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024B1 - 기능성 족교정구 - Google Patents

기능성 족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024B1
KR101588024B1 KR1020140065257A KR20140065257A KR101588024B1 KR 101588024 B1 KR101588024 B1 KR 101588024B1 KR 1020140065257 A KR1020140065257 A KR 1020140065257A KR 20140065257 A KR20140065257 A KR 20140065257A KR 101588024 B1 KR101588024 B1 KR 101588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storage container
foot
lid portion
funct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5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7420A (ko
Inventor
이재원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5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024B1/ko
Publication of KR20150137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7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14Special medical insertions for shoes for flat-feet, club-feet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궁의 기형에서 비롯되는 착용자의 신체적 결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신발 내부의 악취 해소, 발의 피부 및 혈류의 건강 향상을 위한 피부자극파 발생이 가능하도록, 저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한쪽에서 함몰된 형태의 수납콘테이너가 구비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입구 개폐를 위한 관통공을 갖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납콘테이너에 소정의 기능성 및 IT 디바이스 등의 삽입물을 내장시킬 수 있고, 신발 속 발의 습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공기블로워를 함께 사용할 수 있으며, 실내에서도 맨발 또는 양말 하에 착용 가능하도록 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기능성 족교정구{Functional Orthotic of Foot}
본 발명은 기능성 족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평발(flat arch foot)이나 까치발(high arch foot)과 같은 족궁(foot arch)의 기형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은 물론, 신발 내부의 악취를 해소하며, 무좀균 등에 대비하여 신발 속 습기제거를 위한 공기순환이 가능한 기능성 족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족궁(foot arch)은 도 1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횡궁(A-B)과 내측 종궁(A-C) 및 외측 종궁(B-C)으로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체중을 떠받치고 신체의 균형을 유지하며 충격을 흡수하는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일반인의 약 70% 정도는 족궁의 기형으로 인한 발의 통증이나 피로감 등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대표적인 족궁의 기형 형태라 할 수 있는 평발 또는 까치발의 경우, 각각 전체 인구의 약 20%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족궁과 같은 발 모양이 변형되면, 직립 보행에 관여된 다리나 척추는 물론, 목과 같은 신체부위의 관절의 경우 균형을 잃게 되고, 그 결과 몸 전체의 건강 즉, 근골격계와 더불어 신경계나 호흡계, 내분비계, 피부 등에 이르기까지 악영향을 미쳐 각종 질병 및 질환의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기형적인 족궁으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족교정구(foot orthotics)에 대한 기술들이 다양한 형태로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족교정구는 족궁의 기형 정도를 수정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족궁지지부와, 발의 좌우 옆 및 뒤꿈치를 감싸는 테두리부로 구성되는 데, 그 예로는, 미국등록특허 제 4,686,994 호나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6-0107102 호를 들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 2006-0107102 호에 의하면, 본체와 충격흡수를 위한 부재의 사출을 두 단계로 나누어 실시하는 이중사출방식을 적용하여 상이한 재질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함으로써, 충격흡수기능이 부가된 발교정구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족교정구 및 그 제조방법은, 금형 및 사출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개별 맞춤을 위해서는 족교정구의 일부를 제거하거나 덧대기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분진의 발생 및 화학물질 사용 등에 의하여 작업환경이 쾌적하지 못한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 주문자의 족궁에 맞는 족교정구 베이스를 선택하고 족교정구 베이스를 후가공하기 위해서는 전문 가공 기술을 가진 기술자가 필요하게 되고, 그에 따른 인건비 부담이 늘어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이 어렵다.
한편, 종래의 족교정구는 외부 형상에 있어서 후가공에 의해 개별 맞춤 된 3차원 형상의 족교정구의 제조가 가능하다 할지라도, 대부분의 내부 구성이 개인의 몸무게나 걷는 습관에 따른 하중, 발에서 나는 땀으로 인한 악취 등을 고려하지 않게 되어 고객만족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 족교정구의 경우, 보행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땀으로 인한 악취를 해소할만한 특별한 방안을 강구한 형태를 찾아볼 수 없다.
