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552B1 -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552B1
KR101585552B1 KR1020150007199A KR20150007199A KR101585552B1 KR 101585552 B1 KR101585552 B1 KR 101585552B1 KR 1020150007199 A KR1020150007199 A KR 1020150007199A KR 20150007199 A KR20150007199 A KR 20150007199A KR 101585552 B1 KR101585552 B1 KR 101585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water
network
water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7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기
박용균
김경필
정성균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7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5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있어서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 수,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 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수도 사용량 평가 정보와 해당 지역 특성 정보간 상관관계 분석에 기반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SYNTAGMATICALLY MANAGING WATER SUPPLY ON THE BASIS OF BIG DATA}
본 발명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있어서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 수,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 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수도 사용량 평가 정보와 해당 지역 특성 정보간 상관관계 분석에 기반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big data)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도 관망은 필수적인 도시 기반 시설이며, 이에 따라 상수도 관망의 효율적인 관리와 운영을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오랜 역사 속에서 발전을 거듭해 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술 등을 이용한 상수관망의 해석과 이에 따른 지능형 상수도 관망 관리에 관련된 기술들이 많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위와 같은 상수도 관망 관리를 위해서 수용가의 급수충족을 위한 상수도 관망 확장, 노후관 교체, 갱생, 계량기 교체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급, 배수관의 노후 및 시설의 유지관리 불량으로 인해 누수율이 증가하고 유수율이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수관망에 대해 노후된 관망 시설의 체계적인 관리와 유지, 보수 및 누수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대처를 수행할 수 있는 상수관망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증가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상수도 관망 관리를 위해 도입된 운영 시스템에서는 상수관망의 각종 센서 등을 통해 입력되는 상수도 관망 내의 다양한 정보들을 취합하여 관리자에게 실시간 제공하는 수준에 아직 머물러 있다. 다시 말해, 각종 센서들을 통해 수압이나 유량 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면 이의 취합을 통해 관리자 등이 문제 발생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고 있어, 높은 수준의 상수도 관망 관리가 이루어질 수 없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종래 상수도 관망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실시간 제공되는 상수도 관망 내의 다양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다 다양한 정보로의 가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상수관망에 대한 누수 또는 유수율 정체에 대한 정확한 진단 및 신속한 대처를 포함하는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높은 수준의 지능형 상수도 관망 관리 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최근 정부의 정책 변화로 인해 상수관망의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 등의 빅데이터의 사용이 일부 가능하게 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 사용 관련 정보를 융합한 보다 체계적인 상수도 관망 관리의 필요성도 제기되고 있다.
(특허문헌)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10-2011-0116919호(공개일자 2011년 10월 26일)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있어서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 수,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 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수도 사용량 평가 정보와 해당 지역 특성 정보간 상관관계 분석에 기반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으로서,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데이터와 상기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관망 정보를 수집하는 관망 정보 수집부와, 상기 관망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상수 사용량 평가부와, 상기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지역적 특성과 상기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지역 특성 분석부와, 상기 상수 사용량의 평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응용 통계부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설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은,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또는 누수 분포도를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거나, 각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 사용량, 누수 또는 각종 통계 정보를 주제도로 표출시키는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역 특성 분석부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상수 사용량과 누수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공간 분석부와, 상기 상수 사용량과 지역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상관관계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수 사용량 평가부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제1 분석부와, 상기 지역별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제2 분석부와, 각 지역에 대해 연령별, 주야간별 또는 사용 주체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제3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용 통계부는, 상기 응용 통계 정보로써, 상기 상수 사용량에 대한 검침 자료의 공간 DB화 정보,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기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 상수도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물사용량 정보, 1인 1일 물사용량(LPCD) 정보, 물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물사용량과 주거 유형 정보, 인구수 분석 정보 또는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별 거주자수 정보, 거주자의 