자 장비의 데이터 트래픽 프로파일은 데이터 전송들에 관련하여 더욱 심하게 부하가 걸리고 있다. 음성 호들(voice calls)이 아니라 데이터 호들(data calls)의 증가된 수는 전반적인 사용자 장비의 동작에서의 변화로 이어졌다. 음성 호 전송들에 대해 의도된 네트워크에 대해 주로 설계된 전통적 전송 모드 방법들은 전반적으로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영을 지원하지 못할 수 있고, 전형적 데이터 트래픽 프로파일에 대한 그러한 변화에 부적절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서비스 링크들을 확립하기 위한 향상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양태는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의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이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1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추가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제2 서비스 링크상에서의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성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무선 상태(radio condition)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고 있다면,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무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의 달라지는 유형들을 지원하는 호들(calls) 또는 서비스 링크들을 확립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들은 회선 교환(CS) 및 패킷 교환(PS) 호들 모두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CS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RAB들)은 전형적으로 음성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음성 호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립되고 PS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RAB들)은 전형적으로 데이터의 전송;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사진 업로딩 및 유사한 것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확립된다.
전형적 UMTS 사용자 장비(UE)는 CS RAB들 및 PS RAB들 모두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그 결과, 사용자 장비는 종단 사용자에게 폭넓은 범위의 기능이 풍부한(feature-rich)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UMTS 네트워크는 또한 특정 셀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와의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연결들 모두를 확립하는 능력을 지원한다.
네트워크가 기존의 회선 교환 RAB에 더하여 패킷 교환 RAB를 수용하라는 요청을 수용하는 경우들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몇몇의 경우에, 이런 구성은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RAB들 모두에 대한 장애, 및 그러므로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의 전체적 손실 및 패킷 교환 및 회선 교환 호의 손실 또는 단절(dropping)로 이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단절된 호 시나리오들은 UMTS 네트워크 셀에 소속된 사용자 장비가 나쁜 무선 주파수 전송 상태들을 경험하는 지역에 있을 때 전형적으로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와의 서비스 링크로서 추가 패킷 교환 RAB를 지원하는 것은 더 높은 신호 품질(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을 전형적으로 요구하고, 그러므로 더 많은 리소스(예를 들어, 전송 전력)를 요구할 수 있다. 나쁜 RF 상태들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업링크에서의 가용 전송 전력의 부족 및/또는 나쁜 다운링크 수신으로 인해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에 의해 강력히 요구되는(demanded) 더 높은 신호 품질 요구를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로의 모든 연결들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상황은 전형적으로 나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서비스들이라는 결과를 낳고, 최악의 경우에 호 단절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가용 업링크 전송 전력의 부족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자 장비로부터 더 높은 전송 전력을 강하게 요구하는 것은, 셀 내의 기타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간섭을 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네트워킹 동작에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사용자 장비에서 회선 교환 RAB 서비스 링크로의 연결에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를 더하는 것은 나쁜 RF 상태들 때문에,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검출되는 오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었다. 그 결과, 네트워크,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RNC는, 오류율이 사용자 장비의 릴리스를 정당화할 정도로 충분히 높음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그 후에 사용자 장비가 네트워크에 그 자신이 다시 속하도록 해야만 하여서 모든 연결을 손실하게 된다. 해당 재연결은 해당 사용자 장비에게 더 좋은 RF 상태를 제공하는 또 다른 셀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이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다. 그 결과,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고 보호하기 위해 또한 이것이 기존 회선 교환 연결을 가지며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특히 이것이 단절되는 회선 교환 링크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경우들에서, 패킷 교환 연결을 더하는 시나리오들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해결 방법을 구현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기존 회선 교환 연결에 패킷 교환 연결을 더하라는 요청을 무시하거나 또는 패킷 교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페이징 요구를 무시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연결의 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트리거링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가 회선 교환 연결의 확립을 요청하면 기존의 패킷 교환 연결을 단절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조금이라도 가능하다면 서비스를 회선 교환 연결에게 제공한다.
