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468B1 -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468B1
KR101474468B1 KR1020130057089A KR20130057089A KR101474468B1 KR 101474468 B1 KR101474468 B1 KR 101474468B1 KR 1020130057089 A KR1020130057089 A KR 1020130057089A KR 20130057089 A KR20130057089 A KR 20130057089A KR 101474468 B1 KR101474468 B1 KR 101474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mand
water
node
calculated
de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704A (ko
Inventor
현문식
이원우
안미정
이민아
유광태
Original Assignee
코비이엔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앤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비이엔씨 주식회사, 주식회사 유앤유 filed Critical 코비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5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4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3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52Water fil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Flow Control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이 절점별로 물 수요를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WATER DEMAND}
본 발명은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이용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각각 산출하여 분배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시 지역의 용수 공급을 위하여 설치된 상수관망은 도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도시 기반시설 중 하나이다.
현재 국내 상수도 보급률은 특히, 특?광역시의 경우에는 상수도 보급률이 99.9%, 시 지역이 99.1%, 읍 지역이 94.9% 등으로 보급률이 높은 편이다. 그러나, 상수도 통계자료에 따르면, 도시 지역 및 농촌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상수관망의 전국 평균 유수율은 83.5%이며, 90% 이상의 세계 최고 수준의 유수율에 비하여 낮다.
유수율은 정수장에서 생산한 수돗물이 각 가정에 도달하는 양을 백분율로 환산한 수치로(예, 징수율/공급율(%)), 유수율이 낮으면 정수장에서 생산된 물이 정상적으로 사용되지 못 하고, 공급 과정에서 손실되는 양이 많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상수관망 내 유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누수 저감, 계량기 설치, 압력 조절 등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 수리 및 수질해석을 수행하는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은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은 미국 환경청(U.S. EPA)에서 개발한 공개 프로그램인 EPANET2 모델을 수리 및 수질해석 모델로 적용하고 있다. EPANET2 모델은 상용 프로그램들과 비슷한 수준의 정확도를 나타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알려져 있다.
EPANET2 모델은 도 1과 같이 상수관망 내의 주요 절점에 대한 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공급유량, 상수관망 규모, 잔류수압, 수질 등을 예측할 수 있다.
EPANET2 모델은 상수관망 내 수리학적 특성을 온라인 유량계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수용가(需用家)가 위치하고 있는 각 절점의 잔류수압 및 수질을 예측함으로써, 상수관망의 유지보수 및 운영상태 등을 평가하기에 적합하여, 설계 단계뿐만 아니라 운영단계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은 이러한 EPANET2 모델을 실제 상수관망의 운영 조건에 부합되게 적용하기 위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물 수요(Water Demand) 변화를 반영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은 상수관망 내 유입되는 유량계를 설치하고, 측정되는 유입유량 값을 각 절점 또는 수요처에 적정 비율로 분배하여 수리 모델링을 수행한다.
종래에는, 도 1의 각 절점에 초기 적용된 물 수요 분배비율에 따라 다음 식과 같이 측정된 유입유량 값을 시간에 따라 배분하는 방법이 적용되었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1
여기서, Qb는 총 기본 물 수요량이고, Qn은 n 절점에서의 기본 물 수요량이다.
총 기본 물 수요량은 상기 식을 이용하여 각 절점에서의 기본 물 수요량을 합산한 값으로 초기에 결정되고, 실제 운영시에는 온라인 유량계의 측정값(Qt)과 총 기본 물 수요량(Qb)의 비율을 이용하여 보정계수(α)가 산출된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2
여기서, Qt는 특정 시간에 측정된 공급유량, 즉 실제 물 수요량을 의미하고, α는 보정계수이다.
산출된 보정계수(α) 값은 전체 상수관망 각각의 절점(Q₁, Q₂, …, Qn)에 대하여 적용되어, 특정 시간에서의 기본 물 수요(Base water demand)량에 일괄 적용된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3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각 절점의 특성이 시간대별로 균일(Homogenous)하다는 조건이 적용되어야 유효하다.
그러나, 실제 상수관망에서는 시간대별 물수요 패턴(Pattern)이 물수요 지점에 따라 상이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주거 지역은 주간에 주로 물 소비가 많고, 심야 시간대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 반면에, 상업 지역은 주간뿐 아니라 야간에도 물 수요가 발생하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에, 실제 상수관망은 상기 방법과 같이 각 절점의 물 수요 특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가, 대부분의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에는 반영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 상수관망에서의 잔류수압 변화(도 3)를 정확히 모의(Simulation)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상수관망 최적관리시스템이 각 절점의 물 수요 변화 특성을 반영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리학적 시뮬레이션의 결과가 부정확하게 되고,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생하게 된다.
