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543B1 -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 Google Patents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543B1
KR101585543B1 KR1020140113501A KR20140113501A KR101585543B1 KR 101585543 B1 KR101585543 B1 KR 101585543B1 KR 1020140113501 A KR1020140113501 A KR 1020140113501A KR 20140113501 A KR20140113501 A KR 20140113501A KR 101585543 B1 KR101585543 B1 KR 101585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spawning
plate
support
multipurp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3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중
Original Assignee
김정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중 filed Critical 김정중
Priority to KR1020140113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 A01K63/006Accessories for aquaria or terr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1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fish
    • A01K61/17Hatching, e.g.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80Feeding devices
    • A01K61/85Feeding devices for use with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은, 일정한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제1 산란판 및 상기 제1 산란판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산란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과 연결되어 개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산란판을 포함하는 산란부 및 일단이 수조의 일 측벽과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란부와 고정 연결되며, 긴 막대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산란상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어종에 따라 산란 장소의 기울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MULTIPURPOSE SPAWNING BED FOR PROVIDING SPAWNING SITES OF A VARIETY OF AQUARIUM FISH}
본 발명은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에 관한 것이다.
관상어를 키우는 즐거움은 관상어 자체를 감상하는 데 있는 것뿐만 아니라, 관상어의 번식이나 알이나 새끼를 성체로 키우는 데에도 존재한다. 대형의 관람용 수조를 제외한 통상의 관상을 목적으로 한 가정용 수조에서 암수의 성체를 한 수조 안에서 기르게 되면 자연스럽게 교미나 체외 수정을 하여 산란을 하게 된다. 어종 별로 차이는 있으나 대부분은 알이나 작은 유어를 낳게 되고 이를 성체로 잘 성장시키려면 많은 노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흔히 산란상이라 말하는 것은 알을 낳을 장소를 만들어주기 위해 제공해주는 구조물이다. 산란상은 인위적인 구조물뿐만 아니라 천연 구조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런데 각각의 관상어들은 어종에 따라 산란 시 선호하는 산란 장소의 형태가 다르다. 예컨대, 디스커스, 게오파거스, 사타노페르카 등의 어종들은 비교적 작은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고, 엔젤피쉬와 같은 어종은 비교적 큰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한다. 또한 블랙밴드 시클리드나 메기과 어종들은 굴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알을 낳는 것을 선호한다.
통상의 가정용 수조 또는 어항, 수조(이하 "수조"라 한다)에서는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다양한 어종들을 함께 기르게 된다. 이에 따라 각 관상어들의 산란 시에 필요한 산란상을 개별적으로 구입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부담이 발생한다. 아울러 산란상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면 한정된 수조 내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며, 산란상의 크기나 규격이 제조사 별로 다르기 때문에 배치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수조 내의 미관이 악화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원뿔 형태의 산란상의 경우, 안쪽 빈 공간에 배설이 쌓이게 되어 물의 오염을 가속화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시중에 나와 있는 산란상은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고, 무거운 무게 때문에 쉽게 떨어뜨릴 수 있어 수조가 금이 가거나 깨질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어종에 따라 산란부의 기울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 가능한 다용도 산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종에 따라 산란 장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산란 장소의 위치를 이격시킴으로써 산란 장소 바닥의 오염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다용도 산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산란상을 구입해야 할 비용 부담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수조 내의 산란 공간을 최소화하는 다용도 산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조 벽에 걸치는 형태를 가져 부피가 최소화되고, 보관이 용이하고, 분리가 간편하여 물의 오염 시 청소를 간편히 할 수 있는 다용도 산란상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용도 산란상에 있어서, 일정한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제1 산란판 및 상기 제1 산란판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산란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과 연결되어 개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산란판을 포함하는 산란부 및 일단이 수조의 일 측벽과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란부와 고정 연결되며, 긴 막대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산란상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어종에 따라 산란 장소의 기울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산란상은 산란 장소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수조의 바닥으로부터 산란 장소의 위치를 이격시킴으로써 산란 장소 바닥의 오염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산란상은 다양한 관상어들의 부화에 이용될 수 있으므로, 여러 개의 산란상을 구입해야 할 비용 부담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수조 내의 산란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다용도 산란상은 수조 벽에 걸치는 형태를 가져 부피가 최소화되고, 보관이 용이하고, 분리가 간편하여 물의 오염 시 청소를 간편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요소와 제2 고정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의 기울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다용도 산란상을 위에서 내려다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다용도 산란상(1)은 관상어의 산란 장소인 산란부(10)와, 산란부(10)에 연결되며 산란부(10)를 수조에 설치하기 위한 고정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조(미도시)는 측벽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산란부(10)는 제1 산란판(11), 제2 산란판(12), 제1 측면판(13) 및 제2 측면판(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산란판(11), 제2 산란판(12), 제1 측면판(13) 및 제2 측면판(14)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산란판(11), 제2 산란판(12), 제1 측면판(13) 및 제2 측면판(14)은 각각 분리 또는 조립될 수 있다.
