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483B1 -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483B1
KR101586483B1 KR1020080072493A KR20080072493A KR101586483B1 KR 101586483 B1 KR101586483 B1 KR 101586483B1 KR 1020080072493 A KR1020080072493 A KR 1020080072493A KR 20080072493 A KR20080072493 A KR 20080072493A KR 101586483 B1 KR101586483 B1 KR 101586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signal
receiving
communication module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2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1333A (ko
Inventor
곽중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24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648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1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02Arrangements for relaying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35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 H04H60/48Arrangements for identifying or recognising characteristics with a direct linkage to broadcast information or to broadcast space-time, e.g. for identifying broadcast stations or for identifying users for recognising items expressed in broadcast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04H60/8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computer networks
    • H04H60/88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accessed over computer networks which are wireless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른 무선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재송신함으로써 방송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단말기에서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과, 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신호 또는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송신함으로써 음영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서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질을 개선할 수 있고, 방송신호와 변환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으며, 방송신호 수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방송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DMB, 블루투스, Wi-Fi

Description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for relaying Broadcas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다른 무선통신 방식으로 변환하여 재송신함으로써 방송신호 수신이 불가능한 단말기에서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미디어 방송(Digital 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고 한다) 단말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방송 서비스의 질적 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도심과 같이 고층빌딩이 밀집하거나, 기지국이나 중계기가 충분히 설치되지 않아 방송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은 여전히 존재한다.
따라서 방송수신 단말기가 음영지역을 통과하는 경우, 일시적으로 방송 수신 장애가 발생하여 사용상 불편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사용상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각의 방송수신 단말기가 서로 방송신호를 중계해주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단순히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재송신하는 것보다는 다른 통신방식에 의한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방송신호와, 다른 단말기에서 중계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다양한 휴대 단말기가 공급되고 있는데, 휴대폰이나 MP3플레이어, 전자사전, PMP등의 휴대 단말기는 그 기능이 통합되어 각각의 단말기에 여러 기능이 집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휴대 단말기에 제공되는 모든 기능을 사용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기능이 통합된 단말기를 구매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낭비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단말기에 모든 기능이 구현되지 않고도 단말기 각각의 고유의 기능을 다른 단말기와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예를 들어, DMB 수신 단말기와, DMB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다른 단말기가 서로 통신연결된 상태에서 DMB 수신 단말기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단말기로 신호를 중계해줌으로써 두 단말기 모두에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송신함으로써 음영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서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송신함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신호로 변환하여 재송신함으로써 방송신호와 변환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송신호를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방송신호 수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방송 시청을 가능하게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과; 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신호 또는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통신연결된 타단말기에서 출력할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방송수신모듈로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수신을 명령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와 상기 타단말기에서 출력될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 각각을 상기 방송수신모듈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방송수신모듈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방송신호를 특정 무선통신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방송신호를 변환한 신호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하는 식별자를 상기 무선신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계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중계 방법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도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 및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송신함으로써 음영지역 내에 위치한 단말기에서도 방송을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서비스의 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 및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의하면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재송신함에 있어서 다른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신호로 변환하여 재송신함으로써 방송신호와 변환된 신호를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방송 수신 확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 및 수신 방송 중계 방법에 의하면 방송신호를 다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방송신호 수신 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단말기에서도 방송 시청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방법의 통신망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방법의 통신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의 통신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100, 100', 100")는 원칙적으로 방송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의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에는 방송수신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방송수신모듈은 DMB모듈, DAB모듈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방송신호는 현재 제공되고 있는 음성방송, 화상방송과 데이터방송 등을 포함한 각종 방송신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이때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 100', 100")는 서로 무선통신을 통해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무선통신은 다양한 통신규격에 의한 방식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규격이나, 무선랜 규격 등의 무선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단말기 대 단말기 간의 직접 통신 가능한 모든 무선통신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 기(100, 100', 100")에는 상기 방송수신모듈과 별도의 무선통신모듈이 구비된다.
한편, 방송신호는 위성 또는 기지국 등으로부터 무선으로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신호의 수신율은 지형이나 주변환경 등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그에 따라 방송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지역이 발생하게 된다.
도 1에서는 복수의 방송수신 단말기 중 방송수신 가능지역에 위치한 방송수신단말기(100)가 수신된 방송신호를 음영지역에 위치한 방송수신단말기(100')로 전송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이때 수신된 방송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방송신호와 다른 통신규격의 신호로 전송된다.
그리고 이를 수신한 방송수신단말기(100')에서 수신된 신호를 재전송함으로써 음영지역에 위치한 다른 방송수신단말기(100")에서도 방송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100)는 우선 기지국으로부터 방송신호(A)를 수신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는 방송수신 모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는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 출력부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를 이용한 방송 시청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와 동시에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는 방송수신모듈이 구비되지 않은 방송 미수신단말기(200)로 상기 방송신호(A)를 무선신호(B)로 변환하여 전송한다.
