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328B1 -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7328B1
KR101587328B1 KR1020130141909A KR20130141909A KR101587328B1 KR 101587328 B1 KR101587328 B1 KR 101587328B1 KR 1020130141909 A KR1020130141909 A KR 1020130141909A KR 20130141909 A KR20130141909 A KR 20130141909A KR 101587328 B1 KR101587328 B1 KR 101587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pipe
seawater
air
mixed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203A (ko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130141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7328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7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7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3/0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troughs, pipes or tubes by floating the materials or by flow of gas, liquid or foam
    • B65G53/30Conveying materials in bulk through pipes or tubes by liquid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Abstract

본 발명은 매립재료(埋立材料))인 모래를 매립하는 지역이 모래를 공급하는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 모래이송을 쉽게 할 수 있는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펌프와 회전현상 발생장치, 테이퍼 관, 노즐 파이프, 인력(引力)발생장치, 유도 파이프, 배사관을 연결설치하고 가동하여 단위시간당 배사관 내로 유입되는 모래 양(量)을 증대시키는 것과 함께, 배사관 내부로 이송되는 공기와 해수 및 모래를 대상으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 가동으로 발생하는 나선형 와류(渦流) 흐름에 의해 배사관 내벽(內壁)에서 중심방향으로 공기 → 해수(海水) → 모래 순으로 유체(流體)들이 배치되어 회전하며 이송되고, 이로 인하여 해수(海水)와 모래가 배사관 내면(內面)과 직접 접촉하는 것을 최소화하여 해수와 모래의 배사관 내면과의 마찰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동력을 이용하여 모래를 원거리까지 이송할 수 있으므로, 모래이송과 관련된 공사기간은 물론이거니와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습식(濕式)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Sand transfer apparatus and method with high pressure water pump and attractive force generators and vortex fluid generators}
본 발명은, 모래를 매립하여 유용한 토지를 조성하는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모래를 이송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기술 및 장치이며, 특히 해상에서 모래 운반선으로부터 직접 모래를 공급받아, 원거리에 있는 매립대상지역까지 모래를 이송하고 포설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현실화시키기 위하여 적용된 배경기술은 유체역학적인 원리가 이용되며, 특히, 유체(流體)의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이 정리는 가장 중요하게 사용되고,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의 대기(大氣)중으로 분사된 후, 유도 파이프 내부로 회전하며 빠른 속도로 이송되는 해수(海水)에 의하여, 해수(海水) 몸체와 인접한 주변에서 발생하는 공기 및 모래의 난류(亂流)현상과 인력(引力)현상을 이해하기 위한 실증적인 유체역학적 원리들과, 그리고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에 의해, 배사관 내면에서 가장 큰 회전력을 갖으며 나선형태로 발생하는 와류(渦流)의 작용으로 배사관 내부에서 나타나는 공기와 해수 및 모래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한 중력과 원심력 및 마찰력에 대한 이론과 기술이 사용된다.
기존의 일반적인 모래이송방법은 덤프트럭을 이용하거나, 벨트 컨베이어를 지상에 설치하여 모래야적장에서 매립지까지 운반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였다. 그러나 덤프트럭에 의한 모래운반은 매립지역이 연약할 경우 매립지 내로 진입할 수 없고, 운반거리가 원거리일 경우 운반비의 급격한 상승을 야기한다. 또한 매립지(埋立地) 인근 해안가에 바지선을 정박시키고 바지선 위에 벨트 컨베이어를 설치하고 육지에 벨트 컨베이어를 연장하여 모래를 이송하는 방법이 있으나, 설치비가 고가이고 매립대상지까지 거리 및 지형의 변동에 취약하며, 유지보수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입되는 단점과, 단위시간당 이송능력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35584호 준설 된 점성토의 파쇄 후 이송방법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2820호 매립토 이송장치의 이송원리는 원심펌프의 이송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물과 혼합된 토사나 모래가 펌프의 임펠러를 통과하면서 임펠러의 회전운동에 의해 형성된 압력과 속도를 이용하여 배사 관을 통해 이송되어 최종적으로 도출되는 방식으로, 배사관을 통해 이송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배사관 내 마찰력과 공동현상(空洞現象, cavitation)등 여러 가지 유속저하 요인으로 이송거리 및 단위 시간당 모래 이송능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0502290호 강압 습식 보강 부재 포설 장치 및 그의 방법에서 주장하는 이송원리는 매립 재(埋立 材)를 투입하는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이젝터(Ejector)의 인입 부에 토출부의 단면적이 줄어드는 원추형 관을 펌프에서 연결되는 배관에 연결하여 설치하여, 배관 내를 흐르는 물의 압력과 유속을 고압과 고속으로 증가시켜 