나아가, 족궁의 형태가 비정상적인 보행자들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동일한 운동량이라 하더라도 현저하게 많은 양의 땀을 배출하게 되므로 평상시 신발 속의 습기로 인한 무좀균의 해를 상대적으로 더 많이 받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다.
아울러, 족궁의 형태 교정 및 보완을 목적으로 하는 족교정구와는 달리 시중에는 신발의 쿠션을 개선하여 기능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제조된 각종 신발용 깔창이 유통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106,673 호와 같이 황토나 녹차, 게르마늄 및 목초액이나 숯가루, 피톤치드, 레몬액 등 각종 방향제 성분을 첨가하여 음이온 방출 및 땀으로 인한 악취제거가 가능한 기능성 신발 깔창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품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그 기능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능성이 떨어질 때마다 매번 새로운 깔창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미국등록특허 제 4,686,994 호 한국공개특허 제 2006-0107102 호 한국등록특허 제1,106,673 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평발이나 까치발과 같은 족궁의 기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신발 내부의 악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된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하나의 목적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착용 시에 신발 안의 냄새 탈취를 위한 흡착제, 방향제 등을 장착하거나 발의 피부를 자극하는 치료용 전자파발생장치나 만보계 또는, 균형 측정이 가능한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및 가속도 센서 등을 장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에서 나는 땀으로 인한 습기로 무좀균 등의 서식환경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통기성이 향상된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보행 중 수납콘테이너 입구 개폐를 위한 덮개부와 같은 기술구성의 탈락 또는 탈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면서 동시에 제조공정의 단순화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의 목적은 착용자의 발에서 나는 땀으로 인한 습기로 무좀균 등의 서식환경을 억제할 수 있도록 통기성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신발 내부의 악취를 상시적으로 해소할 수 있도록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속에 내용물을 배치할 수 있고, 상기 내용물이 방향제, 제습제 등인 경우에 상기 수납콘테이너 내부와의 사이에서 통기성이 좋도록 하고, 교체시기를 보고 확인 및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는 저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한쪽에서 함몰된 형태의 수납콘테이너가 구비되고, 주문자의 몸무게나 보행 시 하중의 분포 또는 족궁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에 배치되는 내용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와 상기 몸통부 저면 밑바닥 사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족교정구는 상기 몸통부와 덮개부의 체결 및 몸통부의 탄성 굽힘 변형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된 돌기, 그리고 상기 돌기가 삽입되는 그루브(groove)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쐐기형 또는 원형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 저면과 신발 깔창과의 사이 유선형의 빈공간에 공기블로워(air blower)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블로워는 표면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일종의 주머니 형태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내외로 관통된 복수의 공기채널이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족교정구는 상기 공기블로워와 상기 몸통부의 저면 간에는 상기 공기블로워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행 시의 하중 변화에 따른 통풍기능 연계를 위한 링크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공기블로워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끈 및 상기 몸통부의 저면 밑바닥 내에 구비된 매립형 고리 등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억지끼움식 체결수단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손가락을 끼워 덮개부의 형태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통부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슬롯(slot)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롯에는 상기 몸통부를 사용자의 발에 결속할 때 사용하는 밴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속 내용물 확인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더 구비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보통 고분자소재를 적용하여 이루어지는데, 몸통부 및 덮개부는 3D 프린터를 이용, 족문 등을 통한 개별 맞춤화를 통하여 평발이나 까치발 또는 족문의 특징을 통하여 추정이 가능한 족궁의 기형으로 인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기술효과를 얻는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착용자의 몸무게는 물론, 걸을 때의 하중 분포나 보행 자세에 따른 족궁의 형태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족궁 교정이나 보완 및 지지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수납콘테이너와 덮개부 내에 소정 형태의 방향이나 냄새흡착, 습기흡착, 피부자극파(예:원적외선, 치료용 전자기파, 음이온 등) 방출, 