그와 같은 예들 및 추가적 예들은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순한 것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의 상당한 추가적 작업 소요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해당 추가적 시그널링은, 그것이 회선 교환이든 패킷 교환이든 간에, 네트워크가 그것을 거절했을지라도,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임의의 요청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도록 전형적으로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추가로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기술된 양태들은 사용자 장비와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할 때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또한 동시에 그러한 작용의 영향이 해로운 효과를 줄 가능성이 낮으면 패킷 교환 또는 그 외의 비슷한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청하는 능력을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제1 양태는 제2 서비스 링크(예를 들어, PS RAB, CS RAB 또는 LTE/4G 시스템 아키텍처의 등가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청할지에 대한 결정을 내릴 때 특정한 "RF 문턱값" 또는 "문턱값들"을 구현하는 사용자 장비의 능력을 도입함으로써 불필요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감소시키고, 그것과의 제2 서비스 링크가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링크는 제1 서비스 링크가 전형적으로 성공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에 요구하는 것보다 더 큰 전송 전력을 추가 데이터 트래픽을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데에 전형적으로 요구한다. 따라서, 제1 서비스 링크는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기 위한 어떤 시도도 없다면 동작 가능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고, 상이한 운용 요구 사항들이 이뤄지도록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2 서비스 링크가 제1 서비스 링크보다 더 큰 전송 전력을 요구하지 않을 수 있는데, 그러나 제1 및 제2 링크들을 유지하려는 조합된 요구가, 제2 링크가 제1 링크보다 적은 리소스를 요구할지라도, 전체 연결이 단절되도록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사용자 장비에서 구현되는 파라미터는 제1 및 제2 서비스 링크들의 조합된 리소스 요구를 감당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트래픽은 제1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추가 데이터 트래픽은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이한 데이터 트래픽 유형들은 각각의 서비스 링크상에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서비스 링크가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하는 동안, 제1 서비스 링크는 음성 호를 전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서비스 링크가 스트리밍된 데이터 또는 웹 브라우징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안, 제1 서비스 링크는 VoIP(Voice over IP) 데이터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유형의 데이터 트래픽의 서비스 요구들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전송 특성들에 따라서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전송 특성들은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과 관련된 QoS(quality of service)의 표시를 포함한다. 따라서, 높은 우선 순위, 또는 높게 요구되는 QoS(Quality of Service) 프로파일을 갖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해, 더 강한 무선 링크에 대한 필요를 나타내는 더 엄격한 파라미터들 또는 문턱값들, 또는 더 양호한 RF 통신 환경을 경험하는 사용자 장비가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서비스 링크들의 우선 순위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경우들에서, 또는 제2 서비스 링크가 제1 서비스 링크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경우들에서, 미리 확립된 서비스 링크의 단절이 네트워크에 파괴적일 수 있기 때문에, 파라미터가 만족되지 않으면 제2 서비스 링크를 거부하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문턱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값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칩 당 에너지/잡음 문턱 값(threshold Energy per Chip/Noise value)의 표시를 포함한다.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만들어진 임의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측정이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로서 성공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비스 링크는 회선 교환 서비스 링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링크는 패킷 교환 서비스 링크를 포함한다. 그와 같은 서비스 링크들은 제1 양태를 UMTS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사용하는 데에 특히 적절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무선 상태 측정들의 열(series)을 평균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따라서, 요동하는 RF 상태 측정들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경험되는 RF 상태의 더 합리적인 묘사를 주기 위해 필터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만족되면,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따라서,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들의 안정성은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 전에 고려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법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지 않고 있다면,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재평가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백오프 기간(back-off period) 동안 무선 상태를 평가하기를 계속하는 단계. 