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651B1 -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651B1
KR101586651B1 KR1020150026484A KR20150026484A KR101586651B1 KR 101586651 B1 KR101586651 B1 KR 101586651B1 KR 1020150026484 A KR1020150026484 A KR 1020150026484A KR 20150026484 A KR20150026484 A KR 20150026484A KR 101586651 B1 KR101586651 B1 KR 101586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robot
virtual
screen
sma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형준
Original Assignee
(주) 라온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온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주) 라온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150026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5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automatically by game devices or servers from real world data, e.g. measurement in live racing compet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6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for rendering three dimensional im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60Methods for processing data by generating or executing the game program
    • A63F2300/69Involving elements of the real world in the game world, e.g. measurement in live races, real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로봇 게임과 온라인 로봇 게임의 장점만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로봇게임을 구현하되, 로봇카메라의 실시간 촬영영상에 3D 게임엔진을 통한 실시간 렌더링 영상 및 게임서버를 통한 피아식별 표시를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유저 스마트기기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오프라인 로봇 게임의 현실감과 온라인 멀티플레이의 박진감과 더불어, 화면상에 총포류의 비주얼효과가 더해짐으로써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시성검사를 통해 각 로봇의 시선에서 보이는 실제 화면을 정확하게 구현하여 보다 실감높은 게임을 구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이 설치되며 특정 영역을 갖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여 이동, 회전을 포함한 동작을 수행하고, 마커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으며, 로봇카메라가 장착되어 게임로봇의 시선에서 스테이지를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복수개의 게임로봇; 스테이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각 게임로봇의 모션을 캡쳐하는 복수개의 모션캡쳐 카메라, 모션캡쳐 카메라의 쵤영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로봇 검출부를 포함하는 모션캡쳐 시스템; 모션캡쳐 시스템으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게임서버; 및 각 게임로봇의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되, 게임서버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으로 분류된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포함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화면 상에 표시된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전투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총포류를 포함한 무기로 적을 타격할 경우 총포류 발사의 효과와 연기효과를 포함한 비주얼 렌더링 영상을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매칭된 상태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유저 스마트기기를 포함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omitted}
본 발명은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오프라인 로봇 게임과 온라인 로봇 게임의 장점만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로봇게임을 구현하되, 로봇카메라의 실시간 촬영영상에 3D 게임엔진을 통한 실시간 렌더링 영상 및 게임서버를 통한 피아식별 표시를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유저 스마트기기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오프라인 로봇 게임의 현실감과 온라인 멀티플레이의 박진감과 더불어, 화면상에 총포류의 비주얼효과가 더해짐으로써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시성검사를 통해 각 로봇의 시선에서 보이는 실제 화면을 정확하게 구현하여 보다 실감높은 게임을 구현할 수 있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으로 온라인 컴퓨터 게임과 오프라인 로봇 게임은 별도로 발전되어 왔다.
온라인 컴퓨터 게임은 다양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과 롤플레이 게임이 등장하면서 매니아층을 형성하고 있다. 게임 프로그램의 장르도 역할수행 게임(Role-Playing Game), MMORPG(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Playing Game), 대전 게임, 슈팅 게임, 1인칭 슈팅 게임 등과 같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게임장르와 별개로 새로운 장르의 게임이나 기존 장르가 혼합된 게임이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다.
오프라인 로봇 게임은 배틀, 격투, 축구 등 오프라인 형태의 전문가 위주로 경기가 펼쳐지고 있다. 그 결과 대중성과 게임으로서의 컨텐츠성이 부족하다. 또한, 다양한 전략 전술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기 보다는 로봇 자체의 강도와 자세제어 등에 의해 승패가 결정되는 측면이 있어 깊은 몰입감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온라인 게임은 완전한 가상세계에서만 이루어지고, 컴퓨터 간의 온라인 접속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한계를 노출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은 보다 더 현실감 있으면서 오프라인의 장점을 접목한 게임의 등장을 기다리고 있다.