항균 등의 기능성 제품을 삽입,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착용자의 발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을 해소 또는 경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행 수를 측정하는 만보계, 발 부위의 균형 측정이 가능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온도 및 습도계와 같은 제품 등의 무선통신 및 제어가능한 IT 디바이스를 삽입하여 이들의 측정치를 스마트 폰의 앱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관리 및 치료 효율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몸통부의 저면 밑바닥과 신발 깔창 사이의 빈공간 부위에 소정의 공기블로워를 더 구비하여 착용자의 발에서는 나는 땀과 같은 습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신발 속 무좀균 등의 서식환경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체결수단이나 링크수단을 제공하여 보행 중 덮개부나 공기블로워와 같은 해당 구성품이 몸통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사전에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의하면, 수납콘테이너와 덮개부, 공기블로워 및 체결수단과 같은 기술구성으로부터 탈취나 피부자극파 발생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하는 것 이외에도, 기존의 사출금형 방식에서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단점을 3D 프린터 기술을 도입하여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도모하는 것은 물론, 그에 따른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등의 기술적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인체의 족궁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를 분해 상태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a의 A-A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a의 B-B에 대한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의 덮개부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의 덮개부가 결합 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의 기술구성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는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콘테이너(11)가 구비된 몸통부(10)와, 상기 수납콘테이너(11)의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부(20)를 포함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 및 덮개부(20)는 고분자 탄성 재료를 이용하여 3D 프린터로 제작하는 것이 제품의 성능 및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몸통부(10)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주문자의 개별 맞춤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주문자의 몸무게나 보행 시 하중의 분포 또는 족궁의 형태 변화에 적합한 개별 맞춤효과를 높임으로써, 족궁의 교정 및 보완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의 경우,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몸통부(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몸통부(10)의 내측으로 함몰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으로부터 안쪽으로 함몰된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수납콘테이너(11)는 방향(芳香), 냄새 및 습기제거 또는, 피부자극파(예:원적외선, 치료용 전자기파, 음이온 등) 방출과 같은 기능성 제품을 삽입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수납콘테이너(11) 내에는 보행 수를 측정하는 만보계, 발 부위의 균형 측정이 가능한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나 온도 및 습도계와 같은 제품이 추가로 삽입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납콘테이너(11)는 상기 만보계,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나 온도 및 습도계와 같은 삽입 제품들에 대한 무선통신 및 제어를 위한 소정의 IT 디바이스를 더 구비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 또한 가능할 것이다.
상기 IT 디바이스의 경우, 스마트 폰의 앱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한다면, 상기 만보계나 자이로스코프 센서 및 가속도 센서나 온도 및 습도계와 같은 삽입 제품들의 측정치를 스마트 폰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건강관리 효율을 높이는 등의 기술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에서처럼 사용자의 발바닥과 직접적으로 맞닿는 상기 몸통부(1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의 상기 수납콘테이너(11)는, 도 2 내지 도 4 및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몸통부(10)의 저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에 비해 상기 덮개부(20)의 체결상태나 상기 수납콘테이너(11)의 내부 상황 확인 등을 위해 상기 몸통부(10)를 뒤집어야 할 필요가 없는 등의 기술효과를 도모한다.
이외에도, 상기 몸통부(10)의 상면으로부터 함몰된 형태의 상기 수납콘테이너(11)는 상기 수납콘테이너(11) 내에 수납되는 물품이 상기 피부자극파인 경우에는 상기 피부자극파가 사용자의 발바닥으로 직접 전파할 수 있게 되므로 전파 효과를 높이는 등의 기술효과까지 도모하게 된다.
상기 수납콘테이너(11)는 그 깊이보다는 넓이가 상기 몸통부(10) 내에서 가급적 넓게 함몰되게 형성하는 것이 좋다.
특히, 상기 몸통부(10) 전반의 형상이 유선형임을 감안해 볼 때, 상기 덮개부(20) 및 상기 수납콘테이너(11)를 하나의 단일체로 구성하는 보다는 상기 몸통부(10)를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영역별로 구획한 복수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상기 덮개부(20)의 커버 효율을 높이는 데 유리하다.