따라서, 사용자 장비는 제2 서비스 링크에 대한 요청을 반복하기 전에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최소화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게다가, 내부 사용자 장비 시그널링 및 측정이 최소화되도록, 사용자 장비에서의 무선 상태의 평가는 주기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양태는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1 양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제3 양태는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와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를 제공하는데, 사용자 장비는 다음을 포함한다: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데이터 트래픽 로직;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1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서비스 링크 확립 로직;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추가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링크 확립 로직;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의 제2 서비스 링크상에서의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성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라미터 로직;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된다면,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평가 로직.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링크는 제1 서비스 링크가 전형적으로 성공적으로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에 요구하는 것보다 더 큰 전송 전력을 추가 데이터 트래픽을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데에 전형적으로 요구한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트래픽은 제1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추가 데이터 트래픽은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전송 특징들에 따라서 결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전송 특징은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과 관련된 QoS(quality of service)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문턱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값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칩 당 에너지/잡음 문턱 값의 표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서비스 링크는 회선 교환 서비스 링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서비스 링크는 패킷 교환 서비스 링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 로직은 무선 상태 측정들의 열을 평균화함으로써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 로직은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도록 동작 가능하고,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만족되고 있다면, 상기 확립 로직은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평가 로직은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고,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지 않고 있다면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재평가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백오프 기간 동안 무선 상태를 평가하기를 계속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이고 양호한 양태들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 및 종속 청구항에 제시된다. 종속 청구항들의 특징들은 적절한 대로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과 그리고 청구항들에 명시적으로 제시된 것들 이외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들이 추가로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지금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통신 네트워크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해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도식적으로 도해하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추가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도식적 표현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10)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식적으로 도해한다. 사용자 장비(50)는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을 통하여 돌아다닌다(roam). 무선 커버리지 지역들(30)을 지원하는 기지국들(20)이 제공된다. 복수의 그와 같은 기지국(20)이 제공되고 사용자 장비(50)에게 넓은 커버리지 지역을 제공하기 위해 지리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가 기지국(30)에 의해 서빙되는 지역 내에 있을 때, 연관된 무선 링크들상에서 사용자 장비와 기지국 간에 통신이 확립될 수 있다. 각각의 기지국은 전형적으로 서비스의 지리적인 영역(30) 내에서 복수의 섹터를 지원한다.
전형적으로, 기지국 내의 상이한 안테나는 각각의 관련된 섹터를 지원한다. 각각의 기지국(20)은 다중 안테나를 갖는다. 도 1은 전형적 통신 시스템에 존재할 수 있는 사용자 장비 및 기지국들의 전체 개수의 작은 부분 집합을 도해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40)에 의해 관리된다. RNC(40)는 백홀 통신 링크(60)상에서 복수의 기지국과 통신함으로써 무선 원격 통신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한다. RNC는 또한 각각의 기지국을 통해 사용자 장비(50)와 통신하고, 따라서 전체 무선 통신 네트워크(10)의 영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한다. 사용자 장비는 업링크 또는 역방향 채널들로 알려진 채널들상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지국들(20)과 통신하고, 기지국(20)은 다운링크 또는 순방향 채널들로 알려진 무선 채널들상에서 데이터 및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장비(50)와 통신한다.
무선 네트워크들은 전형적으로 모바일 사용자가 상이한 유형들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를 지원하는 호들 또는 서비스 링크들을 확립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UMTS 네트워크들은 회선 교환(CS) 및 패킷 교환(PS) 호들 모두에 대한 지원을 제공한다. CS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RAB들)은 음성 애플리케이션들 또는 음성 호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확립되고 PS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RAB들)은 데이터의 전송, 예를 들어, 웹 브라우징, 사진 업로딩 및 유사한 것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해 전형적으로 확립된다.
전형적 UMTS 사용자 장비(UE)는 CS RAB들 및 PS RAB들 모두를 동시에 다룰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그 결과, 사용자 장비는 종단 사용자에게 폭넓은 범위의 기능이 풍부한 애플리케이션들과 서비스들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UMTS 네트워크는 또한 특정 셀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와의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연결들 모두를 확립하기 위한 능력을 지원한다.