제1 산란판(11)은 개구 공간을 형성하는 산란부(10)의 상부에 위치하고, 일정한 넓이를 갖는 판상의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판상이란 판판하고 넓은 면적을 가진 널빤지 형상을 의미하고, 개구 공간이란 관상어가 지나다닐 수 있는 통로로서, 제1 산란판(11), 제2 산란판(12), 제1 측면판(13) 및 제2 측면판(14)이 연결되어 형성된 밀폐 공간 또는 은폐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제1 산란판(11)은 일반적으로 판판하고 넓은 곳에 산란하는 관상어가 산란하는 제1 산란 장소일 수 있다.
제2 산란판(12)은 제1 산란판(11)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며, 제1 산란판(11)의 하부에 수직으로 연결된 제1 측면판(13) 및 제2 측면판(14)과 연결되어 산란부(10)의 개구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산란판(12)은 개구 공간이 형성된 산란부(10)의 하부에 위치하고, 밀폐 또는 은폐된 장소에 산란하는 관상어가 산란하는 제2 산란 장소일 수 있다. 예컨대, 굴속에서 산란을 선호하는 관상어인 블랙밴드 시클리드나 메기과 어종들은 제2 산란판(12)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공간, 즉 제2 산란 장소에서 산란할 수 있다.
제1 측면판(13)은 도 2에 도시된 정면도를 기준으로 개구 공간이 형성된 산란부(10)의 좌측면판을 의미하고, 제2 측면판(14)은 도 2에 도시된 정면도를 기준으로 개구 공간이 형성된 산란부(10)의 우측면판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산란부(10)는 황토 재질, 세라믹 재질, PVC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제조될 수 있다. 황토 재질은 풍부한 규소 성분으로 인해 높은 산소 흡착율을 갖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세라믹 재질은 내구성이 높고 대부분 흰색으로 디스커스 와 같은 특정 어종의 체착 시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PVC 플라스틱 재질은 매끈한 표면으로 인해 이물질이 쉽게 부착되지 않고, 저렴하고,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제1 산란판(11)은 도 2의 정면도를 기준으로, 좌우가 동일한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산란판(11)의 좌우 양측 중 어느 한 측이 고정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고정부(20)는 긴 막대 형상으로서, 제1 고정요소(100), 제2 고정요소(200) 및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제1 고정요소(100), 제2 고정요소(200) 및 지지대(300)는 각각이 분리될 수 있어, 고정부(20)를 장기간 보관 시 공간 확보에 용이하고, 조립 및 보관이 간편한 특징이 있다.