이젝터 내부를 흐르게 하여 발생하는 진공현상을 이용하여 매립재를 공기와 함께 이젝터 토출부와 연결된 배사 관 내로 흡입되게 하고, 매립 재와 고압수가 혼합된 혼합층은 공기층에 의한 공동현상이 발생하면서 배사관 내에서 마찰이 없는 상태로 매립 재(埋立 材)를 원거리까지 이송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호파와 이젝터가 연결되어 있고, 호파를 통하여 매립재가 투입되는 개방형 구조로 이젝터 내부에 진공현상을 발생시킬 수가 없는 기술적 모순을 내포하고 있으며, 매립 재와 고압수가 혼합된 혼합층 내부에 있는 공기의 공동현상에 의해 배사관 내부가 마찰이 없는 상태가 된다는 논리는 공기의 자중이 물이나 매립재의 자중보다 현저하게 작아 배사관 내부 상단으로 모이며, 오히려 공동현상에 의해 배사관의 수명을 단축하는 작용을 하며, 가장 무거운 매립 재(埋立 材)는 습윤 상태로 배사관 하부로 침강(沈降) 되어 이송되므로 매립 재와 배사관과의 마찰력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왜곡한 이론임에 틀림없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35797호 연약지반 보강용 습식 모래포설장치의 이송원리는 펌프의 작동을 통해 배사관 내로 흐르는 물에 모래를 투입하여 이송 및 포설하는 장치로 특정한 기술이 서술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모래를 매립재료(埋立材料)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한 종래의 기술 및 장치들이 내포하고 있는 이송가능거리 및 이송능력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 내(內)로 공급되는 모래 및 공기를 대상으로 인력(引力)을 발생시키고, 발생한 인력을 이용하여 모래 및 공기의 단위시간당 유도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유입량(流入量)을 증가시키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를 가동하여, 배사관 내면(內面)에 인접된 공간에 회전하며 이송되는 공기층을 형성시키고, 모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유체층을 배사관 중심부에서 회전하며 이송되도록 하여 배사관 내면(內面)과 혼합유체층과의 직접접촉에 의한 마찰을 최소화하고, 이송속도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여 단위시간당 모래이송능력과 모래이송거리를 확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벨트 컨베이어에 의해 일정속도로 호파(Hopper)를 통해 인력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모래와 대기(大氣) 중에 있는 공기를, 고압펌프로부터 이송되는 해수(海水)의 이동속도를 파이프의 구경(內徑)을 축소하여 높이고,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의 대기(大氣)중으로 해수를 분사하고 유도 파이프 내부로 통과시키는 방법으로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에서 이송되는 해수에 의한 공기 및 모래를 대상으로 난류현상과 인력(引力)을 발생시키고,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 작동효과로 기 발생한 인력(引力)을 더욱 증가시키며, 난류현상과 인력(引力)작용으로 호파를 통해 인력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모래와 공기의 단위시간당 유도 파이프 내부로의 유입량(流入量)을 증가시키며,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를 작동하여 배사관 내부(內部)로 이송되는 공기와 해수 및 모래를 대상으로 해수(海水)이송방향으로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회전반경과 회전력이 가장 큰 나선형태의 와류(渦流)를 발생시킴으로써 나타나는 공기와 해수 및 모래의 거동을 이용하여 배사관 내면과, 모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유체와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며, 와류발생용 날개의 작동을 통한 공기 및 혼합유체의 배사관 내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원거리에 있는 매립 대상지역까지 모래를 쉽게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모래를 매립재료로 이용하는 매립공사를 대상으로 매립대상지와 모래공급 지역이 원거리로 떨어져 있을 경우, 노즐 파이프를 통해 인력발생장치 내부로 분사(噴射)되는 해수(海水)의 단면적과 이송속도에 의해 발생하는 인력(引力)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유도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모래 양(量)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를 이용하여, 배사관 내면에서 배사관 중심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줄어드는 와류형태의 거동을 보이며 이송되는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 사이에 회전하며 이송되는 공기층을 형성시킴으로써, 혼합유체가 배사관 내면(內面)과 직접 접촉되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마찰에 의한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므로, 높은 효율로 모래를 이송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은, 회전식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의 작동을 통해, 이송되는 모래와 해수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단위시간당 모래이송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습식 모래이송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모래공급용 호파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주위에서 이송되는 해수(海水)에 의해 일어나는 여러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설명도,
