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488B1 -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 Google Patents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488B1
KR101065488B1 KR1020090128038A KR20090128038A KR101065488B1 KR 101065488 B1 KR101065488 B1 KR 101065488B1 KR 1020090128038 A KR1020090128038 A KR 1020090128038A KR 20090128038 A KR20090128038 A KR 20090128038A KR 101065488 B1 KR101065488 B1 KR 101065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upply
block management
network
pipe network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1457A (ko
Inventor
차희원
Original Assignee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8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5488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4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가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입력 및 분류되는 단계;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상수도관망의 상수도관망도를 이용해 소정의 자료를 추출하고,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 필수적이지 않은 상수도관을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제외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간략화하는 단계; 절점별 소유역을 분할, 해당일 일수요량을 추출, 수도요금자료를 이용한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의 데이터베이스화,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을 기초로 절점별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 간략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과 분할된 상기 절점별 소유역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지번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소유역별 지번과, 추출된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산정된 상기 절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절점 사용수량을 추정하는 단계; 유출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정된 상기 절점 사용수량과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수도관망, 블록관리, 신경망 모형, 유전자 알고리즘, 관망해석, 일수요량

Description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BLOCK MANAGEMENT METHOD USING REAL-TIME WATER NETWORK ANALYSIS OF WATER SUPPLY}
본 발명은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효율적으로 상수도관망을 관리할 수 있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금까지의 상수도 사업은 수용가의 급수충족을 위한 확장사업, 노후관 교체, 갱생, 계량기 교체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되고 있으나, 급, 배수관의 노후 및 시설의 유지관리 불량으로 인해 누수율이 증가하고 유수율이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수도 시설관련 설계용역 광역 상수도 수도시설의 기본 및 실시설계, 배수지설계 등의 주로 보고서와 상수도 관리대장 도면 등의 문서 형태들을 토대로 하는 수작업 형태의 상수도 시설운영을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문서 형태를 토대로 하여 수작업에 의하여 상수도 시설을 운용할 경우에 상수도 시설의 운영 계획, 유지보수, 수요예측, 누수복구 등에 대해서 신속히 대처할 수 없으며, 상수도관망 상태에 대하여 흐르는 수량 및 수압 등 상수도 시설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없으며, 수관망의 관리를 적절히 할 수 없다.
그리고 상수도의 급수량은 제어기능을 갖는 밸브제어에 의하며, 이는 현장의 기능요원들에 의하여 관리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기준을 가지고 관망의 관리를 할 수 없으며 효과적이고 신속한 조치를 취하기 위한 적정한 운영시스템의 도입이 시급히 필요하다.
그리고 현재 상수도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에서는 노후관에 대한 명확한 개념조차 정립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며, 노후관 교체 또는 누수탐사 등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는 상수도 관로에 대한 유지 및 관리에 있어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이 결여된 상태이며, 관리 자료나 공사기록도 종이문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보관 및 검색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수도 시설물의 효율적인 관리 및 수량의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양질의 수량을 풍부하게 공급하고, 운영관리자에게 효율적인 상수도관망의 관리, 누수방지 및 대책에 관한 지원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급수량의 변화는 기후와 많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실적으로 효율적인 일수요량에 대한 예측 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급수량의 일중 변화는 선형관계보다는 비선형적인 측면이 더 우세하기 때문에 이런 측면에서 기존의 수학적 연속방정식 모형이나 통계학적 다중선형회귀 모형 은 상당히 부족한 측면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효율적으로 상수도관망을 관리할 수 있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가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입력 및 분류되는 단계;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상수도관망의 상수도관망도를 이용해 소정의 자료를 추출하고,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 필수적이지 않은 상수도관을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제외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간략화하는 단계; 절점별 소유역을 분할, 해당일 일수요량을 추출, 수도요금자료를 이용한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의 데이터베이스화,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을 기초로 절점별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 간략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과 분할된 상기 절점별 소유역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지번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소유역별 지번과, 추출된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산정된 상기 절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절점 사용수량을 추정하는 단계; 유출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정된 상기 절점 사용수량과 계 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기존 상수도관망에 골격화를 적용하여 복잡한 모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 적용 시 발생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차후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키면서 해석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효율적으로 상수도관망을 관리할 수 있다.