제1 고정요소(100)는 지지대(300)의 일단에 결합 되고, 수조의 일 측벽에 고정 연결되며, 지지대(30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1 고정요소(100)는 수조의 일 측벽 높이에 따라, 지지대(3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어 수조의 일 측벽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하고자 하는 수조의 벽 높이가 다른 경우에도 제1 고정요소(100)의 지지대(300) 상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요소(100)는 수조의 일 측벽과 고정 연결된 후,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수조의 일 측벽과 분리 될 수 있다. 예컨대, 수조 내에 설치한 다용도 산란상(1) 설치 후 관상어들의 산란률이 저조한 경우, 또는 수조 내부의 청소를 하기 위한 경우에, 제1 고정요소(100)를 수조의 일 측벽과 분리함으로써 다용도 산란상(1)을 수조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제2 고정요소(200)는 지지대(300)의 타단 및 산란부(10)와 고정 연결되며, 지지대(30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특히, 제2 고정요소(200)는 산란부(10)와 고정 연결되어, 산란부(10)의 위치가 지지대(300)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할 수 있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어종에 따라 선호하는 수조 바닥으로부터의 산란부(10)의 높이가 다른 경우, 또는 산란부(10) 하단에 오염 노폐물들이 쌓일 경우, 제2 고정요소(20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수조 바닥으로부터 산란부(10)의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원기둥 형태의 긴 막대 형상으로, 제1 고정요소(100)와 제2 고정요소(200)가 지지대(30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지지대(300)는 용이하게 접히거나 또는 쉽게 잘릴 수 있는 스테인리스 봉일 수 있다. 예컨대, 수조의 외부 높이가 지지대(300)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 수조의 일 측벽 상단과 제1 고정요소(100)가 연결된 후, 수조의 높이보다 더 큰 지지대(300)의 부분을 접거나 잘라내어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제1 고정요소와 제2 고정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고정요소(100)는 제1 조임나사(110),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 제1 연결브라켓(130), 제1 조임볼트(140) 및 제1 고정링(150)을 포함한다.
제1 조임나사(110)는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와 결속되고,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를 통해 제1 조임나사(110)를 돌려 지지대(300)에 제1 고정요소(1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는 지지대(300)가 관통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와 결속된 제1 조임나사(110)를 고정 연결 방향으로 돌리는 경우,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를 관통하는 지지대(300)에 제1 고정요소(100)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와 결속된 제1 조임나사(110)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돌릴 경우,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를 관통하는 지지대(300)에 고정된 제1 고정요소(100)가 지지대(30)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제1 지지대결합홈부(120)는 또한 제1 연결브라켓(130)과 결속된 구조일 수 있다.
제1 연결브라켓(130)은 "ㄷ" 자 형태의 구조로서, 수조의 측벽들 중 일 측벽의 상단에 걸쳐서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수조가 직육면체 구조일 경우, 제1 연결브라켓(130)은 수조의 벽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 연결브라켓(130)은 수조의 벽 모양에 따라 형태가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원형 수조일 경우, 제1 연결브라켓(130)은 둥근 모양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조임볼트(14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조임볼트(140)를 조임으로써 상기 수조의 일 측벽에 삽입된 제1 연결브라켓(130)을 수조의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1 고정링(150)은 제1 고정요소(100)가 지지대(300)에서 위로 분리 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관상어들이 제1 고정요소(100)와 충돌하는 경우, 제1 고정요소(100)가 지지대(300) 상에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고정요소(200)는 제2 조임나사(210),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 제2 연결브라켓(230), 제2 조임볼트(240), 제2 고정링(250), 볼베어링(260), 볼베어링접속부(270) 및 볼베어링 조임볼트(280)를 포함한다.