도 5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에서 모래 및 공기가 해수(海水)의 빠른 이동속도와 회전(回轉)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난류현상 및 인력작용(引力作用)에 의한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에 설치되는 와류발생용 날개를 설치하는 방법을 예시하기 위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배사관(排沙管) 내의 모래, 해수(海水), 공기의 거동(擧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습식 모래이송장치 전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어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 장치는 크게 고압펌프(100)와, 양수용(揚水用) 파이프(101)와, 고압펌프에서 공급되는 해수(海水)를 운반하는 해수(海水)운반용 파이프(102)와, 해수운반용 파이프(102)내의 해수(海水)를 회전시키기 위한 고정식 회전현상발생장치(103)와, 해수운반용 파이프와 노즐 파이프에 연결되어 해수(海水)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테이퍼 관(104)과, 회전하며 이송되는 해수(海水)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노즐 파이프(105)와, 모래가 공급되는 호파(107)와, 호파 하단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분사되는 해수(海水)에 의해 발생한 난류(亂流)현상과 인력(引力)에 의해 공기와 모래를 원활하게 유도 파이프(108) 내(內)로 유도하여 해수(海水)와 혼합되도록 작용하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와, 해수(海水)와 함께 모래와 공기가 흡입되는 것을 유도하고 와류를 발생시키는 유도 파이프(108)와, 유도 파이프(108)를 통해 이송된 공기 및 콤프레사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용 파이프(901)로 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함께 이용하여 해수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混合流體)를 분당 1400회 이상 고속(高速)회전시켜 고 에너지의 와류(渦流)흐름을 발생시키는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와, 배사관(11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펌프(100)는 토출압력(吐出壓力)을 최대 20.0 기압(氣壓)까지 발생시킬 수 있고, 펌프 임펠러(Impeller)의 분당 회전수가 최대 1800회까지 발현 가능한 펌프를 사용한다. 이는 펌프 작동으로 이송되는 해수(海水)가 인력발생장치(106) 내에서 분사되면서 일으키는 인력(引力)의 강도를 크게 함으로써, 호파(107)를 통해 인력발생장치 내로 공급되는 모래가 쉽게 유도 파이프(108)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필수조건이다.
상기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103)는 고압펌프(100)에서 공급되어 해수운반용 파이프(102) 내(內)를 흐르는 해수(海水)를, 일정 길이의 배관 내부에 설치된 1개의 회전현상 발생용 날개(201)를 통과시키면서, 강제적으로 회전을 일으키게 하여, 호파 하단의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內部)를 통과하는 해수(海水)를 회전하게 함으로써,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內)를 회전하지 않고 통과하는 해수(海水)에 의해 발생하는 난류(亂流)와 인력(引力)보다 더욱 증가한 크기의 난류와 인력(引力)을 발생시키는 효과를 얻는 장치이다.
상기 테이퍼 관(104)은, 유체의 연속방정식에 의거하여, 해수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관의 단면적을 원추형으로 점차 축소하는 형태를 가지며, 손실수두(損失水頭)를 고려하지 않을 경우, 유체의 연속방정식 원리에 따라 해수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킨다.
상기 노즐 파이프(105)는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103)와 테이퍼 관(104)을 통과하고 노즐 파이프(105) 내(內)를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해수(海水)의 형상이,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의 대기(大氣) 중에 퍼지는 확산현상(擴散現狀)을 일으키지 않고서 유도 파이프(108) 내(內)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대기(大氣) 중에 해수(海水)의 몸체형상이 유지되는 거리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이므로, 노즐 파이프(105)의 길이는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된다.
상기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는, 호파(107) 하단에서 윗면이 개구부(開口部)형태로 호파와 연결 설치되며, 노즐 파이프(105)를 통과한 해수(海水)가 인력발생장치(106) 내부의 대기(大氣) 중으로 방출(放出)되고 유도 파이프(108) 내(內)로 이송되는 과정을 통하여, 고압펌프에서 발생시킨 해수(海水)의 압력이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지고, 베르누이 정리에 의해, 감압된 압력 차(差)에 비례하는 에너지가 해수(海水)의 이동속도를 증가시키며, 이렇게 증가된 이동속도와 회전력을 갖는 해수(海水)의 흐름으로 인하여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내부(內部)에 있는 공기 및 모래에 난류(亂流)현상과 유도 파이프(108) 내(內)로 끌려 들어가는 인력(引力)이 발생하며, 작은 인력(引力)으로도 쉽게 모래와 공기를 유도 파이프(108) 내부로 이송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호파(107)는 사면의 경사각도가 65도 이상을 유지하여 1개 이상의 벨트 컨베이어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를 자중(自重)에 의해 호파 경사면에 적체되지 않고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106)에 연속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유도 파이프(108)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를 통과한 해수(海水)와 호파에서 공급되는 모래 및 공기를 통과시키므로, 노즐 파이프(105)의 단면적(斷面績)보다 큰 구경(內徑)으로 형성되며, 유도 파이프(108) 내의 모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유체 단면적을 제외한 공간으로 공기가 흡입되며, 단위시간당 흡입되는 모래와 공기의 양은 유도 파이프(108)의 길이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유도 파이프(108) 내부(內部)에서 공기와 혼합유체는 와류현상이 발생한다.