네트워크가 기존의 회선 교환 RAB에 더하여 패킷 교환 RAB를 수용하라는 요청을 수용한 경우들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몇몇의 경우에, 이런 구성은 패킷 교환 및 회선 교환 RAB들 모두에 대한 장애, 및 따라서 사용자 장비와의 통신의 전체적 손실 및 패킷 교환 및 회선 교환 호의 손실 또는 단절로 이어질 수 있다. 그와 같은 단절된 호 시나리오들은 UMTS 네트워크 셀에 소속된 사용자 장비가 나쁜 무선 주파수 전송 상태들을 경험하는 지역에 있을 때 전형적으로 발생한다. 사용자 장비와의 서비스 링크로서 추가 패킷 교환 RAB를 지원하는 것은 더 높은 신호 품질(예를 들어, 신호 대 잡음 및 간섭 비)을 전형적으로 요구하고, 그러므로 더 많은 리소스들(예를 들어, 전송 전력)을 요구할 수 있다. 나쁜 RF 상태들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업링크에서의 가용 전송 전력의 부족 및/또는 나쁜 다운링크 수신으로 인해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에 의해 강력히 요구되는 더 높은 신호 품질 요구를 지원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 장비로의 모든 연결들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한 상황은 전형적으로 나쁜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서비스들이라는 결과를 낳고, 최악의 경우에 호 단절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사용자 장비로부터 더 높은 전송 전력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것은, 이것이 셀 내의 기타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간섭을 도입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네트워킹 동작에 유익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사용자 장비에서 회선 교환 RAB 서비스 링크로의 연결에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를 더하는 것은 나쁜 RF 상태들 때문에, 무선 인터페이스상에서 검출되는 오류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 또한 주목되었다. 그 결과, 네트워크,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RNC는, 오류율이 사용자 장비의 릴리스를 정당화할 정도로 충분히 높음을 결정하도록 동작할 수 있고, 그 후에 사용자 장비는 네트워크에 그 자신이 다시 속하도록 해야만 하여서 모든 연결을 손실하게 된다. 해당 재 연결은 해당 사용자 장비에게 더 좋은 RF 상태를 제공하는 또 다른 셀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들이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로 취급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다. 그 결과, 원격 통신 네트워크는 회선 교환 서비스 연결을 시도하고 보호하기 위해 또한 이것이 기존 회선 교환 연결을 가지며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특히 단절되는 회선 교환 링크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경우들에서, 패킷 교환 연결을 더하는 시나리오들을 회피하기 위해, 여러 해결 방법을 구현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기존 회선 교환 연결에 패킷 교환 연결을 더하라는 요청을 거절하거나 또는 패킷 교환 코어 네트워크로부터의 페이징 요구를 무시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연결의 확립을 요청하기 위해 트리거링을 수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사용자 장비가 회선 교환 연결의 확립을 요청하면 기존의 패킷 교환 연결을 단절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조금이라도 가능하다면 서비스를 회선 교환 연결에게 제공한다.
그와 같은 예들 및 추가적 예들은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연결을 확립하는 것을 방지하는 단순한 것을 위해, 네트워크 내에서의 상당한 추가적 작업 소요라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네트워크 내의 해당 추가적 시그널링은 그것이 회선 교환이든 패킷 교환이든 간에, 네트워크가 이것을 거절했을지라도, 연결을 확립하기 위한 임의의 요청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도록 전형적으로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추가로 악화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서 기술된 양태들은 사용자 장비와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할 때 네트워크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또한 동시에 그러한 작용의 영향이 해로운 효과를 줄 가능성이 낮으면 패킷 교환 또는 그 외의 비슷한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청하는 능력을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여기서 기술된 양태들은 기존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에 더하여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의 확립을 요청할지를 결정할 때 사용자 장비가 활용할 수 있는 특정한 "RF 문턱값" 또는 "문턱값"을 네트워크가 브로드캐스팅하는 능력을 도입한다. 사용자 장비가 이들이 자신들의 제어 로직 내에 설정된 미리 정해진 RF 문턱값들을 갖도록 동작할 수 있고, 이는 네트워크에 의한 문턱값의 전송에 반드시 의존할 필요가 없게 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게다가, 하기 실시예들이 회선 교환 및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에 관련하여 기술되지만, 양태들은 하나 이상의 서비스 링크들이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사이에 확립되고, 그런 서비스 링크들이 독립적이지만 상이한 우선 순위들을 가져서 잠재적으로 상이한 전력 및 동작 기준을 갖는 시나리오들에도 동등하게 적용 가능하다.