각 절점에서의 잔류수압(Residual Pressure) 예측으로 인한 상수관망 내 압력제어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수관망 내 압력제어 오차는 상수관망 내 누수율 및 노후도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수리모델링 결과를 이용하는 수질 모델링이 부정확함에 따라 잔류염소 주입량에 대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이용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각각 산출하여 분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이 절점별로 물 수요를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 단계는,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 단계는, 상기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체 물 수요량 분배비율,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요 패턴 수신 단계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절점별로 물 수요를 분배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유입유량 측정부; 상기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는 물 수요 패턴 수신부;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는 유입유량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차 보정부는,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는 상기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는, 상기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요 패턴 수신부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함으로써, 지역 특성이나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물 수요와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신뢰도 높은 수리 및 수질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도시 지역의 상수관망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일 물 수요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일 잔류 수압 변화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5는 물 수요량의 오차 보정을 위한 퍼지 함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개요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은 유량계(100),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 및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을 포함한다.
상수관망 운영 관리 시스템의 각 구성들은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네트워크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또는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등과 같은 유선 네트워크나 이동 통신망(mobile radio 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다.
유량계(100)는 상수도에서 상수관망으로 실제로 유입(공급)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한다. 또한, 유량계(100)는 측정된 유입유량 값을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유량계(100)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고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며, 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고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으로 전송하여, 절점별로 각각 산출된 물 수요량만큼 분배하도록 한다.
여기서, 특정 시간은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으로, 예를 들어, 특정 시간은 주기적으로(매 시간 또는 일정 간격의 시간 등) 반복되도록 시스템 운영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은 과거 운영 자료 등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유입유량과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절차를 수행하여, 실제 유입유량에 근접한 물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즉,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유입유량과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은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으로부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수신한다.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은 수신된 절점별 물 수요량에 따라 각 절점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은 해당 시각의 수리 및 수질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300)은 각 절점의 물 수요에 맞게 공급하여, 절점별 특성을 반영하여 물을 적절하게 분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이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실제 유입되는 유입유량 값을 측정하고,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한다. 이를 근거하여, 다음의 [수학식 1]과 같이 전체 물 수요 분배 비율(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4
)이 산출된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5
여기서, Qb는 총 기본 물 수요량, Qt는 특정 시간에 측정된 공급유량(실제 물 수요량),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6
는 특정 시간대의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이다.
즉, [수학식 1]을 이용하여 특정시간의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7
)가 산출된다.
다음으로, 각 절점에 대한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8
)는 다음의 [수학식 2]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44680134-pat00009
여기서,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0
은 주거지역의 각 절점별 오차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1
은 상업지역의 각 절점별 오차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2
은 공업지역의 각 절점별 오차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3
은 기타 지역의 각 절점별 오차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4
은 특정 시간의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5
은 주거지역의 각 절점별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6
은 상업지역의 각 절점별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7
은 공업지역의 각 절점별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8
은 기타 지역의 각 절점별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19
은 특정 시간의 각 절점별, 용도지역 특성별 실제 물 수요량,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0
은 특정 시간의 각 절점별, 용도지역 특성별 기본 물 수요량이다.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된 특정 시간의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1
)는 [수학식 2]에서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기타 지역의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2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3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4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5
)로써 상수로 사용되나, 보정계수를 결정하는 매개변수(parameter)의 값이 변경되는 경우에는 변경된 값을 적용하여 재계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재계산된 특정 시간의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6
) 값이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기타 지역의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7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8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29
,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0
)로 재사용될 수 있다.
각 절점에 대한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1
)를 산출하는 방법에 다변수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이용될 수 있다. 여기서, 다변수 회귀분석은 하나의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인자들의 영향을 서로 보정하여 각 인자들이 실제로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하나의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해준다.
즉, 다변수 회귀분석은 하나의 출력계열에 여러 개의 입력계열이 선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 출력계열과 여러 개의 입력 계열을 선형적으로 결합한 것으로, 출력계열을 종속변수라 하고 입력계열을 독립변수라 하면, 물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용도지역, 시간 등)들은 독립변수, 보정계수는 종속변수가 될 수 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2
여기서, β는 용도지역, 기온, 시각 등에 대한 상수, X는 용도지역, 기온, 시각 등에 대한 매개변수, Y는 보정계수, ε는 오차이다.
Y값은 다음과 같은 매트릭스를 계산하여 산출될 수 있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3
다변수 회귀분석을 통해,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이 반영된 각 절점에 대한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4
)가 산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결과와 실제 측정된 값, 즉 유입유량과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는 오차 보정계수(f; 가중치 보정계수)가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물 수요량의 오차 보정을 위한 퍼지 함수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퍼지 함수를 이용하여, 이미 산출된 각 절점별 물 수요 분배비율(각 절점에 대한 물 수요 보정계수(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5
))과 과거 운영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현재 발생 가능한 물 수요 패턴에 대한 오차 보정이 수행될 수 있다.