상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109)는 유도파이프를 지나 설치되는 배사관(110)과 배사관(110)의 연결지점 사이에 설치되며, 모터 및 지지프레임 등이 포함된 별도의 독립적인 장치로 제작될 수 있으며, 유도 파이프(108)와 배사관(110)을 거쳐 유입되는 혼합유체와 공기, 콤프레사와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용 파이프(901)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혼합하여 원통형 케이싱(908, 미 도시됨)과 케이싱 내부에 장착된 와류 발생용 날개(907, 미 도시됨)를 고속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배사관 내면(內面)의 인접부위에서 가장 큰 회전력과 회전반경을 갖으며, 유체의 자중과 마찰력에 의한 감소효과로 인하여 배사관 중심부로 갈수록 회전반경이 줄어드는 나선(螺旋, helix)형태의 와류(渦流)를 발생시킴으로써, 배사관 내면(內面)과의 접촉 면에 가장 가벼운 공기층이 형성되며, 공기층을 제외한 배사관 안쪽 부위에 해수(海水) 단면이 형성되며, 가장 무거운 모래는 형성된 해수 단면의 중심부에 집적(集積)되는 형태를 이루며, 이로 인하여 배사관 내면과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와의 마찰이 최소화됨으로써, 같은 초기속도의 와류(渦流)동작을 하지 않는 혼합유체의 이송가능거리보다 최대 5배 이상 이송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와류발생용 날개(907)의 높이와 설치길이 및 설치각도와, 회전하는 원통형 케이싱(908)의 회전수에 따라 공기 및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으며, 나선형 와류에 의한 구심력 및 이송속도와 배사관 내부에서 공기와 해수 및 해수와 모래 사이에 일어나는 상호 에너지 균형작용, 즉 배사관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하는 혼합유체가 배사관 하부로 하강할 때 하부에 위치한 공기층은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인으로 압력이 상승하고, 이로 인한 결과로 혼합유체를 들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 혼합유체가 배사관 중심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현상이 발생하며, 배사관이 곡선구간일 경우, 혼합유체가 부딪치는 배사관 내벽에서 위와 같은 공기층의 압력상승 현상이 동일하게 발생하여 혼합유체를 배사관 중심부로 이동시키는 힘이 배사관 중심부로 작용하는 효과로, 자중(自重)에 의한 혼합유체의 침상(沈降)현상이나 곡선부위에서의 배사관 내벽과의 충돌강도가 줄어드는 방법으로 배사관과 혼합유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을 줄일 수 있으므로, 원거리에 있는 매립대상지까지 모래를 이송할 수 있다. 그러나 배사관을 설치할 때 고려되는 지반높이 변화 등 여러 가지 현실적으로 혼합유체의 속도를 떨어뜨리는 요인들과 배사관 연결플랜지 부위의 공기 누출 등에 의하여 배사관 내부에 형성된 공기층의 유지거리가 짧아질 경우, 공기층이 유지되는 거리를 확인하여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를 추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사관(110)은 강관이나 폴리에틸렌계통의 플라스틱 관 및 준설용 고압호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배사관 내부에 요철(凹凸)형태가 있는 것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고압펌프의 토출부와 연결되는 해수운반용 파이프(102)의 구경(內徑)보다 크지 않는 구경의 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며, 해수운반용 파이프(102)의 구경(內徑)보다 더 큰 구경의 파이프를 배사관으로 사용할 경우, 배사관 내벽에 형성해야 할 공기층의 두께가 커짐에 따라 많은 양의 공기가 추가로 필요하며, 공기층을 유지할 수 있는 와류(渦流)의 회전력이 부족할 경우, 해수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의 자중(自重)으로 인한 침강(沈降) 현상으로 원형의 공기층이 파괴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103)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해수운반용 파이프(102)와 같은 구경(內徑)을 가진 일정 길이의 파이프 내부에 설치된 1개의 회전현상 발생용 날개(201)가 파이프의 내면(內面)을 따라 처음 위치와 끝 위치가 균일하게 같은 방향으로 꼬이는 형태로 변형되어 최종적으로 끝단이 90도 회전이동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회전현상 발생용 날개(201)는 고압펌프에서 공급되는 해수(海水)의 높은 수압과 회전형태의 속도에 저항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성을 지니며, 직선으로 흐르는 해수 흐름을 흐름으로 바뀌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이 장치의 목적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 내에서 해수(海水)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하지 않은 상태의 해수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난류현상과 인력(引力)보다 더 강한 난류현상과 큰 인력(引力)을 발생시키고, 호파를 통해 인력발생장치로 공급되는 모래와 공기를 좀 더 쉽게 유도 파이프(108) 내부(內部)로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모래공급용 호파(107) 하단에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를 설치하여 호파(Hopper)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와 공기가 인력발생장치(106) 안으로 자연스럽게 공급되는 것과, 노즐 파이프(105)와 유도 파이프(108)가 인력발생장치(106)에 연결되는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노즐 파이프(105)의 구경(內徑)은 유도 파이프(108)의 구경(內徑)보다 크지 않으며, 호파 4면의 경사는 최소 65도 이상으로 설치되어야 함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의 주위에서 변화하는 해수의 압력과 속도를 관의 구경(內徑)과 함께 고려하여, 유체 연속방정식과 베르누이 정리를 이용하여, 각각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관내 마찰이나 형상계수 등의 손실수두(損失水頭)를 고려치 않고서 노즐 파이프(105) 내의 해수이동속도(Vb)를 산정하면,
π× (Da)²/4 × Va = π× (Db)²/4 × Vb : 연속방정식
여기에서 Da = 2.5Db 이면
Vb = (2.5)² × Va = 6.25Va 이다.