즉, 상기 방송신호(A)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및 텍스트 데 이터 등을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와 상기 미수신단말기(200)에 모두 구비된 무선통신모듈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규격에 따라 변환하여 상기 무선신호(B)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미수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미수신단말기(200)에서는 방송수신모듈이 구비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방송수신단말기(100)를 통해 방송 시청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개략적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는 우선 제어부(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이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데이터 입출력 및 연산, 처리 등을 담당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서 송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되는 통신규격에 맞게 재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는 DMB모듈(20)이 구비된다. 상기 DMB모듈(20)은 위에서 설명한 방송수신모듈의 하나의 실시예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DMB모듈(20)은 상기 제어부(10)의 명령에 따라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 무선통신모듈(30)이 구비된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서는 상기 DMB모듈(20)에서 수신하는 방송신호와 주파수 대역이나 통신규격이 상이한 무선신호가 송수신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DMB모듈(20)을 통해 수신된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이 지원하는 통신규격에 따라 변환함으로써 무선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방송신호가 변환된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송신한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는 다른 방송수신 단말기에서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이 지원하는 통신규격에 따라 변환한 무선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모듈(30)로 다른 방송수신 단말기에서 송신된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이를 증폭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재송신한다.
한편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는 저장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부(40)에는 방송 채널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방송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 채널의 방송만을 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만을 변환하여 무선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수신되는 모든 채널의 방송신호를 변환하여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중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는 출력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출력부(50)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데이터가 출력되는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 출력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DMB모듈(20)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 또는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방송을 청취 또는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DMB모듈(20)에서 방송신호가 수신됨과 동시에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서는 무선신호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신호의 신호강도를 확인한다. 그리고 신호강도가 상기 저장부(40)에 저장된 설정값과 비교한다.
비교 결과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 이하인 경우, 상기 무선통신모듈(30)에서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하고,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DMB모듈(20)을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에 출력한다.
또는 상기 방송신호와 상기 무선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와 상기 무선신호의 신호강도를 비교하여 보다 높은 강도의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송신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무선신호 수신 및 재송신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수신 및 중계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중계 방법은, 우선 상기 방송수신모듈(20)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110).
그리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방송신호가 수신되면 이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이 지원하는 통신규격에 따른 신호로 변환함으로써 무선신호를 생성한다(S130). 이때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무선신호에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방송신호를 변환하여 생성된 신호임이 식별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다른 단말기에서 상기 무선신호가 방송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신호임을 감지하여 해당 단말기 내에서 이를 처리하여 바로 출력하여 제공하거나 또는 상기 무선신호를 재송신하여 방송 중계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제130단계에서 생성된 무선신호는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재송신됨으로써(S150) 다른 단말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10단계에서 수신되는 방송신호는 제공되는 모든 방송채널의 방송신호이거나, 설정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방송채널의 방송신호가 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제130단계에서 무선신호로 변환되는 방송신호도 상기 제110단계에서 수신된 모든 방송신호가 될 수도 있고, 그 중 선택된 방송신호만이 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무선신호 수신 및 재송신 방법은 우선 상기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210).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 사용자가 방송 출력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방송수신모듈(20)은 방송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기설정된 설정값 이하인 것으로 판단되면(S220),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구동하여 상기 무선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S230).
그리고 상기 제230단계에서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재송신할 수 있다(S240). 그와 동시에 수신된 상기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한다(S250).
한편 상기 제 220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한다(S260). 그리고 상기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이 지원하는 통신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신호를 생성한다(S270).
그리고 생성된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재송신한다(S280).
여기서 상기 제240단계 또는 상기 제280단계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30)을 통해 상기 무선신호를 송신할지 여부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은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전원이 오프 될 때까지(S290) 반복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수신 및 중계 방법은, 불특정 단말기에 방송신호를 중계해주는 경우가 아니라,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 인식된 타단말기에만 방송을 중계해주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수신되는 모든 채널의 방송신호가 아니라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 입력되는 명령에 의하여 선택되는 채널의 방송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여 해당 방송신호를 중계해주는 경우의 실시예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와 미수신단말기(200)가 통신연결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S310). 여기서 상기 미수신단말기(200)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구성이 단말기 내에 포함되지 않은 단말기이다. 이때 상기 통신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 모두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서 출력될 제1방송채널이 선택되는 단계(S320)와, 상기 미수신단말기에서 출력될 제2방송채널이 선택되는 단계(S330)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330단계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 상기 미수신단말기(200)가 통신연결됨이 감지되면,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미수신단말기(200)로 방송을 중계해줄지 여부를 질의하는 유저 인터페이스와, 방송 중계를 선택하면, 상기 미수신단말기(200)에 출력할 방송채널을 선택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20단계와 상기 제330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제1방송채널과 상기 제2방송채널이 동일한 경우(S340),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에서는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S350a).
그리고 수신된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의 상기 출력부(50)를 통해 출력함(S360a)과 동시에 상기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S370a) 상기 미수신단말기(20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제320단계와 상기 제330단계에서 선택된 상기 제1방송채널과 상기 제2방송채널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S340) 상기 방송수신 단말기(100)는 튜너를 이용하여 상기 제1방송채널과 상기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한다(S350b).
그리고 수신된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는 상기 제어부(10)에서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50)를 통하여 출력되고, 상기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는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되어(S370b) 통신연결된 상기 미수신단말기(200)로 전송된다(S380).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방법의 통신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의 통신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송신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무선신호 수신 및 재송신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방송수신 단말기의 방송신호 수신 및 중계 방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100', 100": 방송수신 단말기 200 : 미수신 단말기
A: 방송신호 B: 무선신호
10: 제어부 20: DMB모듈
30: 무선통신모듈 40: 저장부
50: 출력부

