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437B1 -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 Google Patents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437B1
KR101585437B1 KR1020100120171A KR20100120171A KR101585437B1 KR 101585437 B1 KR101585437 B1 KR 101585437B1 KR 1020100120171 A KR1020100120171 A KR 1020100120171A KR 20100120171 A KR20100120171 A KR 20100120171A KR 101585437 B1 KR101585437 B1 KR 101585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braking
vacuum
compressed air
air
brak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0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8743A (ko
Inventor
전정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0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437B1/ko
Publication of KR20120058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8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8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제동 제어부와,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진공이젝터와, 상기 진공 이젝터가 생성한 진공 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긴급제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for medium or small truck}
본 발명은 긴급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제동 제어부와,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진공이젝터와, 상기 진공 이젝터가 생성한 진공 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긴급제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EBS(Advanced Emergency Braking System; 향상된 긴급제동 시스템, 이하 '긴급제동 시스템'으로 약칭함)이란 졸음운전 등의 후방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의 부주의로 말미암아 후방의 차량과 전방의 선행하는 차량과의 충돌이 예상되는 경우,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긴급하게 작동시켜 후방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켜 충돌을 회피하거나 충돌시의 피해를 경감시키는 시스템을 말한다.
도 1 은 이러한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후방 차량에 장착된 전방 주시용 영상촬영기기(2)로부터 전달되는 영상신호 또는 후방 차량과 선행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는 레이더 센서(3)나 적외선 센서(3')로부터 전달되는 센서신호가 긴급제동 시스템의 전자제어유닛(AEBS ECU)(1)으로 입력되면, 상기 전자제어유닛(1)이 입력된 영상신호나 센서신호에 의하여 선행하는 전방 차량(또는 전방 물체)의 속도를 계산하고, 이를 토대로 자차의 속도를 고려하여 선행 차량과의 충돌까지의 시간 및 충돌 경고를 위한 한계 시점을 산출하여 충돌 위험 상황임을 운전석 콘솔에 설치된 경고등(4)이나 스피커(5)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경보하고,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를 제어하는 에어브레이크 등의 주 브레이크(6)를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고, 나아가 배기가스를 차단시켜 엔진 회전수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는 배기 브레이크 등의 보조 브레이크(7)도 함께 작동시켜 차량의 속도를 보조적으로 감속시킴으로써, 선행 차량과의 충돌의 회피 또는 충돌시의 피해의 최소화를 도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긴급제동 시스템은 주 브레이크로써 에어브레이크(Air Brake)를 채용하는 대형 트럭에만 설비되고 있는 실정이나, 점차 강화 추세에 있는 자동차의 안전 기준에 부합될 수 있도록 이러한 긴급제동 시스템을 중소형 트럭에도 확대 적용시킬 필요성이 대두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대형 트럭과는 달리 브레이크 패달의 답력에 의하여 진공 배압장치(진공 부스터)를 작동시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발생하는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 작용에 의하여 차륜을 제동시키는 기본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는 중소형 트럭에 적용될 수 있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은,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제동 제어부와,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와, 상기 에어컴프레서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진공이젝터와, 상기 진공 이젝터가 생성한 진공 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를 작동시키는 긴급제동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은 종래 에어브레이크를 채용하는 대형 트럭에만 설비되고 있었던 긴급제동 시스템을 중소형 트럭에도 설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긴급제동 시스템을 제안함으로써, 중소형 트럭의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키며 강화된 자동차의 안전 기준에 보다 부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매우 진보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
도 3 은 본 발명 긴급제동 엑츄에이터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 진공이젝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개시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태양으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는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의 블럭다이어그램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은,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촬영기기(2) 또는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측정에 필요한 센서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센서(3)나 적외선센서(3')와 같은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 신호 또는 거리감지에 필요한 센서신호는 본 발명의 긴급제동 제어부(AEBS 제어부)(10)로 전달된다.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상기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이를 토대로 자차의 속도를 고려하여 선행 차량과의 충돌까지의 시간 및 충돌 경고를 위한 한계 시점을 산출한다.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자차가 전방 차량과 충돌할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종래 대형 트럭에 적용된 바와 같이 에어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의 제동을 작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중소형 트럭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인 진공 배압장치(진공 부스터)에 의하여 발생된 진공 압력으로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브레이크 작동에 필요한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진공 발생 메커니즘을 가진다.
즉,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20)와, 상기 에어컴프레서(20)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탱크(30)와, 상기 에어탱크(3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는 체크밸브(40)와, 체크밸브(40) 개방시 유동되는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진공 이젝터(ejector)(50)와, 상기 진공 이젝터(50)가 생성한 진공 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120)를 작동시키는 긴급제동 엑츄에이터(AEBS 엑츄에이터)(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에 의하여 마스터실린더(120)가 작동되면 마스터 실린더로부터 발생하는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 작용에 의하여 자동차의 전륜 부분과 후륜 부분에 장착된 브레이크 캘리퍼(130)가 작동되면서 차량이 제동되게 된다.