또한,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에서의 해수이동속도를 산정하기 위해 베르누이 정리를 고려하고, 압력은 노즐 파이프(105) 내의 해수압력(Pb)에서 대기압(1기압)으로 변화되는 효과로 인하여 노즐 파이프(105)를 지난 해수이동속도(Vc)는 노즐 파이프(105) 내의 해수이동속도(Vb) 보다 최소 약 30% 이상의 속도증가를 가져오며, 호파를 통해 초당 투입되는 모래가 유도 파이프(108)로 이송되어 혼합되는 것을 고려하고, 배사관(110) 구경(內徑)이 해수운반용 파이프(102) 구경(內徑) 보다 크지 않으므로, 손실수두를 고려하여도, 배사관(110) 내의 혼합유체 속도(Ve)는 해수(海水)운반용 파이프(102) 내의 해수이동속도(Va) 보다 최소 2배 이상 향상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106) 내에서 각각의 유체들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해수(海水)가 회전하는 형태로 고속으로 인력발생장치(106) 내부의 대기(大氣)속으로 통과할 때, 인력발생장치(106)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 및 모래의 난류(亂流)현상과 인력(引力)발생으로 인하여 호파를 통해 공급되는 모래가 해수(海水)의 이동방향으로 유도 파이프(108) 내부로 인입(引入)되는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다. 이때, 단위시간에 유도 파이프(108) 내로 이송되는 모래의 양과 인입되는 공기의 양은 해수(海水)의 이동속도와 노즐 파이프(105)의 구경(內徑), 인력발생장치(106)의 벽체 사이의 간격, 노즐 파이프 토출(吐出) 부위와 유도 파이프의 인입(引入) 부위 간 거리, 유도 파이프(108)의 길이, 와류(渦流)발생장치(109) 내의 해수의 회전력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도 6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를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전체 습식 모래이송장치를 가동하는 순서를 통해 설명하면, 첫 번째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가동하여 배사관 내부에 유체 흐름 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줄어드는 와류(渦流)형태의 공기 흐름을 형성시키고, 2번째로 고압펌프를 작동시켜 이송된 해수(海水)가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한 후, 배사관 내부를 회전하며 이송되는 공기층 내부로 와류형태로 흐르게 하며, 최종적으로 호파를 통해 인력발생장치(106)로 공급되는 모래가 인력발생장치(106)에서 발생한 난류현상과 인력(引力)으로 인하여 유도 파이프(108) 내로 이송되어 해수와 혼합되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하면서 증가한 와류(渦流)형태의 회전력에 의해, 배사관 중심부에서 배사관 벽체 방향으로 모래 → 해수 → 공기 순서의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여 와류형태로 이송되는 거동을 나타낸다. 위 2번째 과정에서부터 배사관 내면에 형성되는 공기층이 부족할 경우, 콤프레사를 가동하여 압축공기 공급용 파이프(901)를 통하여 필요한 공기를 공급하여 배사관 내벽에 공기층이 원활하게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106)를 통해 배사관 내로 유입되는 공기 및 혼합유체의 압력은 대기압 수준으로 낮아져 있으나,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 작동으로 배사관 내벽에 형성된 와류(渦流)형 흐름 형태의 공기층은 배사관 내벽과 혼합유체 층 사이에서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갖도록 변화되고,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하면서 유도 파이프(108) 내로 흡입될 때의 속도보다 증가한 이동속도를 가지나, 모래와 해수가 혼합된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보다 낮은 이송속도를 갖게 되어 공기층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배사관 내벽 전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는 상태로 배사관 내(內)를 고압으로 충만(充滿)하게 흐르는 유체의 흐름에서 발생하는 공동현상(空洞現象, cavitation)은 본 기술을 적용한 배사관 내부(內部)에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공동현상으로 인한 배사관의 진동 및 여러 가지 하자(瑕疵)들이 발생하지 않으며,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의 자중(自重)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합유체의 침강(沈降) 현상을 혼합유체의 이동속도와 와류형태의 회전력이 조합된 합력(合力)의 작용으로 상쇄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주면, 혼합유체를 필요한 원거리까지 쉽게 이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는 분당 1400회 이상의 회전수를 갖는 고속 회전용 모터를 사용해야 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원통형 케이싱(908)에 전달하는 방법은 기어전달방식이 가장 적합하다.
