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781B1 -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781B1
KR101585781B1 KR1020140098236A KR20140098236A KR101585781B1 KR 101585781 B1 KR101585781 B1 KR 101585781B1 KR 1020140098236 A KR1020140098236 A KR 1020140098236A KR 20140098236 A KR20140098236 A KR 20140098236A KR 101585781 B1 KR101585781 B1 KR 101585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oint
correction
clutch
hydraulic pressur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승준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9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7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78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ydraulic Clutches, Magnetic Clutches, Fluid Clutches, And Fluid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유압 시스템의 진단 및 응답 특성 분석만으로 터치포인트 보정이 가능함으로써, 터치포인트 보정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일 예로, 입력부에 차량의 누적 주행 거리,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된 유압 신호, 조향 각도, 엑셀 패달 궤도량 및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 등이 입력 및 저장되는 정보 입력 단계;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통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선정하는 과정이 차량의 거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정 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에서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산출부에서 상기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 및 상기 산출부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유압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따라 유압이 제어되는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Method for revising touch point of clutch}
본 발명은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클러치는 액츄에이터를 통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압착되며, 이 때 엔진에서의 구동력이 클러치를 통해 동력 전달계를 타고 바퀴에 전달된다. 한편, 클러치는 온도 변화, 마모, 장기간의 사용 등으로 클러치의 작동 개시점인 터치포인트가 변화된다. 따라서, 클러치의 안정된 작동 및 구동계의 효율 향상을 위해서는 터치포인트의 적절한 조정이 필요하다. 기존에는 유압센서와 회전수 감지 센서를 설치하여 터치포인트의 보정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새로운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함으로써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보정하였다.
본 발명은 유압센서를 이용하여 유압 시스템의 진단 및 응답 특성 분석만으로 터치포인트 보정이 가능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은 입력부에 차량의 누적 주행 거리,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된 유압 신호, 조향 각도, 엑셀 패달 궤도량 및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 등이 입력 및 저장되는 정보 입력 단계;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통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선정하는 과정이 차량의 거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정 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에서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산출부에서 상기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 및 상기 산출부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유압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따라 유압이 제어되는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을 토대로 누적 주행 거리에 따라 클러치의 마모 점검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클러치 마모 점검 필요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유압 응답 시간을 바탕으로 유압 응답 시간이 정상값인지 지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압 응답 시간 지연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기존의 터치포인트를 유지하는 현재값 유지 및 종료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입력부에 입력된 조향 각도 및 엑셀 패달 궤도량의 차량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보정 가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에서 보정 가능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는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될 때까지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는 상기 산출부에서 유압에 대한 유압 응답 곡선을 추출하고, 상기 유압 응답 곡선의 유압의 응답 시간, 기울기, 변곡점을 분석함으로써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출부는 다수의 유압 응답 곡선을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최적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는 상기 산출부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반영되기 전에,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정상적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는 터치포인트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포인트 정상 범위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의하여 적용된 유압의 응답이 제시간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유압 응답 정상 여부 판단 단계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은 유압 시스템의 진단 및 응답 특성 분석만으로 터치포인트 보정이 가능함으로써, 터치포인트 보정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클러치를 이용하는 동력 전달 장치에서 드래그 토크를 저감시켜 에너지 손실을 감소하고, 연비상승 및 동력 전달 장치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압 시스템의 자체 진단을 통하여 균일한 클러치 결합 시간을 확보할 수 있고, 효과적이고 빠른 동력 전달 시간을 보장하여 4WD 시스템의 탈출 및 견인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에서 얻어진 유압 시스템의 응답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클러치 동력 전달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는 피스톤(1), 접시 스프링(2) 및 클러치(3)를 포함한다.
클러치의 동력 전달 과정에서, 먼저 상기 피스톤(1)을 향하여 오일이 유입됨으로써 유압이 발생하며 피스톤(1)이 클러치(3)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일정량 이상의 유압이 발생할 경우, 상기 접시 스프링(2)이 상기 클러치(3) 방향으로 압착되고, 압착된 접시 스프링(2)은 클러치(3)와 접촉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상기 클러치(3) 내의 다수의 플레이트가 압착되고 함께 회전함으로써 동력이 전달된다.
이 때, 상기 접시 스프링(2)이 완전히 압착되어 클러치(3)와 접촉되는 시점을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라고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을 도시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에서 얻어진 유압 시스템의 응답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장치는 입력부(10), 보정 판단부(20), 산출부(30) 및 유압 시스템(40)을 포함한다.
상기 입력부(10)에는 차량의 누적 주행 거리, 유압 센서로부터 감지된 유압 신호,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조향 각도 및 엑셀 패달 궤도량 등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가 입력 및 저장된다.