연령 또는 성별 정보, 상기 각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의 수 정보, 각 사업체의 종업원 수 정보, 연령 또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망 정보는,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량, 수질 또는 수압에 관한 계측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방법으로서,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관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지역적 특성과 상기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의 평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또는 누수 분포도를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사용량, 누수 또는 각종 통계 정보를 주제도로 표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과 누수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과 지역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별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와, 각 지역에 대해 연령별, 주야간별 또는 사용 주체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응용 통계 정보는, 상기 상수 사용량에 대한 검침 자료의 공간 DB화 정보,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기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 상수도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물사용량 정보, 1인 1일 물사용량(LPCD) 정보, 물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물사용량과 주거 유형 정보, 인구수 분석 정보 또는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별 거주자수 정보, 거주자의 연령 또는 성별 정보, 상기 각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의 수 정보, 각 사업체의 종업원 수 정보, 연령 또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있어서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 수,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 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수도 사용량 평가 정보와 해당 지역 특성 정보간 상관관계 분석에 기반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로그인(log in) 화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메인 메뉴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유량, 수압 모니터링 정보 제공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유량, 수압의 이상상태 발생 위치를 표시시키는 화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 사용량 평가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 특성 분석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총물사용량 및 LPCD 분석 화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화면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에 대한 분석 화면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망을 분석하는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계측 장치(100)는 유량 계측기(102), 수질 계측기(104), 수압 계측기(106)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역별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된 상수도 관망의 각 블록 내 설치되어 각 블록별로 상수도 사용과 관련된 다양한 계측 데이터를 측정한다. 유량 계측기(102)는 각 블록별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를 측정하고, 수질 계측기(104)는 상수의 수질을 측정하며, 수압 계측기(106)는 상수의 수압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는 상수도 관망도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상수관로의 블록을 설정하고, 각 관로의 유량 및 수압을 포함하는 실시간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망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이때, 상수도 관망도는 GIS 서버(206)에서 제공되는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는 위와 같은 관망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유량 관리부(210), 수질 관리부(212), 수압 관리부(214) 등의 관망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다수의 관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량 관리부(210)는 계측 장치(100)로부터 실시간 계측되어 입력되는 지역별 각 블록의 유량 정보 등을 이용하여 블록별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감시 동작 등을 수행한다. 즉, 계측 장치(100) 또는 각종 센서를 통해 수집되는 유량 정보 등의 데이터를 종합하여 블록별 공급 유량 및 유수율 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다양한 알고리즘에 의해 누수량 등을 파악하게 된다.
수질 관리부(212)는 계측 장치(100)로부터 실시간 계측되어 입력되는 지역별 각 블록의 수질 정보 등을 이용하여 블록별 수질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수압 관리부(214)는 계측 장치(100)로부터 실시간 계측되어 입력되는 지역별 각 블록의 수압 정보 등을 이용하여 블록별 수압 감시 동작을 수행한다. 즉 예를 들어 수압 관리부(214)는 감압 밸브의 적정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기 등록하여 두고, 해당 적정 변화 폭을 벗어나는 수압의 변화가 감지되는 감압 밸브에 대해 GIS 기반의 상수도 관망도상에 위치를 표시하거나, 경보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등의 동작을 통해 수압의 이상 발생을 알리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수 정보,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수도 사용량 평가와 해당 지역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통해 지역별 상수 사용량과 관망 노후도, 거주 인구분포간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즉,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한 후,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며, 상수 사용량의 평가에 대한 정보와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와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상수관망에 대한 다양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통계 정보를 바탕으로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라 함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별 거주자수와 거주자의 연령, 성별 정보와 해당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의 수 및 각 사업체의 종업원 수, 연령, 성별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는 빅데이터(big data)의 일부로써 최근 정부의 정책 변화에 따라 공공 사업 부문의 사업을 위해 제공되도록 결정된 정보일 수 있다.
즉,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기존의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를 통해 수집되는 상수관망의 다양한 계측 데이터를 이용하여 단순히 상수 사용량을 측정하는 등의 상수도 관망 상태 분석을 넘어서,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거나 상수 사용량의 특성을 분석한다.