이때, 빈공간 형태의 상기 수납콘테이너(11)로 인한 상기 몸통부(10)의 보행 시 굽힘 강도의 취약함을 보완할 수 있도록 영역별 구획을 위한 격벽 간에는 일정 두께를 설정하여 상기 몸통부(10) 전반의 구조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8에서처럼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 및 그에 대응하는 상기 덮개부(20)를 각각 적어도 두 개인 복수로 구비하는 경우, 복수의 상기 덮개부(20)로 각각의 상기 수납콘테이너(11)를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단일체로 전체를 덮도록 실시하는 형태에 비해 보행 중 상기 몸통부(10)의 굽힘 변형으로부터 체결상태를 더 견고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몸통부(1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착용 시 사용자의 발바닥 볼을 감싸는,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 각각 장공형의 슬롯(12)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제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롯(12)에는 착용을 위한 밴드(13)를 끼워 넣을 수 있다. 상기 밴드(13)는 사용자가 실내에서 맨발 또는 양말만 착용한 상태에서 별도의 실내화와 같은 신발 없이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교정구를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밴드(13)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족교정구의 실내착용을 위한 일종의 사용자 발목결속구로써, 간편하게는 암수로 형성된 벨크로(velcro)를 적용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 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은 상자형 프레임 또는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소정의 곡률로 휘어진 유선형의 판재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통부(10)를 맞춤 설계할 때, 그 크기 및 형상이 상기 수납콘테이너와 상호 대응되게 함께 설계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통부(10)와 덮개부(20) 간에는 소정의 체결수단(30)이 구비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0)은 상기 덮개부(20)에 일체로 구비되는 소정 형태의 돌기(31)와, 상기 돌기(31)의 형상에 대응되게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에 형성되는 홈 형태의 그루브(32)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31) 및 그루브(32)는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은 쐐기(wedge)형이나 도 5 내지 도 6에서와 같은 원형 단면 형태 등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30)은 착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른 상기 몸통부(10)의 굽힘 변형에 의해 상기 덮개부(20)의 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쐐기형 돌기(31)와, 그에 대응하는 홈 형태의 그루브(32)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31) 및 그루브(32)가 쐐기형으로 구비될 경우, 쐐기형으로 돌출 또는 함몰되는 형상의 일면은 한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으로 구성하고, 반대쪽의 다른 한 면은 돌출 또는 함몰이 시작되는 베이스 면으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평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돌기(31)의 경사면은 상기 그루브(32)와의 체결을 위한 삽입 시 상기 수납콘테이너(11)의 벽면과 맞닿은 삽입 방향을 따라 미끄럼 마찰을 하면서 탄성 변형이 유연하게 유발될 수 있는 방향으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쐐기형 상기 돌기(31)의 다른 한 면을 이루는 수평면은, 삽입 도중에 유발된 상기 돌기(31)의 탄성 변형이 삽입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어느 정도 또는 완전히 복원되고 나면, 보행 동작에 의해 유발되는 상기 몸통부(10)의 굽힘 변형 등에 의해 상기 돌기(31)가 상기 그루브(32)로부터 임의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도모하게 된다.
즉, 쐐기형의 상기 돌기(31) 및 그루브(32)는 사용자가 임의의 힘을 가해 상기 덮개부(20)를 분리하지 않는 이상, 상기 수납콘테이너(11)의 입구로부터 상기 덮개부(20)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체결수단(30)이 구비되지 않은 쪽의 면단(이하에서는 "전단 및 후단"이나 "전후단"으로 칭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탈거를 위한 소정 형태의 홈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탈거를 위한 상기 홈은 각각 사용자가 손가락 끝 등을 끼워 강제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덮개부(20)를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로부터 어느 정도 쉽게 해체하는 것이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덮개부(20)의 조립 및 해체로부터 본 발명의 기능성 족교정구는 방향제와 같은 별도의 제품을 언제든지 상기 수납콘테이너(11) 안에 삽입, 교체 그리고 탈거가 자유로운 형태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상기 덮개부(20)가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 속으로 삽입, 장착되는 경우에는, 상기 몸통부(10)의 바닥면을 감싸는 가상의 곡면 밖으로 상기 덮개부(20)가 돌출하지 않게 된다.
이것은 보행 동작에 따른 상기 몸통부(10)의 굽힘 변형이 아무리 심하더라도 신발 속 깔창 바닥과 상기 덮개부(20) 간의 간섭이나 충돌이 방지되므로 아무런 장애를 일으키지 않는 기술효과를 도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통공(21)이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 가능하다.