둘째, 골격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함으로써, 펌프, 감압밸브 등의 정상가동여부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하고, 시간에 대한 모형의 정확성을 검토할 수 있으며, 관경, 재료, 형태, 매설연도에 따른 손실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셋째, 최적화된 모형의 모의결과를 기준으로 실측값 검토가 가능하고, 비정상적인 압력감소나 유량저하 등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다.
넷째, 상수도관망 내 모든 지점에 계측기의 설치가 불가능하더라도 최적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의 모의결과가 활용됨에 따라, 미계측 지점에 대한 유량, 압력 및 수질에 대한 검토를 할 수 있다.
다섯째, 상수도관망 내 상수의 체류시간, 수원별 구성비율, 수질항목 등을 검토하여 각각 상수도관망 내 존재하는 수량의 체류시간, 상수도관망 내 존재하는 수량의 특정 수원의 비율, 각 지점별 잔류염소 등 수질항목에 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중 검정 및 검정을 하는 단계의 세부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중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의 세부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된다.
먼저,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가 블록관리시스템으 로 입력 및 분류된다(S101).
그러면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상수도관망의 상수도관망도를 이용해 소정의 자료를 추출하고,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한다(S102).
그리고 상기 소정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 필수적이지 않은 상수도관을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제외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간략화한다(S103).
이때,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 필수적이지 않은 상수도관은 관경이 100mm 이하의 아주 작은관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상수도관망은 관경이 400mm이상인 중요 본관이나 주거지역, 상업지역, 다른 국부적인 수도지역에 수돗물을 수송하는 관경이 250mm 내지 300mm인 2차적인 본관을 포함하며, 관경 150mm 내지 200mm인 작은관은 격자형을 형성하거나 특별한 문제가 있는 지역을 상세하게 고려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든 상수도관을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에 포함시킬 경우 국부적인 지역에서 수요예측에 대한 모형의 민감도가 크기 때문에 모의 결과에 오류가 존재할 가능성이 커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기존 상수도관망에 골격화를 적용하여 복잡한 모형을 단순화시킴으로써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 적용 시 발생되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로 인해, 차후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최소화 시키면서 해석의 정확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서는 효율적으로 상수도관망을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간략화하는 단계(S103) 다음에는 절점별 소유역을 분할하고(S104), 해당일 일수요량을 추출하며(S105), 수도요금자료를 이용하여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을 기초로 절점별 가중치를 산정한다(S106).
확정된 가중치는 추정된 본관 일수요량에 적용하여 최적화된 모형 활용 시 이용되고, 절점별로 분할된 상기 소유역은 상기 GIS 상에서 적용된다.
상기 단계들(S104, S105, S106)은 상기 블록관리시스템과 관망해석시스템을 연계하여 차후 상기 계측기가 미설치된 지점의 모니터링과 같은 기능을 활성화하려면 최소한의 골격화를 적용하고 절점별로 지번을 그룹화하여 관리하고 통계 분석을 통해 수요량 분배에 적용하기 위해 수반되어야 한다.
그리고 해당 소유역별로 지번 정리에 대한 검침량을 분석하여 과거 검침량에 대한 소유역 지번별 총량을 산정하며,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에 기초한 월/요일별 지점 가중치를 산정하여 해당 블록 내 전체량에 대한 소유역별 비율을 산정함으로써, 수요량 지정 시 가중치에 따라 상수가 지점별로 자동으로 분배된다.
한편, 상기 산정하는 단계(S106) 후에는 간략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과 분할된 상기 절점별 소유역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지번을 데이터베이스화하 고(S108), 추출된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산정된 상기 절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절점 사용수량을 추정한다(S109).
그 다음에는 유출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정된 상기 절점 사용수량과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S107)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을 하며(S110),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한다(S111).
이때, 유출계수(C)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정된 상기 절점 사용수량과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S1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수도관망 내 관거의 연도, 재질, 관경 등 관거의 특성에 따라 그룹으로 분리하고, C의 상하한을 설정하며, 간략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 즉 골격화된 모형의 경우 제외된 소규모 관들의 수송용량까지도 고려해서 결정한다.