상기 보정 판단부(20)는 상기 입력부(10)의 정보를 토대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의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산출부(30)는 상기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한다.
상기 유압 시스템(40)은 유압 센서를 포함하며, 유압을 측정하고 상기 산출부(30)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따라 유압을 제어하여 터치포인트를 보정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의 터치 포인트 보정 방법은 정보 입력 단계(S10),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0),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S30),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S40) 및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S5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클러치의 터치 포인트 보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정보 입력 단계(S10)에서는 입력부(10)에 차량의 누적 주행 거리, 유압 시스템(40)의 유압 센서로부터 감지된 유압 신호,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조향 각도 및 엑셀 패달 궤도량 등을 포함하는 차량 상태가 입력 및 저장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에는 클러치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이 미리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들을 토대로 이후 단계들에서 상기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선정하게 된다.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0)에서는 상기 보정 판단부(20)에서 상기 입력부(10)에 입력 및 저장된 정보를 통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클러치 마모 점검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1) 및 유압 응답 시간 지연 여부 판단 단계(S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클러치 마모 점검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1)에서는 상기 보정 판단부(20)가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을 토대로 누적 주행 거리에 따라 클러치의 마모 점검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클러치의 마모 점검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20)는 2차적으로 유압 시스템(40)의 응답 시간 측정을 통한 유압 응답 시간 지연 여부 판단 단계(S22)를 통해 최종적으로 터치포인트의 보정 여부를 판단한다. 즉, 유압이 상기 터치포인트에 도달하기까지의 응답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유압 응답 시간이 기존에 적용되었던 정상값인지, 마모에 의하여 지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한편, 도 1과 같은 클러치 동력 전달 장치의 구조에서, 유압 시스템의 응답과 동력 전달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즉, 클러치 또는 접시 스프링 등의 본체의 내마모 특성에 의한 체적 변화는 유압 시스템의 응답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체의 내부 부식 및 마모에 의한 내부 체적 변화와 압력과의 관계는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1
여기서, P는 발생 압력, t는 시간, β는 체적탄성률(Bulk Modulus), V는 내부 체적, v는 유체 체적, Q는 유량(유체 체적 변화량)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을 통해 압력의 변화량(dP/dt)과 내부 체적(V)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동일한 유체일 경우 체적탄성률(β)은 같으며, 시간당 유체의 체적 변화량(Q)이 동일할 경우 압력 변화량과 내부 체적과의 관계는 [수학식 2]와 같이 반비례 관계임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2
즉, 압력 변화량이 크다는 것은 시간당 변화하는 압력의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곧 유압 시스템의 응답 시간, 즉 클러치의 터치포인트까지 도달하기 위한 유압 시스템의 응답 시간이 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내마모에 의하여 클러치의 내부 체적이 증가하였을 경우, 유압 시스템의 응답 시간은 지연되게 된다. 즉, 내마모에 의해 내부 체적이 증가하면 그만큼 큰 유압이 적용되어야 터치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유압 시스템의 응답 시간이 지연된다. 결국, 유압 시스템의 응답 지연에 따라 동력 전달 또한 지연되고, 이는 시스템의 구동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상기 유압 응답 시간 지연 여부 판단 단계(S22)에서는 이러한 유압 시스템의 응답 지연 여부를 판단하여 최종적으로 터치포인트의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터치포인트의 보정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0) 이후 현재값 유지 및 종료(S25) 단계가 이루어져 기존의 터치포인트 값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S30)에서는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S20)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20)에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선정하는 과정이 차량의 거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 판단하게 된다. 즉, 터치포인트 선정을 위한 유압 응답 특성을 추출하기에 앞서, 유압 발생에 의한 동력 전달 특성이 차량의 거동에 영향을 주지 않는지를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정 판단부(20)는 상기 입력부(10)에 입력 및 저장된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조향 각도 및 엑셀 패달 궤도량 등의 차량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보정 가능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터치포인트의 선정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압에 의해 클러치가 동작됨으로써 운전자가 차량의 거동에 이질감을 느끼거나 구동 계통에 과도한 토크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정 판단부(20)는 보정 가능 상태를 판단한 후 상기 산출부(30)로 터치포인트를 산출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한편, 보정 가능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20)는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할 때까지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S30)를 반복하게 된다.
상기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S40)에서는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S30)에서 보정이 가능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산출부(30)에서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산출부(30)는 터치포인트 보정값 산출에 필요한 정보를 얻기 위해 상기 피스톤에 최대의 유압이 적용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즉, 상기 피스톤에 최대의 유압이 적용되도록 전압을 발생시키고, 상기 유압 시스템(40)은 입력된 전압에 의해 피스톤 내 유압을 발생시키게 되며, 산출부(30)는 이로부터 발생한 유압 응답 곡선을 추출하여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한다.