퍼지 함수에 의한 가중치 값(Weighting value) 및 보정계수의 산출 방법은 다음 식과 같다.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6
이와 같이,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다변수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반영하고, 퍼지 함수를 이용하여 물 수요 패턴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통하여 각 절점별 물 수요 보정계수(각 절점별 물 수요 분배비율)를 산출하고, [수학식 3]을 이용하여 특정 시간에서의 각 절점에 대한 실제 물 수요량을 산출한다.
[수학식 3]
Figure 112013044680134-pat00037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된 각 절점의 물 수요량은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해당 시각에서의 수리 및 수질모델링을 수행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각 절점의 물 수요량에 보정계수를 동일하게 적용한 종래의 방식과 다르게, 지역 특성과 시간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반영하여 보정계수 값을 절점별로 각각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각 절점이 주거, 상업 지역 등의 지역 특성 및 시간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이 상이한 경우에, 보정계수 값을 절점별로 상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 실제 물 수요와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유입유량 측정부(210), 물 수요 패턴 수신부(220),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 오차 보정부(232) 및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유입유량 측정부(210)는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한다. 유입유량 측정부(210)는 유량계를 포함할 수 있고, 유량계에 의해 유입유량을 측정할 수도 있다. 또한, 유입유량 측정부(210)는 별도로 구비된 유량계로부터 측정된 유입유량 값을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 수요 패턴 수신부(220)는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한다. 즉, 물 수요 패턴 수신부(220)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특정 시간에서의 용도지역별 특성을 수신할 수 있다.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물 수요 패턴 수신부(220)는 절점별 인구 정보를 함께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측정되는 유입유량 값, 물 수요 패턴 등을 시간대별, 절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특정 시간에 측정된 유입유량 및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한다.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은 과거 운영 자료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은 과거 일정 기간 내에 용도지역별 및 시간대별 각 절점의 물 수요량에 대한 평균치로 설정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측정된 유입유량 값과 총 기본 물 수요량의 비율을 이용하여 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후술할 오차 보정부(232)에 의해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이미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에 오차 보정계수를 적용하여 물 수요 패턴에 대한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230)는 오차 보정부(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차 보정부(232)는 유입유량 및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한다.
오차 보정부(232)는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오차 보정부(232)는 이미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또는 절점별 물 수요 분배비율)과 과거 운영 자료를 비교하여 물 수요 패턴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전송부(240)는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 도4 내지 6 참조)은 특정 시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판단 결과, 특정 시간이 된 경우,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한다(S720). 이때,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별도로 구비된 유량계로부터 측정된 유입유량 값을 수신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한다(S730). 이때, 물 수요 패턴 수신부(220)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특정 시간에서의 용도지역별 특성 정보와 함께 절점별 인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특정 시간에 측정된 유입유량 및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한다(S740).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전체 물 수요 보정계수),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할 수 있다.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퍼지(Fuzzy)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S750).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할 수 있다(S760).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한다(S770).
종래의 방식은 각 절점의 물 수요량에 동일한 보정계수 값을 적용하여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이나 시간대별 특성이 반영되지 못 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방식은,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적용하여 절점별 특성을 반영한 물 수요량을 산출하여 분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실제 측정되는 유입유량 값과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실제 조건에 부합한 각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고, 현재 발생 가능한 물 수요 패턴에 대한 오차 보정을 수행하는 것으로, 시간대별, 일별, 월별, 계절별로 변화하는 물 수요를 실제 값에 가깝게 분배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에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하고 상수관망 운영에 필수적인 수압과 수질을 보다 정확히 예측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물 공급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 수요 분배 시스템(200)은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상수관망 내에서 신뢰도가 높은 수리 및 수질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고, 상수관망의 누수저감, 원활한 용수공급, 적정 잔류염소 주입량 제어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유량계
200: 물 수요 분배 시스템
210: 유입유량 측정부
220: 물 수요 패턴 수신부
230: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
232: 오차 보정부
240: 전송부
300: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

Claims (10)

  1. 물 수요 분배 시스템이 절점별로 물 수요를 분배하는 방법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산출 단계는, 상기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체 물 수요량 분배비율,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차 보정 단계는, 퍼지(Fuzzy) 함수 및 다변수 회귀분석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요 패턴 수신 단계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방법.