네트워크가 문턱값을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한 경우에, 문턱값 또는 문턱값들이 기지국에 의해서 지원되는 셀 지역에 걸쳐서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문턱값들이 해당 셀 내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판독되고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네트워크에 의해 전송되거나 사용자 장비에서 구현되는 표시 문턱값들 또는 문턱값은, 사용자 장비가 만약 자신이 이미 기존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 링크를 지원하고 있다면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의 확립을 시도할 수 있기 전에 만족되어야만 하거나 초과되어야만 하는 특정 RF 파라미터들과 관련된 값 또는 값들을 제공한다. 이용되는 RF 파라미터들은 사용자 장비에서 측정할 수 있는 그런 것들이다. RF 파라미터들이 문턱값들로서 네트워크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표시된 값들을 넘어서면, 본 발명의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는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를 확립하라는 요청을 개시하고, 따라서 네트워크가 그러한 요구를 거절할 가능성이 별로 없다는 고도의 신뢰성을 갖는다. RF 파라미터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된 문턱값을 넘어서지 않는다고 사용자 장비에서 결정되면,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 장비는 반복 측정들을 취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실시예들에서 RF 상태들이 호전되면 이것은 이후 패킷 교환 RAB 확립 요청을 개시할 수 있다.
양태들은 네트워크측에서의 요청의 거부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및 사용자 장비 모두에 대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네트워크는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단일 RF 파라미터와 관련되는 하나의 문턱값을 브로드캐스팅하고, 다른 실시예들에 따라 파라미터들의 조합을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네트워크는 특정한 RF 파라미터들에 대한 상이한 문턱값들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파라미터들의 예들은 사용자 장비 수신 신호 품질 및 사용자 장비 전송 전력 헤드룸을 포함한다.
추가 실시예들은 네트워크가 그와 같은 문턱값들과 관련된 타이머 값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허용한다. 해당 타이머 값은 셀 내의 사용자 장비에게 "대기 기간" 또는 "백오프 타이머"를 알릴 수 있다. 해당 타이머는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의 확립을 요청하기 전에 대기 타이머의 값에 의해 정의된 기간 동안 기다려야만 한다는 것을 셀에서 동작하는 사용자 장비에게 표시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RF 상태들은 패킷 교환 RAB가 요청될 수 있기 전에 대기 타이머의 지속 시간 동안 문턱값들을 넘어서서 유지되거나 문턱값을 만족시켜야만 한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타이머 값은,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RAB 확립 요청을 개시할 수 있기 전에, RF 상태들이 안정적인 채로 남아 있어야 하는 기간, 즉 문턱값을 넘는 것을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들에 따라, 해당 대기 타이머는 초기 필드 요청 후에 패킷 교환 RAB의 확립을 요청하기 전에 해당 타이머의 값에 의해 정의된 기간 동안 사용자 장비가 기다려야만 한다고 사용자 장비에게 표시한다.
네트워크 내의 종단 사용자에게 패킷 교환 RAB을 확립하고 지원하는 것의 영향은 그러한 RAB와 관련된 특정 QoS(quality of service)에 기초하여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에게 제공되고 대응하는 특정 QoS(quality of service) 요구를 갖는 특정 유형들의 서비스는 다른 것들보다 더 적은 리소스를 네트워크에게 요구할 수 있다. 그 결과, 그와 같은 서비스 링크들은 그와 같은 RAB상에서의 데이터의 전송 동안 나쁜 RF 상태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들에 대해 더 큰 내성을 전형적으로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기술된 실시예들은 네트워크가 패킷 교환 RAB QoS(quality of service)의 각각의 유형과 관련된 상이한 문턱값들을 브로드캐스팅하게 허용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상이한 데이터 트래픽 유형들에 대한 상이한 문턱값이 상이한 서비스 링크들상에서 지원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와 네트워크, 예를 들어 기지국 또는 RNC 사이에 발생하는 방법 단계들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이다. S1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는 이미 네트워크(20)와의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연결을 확립했다. 1 단계 전에 또는 1 단계에 이어서, 네트워크(20)는 패킷 교환 RAB 연결의 확립에 관련하여 RF 파라미터 문턱값을 사용자 장비(50)에게 브로드캐스팅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해당 브로드캐스팅 단계는 S2 단계로서 도 2에서 도식적으로 보여진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브로드캐스팅에서, 네트워크에 의해 브로드캐스팅된 문턱값은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및/또는 잡음 AC/NO RF 파라미터들 상의 칩당 에너지의 조합에 대한 문턱값을 포함할 수 있다.