특히, 상기 유압 시스템의 응답 곡선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의 x축은 시간을 나타내며, y축은 각각 입력 전압과 압력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왼쪽의 그래프는 시간에 따른 전압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전압은 적용될 수 있는 최대의 전압이 적용된다. 그리고 오른쪽의 그래프는 최대 전압이 적용되어 피스톤에 최대의 유압이 적용되었을 경우, 피스톤에서 발생하는 시간에 따른 압력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초기에는 압력이 매우 미세하게 증가하며, 어느 시점 이후부터는 급격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터치포인트 선정 과정에서 필요한 가장 중요한 인자는 유압의 시간당 변화율과 피스톤에 의해 압착되는 대상의 물리적 강성계수이다. [수학식 1]을 확장하여 물리적 강성계수와 유압의 시간당 변화율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피스톤 커버가 강체일 경우 내부 체적(V)의 변화량은 0이며, 이 상태에서 피스톤에 작용하는 압력(P)과 작용력(F) 사이의 관계는 [수학식 3]과 같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3
여기서, A는 피스톤의 단면적이다.
또한, 작용력(F)과 물리적 강성계수(k)와의 관계는 [수학식 4]와 같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4
여기서, x는 피스톤의 이동 거리를 의미한다. 그리고 [수학식 3]을 시간에 대하여 미분하고, [수학식 4]를 적용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5
압력의 변화량(dP/dt)은 [수학식 1]로도 표현될 수 있으며, 유량(Q)이 일정한 조건에서 [수학식 5]와 [수학식 1]을 통해 물리적 강성계수와 압력의 변화량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6
Figure 112014072769965-pat00007
상기 산출부(30)는 상기의 수학식을 이용하여 접시 스프링의 강성계수(kspring) 및 클러치의 강성계수(kclutch)의 차이에 의한 압력 변화량을 감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시 스프링의 경우 클러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강성계수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7]에 따르면, 피스톤에 의해 압착되는 대상이 클러치일 경우 접시 스프링에 비하여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량이 크다. 즉, 도 4에서 시간에 따른 압력의 변화량의 기울기가 더 낮은 영역이 피스톤에 의해 접시 스프링이 압착되는 영역이며, 기울기가 더 큰 영역이 피스톤에 의해 클러치가 압착되는 영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둘 사이의 변곡점이 바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와 근접한 영역임을 알 수 있다.
상기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S40)에서는 이와 같이 유압에 따른 응답 곡선을 추출하여 유압의 응답시간, 기울기, 변곡점을 분석함으로써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한다. 그리고 동일 전압에 대하여 다수의 유압 응답 곡선을 반복적으로 추출함으로써 최적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하게 된다.
상기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S50)에서는 상기 산출부(30)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유압 시스템(40)으로 전송하여 상기 유압 시스템(40)이 새로운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알맞은 유압을 적용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S5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터치포인트 정상 범위 여부 판단 단계 및 유압 응답 정상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포인트 정상 범위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상기 산출부(30)에서 산출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정상적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는 터치포인트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유압 응답 정상 여부 판단 단계에서는 유압의 응답이 제시간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이러한 판단 과정을 거쳐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구동 계통의 목표값으로 반영되며,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으로 유압 시스템의 유압 제어가 실시되어 구동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은 유압센서만을 이용하여 터치포인트의 보정이 가능하므로 터치포인트 보정을 위한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고, 터치포인트의 보정 작업 또한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유압 시스템의 진단 및 응답 특성 분석만으로도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추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적절한 터치포인트 보정을 통해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장치의 드래그 토크를 저감시켜 에너지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연비상승과 함께 동력 전달 장치의 수명을 높임으로써, 라이프 사이클(life cycle)을 보장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유압시스템의 자체 진단을 통하여 균일한 클러치 결합 시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효과적이고 빠른 동력 전달 시간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4WD 시스템의 탈출 및 견인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피스톤 2; 접시 스프링
3; 클러치 10; 입력부
20; 보정 판단부 30; 산출부
40; 유압 시스템

Claims (8)

  1. 입력부에 차량의 누적 주행 거리,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감지된 유압 신호, 조향 각도, 엑셀 패달 궤도량 및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이 입력 및 저장되는 정보 입력 단계;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입력된 정보를 통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클러치의 터치포인트를 선정하는 과정이 차량의 거동 특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보정 가능 상태인지 판단하는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에서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산출부에서 상기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 및