도 7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의 회전부위 내부와 회전부위 전면과 후면을 동시에 나타내어 와류발생용 날개(907)의 배치 및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의 원통형 케이싱(908) 내부에 와류발생용 날개를 6개 이상 설치하며, 각각의 와류발생용 날개(907)는 원통형 케이싱(908)의 전면부에 설치된 위치에서 동일하게 이격된 거리를 갖고서 원통형 케이싱(908)의 내면을 따라 시작지점과 최소 90도 이상 이동된 형태로 설치되며, 와류발생용 날개(907)의 크기 및 설치길이와 개수는, 해수와 모래를 이송하는 동안 자중(自重)에 의한 침강 현상(沈降現狀)을 구심력(求心力, centripetal force)으로 상쇄할 수 있고, 이송거리에 대한 혼합유체의 필요 이송속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이로부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의 회전부위를 가동하기 위한 모터의 필요출력이 결정된다. 또한, 혼합유체가 회전하며 이송되므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 회전부위의 분당 회전수가 작을 경우, 배사관 내부에서 해수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와 공기가 불완전한 단면형태를 형성하여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과의 마찰력을 발생시키며, 혼합유체의 내부에서 모래가 중심부에 충분하게 집적(集積)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현장에서 배사관 설치 및 가동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제약변수에 따라 혼합유체의 이송거리가 짧아질 수 있으므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 회전부위의 분당 회전수를 1400회 이상으로 발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기와,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가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하기 전과 후의 배사관 내(內)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한 도면으로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하기 전의 혼합유체와 공기가 거동하는 모습을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의 왼쪽에 표시하였으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한 후의 혼합유체와 공기가 거동하는 모습을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 오른쪽에 표시하였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한 후의 모래와 해수(海水)의 배사관 내 분포가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를 통과하지 전보다 유체 흐름 방향으로 회전반경이 줄어드는 나선형(螺旋形) 와류효과와 해수와 모래의 자중과 마찰력에 인한 회전력 감소로 인하여 배사관 중심으로 집적(集積)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109)의 가동으로 해수(海水)와 모래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는 효과와 와류현상으로 해수와 모래층의 단면적이 감소하고 공기층의 두께가 커졌음을 알 수 있다.
100: 고압펌프
101: 양수용(揚水用) 파이프
102: 해수운반용 파이프
103: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
104: 테이퍼 관(원추형 관)
105: 노즐 파이프
106: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107: 모래공급용 호파(hopper)
108: 유도 파이프
109: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
110: 배사관
201: 회전현상 발생용 날개
501: 회전하며 분사되는 해수(海水)에 의해 주위 공간에서 발생하는 난류(亂流) 현상 모형
502: 회전하며 분사되는 해수(海水) 모형
503: 호파에서 공급되는 모래 모형
504: 회전하며 이송되는 해수(海水)에 의해 발생된 난류(亂流)현상과 인력(引力)으로 모래와 공기가 유도 파이프 내부로 이송되는 현상을 도시한 모형
901: 압축공기 공급용 파이프
902: 회전용 베어링(Bearing)
903: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용 기어(Gear)
904: 실링(Sealing) 밴드(Band)
905: 회전력 전달용 기어(Gear)
906: 동력전달용 모터
907: 와류발생용 날개
908: 원통형 케이싱
11: 배사관 내부에서 불완전한 와류(渦流)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공기층 모형
12: 배사관 내부에서 불완전한 와류(渦流)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이송되는 해수(海水) 모형
13: 배사관 내부에서 불완전한 와류(渦流)를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혼합유체 내에 넓게 분포되어 이송되는 모래 모형
14: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103)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 모형
15: 혼합유체가 유도 파이프(108)를 통과하면서 발생한 와류형태의 회전력 모형
16: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의 작동으로 확장되고 와류형태의 회전력이 증가한 공기층 모형
17: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의 작동으로 인한 이동속도 증가로 단면적이 축소되고 와류형태의 회전력이 증가한 해수 모형
18: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의 작동으로 인한 이동속도 증가로 단면적이 축소되고, 중심부로 향한 구심력 증가로 인하여 모래가 배사관 중심부로 집적(集積)된 상태의 모래 모형
19: 회전식 와류(渦流)발생장치(109)의 작동으로 발생한 와류형태의 회전력 모형
Pa,Va, Da: 해수(海水)운반용 파이프(102) 내에서의 유체의 압력, 속도, 파이프의 구경(內徑)
Pb,Vb, Db: 노즐 파이프(105) 내에서의 해수의 압력, 속도, 파이프의 구경(內徑)
Pc,Vc, Dc: 노즐 파이프(105) 토출부위 전방에서의 해수의 압력, 속도