제2 조임나사(210)는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와 결속되고,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시계 방향으로의 조절은 제2 고정요소(200)를 고정 연결하는 방향이고, 반시계 방향으로의 조절은 제2 고정요소(200)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풀어주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는 지지대(300)가 관통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를 관통하는 지지대(300) 상에서 제2 고정요소(200)가 이동할 수 없도록 제2 조임나사(210)를 시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를 관통하는 지지대(300) 상에서 제2 고정요소(20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조임나사(210)를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하여 제2 고정요소(2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풀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임나사(210)는 관상어의 산란 장소의 높이에 따라, 제2 고정요소(200)의 위치를 변경 또는 고정 연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2 연결브라켓(230)은 제1 산란판(11)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결합할 수 있는 "ㄷ" 자 형태의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연결브라켓(230)은 제1 산란판(11)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연결브라켓(230)은 제1 산란판(11)의 형태에 따라 다른 모양의 형태일 수 있으며, "ㄷ" 자 형태의 구조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조임볼트(240)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제1산란판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결합된 제2 연결브라켓(230)을 제1 산란판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링(250)은 제2 고정요소(100)가 지지대(300)에서 아래 방향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제2 고정요소(2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볼베어링(260)은 제2 조임나사(210)와 결속된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와 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임나사(210),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 및 볼베어링(260)은 각각이 결속된 구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볼베어링(260), 제2 조임나사(210) 및 제2 지지대결합홈부(220)는 결속된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볼베어링접속부(270)는 제2 연결브라켓(230)과 결속된 구조일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2 연결브라켓(230)과 볼베어링접속부(270)는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볼베어링접속부(270)는 볼베어링(260)과 접속될 수 있으며, 접속된 볼베어링(260)을 이용하여 산란부는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볼베어링접속부(270)와 접속된 볼베어링(260)은 산란부(10)의 기울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울임 각도란 산란부(10)가 수평 상태인 0도를 기준으로 기울어진 정도를 의미한다.
이때, 볼베어링조임볼트(280)는 볼베어링접속부(270)를 관통하여 볼베어링(260)과 볼베어링접속부(270) 사이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볼베어링조임볼트(280)는 산란부(10)의 기울임 각도가 조절된 이후, 조절된 기울임 각도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7은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의 기울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다용도 산란상(1)은 수조(5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수조(500)는 직육면체 형태의 수조이나,실시 예에 따라 수조(500)는 둥근 어항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1)은 작은 기울임 각도의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관상어와, 큰 기울임 각도의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관상어에 따라 고정부(20)를 이용하여 기울임 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즉, 다용도 산란상(1)은 고정부(20)에 의해 산란부(10)의 기울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의 어종들은 비교적 작은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고, 엔젤피쉬와 같은 어종은 비교적 큰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한다. 또한 블랙밴드 시클리드나 메기과 어종들은 굴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알을 낳는 것을 선호한다. 디스커스, 게오파거스, 사타노페르카와 같이 작은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어종의 경우, 산란부(10)를 비교적 작은 기울임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엔젤피쉬와 같이 큰 기울임 각도를 갖는 산란 장소를 선호하는 어종의 경우, 산란부(10)를 비교적 큰 기울임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블랙밴드 시클리드나 메기과 어종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알을 낳는 것을 선호하는 어종들은 산란부(10)의 각도와 관계없이 산란부(10)내에 형성된 개구 공간에 알을 낳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어종을 기르더라도 하나의 산란상만을 이용하여 각 어종이 선호하는 산란 장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산란상은 물의 오염시 수조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청소가 간편하고, 각 어종별 산란 위치에 따른 재설치가 용이하며, 수조의 측벽 중 일 측벽에만 걸치는 형태이므로,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보관 및 조립이 용이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산란상
10: 산란부
11: 제1 산란판
12: 제2 산란판
13: 제1 측면판
14: 제2 측면판
20: 연결부
100: 제1 고정요소
110: 제1 조임나사
120: 제1 지지대결합홈부
130: 제1 연결브라켓