또한, 마찰손실 이외의 미소손실수도를 반영하고, 그룹 내 관거는 동일한 C를 부여하며, 그룹이 부여되지 않은 관거의 C는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골격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함으로써, 펌프, 감압밸브 등의 정상가동여부 및 현황 파악이 가능하고, 시간에 대한 모형의 정확성을 검토할 수 있으며, 관경, 재료, 형태, 매설연도에 따른 손실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검정 및 검증을 하는 단계(S110)의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의 모의결과를 하고(S201), 상기 모의결과 및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이 오차율 이내인지 판단한다(S202).
상기 판단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이 오차율 이내인 경우 상기 검정 및 검증을 완료하고(S205), 아닌 경우 관 조도계수를 수정한다(S203).
상기 관 조도계수를 수정한 경우에는(S203) 상기 관 조도계수가 오차율 이내인지 판단한다(S204).
그리고 상기 관 조도계수가 오차율 이내인 경우 상기 검정 및 검증을 완료하며(S205), 아닌 경우 상기 관 조도계수를 수정하는 단계(S203)로 돌아간다.
한편, 상기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기 위해서 신경망 모형에 의한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S113)를 더 포함하고,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추정하는 단계(S113)의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용수수요, 평균기온, 최고기온, 일조량, 일별특성에 대한 입력변수를 결정한다(S301).
그러면 결정된 상기 입력변수로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보완하고(S302), 보완된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관된 입력차원을 조정한다(S303).
그리고 상기 조정에 의해 상기 신경망 모형의 인자를 설정하며(S304), 설정 된 상기 인자를 이용하여 일수요량을 추정한다(S305).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수요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신경망 이론을 적용하는데, 이를 이용하여 비선형모형을 구성하고 기존의 선형방정식으로 불가능했던 일별 수요 예측에 활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인자는 정수장 등에서 실제운영을 통해 수집된 형장 데이터 및 물사용량에 미치는 인자로, 이를 이용해 일수요량 추정 모형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경망 모형은 주기적으로 수집된 운영자료를 기초로 오차 역전파 알고리즘을 학습하며, 상기 신경망 모형으로부터 최적의 일수요량을 추정한다.
예측 시점의 물사용량을 나타내는 현장자료는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주기마다 상위 컴퓨터로 전송되며, 수집된 자료를 상기 신경망 모형에 입력하여 연산주기마다 현재 상태의 일수요량을 연산하여 출력한다.
한편, 상기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상기 해석하는 단계(S111)에 의한 결과와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의 상기 계측기가 설치된 지점의 계측기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단계(S114)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S114)를 통해 상기 상수도관망의 누수를 분석하고, 이상여부를 검토하는 단계(S115)를 더 포함한다.
이를 통해서는 해당 관거의 이상여부를 파악할 수 있고, 압력 및 유량 자료를 활용한 누수 검토가 가능하다.
즉, 최적화된 모형의 모의결과를 기준으로 실측값 검토가 가능하고, 비정상 적인 압력감소나 유량저하 등을 검토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상기 해석하는 단계(S111)에 의해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의 수질을 검토하는 단계(S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검토하는 단계(S116)를 통해서는 상기 상수도관망 내 상수의 체류시간, 수원별 구성비율, 수질항목 등을 검토하여 각각 상기 상수도관망 내 존재하는 수량의 체류시간, 상기 상수도관망 내 존재하는 수량의 특정 수원의 비율, 각 지점별 잔류염소 등 수질항목에 대한 결과를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은 상기 해석하는 단계(S111)에 의해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 상기 계측기가 미설치된 지점을 감시하는 단계(S117)와, 상기 감시하는 단계(S117)를 통해 시설물 가동에 따른 문제를 파악하고, 합리적 시설물 운영방안을 검토하는 단계(S118)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상수도관망 내 모든 지점에 상기 계측기의 설치가 불가능하더라도 최적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의 모의결과가 활용됨에 따라, 미계측 지점에 대한 유량, 압력 및 수질에 대한 검토를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해당 블록으로 유입되는 실측자료를 기초로 실시간으로 모의하고 결과를 검토하면 실시간에 가까운 감시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상기 블록관리시스템과 관망해석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 하여 양방향 통신을 하는데, 주로 상기 계측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측기 관측자료는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되고,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수리 및 수질 모의 결과 등의 분석결과는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서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되며, 상기 분석결과는 관리자단말기로 제공된다.