S3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50)는 네트워크(20)와의 패킷 교환 RAB 연결 또는 서비스 링크를 확립해야 할 필요를 식별한다. 사용자 장비(50)는 자신이 기존의 회선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 링크에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 링크를 더하기 위한 요청을 트리거링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S2 단계에서 네트워크(20)에 의해 보내지는 파라미터 문턱값을 활용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일단 사용자 장비 제어 로직이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무선 액세스 베어러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것을 식별하면, 사용자 장비(50)는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RF 파라미터들을 반복해서 측정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해당 측정 단계 S4가 발생하고, 사용자 장비가 S5 단계에서 파라미터들이 브로드캐스팅된 문턱값을 넘는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장비는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청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해당 확립은 S6 단계에서 발생한다. 파라미터들이 사용자 장비에서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가 성공적으로 확립될 가능성이 크도록 되기 때문에, 네트워크는 S7 단계에서 사용자 장비(50)에 의해 발행되는 RAB 확립 요청을 수용하고 새로운 패킷 교환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완료하도록 동작할 가능성이 크다.
도 3은 추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에서 수행되는 방법 단계들을 도해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나타난 예에서, 네트워크는 대기 타이머 값과 함께 문턱값을 브로드캐스팅하도록 동작한다. 해당 대기 타이머 값은 사용자 장비에게 사용자 장비가 패킷 교환 RAB 연결을 요청하는 것이 적절한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
일단 사용자 장비가 측정된 RF 파라미터들이 브로드캐스팅된 문턱값을 넘어 상승했다고 결정하면 사용자 장비가 브로드캐스팅된 타이머 값을 이용하여 타이머를 개시하도록 동작 가능하다는 것 외에는, 시그널링 단계들은 도 2의 시그널링 다이어그램에서 도식적으로 도해된 것들과 유사하다. 타이머는 측정된 RF 파라미터들이 문턱값 아래로 떨어지면 중단되고 해당 타이머는 파라미터들이 문턱값을 넘어서 상승하면 재시작한다. 그러한 실시예는 사용자 장비 RF 상태가 그 상에서 안정적인 채로 남아 있도록 요청되는 시간 히스테리시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장비가 짧은 시간 기간들에 걸친 스파이크(spike)들이 해소되는 식으로 RF 파라미터들의 몇몇 필터링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일단 타이머가 만료하고 측정된 RF 파라미터들이 미리 정해진 시간 기간 동안 미리 설정된 문턱값을 넘은 채로 남아 있다면, 사용자 장비는 패킷 교환 RAB 서비스 링크 확립 요청을 트리거링하고 전송하도록 동작 가능하다. 양태들은 사용자 장비가 나쁜 RF 상태들을 경험하고 있는 경우에 패킷 교환 RAB가 회선 교환 RAB에 더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호 단절들의 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게다가, 양태들은 불필요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의 감축을 허용한다.
당업자는 전술한 여러 방법의 단계들이 프로그래밍된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쉽게 인식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몇몇 실시예는 또한 기계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하고 기계 실행가능하거나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 프로그램을 인코딩하는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며, 여기서 상기 명령어는 전술한 상기 방법들의 단계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한다. 프로그램 저장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디지털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저장 매체, 하드 드라이브, 또는 광학적으로 판독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또한 상기 전술한 방법들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된 컴퓨터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프로세서" 또는" 로직"으로 표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포함하여, 도면에 도시된 여러 구성 요소들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연계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단일의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단일의 공유 프로세서에 의해, 또는 그 중 몇몇은 공유될 수 있는 복수의 개별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 또는 "제어기" 또는 "로직"이라는 용어의 명시적인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 하드웨어만을 말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되고, 묵시적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SP) 하드웨어, 네트워크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소프트웨어를 저장하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및 비휘발성 저장 장치(이들로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및/또는 관습적인 다른 하드웨어가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들에 도시된 임의의 스위치들은 개념상의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들의 기능은 프로그램 로직의 동작을 통해, 전용 로직을 통해, 프로그램 제어와 전용 로직의 상호작용을 통해, 또는 심지어 수동으로도 수행될 수 있으며, 문맥으로부터 더 구체적으로 이해되듯이 구현자에 의해 특정 기술이 선택가능하다.