오프라인 게임 또한 기존의 한계를 벗어나 가상세계에 상응하는 몰입감을 부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 KR공개특허공보 제2009-0000013호(2009.1.7.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오프라인 로봇 게임의 한계를 극복하고, 실감과 박진감 및 가상세계의 환상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로봇게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이 설치되며 특정 영역을 갖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여 이동, 회전을 포함한 동작을 수행하고, 마커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으며, 로봇카메라가 장착되어 게임로봇의 시선에서 스테이지를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복수개의 게임로봇; 스테이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각 게임로봇의 모션을 캡쳐하는 복수개의 모션캡쳐 카메라, 모션캡쳐 카메라의 쵤영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로봇 검출부를 포함하는 모션캡쳐 시스템; 모션캡쳐 시스템으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게임서버; 및 각 게임로봇의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되, 게임서버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으로 분류된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포함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화면 상에 표시된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전투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총포류를 포함한 무기로 적을 타격할 경우 총포류 발사의 효과와 연기효과를 포함한 비주얼 렌더링 영상을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매칭된 상태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유저 스마트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게임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게임로봇의 위치 중 지형지물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유저 스마트기기는 가시성검사(Visibility Test)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가시성검사는 유저 스마트기기의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수행되고, 3차원 지형지물을 게임엔진 속의 가상로봇경기장에 배치하되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포함한 가상로봇경기장은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가상로봇경기장에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특정 동일 색상으로 적용하고, 각 게임로봇은 각각 고유의 색상으로 지정하여 특정 게임로봇의 시점에서 본 가상뷰를 통해 가상 3차원 지형지물과의 위치관계에서 다른 게임로봇에 지정된 색상이 보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화소색을 검사하여 임의로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서 지우거나 나타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오프라인 로봇 게임과 온라인 로봇 게임의 장점만을 이용하여 멀티플레이 로봇게임을 구현하되, 로봇카메라의 실시간 촬영영상에 3D 게임엔진을 통한 실시간 렌더링 영상 및 게임서버를 통한 피아식별 표시를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유저 스마트기기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유저에게 오프라인 로봇 게임의 현실감과 온라인 멀티플레이의 박진감과 더불어, 화면상에 총포류의 비주얼효과가 더해짐으로써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성검사를 통해 각 로봇의 시선에서 보이는 실제 화면을 정확하게 구현하여 보다 실감높은 게임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게임로봇에 아이디를 부여하기 위한 마커세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게임화면이 합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
도 4는 가시성 검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 및 도 6은 가시성 검사의 적용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게임로봇에 아이디를 부여하기 위한 마커세트의 일례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에 의해 게임화면이 합성되는 과정을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시성 검사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 및 도 6은 가시성 검사의 적용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면, 스테이지(2), 게임로봇(4), 모션캡쳐 카메라(6), 모션캡쳐 시스템(8), 게임서버(10), 및 유저 스마트기기(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는 편의상 다수의 유저가 동일한 공간에서 유저 스마트기기(12)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는 것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유저는 동일한 공간에 위치하지 않아도 되며, 유저 스마트기기(12)를 통해 게임서버(10)와 로봇카메라(5)에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으면 된다.
스테이지(2)는 게임로봇(4)이 실제로 이동 및 회전하면서 플레이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스테이지(2)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이 설치되며, 스테이지(2)는 특정 영역을 갖는다.
일례로, 스테이지(2)는 최소 10명 이상이 동시에 게임할 수 있도록 확장성, 이동성, 조립성 및 게임로봇의 전원공급을 고려한 가변형 스테이지로 구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2)는 게임로봇(4)의 전원공급(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예컨대 게임중지, 종료시 시작지역으로 자동 복귀함에 의해 자동으로 자가충전이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게임로봇(4)은 스테이지(2) 상에 위치하여 이동, 회전을 포함한 동작을 수행하면서 플레이를 구현한다. 게임로봇(4)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아 상호간에 식별된다. 일례로, 게임로봇(4)은 마커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게임로봇의 상부면에 4개의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마커세트를 구현함으로써, 모션캡쳐 시스템(8)이 각 게임로봇의 아이디를 검출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마커세트 1과 같은 형상으로 4개의 꼭지점이 배치된 것으로 모션캡쳐 카메라(6)에 의해 촬영되면 모션캡쳐 시스템(8)은 게임로봇 A인 것으로 인식하고, 마커세트 2와 같은 형상으로 4개의 꼭지점이 배치된 것으로 모션캡쳐 카메라(6)에 의해 촬영되면 모션캡쳐 시스템(8)은 게임로봇 B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여기서, 게임로봇의 아이디를 부여하고 검출하는 방식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게임로봇(4)에는 로봇카메라(5)가 장착된다. 로봇카메라(5)는 게임로봇(4)의 시선에서 스테이지(2)를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유저 스마트기기(12)로 실시간 스트리밍한다.