이러한, 상수 사용량 평가를 위해서는 예를 들어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요인 분석, 급수단위의 세부 연령별 인구, 주야간 거주자, 사업체, 가구/주택 종류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요인 분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역적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 모니터링, 상수 사용량, 누수 지역 등에 대한 지리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공간분석, 상수 사용량과 지역의 특성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관측치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묶는 군집분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위와 같은 지역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 정보와 다양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누수 분포도 등을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거나, 각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 사용량, 누수, 각종 통계 정보 등을 주제도로 표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수 사용량에 대한 검침량 자료의 공간 DB화 및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 물사용량 및 1인 일 물사용량(LPCD), 물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물사용량과 주거 유형 및 인구수 분석 정보,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장치(300)는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 접속이 가능한 단말장치로써 개인용 PC, 노트북, 테블릿, 스마트폰 등의 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관리자 또는 운영자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통신망을 통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 접속하는 것을 통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정보 또는 상수도 관망 분석 정보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장치(300)로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 접속하는 경우 도 3에서와 같은 로그인(log in) 화면이 나타날 수 있으며, 해당 화면에서 아이디(ID)와 패스워드(password)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정보와 상수도 관망 분석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 4에서와 같은 메인메뉴의 사용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장치(300)를 통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 접속한 관리자 또는 운영자는 위와 같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메인 메뉴에서 원하는 항목의 선택을 통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정보와 상수도 관망 분석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유량, 수압 모니터링 정보 제공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관리자 또는 운영자는 이러한 정보 제공 화면을 통해 관측 대상 상수관망의 유량, 수압 등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계측 장치별 실시간 자료현황을 선택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500), 계측 장치별 실시간 및 특정 기간 내 계측자료 및 적산 유량을 조회하거나 검색결과를 엑셀 결과 등으로 저장할 수도 있다(502). 또한, 계측 자료별 비교기간(전일/전주/전월/전년도)을 설정하여 결과를 표시시킬 수도 있다(504).
도 6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제공하는 유량, 수압의 이상상태 발생 시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표시시키는 예시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관리자 또는 운영자는 이러한 정보 제공 화면을 통해 관측 대상 상수관망상 유량, 수압 등에 이상이 발생한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유량, 수압의 이상상태가 발생한 위치가 상수도 관망도 상에서 색깔이나 특정 심볼의 형태로 구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600).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통신부, 관망 정보 수집부, 상수 사용량 평가부, 지역 특성 분석부, 응용 통계부, 정책 설정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빅데이터 기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의 각 구성요소에서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통신부(700)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과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간 관망 정보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interface)하고,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과 GIS 서버(206)간 GIS 데이터의 송수신을 인터페이스한다.
관망 정보 수집부(702)는 통신망상 GIS 서버(206)로부터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 데이터와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누수, 수압, 유수율 정보를 수집한다.
상수 사용량 평가부(704)는 관망 정보 수집부(702)로부터 수집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평가한다.
이때, 상수 사용량 평가부(704)는 상수 사용량 평가를 위해서 예를 들어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요인 분석, 급수단위의 세부 연령별 인구, 주야간 거주, 사업체, 가구/주택 종류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요인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수 사용량 평가부(704)는 단순히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수 사용량에 대해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와 연계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상수 사용량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상수도 관망 관리, 유지, 보수에 대한 작업 시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상수 사용량 평가부(704)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상수 사용량 평가부(704)는 위와 같은 상수 사용량 평가를 위한 다양한 분석을 위해 내부에 제1 분석부(800), 제2 분석부(802), 제3 분석부(8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도 8을 참조하면, 제1 분석부(800)는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분석부(802)는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제3 분석부(804)는 각 지역에 대해 연령별, 주야간별, 사용 주체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원인을 분석할 수 있다.
지역 특성 분석부(706)는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이때, 지역 특성 분석부(706)는 지역적 특성 분석을 위해서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 모니터링, 상수 사용량, 누수 지역 등에 대한 지리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공간분석, 상수와 지역의 특성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관측치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묶는 군집분석 등을 수행하여 지역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9는 지역 특성 분석부(706)의 상세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지역 특성 분석부(706)는 위와 같은 인문 사회적 정보와 연계한 다양한 분석을 위해 내부에 모니터링부(900), 공간 분석부(902), 상관관계 분석부(90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위 도 9을 참조하면, 모니터링부(900)는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공간 분석부(902)는 상수 사용량과 누수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상관관계 분석부(904)는 상수 사용량과 지역별 특성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총물사용량 및 LPCD 분석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위 도 10을 참조하면, 위와 같은 다중 상관 분석 화면은 분석항목 선택 메뉴(1000), 평균 및 비교 대상지 리스트(1002), 다중 비교 챠트(1004)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 사용량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는 경우 지역적 특성 정보를 예를 들어, 각 블록의 총 물사용량, 가구수, 사업체수, 1인 일 물사용량(LPCD), 평균나이, 인구 등의 항목으로 구분하여 표시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각 항목에서 측정된 값을 선으로 연결하는 경우 도 10의 중앙에 표시된 바와 같은 다중 비교 챠트(1004)로 표시시킬 수 있다.