상기 관리자단말기로 제공되는 자료 및 분석결과는 상수도의 유수율, 누수량, 총 사용유량, 가옥별 개발사용 유량, 수질데이터, GIS 및 시설물 관리, 블록관리, 실시간 상수도 관망해석 등으로, 이를 이용해 관리자는 수요예측과 함께 상수도관의 노후도를 평가할 수 있고, 수 충격해석, 수질예측, 요금관리, 비용효과 분석, 정비우선순의의 선정이 가능하다.
여기서, 실시간으로 상수의 유속, 유량, 수위, 수질, 수압을 측정하기 위해서 상기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의 각 블록 내에는 각 구역별로 상수의 유속과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측기와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계측기, 수질을 측정하는 수질계측기와, 수압을 측정하는 수압계측기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중 검정 및 검정을 하는 단계의 세부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중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의 세부 절차에 대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단위 블록별로 블록화된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가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입력 및 분류되는 단계;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서버에서 제공하는 상기 상수도관망의 상수도관망도를 이용해 소정의 자료를 추출하고,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 필수적이지 않은 상수도관을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제외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간략화하는 단계;
    절점별 소유역을 분할, 해당일 일수요량을 추출, 수도요금자료를 이용한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의 데이터베이스화,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소유역별 수용가 사용량을 기초로 절점별 가중치를 산정하는 단계;
    간략화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과 분할된 상기 절점별 소유역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지번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화된 상기 소유역별 지번과, 추출된 상기 해당일 일수요량과, 산정된 상기 절점별 가중치를 이용하여 절점 사용수량을 추정하는 단계;
    유출계수를 조정하기 위하여 추정된 상기 절점 사용수량과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하는 단계에 의한 결과와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의 상기 계측기가 설치된 지점의 계측기 관측자료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하는 단계를 통해 상기 상수도관망의 누수를 분석하고, 이상여부를 검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의 수질을 검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석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블록관리시스템 내 상기 계측기가 미설치된 지점을 감시하는 단계; 및
    상기 감시하는 단계를 통해 시설물 가동에 따른 문제를 파악하고, 합리적 시설물 운영방안을 검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검정 및 검증하기 위해서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을 해석하기 위해서 신경망 모형에 의한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정 및 검증을 하는 단계는,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의 모의결과를 하는 단계;
    상기 모의결과 및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바탕으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이 오차율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에 의해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모형이 오차율 이내가 아닌 경우 관 조도계수를 수정하는 단계;
    상기 관 조도계수가 오차율 이내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에 의해 상기 관 조도계수가 오차율 이내인 경우 상기 검증 및 검증을 완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는,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입력 및 분류된 상기 상수도관망에 대한 자료 중 용수수요, 평균기온, 최고기온, 일조량, 일별특성에 대한 입력변수를 결정하는 단계;
    결정된 상기 입력변수로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보완하는 단계;
    보완된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상관된 입력차원을 조정하는 단계;
    상기 조정에 의해 상기 신경망 모형의 인자를 설정하는 단계; 및
    설정된 상기 인자를 이용하여 일수요량을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 알고리즘을 적용하기 위해서 상기 상수도관망 내 관거의 특성에 따라 그룹으로 분리하고, 상기 유출계수의 상하한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계측기 관측자료는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에서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기 관측자료를 토대로 분석된 수리 및 수질 모의 결과는 상기 관망해석시스템에서 상기 블록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KR1020090128038A 2009-12-21 2009-12-21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KR101065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38A KR101065488B1 (ko) 2009-12-21 2009-12-21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038A KR101065488B1 (ko) 2009-12-21 2009-12-21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57A KR20110071457A (ko) 2011-06-29
KR101065488B1 true KR101065488B1 (ko) 2011-09-16

Family

ID=44402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038A KR101065488B1 (ko) 2009-12-21 2009-12-21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5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54B1 (ko) 2019-05-30 2020-03-03 (주) 그린텍아이엔씨 상수관로의 최적 수압 관리를 위한 자동임계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압 관리 방법