당업자들은 여기서의 임의의 블록도가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는 예시적인 회로망의 개념도를 나타냄을 알 것이다. 마찬가지로, 임의의 플로우차트, 흐름도, 상태 천이도, 의사 코드(pseudo code) 등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표현되어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그러한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는지의 여부에는 상관없음) 여러 프로세스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것이다.
설명 및 도면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여기에 명시적으로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더라도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여러 구성을 생각해 낼 수 있음을 알 것이다. 또한, 여기에 기재된 모든 예시들은 주로 명백하게도, 독자가 본 발명의 원리 및 본 기술분야를 발전시키는 데에 본 발명자(들)가 기여한 개념을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주기 위한 교시의 목적으로만 의도되었으며, 그러한 구체적으로 기재된 예시들 및 조건들에만 한정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양태 및 실시예들을 기재한 모든 진술 뿐만 아니라 이들의 구체적인 예들은 이들의 균등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Claims (14)

  1.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wireless telecommunications network)(10)의 사용자 장비(50)와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50)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에서 보내질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회선 교환형의 제1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 사이에서 보내질,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추가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셀 지역에 걸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문턱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50)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의 상기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상에서의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성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무선 상태(radio condition)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S1);
    상기 사용자 장비(50)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S4); 및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고 있다면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비스 링크는 상기 제1 서비스 링크가 성공적으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에 통상적으로 요구하는 것보다 더 큰 전송 전력을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을 성공적으로 전송하는 데에 통상적으로 요구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트래픽은 제1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은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상기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전송 특성들에 따라서 결정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의 상기 전송 특성들은 상기 제2 데이터 트래픽 유형과 관련된 QoS(quality of service)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문턱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값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는 칩 당 에너지/잡음 문턱 값의 표시를 포함하는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50)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는 무선 상태 측정들의 열(series)을 평균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 장비(50)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상기 미리 정해진 안정성 시간 기간의 지속 시간 동안 만족되고 있다면,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상기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50)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는 단계(S4); 및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지 않고 있다면, 상기 사용자 장비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재평가하기 전에 미리 정해진 백오프 기간(back-off period) 동안 상기 무선 상태를 평가하기를 계속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11. 컴퓨터상에서 실행될 때,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12. 무선 원격 통신 네트워크(10)에서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와의 복수의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한 사용자 장비(50)로서,
    상기 사용자 장비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에서 보내질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데이터 트래픽 로직;
    상기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회선 교환형의 제1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한 제1 서비스 링크 확립 로직;
    상기 사용자 장비(50)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에서 보내질,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의 확립을 요구하는 추가 데이터 트래픽이 있음을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링크 확립 로직;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에 의해 지원되는 셀 지역에 걸쳐서 브로드캐스팅되는 문턱값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장비(50)와 상기 네트워크 액세스 노드(20) 사이의 상기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상에서의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성공적 통신에 요구되는 무선 상태를 나타내는 미리 설정된 무선 상태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파라미터 로직;
    상기 사용자 장비(50)에서 경험되는 무선 상태를 평가하고, 상기 무선 상태 파라미터가 만족되고 있다면 상기 추가 데이터 트래픽의 통신을 위한 패킷 교환형의 제2 서비스 링크를 확립하도록 동작 가능한 평가 로직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13. 삭제
  14. 삭제
KR1020147012560A 2011-11-10 2012-11-05 서비스 링크 확립 KR1015889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1360049.8 2011-11-10