이때, 위와 같은 다중 비교 차트(1004)를 참조하면, 총 물사용량이 유사하더라도 지역별로 사업체수, 평균나이, 1인 일 물사용량 등과 같은 다른 항목의 값이 매우 상이한 것을 알 수 있는 등 상수 사용량과 지역적 특성에 대한 다양한 상관관계 정보를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균값(1006)을 기준으로 분석하는 경우, 낙성대2 중블록(1008)는 총물사용량은 평균 총물사용량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낙성대2 중블록(1008)의 경우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가구수는 큰 차이가 없으나, 다른 지역에 비해 사업체수가 많이 분포되어 있어 유동 인구가 많은 것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또한, 총 물사용량에 비해 1인 1일 물사용량(LPCD)은 적은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또한, 방배3 중블록(1010)은 1일 1일 물사용량(LPCD)의 평균 LPCD보다 많은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방배3 중블록(1010)의 경우 가구수와 인구, 총물사용량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지만, 가정용수의 소비와 거주자의 평균연령이 높아 1인 1일 물사용량이 증가한 것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위 도 11의 분석화면은 도 10의 분석 결과를 좀더 세분화하여 표시한 것으로, 거주여건에 따라 상수 사용 패턴의 다른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주택 밀집지역에서는 2030세대 거주자의 물사용량이 많은 반면, 아파트(APT) 밀집 지역에서는 10세 미만 거주자의 물사용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거주 유형과 세대별 상수 사용 패턴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중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에 대한 분석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위 도 12를 참조하면,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에 대한 분석 화면에서는 화면 좌측의 메뉴(1200)의 선택을 통해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산출되는 다양한 정보의 확인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참조번호 (1202)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년도별 상수도 관망 주제도 및 노후 관로 밀도 화면을 통해 노후 관로의 밀도가 높은 지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참조번호 (1204)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인구밀집 지역 주제도 및 밀도 화면을 통해 인구가 밀집된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참조번호 (1206)에서와 같이 표시되는 공사와 민원 건수 분석 화면을 통해 지역별 가구수와 사업체 수, 1인 1일 물사용량에 따른 공사와 민원건수간 상관관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도 10 내지 도 12에서와 같은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 분석 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상수 사용량에 따른 상수관망의 관리, 유지 또는 보수 등에 있어서, 단순한 물사용량 정보만을 이용해서 상수관망의 관리, 유지 또는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인문 사회적 정보를 통해 분석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정책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응용 통계부(708)는 상수 사용량의 평가에 대한 정보와 지역별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응용 통계부(708)는 위와 같은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검침량 자료의 공간 DB화 및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 상수 사용량 및 LPCD, 상수 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상수 사용량과 주거 유형 및 인구수 분석 정보,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정책 설정부(710)는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한다. 즉, 정책 설정부(710)는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사용자 수 정보, 연령 정보, 사용자의 주체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분석된 상관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응용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 사용량과 관망 노후도, 거주 인구분포 등을 고려함으로써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하도록 한다.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712)는 지역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 정보와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누수 분포도를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고,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 사용량, 누수, 각종 통계 정보를 주제도로 표출시킨다.
제어부(716)는 메모리부(714)에 저장된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예 따른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에서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간 상관관계의 분석을 통해 산출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관망을 분석하는 동작 제어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통신망상 GIS 서버(206)로부터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 데이터를 수집한다(S10). 이때,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이와 같이 수집한 GIS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수도 관망도를 작성할 수 있다.