상기 관통공(21)은 상기 몸통부(10)의 수납콘테이너(11) 속 내용물의 크기나 존재 유무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은 물론, 상기 피부자극파가 사용자의 발바닥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관통된 구멍의 형태나 크기, 개수 등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통부(10)는 도 2a에서 도시한 것처럼 저면 밑바닥과 신발 깔창 사이의 빈공간 부위에 공기블로워(40)가 더 구비된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의 상기 몸통부(10)는 초승달 모양의 유선형태로써, 사용자의 체중이 가해지기 전에는 신발 속 깔창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떨어진 공간을 형성하고,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라 유선형의 상기 몸통부(10)는 탄성 변형에 따른 압축 및 복원을 반복하게 된다.
상기 공기블로워(40)는 이러한 상기 몸통부(10)의 압축 및 복원 공간을 이용, 신발 속 공기의 순환을 강제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소정의 공기주머니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블로워(40)는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내외로 관통된 복수의 공기채널(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블로워(40)는 표면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얇은 막으로 둘러진 주머니 형태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나아가, 상기 공기블로워(40)와 상기 몸통부(10)의 저면 밑바닥 사이에는 소정의 링크수단(50)을 더 구비하여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따른 상기 몸통부(10)의 굽힘 정도에 따라 상기 공기블로워(40)의 신발 속 공기 순환을 위한 블로워 작동이 연계되는 동시에 상기 공기블로워(40)의 배치 상태가 흐트러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공기채널(41)은 신발 속 착용자의 발가락 부위를 향하도록 상기 몸통부(10)와 신발 깔창의 전방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개방 부위에 가깝게 배치시켜 착용자의 발가락 부위 통기성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형태로 실시하는 것이 좋다.
상기 링크수단(50)은 고정끈(51)과 그에 대응되게 형성된 소정의 고리(52) 형태로 실시가능하다.
상기 고정끈(51)은 상기 공기블로워(40)의 피막 표면에 일체로 형성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복수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고리(52)는 상기 몸통부(10)의 저면 밑바닥 부위에 구비하되, 도 3 내지 도 4에서처럼 상기 몸통부(10)의 저면 밑바닥 내측으로 구비된 매립형으로 실시하여 보행 동작 중 신발 속이나 깔창의 윗면 등과의 간섭으로 인한 장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링크수단(50)은 상기 몸통부(10)의 양옆 경사진 면의 특정 부위에 구비된 고리(52)와, 상기 공기블로워(40)의 표면에 부착된 고정끈(51) 형태로도 실시가능하다. 이때, 상기 고정끈(51)은 어느 정도 탄성 변형이 가능한 신축성 소재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고리(52)에 상기 고정끈(51)의 끝 부분이 체결된 상태에서의 보행 시 상기 공기블로워(40)가 변형되어도 상기 고정끈(51)의 적절한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공기블로워(40)의 위치가 제제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기 공기블로워(40)의 경우, 신발 속 공기 특히, 착용자의 발가락 쪽의 습한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습기에 약한 무좀 같은 피부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효과까지 도모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족교정구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변경 또는 변형 가능한 정도 또한 본 발명의 범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몸통부 11 : 수납콘테이너 12 : 슬롯
13 : 밴드 20 : 덮개부 21 : 관통공
30 : 체결수단 31 : 돌기 32 : 그루브
40 : 공기블로워 41 : 공기채널 50 : 링크수단
51 : 고정끈 52 : 고리

Claims (14)

  1. 저면 또는 상면 중 어느 한쪽에서 함몰된 형태의 수납콘테이너가 구비되고, 주문자의 몸무게나 보행 시 하중의 분포 또는 족궁의 형태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상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입구를 개폐하고,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에 배치되는 내용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와 상기 몸통부 저면 밑바닥 사이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덮개부를 포함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 및 덮개부 간에는 상기 몸통부의 탄성 굽힘 변형에 의해 상기 덮개부의 임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덮개부 측면 양쪽에 구비된 돌기;
    상기 돌기의 삽입을 위해 상기 몸통부의 수납콘테이너 내에 구비된 그루브;