모션캡쳐 시스템(8)은 모션캡쳐 카메라(6)와 로봇 검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모션캡쳐 카메라(6)는 스테이지(2)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각 게임로봇(4)의 모션을 캡쳐한다. 모션캡쳐 카메라(6)는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 설치된다.
로봇 검출부는 모션캡쳐 카메라(6)의 촬영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각 게임로봇(4)의 위치, 회전,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검출한다.
모션캡쳐 시스템(8)은 각 게임로봇(4)의 아이디, 위치, 회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게임서버(10)에 전송한다.
게임서버(10)는 모션캡쳐 시스템(8)으로부터 각 게임로봇(4)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유저 스마트기기(12)로 브로드캐스팅한다.
유저 스마트기기(12)는 각 게임로봇(4)의 로봇카메라(5)로부터 촬영된 실제 영상과, 게임엔진에서 만든 증강현실 화면을 합성하여 화면상에 표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유저 스마트기기(12)는 로봇카메라의 실시간 촬영영상(도 3의 ①), 3D 게임엔진 카메라의 실시간 렌더링 영상(도 3의 ②), 화면상의 적 위치 표시(도 3의 ③)를 합성하여 합성된 게임화면을 만들어낸다.
구체적으로, 유저 스마트기기(12)는 각 게임로봇(4)의 로봇카메라(5)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되, 게임서버(10)로부터 각 게임로봇(4)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으로 분류된 게임로봇(4)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포함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화면 상에 표시된 로봇카메라(5)의 촬영 영상에 전투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총포류를 포함한 무기로 적을 타격할 경우 총포류 발사의 효과와 연기효과를 포함한 비주얼 렌더링 영상을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매칭된 상태로 화면상에 표시한다.
일례로, 연기효과는 위치타겟 영역 이내에 유효하게 총포류가 명중하였을 때 발생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건물과 담 같은 지형지물 뒤에 위치한 게임로봇은 실시간 촬영영상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무선캡쳐 시스템(8)에 의해 쵤영 및 인식되어 전송된 화면을 통해 게임서버(10)에서 모든 게임로봇의 위치를 유저 스마트기기(12)에 알려주게 되므로, 유저 스마트기기(12)의 게임화면 속에서는 계속하여 게임로봇의 위치가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도 4(a)와 같이 지형지물 건너편에 다른 게임로봇이 있는 경우, 도 4(b)와 같이 게임화면 속에서 게임로봇의 위치가 위치타겟으로 표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게임로봇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정상적인 화면이 출력되기 위해서는 도 4(c)와 같이 위치타겟 표식이 제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게임화면 속에서 위치타겟 표식을 제거하기 위해 3D 가상로봇 및 3D 지형지물 데이터를 이용한 가시성검사(Visibility Test)를 수행한다.
즉, 유저 스마트기기(12)는 게임서버(10)로부터 전송된 각 게임로봇의 위치 중 지형지물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가시성검사(Visibility Test)를 수행한다.
가시성검사는 유저 스마트기기(12)의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수행된다.
3차원 지형지물(도 5(a))을 게임엔진 속의 가상로봇경기장에 배치하되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포함한 가상로봇경기장(도 5(b))은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는다. 도 5(c)를 참조하면, 실제 로봇 경기장에 적용된 3D 지오메트리 경기장이 도시되어 있다. 3D 지오메트리는 게임화면 상에 보이지 않는다. 실제 로봇 경기장과 3D 지오메트리 경기장은 광학식 모션캡쳐 측위장비(모션캡쳐 시스템)를 이용하면 정확하게 매칭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가시성검사 방법을 적용한다. 가시성검사에서 고유의 색은 사용자 게임화면에 렌더링되지 않고 내부에서 처리된다.