  6. 절점별로 물 수요를 분배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에 있어서,
    특정 시간에 실제로 유입되는 유입유량을 측정하는 유입유량 측정부;
    상기 특정 시간에 각 절점의 용도지역별 특성 및 시간대별 특성에 따른 물 수요 패턴을 수신하는 물 수요 패턴 수신부;
    상기 유입유량 및 상기 물 수요 패턴에 기초하여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는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상수관망 운영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되,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는 유입유량 및 상기 산출된 절점별 물 수요량과의 오차를 보정하는 오차 보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오차 보정부는 퍼지(Fuzzy) 함수 및 다변수 회귀분석의 조합을 이용하여 상기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오차 보정계수를 산출하고,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 산출부는, 상기 유입유량 및 미리 설정된 총 기본 물 수요량에 기초하여 산출된 전체 물 수요 분배비율,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에 따른 각 절점의 물 수요 보정계수 및 상기 특정 시간에 미리 설정된 각 절점의 기본 물 수요량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절점별 물 수요량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오차 보정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절점별 물 수요량을 재산출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용도지역은, 주거 지역, 상업 지역, 공업 지역 및 기타 지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물 수요 패턴 수신부는,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으로부터 상기 용도지역별 특성을 수신하는, 물 수요 분배 시스템.
KR1020130057089A 2013-05-21 2013-05-21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KR10147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89A KR101474468B1 (ko) 2013-05-21 2013-05-21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7089A KR101474468B1 (ko) 2013-05-21 2013-05-21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04A KR20140136704A (ko) 2014-12-01
KR101474468B1 true KR101474468B1 (ko) 2014-12-23

Family

ID=52456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7089A KR101474468B1 (ko) 2013-05-21 2013-05-21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4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7A (ko) * 2008-12-16 2010-06-24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유역의 물 순환관리 시스템
KR20110065088A (ko) * 2009-12-09 2011-06-15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1457A (ko) * 2009-12-21 2011-06-29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KR101139161B1 (ko) * 2010-12-01 2012-04-26 한국수자원공사 단기 물 수요예측 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9397A (ko) * 2008-12-16 2010-06-24 한화에스앤씨주식회사 유역의 물 순환관리 시스템
KR20110065088A (ko) * 2009-12-09 2011-06-15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 운영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71457A (ko) * 2009-12-21 2011-06-29 이메트릭스 주식회사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KR101139161B1 (ko) * 2010-12-01 2012-04-26 한국수자원공사 단기 물 수요예측 시뮬레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704A (ko) 2014-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berascher et al. Integrated urban water management with micro storages developed as an IoT-based solution–The smart rain barrel
Gomes et al. Estimation of the benefits yielded by pressure management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KR101875885B1 (ko) 관망해석을 통한 상수관망 운영관리시스템
Siano Demand response and smart grids—A survey
Tabesh Implications of the pressure dependency of outflows of data management, mathematical modelling and reliability assessment of water distribution systems.
KR100920502B1 (ko) 다중 상태의 통합 누수 산정 엔진을 적용한 누수 분석 방법및 시스템
CA30315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l-based control of a water distribution system
Hanson et al. Generalized storage–reliability–yield relationships for rainwater harvesting systems
Pearson et al. Calculating economic levels of leakage
US20160314400A1 (en) Prediction of a curtailed consumption of fluid
KR101065488B1 (ko) 상수도의 실시간 관망해석을 통한 블록 관리방법
Abrams et al. An econometric assessment of pricing Sydney’s residential water use
Zhuang et al. Impact of emerging water savings scenarios on performance of urban water networks
Alvisi et al. Using water consumption smart metering for water loss assessment in a DMA: a case study
Pedro-Monzonís et al. Key issues for determining the exploitable water resources in a Mediterranean river basin
Malamataris et al. Integrated hydrological modelling of surface water and groundwater under climate change: the case of the Mygdonia basin in Greece
Saedi et al. Optimal water allocation of the Zayandeh-Roud Reservoir in Iran based on inflow projection under climate change scenarios
KR101474468B1 (ko) 물 수요 분배 방법 및 시스템
Alamanos et al. Hydro-economic modeling and management with limited data: the case of Lake Karla Basin, Greece
Fornarelli et al. Enabling residential hybrid water systems through a water credit–debit system
Almutaz et al. Determinants of residential water demand in an arid and oil rich country: a case study of Riyadh city in Saudi Arabia
KR101758343B1 (ko) 고효율 원격검침 시스템 및 방법
Doolan Sydney water's smart metering residential project: an insight into the benefits, costs and challenges of smart metering
Radivojević et al. Water supply system performance improvement in the town of Pirot using water balance IWA methodology and numerical simulations
Platsko et al. Identification, prediction, and explanation of outdoor residential water consumption using smart meter data:(07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