KR102406907B1 (ko) 2021-10-06 2022-06-10 (주)로커스솔루션 상수관망해석 운영시스템의 관망해석모델 보정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468B1 (ko) * 2013-05-21 2014-12-23 코비이엔씨 주식회사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101674260B1 (ko) * 2014-10-14 2016-11-0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상수관망 수운영 시스템 및 운영방법
KR101562490B1 (ko) * 2015-04-14 2015-10-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휴리스틱 수원 추적 기반 관망 설계 방법
KR101715557B1 (ko) * 2016-03-29 2017-03-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관경 연속성을 고려한 상수도 관망 최적 설계 방법
KR101877459B1 (ko) * 2017-12-29 2018-07-13 (주)파이브텍 IoT에 기반한 상수도관망 전력관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064108B1 (ko) * 2019-03-07 2020-02-11 최시환 실제 사용량을 고려한 상수관망의 분석방법
KR102050487B1 (ko) * 2019-05-14 2020-01-08 마인드원 주식회사 분류식 오수관로 유지관리 시스템의 시뮬레이션 방법
KR102511020B1 (ko) * 2022-08-17 2023-03-16 주식회사 플로워크연구소 배관 시스템을 관리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92A (ko) * 1998-12-05 2000-07-05 김일복 수관망 관리장치
KR20010044727A (ko) * 2001-03-20 2001-06-05 김계현 지아이에스 기반의 상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8292A (ko) * 1998-12-05 2000-07-05 김일복 수관망 관리장치
KR20010044727A (ko) * 2001-03-20 2001-06-05 김계현 지아이에스 기반의 상수도 관망해석 시스템
KR20080005699A (ko) * 2006-07-10 2008-01-15 임철식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354B1 (ko) 2019-05-30 2020-03-03 (주) 그린텍아이엔씨 상수관로의 최적 수압 관리를 위한 자동임계결정 알고리즘을 적용한 수압 관리 방법
KR102406907B1 (ko) 2021-10-06 2022-06-10 (주)로커스솔루션 상수관망해석 운영시스템의 관망해석모델 보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457A (ko)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488B1 (ko)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Wu et al. Water loss detection via genetic algorithm optimization-based model calibration
JP5802619B2 (ja) 設備維持管理業務支援システム
Christodoulou et al.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mittent water supply on the vulnerability of urba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R101283828B1 (ko) 상수관망 진단 시스템
KR100973662B1 (ko) 실증적방법과 수학적방법을 융합하는 하이브리드 기법에 의한 상수도관망에서의 누수탐지시스템
Tabesh Implications of the pressure dependency of outflows of data management, mathematical modelling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KR101556590B1 (ko) 상수도 수용가의 원격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상수관망 누수분석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13521558A (ja) 水道施設網内のリソースをモニタリ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206510A1 (en) Spatially-keyed, consolidated-data-controlled apparatus and method
Özdemir Water leakage management by district metered areas at water distribution networks
Jang A parameter classification system for nonrevenue water management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Farouk et al. Non-revenue water reduction strategies: a systematic review
KR20080005699A (ko) 상수도관망 노후도 성능평가 및 정비개량계획수립 시스템과그 방법
Spedaletti et al. Improvement of the energy efficiency in water systems through water losses reduction using the district metered area (DMA) approach
Bozkurt et al. Development of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leak management components and practices
KR20110086530A (ko) 베이즈 기법을 이용한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KR101812589B1 (ko) 상수도 수용가의 검침데이터를 활용한 옥내누수 진단 방법 및 그 시스템
Leonhardt et al. A software-based sensor for combined sewer overflows
Biard et al. Determining the lifecycle and future replacement cost of distribution network equipment
Bogárdi et al. A Spatial probabilistic model of pipeline failures
Akbarkhiavi et al. A novel ‘pressure index’for predicting number of pipe burs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
US20140350992A1 (en) Integrated maintenance scoring apparatus and method
KR20110086527A (ko) 퍼지기법을 이용한 상수도관망 최적관리시스템
Mamo Virtual district metered area municipal water supply pipeline leak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advance pattern recognizer multi-class support vector machine for risk-based asset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