가상로봇경기장에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특정 동일 색상(예컨대 도 6에는 회색으로 표시)으로 적용하고, 각 게임로봇은 각각 고유의 색상(예컨대 도 6에는 청색, 적색, 황색으로 표시)으로 지정하여 특정 게임로봇의 시점에서 본 가상뷰를 통해 가상 3차원 지형지물과의 위치관계에서 다른 게임로봇에 지정된 색상이 보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화소색을 검사하여 임의로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서 지우거나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도 6에서 게임화면 화소상에 로봇이 보이지 않을 경우 표식을 하지 않다가, 적색 로봇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황색 로봇 입장에서는 게임화면 화소상에 적색으로 표시되고, 그 결과 게임화면 상에 적색로봇의 아이디를 표시하여 적색로봇이 출현하였음을 표시한다.
또한, 청색 로봇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황색 로봇 입장에서는 게임화면 화소상에 적색, 청색 로봇이 검출되고, 그 결과 적색, 청색 로봇의 아이디가 표시되어 적색 로봇 및 청색 로봇이 출현하였음을 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에서의 가시성검사는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게임화면상의 화소색을 검사하여 임의로 해당 로봇의 표식을 지우거나 나타나게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각 로봇의 시선에서 보이는 실제 화면을 정확하게 구현하여 보다 실감높은 게임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 - 스테이지 4 - 게임로봇
6 - 모션캡쳐 카메라 8 - 모션캡쳐 시스템
10 - 게임서버 12 - 유저 스마트기기

Claims (3)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형지물이 설치되며 특정 영역을 갖는 스테이지;
    스테이지 상에 위치하여 이동, 회전을 포함한 동작을 수행하고, 마커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으며, 로봇카메라가 장착되어 게임로봇의 시선에서 스테이지를 바라보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촬영하는 복수개의 게임로봇;
    스테이지와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각 게임로봇의 모션을 캡쳐하는 복수개의 모션캡쳐 카메라, 모션캡쳐 카메라의 쵤영영상을 처리 및 분석하여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로봇 검출부를 포함하는 모션캡쳐 시스템;
    모션캡쳐 시스템으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브로드캐스팅하는 게임서버; 및
    각 게임로봇의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화면 상에 표시하되, 게임서버로부터 각 게임로봇의 위치, 회전, 아이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적으로 분류된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포함한 정보를 화면상에 표시하며, 화면 상에 표시된 로봇카메라의 촬영 영상에 전투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총포류를 포함한 무기로 적을 타격할 경우 총포류 발사의 효과와 연기효과를 포함한 비주얼 렌더링 영상을 증강현실로 합성하여 매칭된 상태로 화면상에 표시하는 유저 스마트기기
    를 포함하고,
    게임서버로부터 전송된 각 게임로봇의 위치 중 지형지물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게임로봇의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유저 스마트기기는 가시성검사(Visibility Test)를 수행하며,
    가시성검사는 유저 스마트기기의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수행되고,
    3차원 지형지물을 게임엔진 속의 가상로봇경기장에 배치하되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포함한 가상로봇경기장은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 상에 표시되지 않으며,
    가상로봇경기장에 가상 3차원 지형지물을 특정 동일 색상으로 적용하고, 각 게임로봇은 각각 고유의 색상으로 지정하여 특정 게임로봇의 시점에서 본 가상뷰를 통해 가상 3차원 지형지물과의 위치관계에서 다른 게임로봇에 지정된 색상이 보이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화소색을 검사하여 임의로 실시간 위치타겟과 피아식별표시를 유저 스마트기기의 화면상에서 지우거나 나타나게 하며,
    복수의 유저가 동일한 공간에서 유저 스마트기기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거나, 복수의 유저가 각각 다른 공간에서 유저 스마트기기를 통해 게임서버와 로봇카메라에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게임에 참여하고,
    스테이지는 게임로봇의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구현되되, 게임중지 및 종료시 게임로봇은 스테이지 상의 게임 시작지역으로 자동 복귀함에 의해 자동으로 자가충전이 가능하며,
    게임로봇은 마커에 의해 서로 구별되는 고유의 아이디를 부여받되, 게임로봇의 상부면에 4개의 꼭지점으로 이루어진 마커세트를 구현하여 모션캡쳐 시스템이 각 게임로봇의 아이디를 검출하도록 하며, 꼭지점 4개의 배치 형상에 의해 각 게임로봇을 구별하고,
    3차원 지형지물을 게임엔진 속의 가상로봇경기장에 배치시 실제 로봇 경기장인 스테이지와 가상로봇경기장인 3D 지오메트리 경기장을 모션캡쳐 시스템의 광학식 모션캡쳐 측위장비를 이용하여 매칭시키고,
    가시성검사에서 고유의 색은 사용자 게임화면에 렌더링되지 않고 게임엔진의 내부에서 처리됨으로써 게임엔진의 가상공간에서 게임화면상의 화소색을 검사하여 임의로 해당 로봇의 표식을 지우거나 나타나게 하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150026484A 2015-02-25 2015-02-25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KR101586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84A KR101586651B1 (ko) 2015-02-25 2015-02-25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484A KR101586651B1 (ko) 2015-02-25 2015-02-25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6651B1 true KR101586651B1 (ko) 2016-01-20

Family