140: 제1 조임볼트
150: 제1 고정링
200: 제2 결합부
210: 제2 조임나사
220: 제2 지지대결합홈부
230: 제2 연결브라켓
240: 제2 조임볼트
250: 제2 고정링
260: 볼베어링
270: 볼베어링 체결부
280: 볼베어링 조임볼트
300: 지지대
500: 수조

Claims (9)

  1. 일정한 넓이를 갖는 판상의 제1 산란판 및 상기 제1 산란판의 넓이보다 작은 넓이를 가지며 상기 제1 산란판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제1 측면판 및 제2 측면판과 연결되어 개구 공간을 형성하는 제2 산란판을 포함하는 산란부; 및
    일단이 수조의 일 측벽과 고정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산란부와 고정 연결되며, 긴 막대 형상을 갖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산란부는 상기 고정부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수조의 측벽에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제1 고정요소; 및
    상기 지지대의 타단 및 상기 산란부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대의 길이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제2 고정요소를 포함하는
    다용도 산란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요소는,
    상기 산란부의 상기 제1 산란판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결합하는 다용도 산란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요소는,
    볼베어링을 이용하여 상기 산란부의 기울임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다용도 산란상.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요소는,
    상기 수조의 일 측벽의 상부에 걸쳐지도록 연결되는 제1 연결브라켓; 및
    상기 제1 연결브라켓을 고정하는 제1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다용도 산란상.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요소는,
    상기 산란부의 상기 제1 산란판의 좌우 측면 중 어느 한 측면과 걸쳐지도록 연결되는 제2 연결브라켓; 및
    상기 산란부의 상기 제1 산란판의 상기 한 측면과 상기 제2 연결브라켓을 고정하는 제2 조임볼트를 포함하는 다용도 산란상.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요소는,
    상기 제1 고정요소가 상기 지지대 상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제1 고정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다용도 산란상.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요소는,
    상기 제2 고정요소가 상기 지지대 상에서 이동할 수 없도록 상기 제2 고정요소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다용도 산란상.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부는 황토로 제조된 일체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산란상.
KR1020140113501A 2014-08-28 2014-08-28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KR101585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01A KR101585543B1 (ko) 2014-08-28 2014-08-28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3501A KR101585543B1 (ko) 2014-08-28 2014-08-28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543B1 true KR101585543B1 (ko) 2016-01-14

Family

ID=55173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3501A KR101585543B1 (ko) 2014-08-28 2014-08-28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5534A (zh) * 2023-03-24 2023-06-02 江苏蓝鲲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仿生型鱼类产卵床及其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99B1 (ko) 2008-05-19 2008-10-16 (주)즐거운사람들의일터 인공 어초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4099B1 (ko) 2008-05-19 2008-10-16 (주)즐거운사람들의일터 인공 어초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195534A (zh) * 2023-03-24 2023-06-02 江苏蓝鲲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仿生型鱼类产卵床及其使用方法
CN116195534B (zh) * 2023-03-24 2023-09-19 江苏蓝鲲水产科技有限公司 一种仿生型鱼类产卵床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50134A1 (en) Closed system vivarium for use with an aquarium
US10383464B2 (en) Flower pots support modular system
KR101585543B1 (ko) 다양한 관상어들의 산란 장소를 제공하는 다용도 산란상
US20180064072A1 (en) Aquarium with night light
KR20150129490A (ko) 확장과 변형이 가능한 애완동물용 방석
FR2893229A1 (fr) Cage pour la culture aquatique de mollusques.
US20160128301A1 (en) Modular containment system
KR102180710B1 (ko) 수족관용 먹이공급장치
WO2009048243A1 (en) Upbringing and incubating mechanism for aquarium fries
KR101357250B1 (ko) 상하이동형 화분 테이블
KR20140065666A (ko) 벽면 부착형 화분
KR20060110254A (ko) 조립식 낚싯대 받침틀
US10463025B2 (en) Reversible insert for bird feeder
KR102461884B1 (ko) 반려동물별 맞춤형 식기시스템
JP7190553B1 (ja) 水槽用上部カバー
WO2009145644A1 (en) A bird drinker assembly with a triangular water supply line
KR100998438B1 (ko) 다용도 부화통
KR20090035334A (ko) 낚싯대용 받침대
US20220031096A1 (en) Mountabl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KR20170004411A (ko) 낚시대 고정구
KR101544982B1 (ko) 걸이형 낚싯대 꽂이
KR102360500B1 (ko) 거치용 식물 재배 장치
KR200497553Y1 (ko) 높이 조절과 회전이되는 애완동물용 식기
KR102125792B1 (ko) 수족관 겸용 조립식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파티션 형성방법
JP3187065U (ja) ペット用食器の支持ベ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