이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를 통해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누수, 수압, 유수율 정보를 포함하는 관망 정보를 수집한다(S12). 이때, 이러한 관망 정보는 각 지역내 블록마다 설치되는 계측 장치(100)를 통해 계측되어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로 전송되는 정보로써,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상수도 관망 모니터링 장치(202)와 연동하여 관망 정보를 수집하고, 이러한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와 연계한 상관관계 분석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위와 같이 GIS 데이터와 관망 정보를 수집한 경우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관망 정보와 GIS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평가한다(S14). 이때,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이러한 상수 사용량 평가를 위해서 예를 들어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요인 분석, 급수단위의 세부 연령별 인구, 주야간 거주, 사업체, 가구/주택 종류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요인 분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단순히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모니터링하는 것 뿐만 아니라, 상수 사용량에 대해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와 연계한 다양한 분석을 통해 상수 사용량 평가를 수행함으로써 상수도 관망 관리, 유지, 보수에 대한 작업 시 정책을 효율적으로 수립하는데 보다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지역적 특성과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S16). 이때,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지역적 특성 분석을 위해서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 모니터링, 상수 사용량, 누수 지역 등에 대한 지리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공간분석, 상수와 지역의 특성 요인별 상관관계분석, 관측치들을 동일한 집단으로 묶는 군집분석 등을 수행하여 지역 특성을 분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상수 사용량의 평가에 대한 정보와 상기 지역별 특성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한다(S18). 이때,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위와 같은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함에 있어서, 예를 들어 검침량 자료의 공간 DB화 및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 상수 사용량 및 LPCD, 상수 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상수 사용량과 주거 유형 및 인구수 분석 정보,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이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204)은 위와 같이 생성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특성에 맞게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한다(S20).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에 있어서 상수도 관망을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블록화하고, 블록화된 각 지역에 대해 거주자 수, 연령, 성별 정보, 사업체 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인문 사회적 정보와 상수도 사용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상수도 사용량 평가 정보와 해당 지역 특성 정보간 상관관계 분석에 기반한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또는 보수를 위한 최적의 정책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700 : 통신부 702 : 관망 정보 수집부
704 : 상수 사용량 평가부 706 : 지역특성 분석부
708 :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 710 : 정책 설정부
714 : 메모리부 716 : 제어부

Claims (13)

  1.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에 대해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지역별 각 블록의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검사를 수행하는 유량 관리부와,
    상기 각 블록의 수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수질 감시를 수행하는 수질 관리부와,
    상기 각 블록의 수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수압을 감시하고, 상기 수압의 감시에 있어서 감압 밸브별 기설정된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등록하여 두고, 상기 변화 폭을 벗어나는 수압의 변화가 감지되는 감압 밸브에 대해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기반의 상수도 관망도상에 위치를 표시시키고, 경보를 발생시켜 이상 발생을 알리는 수압 관리부와,
    상기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 데이터와 상기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관망 정보를 수집하는 관망 정보 수집부와,
    상기 관망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되는 상기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상수 사용량 평가부와,
    상기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지역적 특성과 상기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지역 특성 분석부와,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응용 통계부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와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하는 정책 설정부와,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또는 누수 분포도를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거나, 각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 사용량, 누수 또는 각종 통계 정보를 주제도로 표출시키는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는, 상기 세부 블록별 설치된 미터기, 밸브 또는 파이프의 상태 정보를 계층화하여 화면상 표시시키고, 각 장비의 선택 시 해당 장비의 상세 정보가 표시되도록 하며, 상기 수압 감시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감압 밸브에 대해 상기 상수도 관망상 상기 감압 밸브가 위치한 블록에 대응되는 GIS 기반 상수도 관망도 화면에서 이상 발생을 표시시키며,