Claims (16)

  1.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방송수신모듈과;
    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의 통신규격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방송신호 또는 상기 무선신호로부터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통신연결된 타단말기에서 출력할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방송수신모듈로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 수신을 명령하고,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와 상기 타단말기에서 출력될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 각각을 상기 방송수신모듈에서 수신하여 상기 제1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타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 단말기.
  11. 방송수신모듈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방송신호를 특정 무선통신규격에 맞게 변환하여 무선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무선신호가 상기 방송신호를 변환한 신호임을 식별할 수 있도록하는 식별자를 상기 무선신호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식별자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무선통신모듈이 타단말기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수신된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신호의 신호강도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가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설정값을 초과하면 상기 무선통신모듈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 또는 감소시키고, 상기 방송수신모듈에 의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신호강도가 상기 설정값 이하이면 상기 무선통신모듈에 의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송 중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방법은,
    상기 제어부가 상기 타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에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송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송 중계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 방법은,
    상기 식별자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무선신호를 처리하여 출력부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방송 중계 방법.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080072493A 2008-07-24 2008-07-24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KR10158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93A KR101586483B1 (ko) 2008-07-24 2008-07-24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2493A KR101586483B1 (ko) 2008-07-24 2008-07-24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33A KR20100011333A (ko) 2010-02-03
KR101586483B1 true KR101586483B1 (ko) 2016-01-18

Family

ID=42085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2493A KR101586483B1 (ko) 2008-07-24 2008-07-24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64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645A (ja) 2003-07-09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4254A (ko) * 2004-06-28 2004-07-16 (주)씨에스티개발 중계국 연결용 소형 단말기를 이용한 지리정보 시스템
KR100793324B1 (ko) * 2005-10-20 2008-01-1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점자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861323B1 (ko) * 2006-05-19 2008-10-0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휴대용 단말기의 화상 통화 중 방송 중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3645A (ja) 2003-07-09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33A (ko) 2010-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7701B1 (ko) 단일 무선 수신기의 복수의 동조기
US90260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music
US20150078554A1 (en) Wireless personal listening system and method
KR102068340B1 (ko) 커버리지가 증가된 무선 마을방송 시스템
KR101888141B1 (ko) 터널 라디오 방송의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KR100724967B1 (ko) 재난 방송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재난 방송 안내 시스템및 그 방법
KR101105771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79006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파워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586483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수신 방송 중계 방법
KR101434411B1 (ko) 디지털 신호처리(dsp)에 의한 무선방송신호 중계 시스템
US76203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imultaneously communicating on a voice channel and broadcast channel
KR102062770B1 (ko) 마을 공지사항 안내용 디지털 무선 장치의 수신 확인 및 전파 음영 해소 방법
KR100867099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중계장치
KR101930054B1 (ko) T-dmb 하이브리드 중계 장치
JP5202197B2 (ja) スケルチ及び放送用中継局装置
KR100690327B1 (ko) 건물내 지상파 수신 중계장치
KR100770888B1 (ko) Dmb 단말기에서 매너 지역 알림 방법
JP5351736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端末、及び、信号選択方法
KR100664256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수신 감도 개선을 위한 장치
JP2000049636A (ja) 衛星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120095881A (ko) 다수의 무선 채널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그를 구현하는 무선 신호 리피터 및 이동국 장치
US7301471B1 (en) Communications monitor and control for consumer devices
JP5026187B2 (ja) 無線システムと移動局
KR200423093Y1 (ko) 티알에스 알에프 모뎀이 내장된 수신전용 티알에스 무선단말기
KR100744308B1 (ko) 디지털 미디어 방송 시스템에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를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