    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 및 그루브는 상호 대응되는 절단면이 쐐기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는 저면과 밑바닥의 신발 깔창과의 사이 유선형의 빈공간에 공기블로워가 더 구비되는 기능성 족교정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블로워는 표면이 탄성 재질로 형성된 주머니 형태로, 공기의 유입 및 유출을 위해 내외로 관통된 복수의 공기채널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블로워와 상기 몸통부의 저면 간에는 상기 공기블로워의 이탈을 방지하는 동시에 보행 시의 하중 변화에 따른 통풍기능 연계를 위한 링크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공기블로워의 표면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끈 및 상기 몸통부의 저면 밑바닥 내에 구비된 매립형 고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수단은 상기 몸통부의 저면 양옆에 형성된 고리 및 상기 공기블로워 표면에 부착된 고정끈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리에 상기 고정끈의 끝 부분이 체결되어 보행 시 상기 공기블로워가 변형되어도 상기 고정끈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기 공기블로워의 위치가 제제 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체결수단의 분리를 위해, 전후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손가락을 끼워 상기 덮개부를 탄성 변형시킬 수 있는 홈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의 양쪽 측면 가장자리에는 각각 슬롯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슬롯 상에는 착용을 위한 밴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콘테이너 및 상기 덮개부는 각각 적어도 두 개인 복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콘테이너는 방향(芳香), 냄새 및 습기제거 또는, 피부자극파를 방출하는 기능성 제품 내지는 만보계나 자이로스코프 센서, 가속도 센서나 온도 및 습도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추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족교정구.
  14. 삭제
KR1020140065257A 2014-05-29 2014-05-29 기능성 족교정구 KR101588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57A KR101588024B1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족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5257A KR101588024B1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족교정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20A KR20150137420A (ko) 2015-12-09
KR101588024B1 true KR101588024B1 (ko) 2016-01-25

Family

ID=54873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5257A KR101588024B1 (ko) 2014-05-29 2014-05-29 기능성 족교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0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59B1 (ko) 2017-12-13 2019-08-23 정은상 평발 교정용 운동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13Y1 (ko) 2002-01-21 2002-05-03 이태성 신발중창
KR200384224Y1 (ko) 2005-02-14 2005-05-12 비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200404513Y1 (ko) * 2005-10-11 2005-12-23 (주)케이아이제이 신발용 발 교정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02A (ko) 2005-04-07 2006-10-13 최인선 이중사출을 이용한 발교정구 및 그 가공방법
KR101196835B1 (ko) * 2005-05-13 2012-11-14 (주)스텝스 신발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113Y1 (ko) 2002-01-21 2002-05-03 이태성 신발중창
KR200384224Y1 (ko) 2005-02-14 2005-05-12 비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 발 교정용 신발깔창
KR200404513Y1 (ko) * 2005-10-11 2005-12-23 (주)케이아이제이 신발용 발 교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4559B1 (ko) 2017-12-13 2019-08-23 정은상 평발 교정용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7420A (ko) 2015-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1394A (en) Custom-made footwear
US5787608A (en) Custom-made footwear
US20160021978A1 (en) Self-tailored insole
US9883963B2 (en) Modular orthosis system and kit for the fitting thereof
KR101454607B1 (ko) 인체의 체형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발가락 교정기
KR200480494Y1 (ko) 발가락 교정기
CN107771068A (zh) 卸载式高腿脚支架
JP3218602U (ja) 足部補助具
KR101709735B1 (ko) 발가락 교정기
KR100960562B1 (ko) 중족부에 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깔창
JP2013521099A (ja) 治療靴
KR200421262Y1 (ko) 부착가능한 패드를 가진 인솔
KR101588024B1 (ko) 기능성 족교정구
JP2006193844A (ja) 健康促進用の靴下
KR200427477Y1 (ko) 발가락 교정 및 무좀 치료 용구
US20150335099A1 (en) Memory sneaker
EP1728444B1 (en) Chimney structures for footwear and foot coverings
KR20110002513A (ko) 깔창덮개
JP2012527297A (ja) O脚またはx脚を予防して使用者体重に合うクッションを提供する人体均衡履物
KR100927427B1 (ko) 통풍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창
KR101188698B1 (ko) 깁스 환자용 신발
KR20170000684U (ko) 발가락 교정구
KR101157454B1 (ko) 간이신발을 구비한 양말
JP6608210B2 (ja) 室内用履物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