    상기 지역 특성 분석부는,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 모니터링, 상기 상수 사용량 및 누수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공간분석 정보, 상기 상수 사용량과 각 지역의 특성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 및 관측치를 동일한 집단으로 묶는 군집분석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상수 사용량 평가부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제1 분석부와, 상기 지역별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제2 분석부와, 각 지역에 대해 연령별, 주야간별 또는 사용 주체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제3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응용 통계부는, 상기 응용 통계 정보로써, 상기 상수 사용량에 대한 검침 자료의 공간 DB화 정보,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기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 상수도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물사용량 정보, 1인 1일 물사용량(LPCD) 정보, 물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물사용량과 주거 유형 정보, 인구수 분석 정보 또는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별 거주자수 정보, 거주자의 연령 또는 성별 정보, 상기 각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의 수 정보, 각 사업체의 종업원 수 정보, 연령 또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망 정보는,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량, 수질 또는 수압에 관한 계측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8. 유량 관리부, 수질 관리부, 수압 관리부, 관망 정보 수집부, 상수 사용량 평가부, 지역특성 분석부, 응용 통계부, 정책 설정부,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를 포함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에서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방법으로서,
    상기 유량 관리부에서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에 대해 지역별로 다수의 블록으로 분할하고, 상기 지역별 각 블록의 유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유량 분석을 통한 누수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질 관리부에서 상기 각 블록의 수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수질 감시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수압 관리부에서 상기 각 블록의 수압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블록의 수압을 감시하는 단계와,
    상기 관망 정보 수집부에서 관리 대상 상수도 관망의 GIS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관망 정보 수집부에서 상기 상수도 관망의 지역별 관망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 평가부에서 상기 관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을 측정하고,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을 평가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특성 분석부에서 상기 지역별 대응되는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상기 지역적 특성과 상기 상수 사용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응용 통계부에서 상기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와 상기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응용 통계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정책 설정부에서 상기 응용 통계 정보와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유지, 관리 및 보수를 위한 정책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에서 상기 지역별 상수 사용량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 정보와 상기 응용 통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 관망의 시설물 노후화, 시설물 밀집 분포도, 민원 밀집도 또는 누수 분포도를 해당 위치에 표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주제도 및 그래픽 화면 통계부에서 지역내 세부 블록별 물사용량, 누수 또는 각종 통계 정보를 주제도로 표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평가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별 인문 사회적 정보를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상수 사용량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지역별 1인 1일 상수 사용량 편차 발생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와,각 지역에 대해 연령별, 주야간별 또는 사용 주체별 상수 사용량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지역적 특성에 대한 정보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 및 누수 지역에 대한 GIS 데이터 사이의 패턴과 관계를 분석하는 단계와, 상기 상수 사용량과 각 지역의 특성 요인별 상관관계 분석 및 관측치를 동일한 집단으로 묶는 군집분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제도로 표출시키는 단계는, 상기 세부 블록별 설치된 미터기, 밸브 또는 파이프의 상태 정보를 계층화하여 화면상 표시시켜 각 장비의 선택 시 해당 장비의 상세 정보를 표시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압 감시를 통해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된 감압 밸브에 대해 상기 상수도 관망상 상기 감압 밸브가 위치한 블록에 대응되는 GIS 기반의 상수도 관망 화면에서 이상 발생을 표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압을 감시하는 단계는, 감압 밸브별 기설정된 압력 변화 폭을 선정하여 등록하여 두고, 상기 변화 폭을 벗어나는 수압의 변화가 감지되는 감압 밸브에 대해 GIS 기반의 상수도 관망도상에 위치를 표시시키고, 경보를 발생시켜 이상 발생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응용 통계 정보는, 상기 상수 사용량에 대한 검침 자료의 공간 DB화 정보, 유형별 밀집도 분석에 대한 정보, 상기 상수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보, 상수도 관망 시설의 적절성 평가 정보, 총물사용량 정보, 1인 1일 물사용량(LPCD) 정보, 물사용량과 유형별 상관관계 분석 정보, 물사용량과 주거 유형 정보, 인구수 분석 정보 또는 관망 노후도와 거주 인구 분포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문 사회적 정보는,
    각 지역에 거주하는 세대별 거주자수 정보, 거주자의 연령 또는 성별 정보, 상기 각 지역에 위치한 사업체의 수 정보, 각 사업체의 종업원 수 정보, 연령 또는 성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방법.