즉,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은 브레이크 패달(100)의 답력으로 작동된 진공부스터(110)가 생성시키는 진공 상태에 의한 진공 압력을 이용하는 것과는 별도로 상기 에어컴프레서(20)와 진공이젝터(50) 및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의 조합으로 생성되는 진공 상태에 의한 진공 압력을 이용하는 구성인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은 중소형 트럭에 기본적으로 장착되는 브레이크 시스템의 구성을 이용하므로, 비교적 용이하게 긴급제동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의 작동을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촬영기기(2) 또는 후방 차량과 전방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거리측정에 필요한 센서신호를 생성하는 레이더센서(3')나 적외선센서(3'')와 같은 거리감지센서(3)로부터 상기 영상 신호 또는 거리감지에 필요한 센서신호가 긴급제동 제어부(1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상기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이를 토대로 자차의 속도를 고려하여 선행 차량과의 충돌까지의 시간 및 충돌 경고를 위한 한계 시점을 산출하고, 충돌 위험 상황인지 판단한다.
이때,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에 의하여 후방 차량이 전방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충돌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 긴급제동 시스템은 선행 차량과의 충돌 회피 또는 충돌시의 피해의 최소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작동을 수행한다.
먼저, 충돌 위험 상황일 경우에는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에어컴프레서(20)를 작동시키고, 작동된 에어컴프레서(20)에 의하여 압축공기가 생성된다.
생성된 압축공기는 에어탱크(30)에 수용되나 충돌 위험 상황인 경우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개방되는 체크밸브(40)를 통과하여 진공이젝터(50)로 압축공기가 전달되면서, 압축공기가 에어컴프레서(20), 에어탱크(30), 체크밸브(40), 진공이젝터(50)로 순차적으로 바이패스(bypass)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탱크(30)는 전동식으로 작동되는 에어컴프레서(20)의 압축공기 생성시의 지연시간을 감안하여, 미리 일정한 양의 압축공기를 저장시켜 두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진공이젝터(50)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통상의 진공 생성 장치로서, 진공이젝터(50)의 출구에 진공 상태가 생성되고, 이러한 진공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이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로 공급된다.
상기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압력이 입력되는 진공공급구(63)를 형성한 하우징 내부에 디스크(61)가 형성되고, 디스크(61)의 바닥면에는 푸쉬로드(62)가 형성된 것으로서, 진공공급구(63)로부터 전달된 진공압력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120)의 제 1 차 피스톤(121)의 접촉면 측이 진공상태가 되게 된다.
그러면, 마치 기존의 브레이크 시스템에서의 진공부스터(110)가 생성하는 진공압력에 의하여 마스터실린더(120)의 제 1 차 피스톤(121)이 밀려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에 내장된 디스크(61)가 진공 압력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12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디스크(61)의 바닥면에 형성된 푸쉬로드(62)가 마스터실린더(120)의 접촉면(123)을 밀어서 제 1 차 피스톤(121)이 강한 힘으로 밀려지게 된다.
그리고, 마스터실린터(120)의 제 1 차 피스톤(121)의 이동은 제 2 차 피스톤(122)을 이동시키게 되고, 이들 제 1 차 피스톤(121)과 제 2 차 피스톤(122)의 이동에 의하여 마스터 실린더(120)의 내부의 브레이크 오일에 유압이 발생하고, 이 유압은 마스터 실린더(120)의 배출 파이프를 통하여 전륜 및 후륜의 브레이크 캘리퍼(caliper)(130)로 전달되고 브레이크 슈나 브레이크 패드를 작동시켜 차륜을 제동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채용된 진공이젝터(50)는 공지된 모든 진공이젝터를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 실시예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진공이젝터(50)를 이용하였다.
즉, 진공이젝터(50)의 몸체(55) 내부에 에어컴프레서(20)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가 입력되는 입구(51)와 진공 상태의 공기가 출력되는 출구(52)가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입구(51)로 입력된 압축공기와 혼합되는 일반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입구(5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입구(51)와 보조입구(53)로 입력된 압축공기와 일반공기가 유통되는 유로(54)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54)의 말단은 상기 출구(52)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진공이젝터(50)는 상기 입구(51)로부터 유입되는 고속의 압축 공기가 매우 좁은 간극을 가진 입구(51)로 유입되면서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여 부압이 생성되고, 생성된 부압에 의하여 출구(52) 측에 진공 상태가 생성되는 원리이다. 이때, 상기 입구(51)의 크기나 형상 또는 유로(54)의 형상에 따라서 진공 발생 성능이 결정되게 된다.