    상기 산출부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유압 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새로운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따라 유압이 제어되는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는,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입력부에 저장된 클러치 수명에 대한 설계 사양을 토대로 누적 주행 거리에 따라 클러치의 마모 점검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클러치 마모 점검 필요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상기 유압 시스템으로부터 측정된 유압 응답 시간을 바탕으로 유압 응답 시간이 정상값인지 지연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유압 응답 시간 지연 여부 판단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필요 여부 판단 단계에서 보정이 필요 없다고 판단되었을 경우, 기존의 터치포인트를 유지하는 현재값 유지 및 종료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는 상기 보정 판단부에서 입력부에 입력된 조향 각도 및 엑셀 패달 궤도량의 차량 상태 정보를 토대로 보정 가능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에서 보정 가능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보정 판단부는 보정 가능 상태로 판단될 때까지 보정 가능 상태 판단 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포인트 선정 단계는 상기 산출부에서 유압에 대한 유압 응답 곡선을 추출하고, 상기 유압 응답 곡선의 유압의 응답 시간, 기울기, 변곡점을 분석함으로써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부는 다수의 유압 응답 곡선을 반복적으로 추출하여 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최적의 터치포인트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포인트 반영 단계는 상기 산출부에서 선정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반영되기 전에,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이 정상적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는 터치포인트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터치포인트 정상 범위 여부 판단 단계; 및
    상기 산출부에서 산출된 터치포인트 보정값에 의하여 적용된 유압의 응답이 제시간에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는 유압 응답 정상 여부 판단 단계가 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KR1020140098236A 2014-07-31 2014-07-31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KR1015857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236A KR101585781B1 (ko) 2014-07-31 2014-07-31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8236A KR101585781B1 (ko) 2014-07-31 2014-07-31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781B1 true KR101585781B1 (ko) 2016-01-14

Family

ID=5517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8236A KR101585781B1 (ko) 2014-07-31 2014-07-31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7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362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20200040973A (ko) 2018-10-10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81A (ja) * 2007-06-27 2009-01-15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制御装置
JP2014095466A (ja) * 2012-11-09 2014-05-22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クラッチのタッチポイント探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6781A (ja) * 2007-06-27 2009-01-15 Nissan Motor Co Ltd 車両の制御装置
JP2014095466A (ja) * 2012-11-09 2014-05-22 Hyundai Motor Company Co Ltd クラッチのタッチポイント探索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8362A (ko) * 2016-12-13 2018-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102579351B1 (ko) 2016-12-13 2023-09-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클러치 제어방법 및 그 제어시스템
KR20200040973A (ko) 2018-10-10 2020-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제어방법
US10801562B2 (en) 2018-10-10 2020-10-13 Hyundai Motor Company Clutch control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92884B2 (ja) 特に自動車を経年劣化・エネルギー効率的に作動させる方法
RU2389625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0591556C (zh) 制动控制器和用于控制制动的方法
JP4506687B2 (ja) ブレーキ制御装置
EP3028910A1 (en) Slip ratio point optim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vehicle control
EP3336373A1 (en) Clutch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9988025B2 (en) Method for ascertaining a pressure-volume characteristic of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and evaluation and/or control apparatus for at least one braking system component of a braking system of a vehicle
US9925971B2 (en) Brake fluid temperature monitoring
KR101724802B1 (ko) 친환경자동차의 제동 제어 방법
US10738841B2 (en) Oil pump control method for DCT
KR101585781B1 (ko) 클러치의 터치포인트 보정 방법
CN104806662B (zh) 用于对机动车的离合器致动器进行定位的方法
JP2015528545A (ja) 摩擦クラッチ装置の接触点を求めるための方法
KR20140048006A (ko) 차량용 클러치의 토크 용량 학습 방법 및 장치
JP4911716B2 (ja) 油圧クラッチの油圧制御装置および油圧制御方法
CN110462244B (zh) 用于确定车辆的摩擦离合器的使用寿命的方法
US11359718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automatic transmission
CN108138871B (zh) 用于控制摩擦离合器的方法
JP2017166694A (ja) 液圧作動システム、特に車両変速機のための液圧作動システムにおいて起こり得る油液位の低下を評価するための方法
KR102252275B1 (ko) 전동식 솔레노이드밸브의 고장 여부 판단 방법
US10830342B2 (en) Line pressure control method for dual-clutch transmission
KR102007983B1 (ko) 변속기 유압 제어 방법
CN108331856B (zh) 用于适配摩擦离合器的接触点的方法
KR102295767B1 (ko) 고도에 대한 차량 진공부스터의 진공압 제어방법
JP2017094758A (ja) 負圧ポンプ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