KR1020150007199A 2015-01-15 2015-01-15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85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99A KR101585552B1 (ko) 2015-01-15 2015-01-15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7199A KR101585552B1 (ko) 2015-01-15 2015-01-15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552B1 true KR101585552B1 (ko) 2016-01-22

Family

ID=55309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7199A KR101585552B1 (ko) 2015-01-15 2015-01-15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552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636B1 (ko) * 2016-04-06 2016-12-20 주식회사 한미엔텍 상수도 관망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731215B1 (ko) * 2016-06-03 2017-04-27 전대수 블록 유수율 편차 원인 해소를 위한 요금관리 시스템 상의 수전 오류 분석 및 데이터 관리 방법
WO2018070577A1 (ko) * 2016-10-14 2018-04-19 민상기 상수 관망의 보수구간 선정 방법
KR20190018293A (ko) 2017-08-14 2019-02-22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통한 음향기반 상수도 누수 진단 방법
KR101969885B1 (ko) * 2018-01-25 2019-04-17 경기도 부천시 향상된 스마트 수도 미터링과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는 스마트 물 관리 데이터 기반의 지능정보 행정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9960712A (zh) * 2019-01-24 2019-07-02 杭州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信息系统的城市管网监测系统
KR102101624B1 (ko) * 2019-08-22 2020-04-17 (주)케이엠에스 대단지 수용가 후방지역 적수 및 출수 불량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CN111080129A (zh) * 2019-12-16 2020-04-28 浙江清环智慧科技有限公司 排水管网监测点的评分方法、装置和电子设备
US10833255B2 (en) 2017-09-21 2020-11-10 Hitachi High-Tech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tunnel junction element,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2273732B1 (ko) * 2021-03-03 2021-07-07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미계측 영업지 일일 물사용량 산출 시스템
CN114488987A (zh) * 2022-02-14 2022-05-13 海澜智云(上海)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互联网智慧用水监控系统
KR102486649B1 (ko) * 2021-12-07 2023-01-12 (주) 그린텍아이엔씨 최대수압을 이용한 상수관망 관리 시스템
KR20230064858A (ko) 2021-11-04 2023-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수관망 수질 중점관리지점의 우선순위와 수질센서의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9634A (ko) * 2021-11-12 2023-05-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83270B1 (ko) * 2022-12-27 2023-09-27 (주)한국융합아이티 물환경 계측데이터 관리 시스템
KR102634435B1 (ko)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102634639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클러스터링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8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46065B1 (ko) 2022-10-25 2024-03-11 (주) 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CN117709655A (zh) * 2023-12-15 2024-03-15 江苏长三角智慧水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给水管网用水量的分配方法及系统
KR20240062396A (ko) 2022-10-31 2024-05-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성분석과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이용한 상수관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99094B1 (ko) * 2023-09-08 2024-09-30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부동산정보제공을 위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하 상하수도관 위치 예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7A (ko) * 2008-12-16 2010-06-24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유역의 물 순환관리 시스템
KR20110116919A (ko) 2010-04-20 2011-10-26 (주)모리트 방향성 그래프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KR101305864B1 (ko) * 2013-04-26 2013-09-09 (주)웹솔루스 지자체 행정정보를 활용한 물사용량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40145637A (ko) * 2010-03-04 2014-12-24 타카두 엘티디. 상수도 네트워크의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7A (ko) * 2008-12-16 2010-06-24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유역의 물 순환관리 시스템
KR20140145637A (ko) * 2010-03-04 2014-12-24 타카두 엘티디. 상수도 네트워크의 자원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6919A (ko) 2010-04-20 2011-10-26 (주)모리트 방향성 그래프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KR101305864B1 (ko) * 2013-04-26 2013-09-09 (주)웹솔루스 지자체 행정정보를 활용한 물사용량 평가방법 및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허문헌)

Cited B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636B1 (ko) * 2016-04-06 2016-12-20 주식회사 한미엔텍 상수도 관망 관리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1731215B1 (ko) * 2016-06-03 2017-04-27 전대수 블록 유수율 편차 원인 해소를 위한 요금관리 시스템 상의 수전 오류 분석 및 데이터 관리 방법
WO2018070577A1 (ko) * 2016-10-14 2018-04-19 민상기 상수 관망의 보수구간 선정 방법
KR102006206B1 (ko) * 2017-08-14 2019-08-01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통한 음향기반 상수도 누수 진단 방법
KR20190018293A (ko) 2017-08-14 2019-02-22 오토시맨틱스 주식회사 딥러닝을 통한 음향기반 상수도 누수 진단 방법
US10833255B2 (en) 2017-09-21 2020-11-10 Hitachi High-Tech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magnetic tunnel junction element,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KR101969885B1 (ko) * 2018-01-25 2019-04-17 경기도 부천시 향상된 스마트 수도 미터링과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하는 스마트 물 관리 데이터 기반의 지능정보 행정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9960712A (zh) * 2019-01-24 2019-07-02 杭州志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地理信息系统的城市管网监测系统