Pd,Vd, Dd: 유도 파이프(108) 내에서의 혼합유체의 압력, 속도, 파이프의 구경(內徑)
Pe,Ve, De: 배사관(110) 내에서의 혼합유체의 압력, 속도, 파이프의 구경(內徑)

Claims (7)

  1. 양수(揚水)용 파이프와 고압펌프, 해수운반용 파이프,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 테이퍼 관, 노즐 파이프를 거치면서 회전하며 이송되는 해수(海水)를 인력발생장치 내(內)의 대기 중에 분사시키고 유도 파이프 내부로 이송하는 공정과 함께,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 내에서, 노즐파이프를 통해 분사된 해수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변화됨으로써, 이송되는 해수의 변화된 압력차(壓力差)에 비례하여 더욱 증가한 이동속도를 갖고서 회전하는 해수(海水)의 거동으로 발생한 난류현상과 인력(引力)작용으로 인하여, 호파로부터 인력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모래와 공기가 유도 파이프를 통해 배사관 내부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한 공정;
    유도파이프 후방에 설치되는 배사관과 배사관 연결지점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가동에 의해,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가 가장 크며, 유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가 줄어드는 나선형(螺旋形) 와류(渦流)를 형성시켜,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배사관 중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공기층과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 층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공기 및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공정;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가동에 의해 배사관 내부에 형성된 해수(海水)와 모래가 섞인 혼합유체 및 공기의 강화된 나선형(螺旋形) 와류형태의 거동 및 증가한 이송속도와, 배사관 내부에서 공기와 해수 및 모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에너지 균형작용에 의한 해수와 모래의 배사관 내부에서의 침상(沈降)현상이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한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과의 직접마찰이 최소화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모래와 해수(海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원거리까지 이송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습식 모래이송방법.
  2. 청구항 1에서, 양수(揚水)용 파이프와 고압펌프, 해수운반용 파이프,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 테이퍼 관, 노즐 파이프를 거치면서 회전하며 이송되는 해수(海水)를 인력발생장치 내(內)의 대기 중에 분사시키고 유도 파이프 내부로 이송하는 공정과 함께, 호파 하단에 설치된 인력발생장치 내에서, 노즐파이프를 통해 분사된 해수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변화됨으로써, 이송되는 해수의 변화된 압력차(壓力差)에 비례하여 더욱 증가한 이동속도를 갖고서 회전하는 해수(海水)의 거동으로 발생한 난류현상과 인력(引力)작용으로 인하여, 호파로부터 인력발생장치에 공급되는 모래와 공기가 유도 파이프를 통해 배사관 내부로 이송되는 것을 포함한 공정은, 고압펌프 작동으로 발생한 해수(海水)의 이송속도와 압력을 해수(海水)를 이송하는 파이프의 내부면적을 점진적으로 축소하여 증가시키고, 고정식 회전현상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해수의 흐름을 회전하며 이송되는 형태로 변형시키며, 인력발생장치 및 회전식 와류발생장치 작동으로 모래 및 공기에 작용하는 증가한 난류(亂流) 강도(强度)와 노즐파이프를 통해 분사되는 해수의 압력이 대기압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통해 더욱 증가한 해수 이동속도에 의해 더욱 증가한 인력(引力) 강도(强度)의 상호작용으로, 단위시간당 모래와 공기의 유도파이프 내로의 이송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모래이송방법.
  3. 청구항 1에서, 유도파이프 후방에 설치되는 배사관과 배사관 연결지점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가동에 의해,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가 가장 크며, 유체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회전반경과 회전속도가 줄어드는 나선형(螺旋形) 와류(渦流)를 형성시켜,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배사관 중심방향으로 단계적으로 공기층과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 층을 형성하는 것과 함께 공기 및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를 증가시키는 공정은, 유도 파이프를 통해 배사관 내부로 이송되는 공기 및 모래와 해수(海水)의 혼합유체에 콤프레사로 부터 압축공기를 추가로 공급하는 것과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작동을 통해 대상유체들을 강제로 회전시킴으로써, 배사관 내면 부근에서 가장 큰 회전반경과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유체의 자중과 마찰력에 의한 감소효과로 인해 배사관 중심부로 갈수록 회전반경과 회전속도가 줄어드는 나선형 와류를 형성시켜, 이송되는 유체(流體)의 자중 차이(自重差異)에 의해 배사관 내면(內面)에서 배사관 중심부 방향으로 공기층과 해수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 단면이 형성되고, 형성된 혼합유체 단면의 중심부에 모래가 집적(集積)된 상태로 회전하며 이송되고, 또한 원통형 케이싱내벽에 설치되는 와류발생용 날개의 높이 및 설치길이와 원통형 케이싱 내의 와류발생용 날개의 이동각도, 원통형 케이싱의 회전수에 따라 공기 및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모래이송방법.