또한,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충돌 위험 상황일 경우 차량에 장착된 기존의 배기 브레이크(200)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배기 브레이크(2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배기가스를 차단시켜 엔진 회전수를 인위적으로 감소시키는 장치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를 작동시켜 마스터실린더(120)를 기동시키는 작동과 함께 보조적으로 사용되어 차량의 긴급제동 메커니즘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충돌 위험 상황일 경우 운전석 콘솔에 설치된 경고등이나 스피커를 통하여 운전자에게 충돌 위험 상황임을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경보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긴급제동 제어부
20; 에어컴프레서
30; 에어탱크
40; 체크 밸브
50; 진공 이젝터
60; 긴급제동 엑츄에이터
61; 디스크 62; 푸쉬 로드
100; 브레이크 페달
110; 진공 부스터
120; 마스터 실린더
121; 1차 피스톤 122; 2차 피스톤
123; 접촉면
130; 브레이크 캘리퍼
200; 배기 브레이크

Claims (5)

  1.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촬영기기 또는 전방의 차량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센서신호를 생성하는 거리감지센서를 가진 긴급제동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또는 센서신호에 근거하여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 상황의 여부를 판단하는 긴급제동 제어부(10)와,
    전방 차량과의 충돌 위험이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에 의하여 제어되어 압축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20)와,
    상기 에어컴프레서(20)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입력받아 진공 상태를 생성하는 진공이젝터(50)와,
    상기 진공 이젝터(50)가 생성한 진공 상태에서 조성되는 진공 압력을 이용하여 마스터 실린더(120)를 작동시키는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는,
    하우징 내부에 형성된 디스크(61)와, 상기 디스크(61) 바닥면에 부착된 푸쉬로드(62)와, 상기 진공이젝터(50)로부터 전달되는 진공압력이 입력되는 진공공급구(63)가 형성되고,
    상기 진공공급구(63)로 입력된 진공압력에 의하여 상기 긴급제동 엑츄에이터(60)의 디스크(61)의 푸쉬로드(62)가 마스터실린더(120)의 접촉면(123)을 밀어서 마스터실린더(120)의 제 1 차 피스톤(121)과 제 2 차 피스톤(122)이 작동되어 생성되는 브레이크 오일의 유압이 전륜 및 후륜의 브레이크 캘리퍼(130)로 전달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컴프레서(20)에서 발생된 압축 공기를 수용하는 에어탱크(30)와,
    상기 에어탱크(30)로부터 발생되는 압축 공기의 흐름을 개폐하여 상기 진공이젝터(50)로 압축공기를 배출하는 체크밸브(4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이젝터(50)는,
    몸체(55) 내부에 에어컴프레서(20)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가 입력되는 입구(51)와 진공 상태의 공기가 출력되는 출구(52)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51)로 입력된 압축공기와 혼합되는 일반 공기가 유입되는 보조입구(53)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51)와 보조입구(53)로 입력된 압축공기와 일반공기가 유통되며 그 말단은 상기 출구(52)와 연결되는 유로(54)가 형성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제동 제어부(10)는 충돌 위험 상황일 경우 배기 브레이크(20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제동 시스템.
KR1020100120171A 2010-11-30 2010-11-30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KR101585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71A KR101585437B1 (ko) 2010-11-30 2010-11-30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0171A KR101585437B1 (ko) 2010-11-30 2010-11-30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43A KR20120058743A (ko) 2012-06-08
KR101585437B1 true KR101585437B1 (ko) 2016-01-15

Family

ID=46610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0171A KR101585437B1 (ko) 2010-11-30 2010-11-30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43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3749A (ko) * 1987-05-09 1988-12-21 김중환 자동차의 최적충돌방지 제동장치
KR0118013B1 (ko) * 1995-07-14 1997-10-04 전성원 자동차의 브레이크용 진공력 비상공급장치
KR19980016148A (ko) * 1996-08-27 1998-05-25 정몽규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KR20100042471A (ko) * 2008-10-16 2010-04-26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사각지대의 감시 결과에 기초한 자동 제동 기능을 가지는 차량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8743A (ko) 2012-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0400B1 (en) An 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pparatus
CA2758371C (en) Method and control system for a fifth wheel coupling sliding device having detection of the bent position of towing vehicles and trailers
US20200298808A1 (en) Multiple-stage collision avoidance braking system and method
US7344205B2 (en) Parking assist control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parking assist control program
JP5682738B2 (ja) 車両のブレーキ装置
US20150061362A1 (en) Brake control apparatus
US6517172B1 (en) Driver augmented autonomous braking system
KR100878963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유압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WO2004031009A1 (ja) 車両用緊急制動装置
EP3663143A1 (en) Control device, body behavior control system, motorcycle, and control method
CN112055675B (zh) 重型车辆冗余制动系统
WO2020137734A1 (ja) 電動ブレーキ装置
US20070158999A1 (en) Parking brake for a vehicle with brake booster
JP2004025931A (ja) オートバイの油圧式防滑制動システム
EP1388456A1 (en) An accelerator actuated emergency braking apparatus
JP5287312B2 (ja) 車両の制動装置
KR101585437B1 (ko) 중소형 트럭을 위한 긴급제동 시스템
US6565160B1 (en) Pressure releasable vehicle pedal assembly
US9435392B2 (en)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for transport vehicle
JP6241448B2 (ja) 車両用制動装置
EP3815994B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behavior of motorcycle
JP4698247B2 (ja) ブレーキアシスト制御装置
KR102082717B1 (ko) 차량 제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동 시스템
JP6166689B2 (ja) 車両用制動装置
JPH05139286A (ja) 車両の電気コントロールブレーキ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