ID=5530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484A KR101586651B1 (ko) 2015-02-25 2015-02-25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65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836A (ko) * 2020-07-16 2022-01-25 (주)코어센스 가상 소방 훈련을 위한 모션 캡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 캡쳐 방법
US20220116582A1 (en) * 2019-06-28 2022-04-14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CN114598790A (zh) * 2022-03-21 2022-06-07 北京迪生数字娱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观视角姿态捕捉及实时影像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591A (ko) * 2006-09-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객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렌더링객체 최소화 방법 및 장치
KR20110023227A (ko) * 2009-08-31 2011-03-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US20130324250A1 (en) * 2009-05-28 2013-12-05 Anki, Inc. Integration of a robotic system with one or more mobile computing devic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9591A (ko) * 2006-09-29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그래픽 객체 렌더링 방법 및 장치, 이를 위한 렌더링객체 최소화 방법 및 장치
US20130324250A1 (en) * 2009-05-28 2013-12-05 Anki, Inc. Integration of a robotic system with one or more mobile computing devices
KR20110023227A (ko) * 2009-08-31 2011-03-0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을 연계한 로봇 게임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16582A1 (en) * 2019-06-28 2022-04-14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11909945B2 (en) * 2019-06-28 2024-02-20 Fujifilm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KR20220009836A (ko) * 2020-07-16 2022-01-25 (주)코어센스 가상 소방 훈련을 위한 모션 캡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 캡쳐 방법
KR102472579B1 (ko) 2020-07-16 2022-11-30 주식회사 아이팝 가상 소방 훈련을 위한 모션 캡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모션 캡쳐 방법
CN114598790A (zh) * 2022-03-21 2022-06-07 北京迪生数字娱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观视角姿态捕捉及实时影像系统
CN114598790B (zh) * 2022-03-21 2024-02-02 北京迪生数字娱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主观视角姿态捕捉及实时影像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3077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within multiple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9684369B2 (e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ystems and methods
CN105188867B (zh) 远程游戏环境中角色交互的客户端侧处理
EP2371433B1 (en) Image generation device, program product, and image generation method
US9542011B2 (e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ystems and methods
US9555337B2 (en) Method for tracking physical play objects by virtual players in online environments
US6951515B2 (en) Game apparatus for mixed reality space,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and program storage medium
JP3745475B2 (ja) ゲーム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US8241125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interaction with a data processor
US6379249B1 (en) Image generation device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CN100542645C (zh) 图像生成装置和图像显示方法
CN107469343B (zh) 虚拟现实交互方法、装置及系统
US20070132785A1 (en) Platform for immersive gaming
US924452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action with projected three-dimensional environments
JP2024514752A (ja) 仮想シーン内の召喚オブジェクトの制御方法と装置、電子機器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215920A (ja) 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及び画像生成システム
CN105617658A (zh) 基于真实室内环境的多人移动射击游戏系统
CN106061571A (zh) 交互式虚拟现实系统及方法
JP2007328781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な3次元位置追跡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586651B1 (ko) 증강현실을 이용한 멀티플레이 로봇게임 시스템
CN111228791A (zh) 真人ar射击游戏装备、基于ar技术的射击对战系统及方法
WO2020251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on, presentation and interaction within multiple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US20220319138A1 (en) Toy system for asymmetric multiplayer game play
Estevez et al. Robot devastation: Using DIY low-cost platforms for multiplayer interaction in an augmented reality game
JP4117687B2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