KR102101624B1 (ko) * 2019-08-22 2020-04-17 (주)케이엠에스 대단지 수용가 후방지역 적수 및 출수 불량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 및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
CN111080129A (zh) * 2019-12-16 2020-04-28 浙江清环智慧科技有限公司 排水管网监测点的评分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11080129B (zh) * 2019-12-16 2024-02-20 浙江清环智慧科技有限公司 排水管网监测点的评分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2273732B1 (ko) * 2021-03-03 2021-07-07 대한민국 (관리부서 :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장) 미계측 영업지 일일 물사용량 산출 시스템
KR20230064858A (ko) 2021-11-04 2023-05-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상수관망 수질 중점관리지점의 우선순위와 수질센서의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30069634A (ko) * 2021-11-12 2023-05-1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554245B1 (ko) * 2021-11-12 2023-07-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지반함몰 위험도 평가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486649B1 (ko) * 2021-12-07 2023-01-12 (주) 그린텍아이엔씨 최대수압을 이용한 상수관망 관리 시스템
CN114488987A (zh) * 2022-02-14 2022-05-13 海澜智云(上海)数据科技有限公司 一种工业互联网智慧用水监控系统
KR102646065B1 (ko) 2022-10-25 2024-03-11 (주) 지오그리드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및 상수도 관제 플랫폼 서비스 방법
KR20240062396A (ko) 2022-10-31 2024-05-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감성분석과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이용한 상수관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3270B1 (ko) * 2022-12-27 2023-09-27 (주)한국융합아이티 물환경 계측데이터 관리 시스템
KR20240145390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솔루션
KR102634435B1 (ko) 2023-03-27 2024-02-06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축물 정수 시스템
KR20240145388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지능형 건물 정수 시스템
KR20240145391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물 관리 시스템
KR20240145387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스마트 건물 정수 장치
KR20240145389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건물 자동화 정수 시스템
KR20240145392A (ko) 2023-03-27 2024-10-07 (주) 지오그리드 건물 자동화 정수 장치
KR102634639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클러스터링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34638B1 (ko) * 2023-06-21 2024-02-07 (주)아이티브레인 인공지능 기반의 누수 또는 누출 판단이 가능한 스마트 ami 시스템 및 이에 포함되는 운영 서버
KR102699094B1 (ko) * 2023-09-08 2024-09-30 주식회사 제주알마켓 부동산정보제공을 위한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하 상하수도관 위치 예측 시스템
CN117709655A (zh) * 2023-12-15 2024-03-15 江苏长三角智慧水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给水管网用水量的分配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552B1 (ko) 빅데이터 기반의 상수도 통합 운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7920983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Martínez-Codina et al. Pressure as a predictor of occurrence of pipe break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R101554981B1 (ko) 상수도 관망 관리 서버, 상수도 관망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망 관리 방법
KR101065488B1 (ko)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KR100490292B1 (ko) 웹기반 하수관거 통합 유지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E102011078240A1 (de) Leckageerkennung mittels stochastischer Massenbilanz
Cassidy et al. Taking water efficiency to the next level: digital tools to reduce non-revenue water
JP2016517550A (ja) ブロードバンドネットワークのチャーン予測
GB2507184A (en) Anomaly event classification in a network of pipes for resource distribution
KR102631458B1 (ko) 상수관망 수질 중점관리지점의 우선순위와 수질센서의 최적위치를 결정하는 의사결정 시스템
Zhang et al. Pipe crack early warning for burst prevention by permanent acoustic noise level monitoring in smart water networks
Fiorillo et al. Identification of influential user locations for smart meter installation to reconstruct the urban demand pattern
Bozkurt et al. Development of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leak management components and practices
Martínez García et al. Pressure-based analysis of water main failures in California
Orhan et al. Identification of priority areas for rehabilitation in wastewater systems using ENTROPY, ELECTRE and TOPSIS
US20140350992A1 (en) Integrated maintenance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Bogo et al. Statistical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control charts for monitoring residential water consumption
Chen et al. Data‐efficient and risk‐based pressure sensor placement optimization for water systems
Musaazi et al. Assessing the impact of working pressure on water meter registration
AU20112213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CN107728599B (zh) 一种确定炼化装置阀门状态的方法和装置
Yehia Non-revenue Water Reduction
McCary Value of High Frequency Water Use Data for Evaluating Peak Water Use, Leaks, and Breaks on the Customer Side of the Meter
KR20190100489A (ko) 상수도 관망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운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