EP11360049.8A EP2592864A1 (en) 2011-11-10 2011-11-10 Service link establishment
PCT/EP2012/004606 WO2013068094A1 (en) 2011-11-10 2012-11-05 Service link establish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142A KR20140088142A (ko) 2014-07-09
KR101588987B1 true KR101588987B1 (ko) 2016-01-26

Family

ID=47148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560A KR101588987B1 (ko) 2011-11-10 2012-11-05 서비스 링크 확립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40321411A1 (ko)
EP (1) EP2592864A1 (ko)
JP (1) JP5911588B2 (ko)
KR (1) KR101588987B1 (ko)
CN (1) CN103918342A (ko)
BR (1) BR112014011175B8 (ko)
IN (1) IN2014CN03355A (ko)
WO (1) WO2013068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168B1 (ko) * 2015-05-08 2022-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차량 서비스를 위한 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190281492A1 (en) * 2016-11-29 2019-09-12 Ipcom Gmbh & Co. Kg OPPORTUNISITC QoS IMPLEMENT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1205A1 (en) 2007-01-26 2008-07-31 Maria Rg Azad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andoffs between packet switched and circuit switched domains
US20100074109A1 (en) 2008-09-19 2010-03-25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nd mobile device initiated quality of ser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19103A1 (en) * 1999-09-03 2001-03-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overlaying packet-switched data services on a wireless network
KR20020062783A (ko) * 2000-06-26 2002-07-31 파일드 가부시키가이샤 아이론 프레스 커버를 장착한 헤어 아이론
US7266110B1 (en) * 2000-07-20 2007-09-04 Lucent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hybrid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JP4243801B2 (ja) * 2002-10-10 2009-03-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通信リンクの確立を行う無線通信端末、その方法、その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391749B2 (en) * 2002-10-10 2008-06-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apable of establishing both synchronous or asynchronous communication links depending on signal quality
GB0407140D0 (en) * 2004-03-30 2004-05-05 Nokia Corp Delivering servic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0664208B1 (ko) * 2005-08-25 2007-0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계층적 셀 구조의 네트워크에서의 셀 재선택 방법
SE529444C2 (sv) * 2005-12-02 2007-08-1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Rör och användning av röret
KR101469291B1 (ko) * 2006-05-05 2014-12-09 광동 누프론트 컴퓨터 시스템 칩 컴퍼니 리미티드 Lte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무선 링크 고장 검출 프로시져 및 그 장치
WO2008022069A1 (en) * 2006-08-15 2008-02-21 Alcatel Lucent Switching between circuit-switched and packet switched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1205A1 (en) 2007-01-26 2008-07-31 Maria Rg Azada Metho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handoffs between packet switched and circuit switched domains
US20100074109A1 (en) 2008-09-19 2010-03-25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nd mobile device initiated quality of ser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142A (ko) 2014-07-09
IN2014CN03355A (ko) 2015-07-03
CN103918342A (zh) 2014-07-09
JP2015505425A (ja) 2015-02-19
BR112014011175B8 (pt) 2022-08-16
JP5911588B2 (ja) 2016-04-27
US20140321411A1 (en) 2014-10-30
BR112014011175B1 (pt) 2022-08-02
WO2013068094A1 (en) 2013-05-16
BR112014011175A2 (pt) 2017-06-13
EP2592864A1 (en) 2013-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2079B2 (en) Network selec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US912510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measurement repor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06448B2 (en) Selective dual network mode for LTE devices
KR101579021B1 (ko) 다중 캐리어 다중 무선 액세스 기술 네트워크에서의 채널 선택
US8873665B2 (en)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receiving data
US2018033265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60935B2 (en) Selection of RRC configu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network state
US8422506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load balancing management
CA2771844C (en) Access procedure for call re-establishment
US20100087197A1 (en) User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method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2130401A1 (en) Reducing access latency while protecting against control signaling data processing overload
JP5930442B2 (ja) マルチモード無線通信システム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制御サーバ、及び端末
WO2006137779A1 (en) Terminal mobility measure at connection setup
JP7442571B2 (ja) 通信制御方法
US20170195949A1 (en) Radio terminal
KR101588987B1 (ko) 서비스 링크 확립
CN113891406B (zh) 多频网络中的小区切换方法及装置
KR20240004204A (ko) 사이드링크 자원 선택을 위한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