  4. 청구항 1에서,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가동에 의해 배사관 내부에 형성된 해수(海水)와 모래가 섞인 혼합유체 및 공기의 강화된 나선형(螺旋形) 와류형태의 거동 및 증가한 이송속도와, 배사관 내부에서 공기와 해수 및 모래 상호 간에 발생하는 에너지 균형작용에 의한 해수와 모래의 배사관 내부에서의 침상(沈降)현상이 줄어드는 원리를 이용한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과의 직접마찰이 최소화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모래와 해수(海水)가 혼합된 혼합유체를 원거리까지 이송하는 공정은,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작동으로 발생한 나선형 와류 흐름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과 해수(海水)와 모래가 혼합된 혼합유체는 각자 형성된 압력과 부피를 갖고서 이송되며, 배사관 내벽 주위에 형성된 공기층과 혼합유체 와의 경계면에서는 양자(兩者)의 힘의 균형을 유지하는 상태로 각자의 형태가 유지되며, 이로 인하여 해수(海水)와 모래의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內面)은 양자(兩者)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층을 매개체로 하여 서로 격리되어 있으므로 직접적인 마찰이 최소화되고, 혼합유체의 이송 중에 발생하는 혼합유체와 배사관 내면과의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회전식 와류발생장치의 작동으로 증가된 혼합유체의 이송속도를 이용하여 모래를 해수(海水)와 혼합한 상태로 원거리까지 이송하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모래이송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41909A 2013-11-21 2013-11-21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101587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909A KR101587328B1 (ko) 2013-11-21 2013-11-21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909A KR101587328B1 (ko) 2013-11-21 2013-11-21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203A KR20130139203A (ko) 2013-12-20
KR101587328B1 true KR101587328B1 (ko) 2016-01-20

Family

ID=49984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909A KR101587328B1 (ko) 2013-11-21 2013-11-21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73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172B1 (ko) * 2014-01-29 2016-03-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기장과 토네이도 와류 기술을 이용한 장거리 준설토 운송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639984B1 (ko) * 2021-12-06 2024-02-22 문재화 분체 또는 입상체의 장거리 수송이 가능한 공기압 이송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290B1 (ko) 2004-12-31 2005-07-20 (주)초석건설 강압 습식 보강부재 포설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735797B1 (ko) 2005-07-08 2007-07-06 주식회사 엠. 에이. 피. 코리아 연약지반 보강용 습식 모래포설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4028A (ko) * 2002-01-10 2002-03-29 대양건설산업(주) 공압을 이용한 연약지반용 모래포설기
KR101246688B1 (ko) * 2010-09-14 2013-03-21 이진석 오폐수 처리용 마이크로 제트폭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2290B1 (ko) 2004-12-31 2005-07-20 (주)초석건설 강압 습식 보강부재 포설장치 및 그의 방법
KR100735797B1 (ko) 2005-07-08 2007-07-06 주식회사 엠. 에이. 피. 코리아 연약지반 보강용 습식 모래포설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203A (ko) 2013-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45843B1 (en) Vortex effect productio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transport of materials through a tube, pipe, or cylinder structure
CN105155511B (zh) 一种转筒式涡旋固化搅拌装置及疏浚淤泥吹填方法
CN113374019B (zh) 水下挖掘设备中及相关的改进
KR101587328B1 (ko)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습식 모래이송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43425A (ko)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와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 공기압축기 등을 이용한 준설장치와 준설토이송장치 및 그 방법
CN104018841A (zh) 海底矿砂扒吸头
CN106013307B (zh) 一种改良结构的挖泥船
JP2009185465A (ja) 小口径泥濃式掘進機
CN106429459B (zh) 一种管道高效输送泥浆装置
JP2005105716A (ja) 管周摩擦を低減する推進工法
CN105134228A (zh) 一种盾构机的改良型浓泥式掘进工法
CN201195948Y (zh) 一种螺旋推进式砂浆管道输送系统
US20220356671A1 (en) Dredge system
CN1130229A (zh) 深渊倒悬水轮泵挖泥沙船
US20230374751A1 (en) Dredge system
KR20150003706A (ko) 고압펌프와 인력발생장치(引力發生裝置) 및 와류발생장치(渦流發生裝置)를 이용한 물 이송장치 및 그 방법
JP2010270477A (ja) 泥濃式推進装置及び掘削土砂の連続排土方法
CN214577971U (zh) 一种输送液体或液体和固体颗粒混合物的整吞硬物喷射设备
JPS5830579Y2 (ja) 液中破砕装置
JPH0351476B2 (ko)
KR101608960B1 (ko) 분출 회전식 지중 굴진 장치
CN2184678Y (zh) 软粘土输送装置
AU2023203096A1 (en) Dredge system
JPH034277B2 (ko)
CN109029912A (zh) 用于研究泥浆管道加气输送的实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