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227B1 -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227B1
KR101585227B1 KR1020150136958A KR20150136958A KR101585227B1 KR 101585227 B1 KR101585227 B1 KR 101585227B1 KR 1020150136958 A KR1020150136958 A KR 1020150136958A KR 20150136958 A KR20150136958 A KR 20150136958A KR 101585227 B1 KR101585227 B1 KR 101585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concrete structure
absorption
agen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용선
서동수
한진규
Original Assignee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미우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케미우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5013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2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05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mounted on vehicles or designed to apply a liquid on a very large surface, e.g. on the road, on the surface of lar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conditions of ambient medium or target, e.g. humidity, temperatur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target relative to the spray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8B1/00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3/00Applying liquids to roads or like surfaces, e.g. for dust control; Stationary flushing devices
    • E01H3/02Mobile apparatus, e.g. watering-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5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determining moisture cont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구동휠이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흡수방지제가 수납되는 탱크; 상기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흡수방지제를 공급관을 따라 압송시키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이드부; 및 다수 개의 상기 노즐을 동시에 감싸도록 브래킷에 의해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SALINITY ABSORPTION INHIBITOR FOR CONCRET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ABSORPTION INHIBITOR USING THAT}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측구, 중앙분리대 및 옹벽 등에 살포되어 제설제에 포함되는 염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방지제를 연속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설제는 눈의 어는점을 낮추어 내린 눈이 얼지않고 녹도록 하는 것으로서 염화칼슘이나 소금(염화나트륨) 등이 주로 제설제로 사용된다.
눈은 과 냉각상태라 얼음과 물이 섞여 있으며 물이 얼음이 되려면 에너지(융해열)가 필요한데 이 열을 제설제가 빼앗아가므로 얼지 않게 되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눈이 많이 왔을 때 도로에 뿌리는 제설제는 주로 염화칼슘이고, 염화칼슘은 석회암에 염산을 가하고 농축 및 가열하여 얻는 백색의 결정으로 염화칼슘은 콘크리트에 섞어서 동결 방지용 제설제로 사용되고 있다.
제설제는 주로 겨울철 한랭기온 분위기에서 눈이 쌓여 도로가 결빙되면 사람이나 차량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받기 때문에 사용되는 것으로, 제설제를 고속도로나 교량 등지에 살포하는 목적은 노상의 설빙을 융해시키고, 노상 수분의 재결빙을 방지하며, 압설을 노면으로부터 탈리시켜 제설작업이 용이하게 하는데 있다.
제설제는 또한 모래 등과 혼합 살포되어 미끄럼 마찰저항 계수를 향상시키는 기능도 갖는다.
제설제의 선택조건으로는 가격이 싸고 구입이 쉬우며 보존이 용이할 것, 살포 후 확실한 효과를 나타내고 장기간 지속효과가 있을 것, 미끄럼 마찰을 증대시킬 것, 포장도로 및 동식물에 대한 부작용이 적을 것, 살포작업이 용이하고 노면에 균등하게 살포될 수 있을 것 등의 검토요인이 필요하나, 그동안 소금과 염화칼슘은 이러한 조건에 잘 부합된다고 판단하여 제설제로 적용되어 왔다.
그러나 소금이나 염화칼슘에 포함되어 있는 염소 이온(Cl-)은 독성물질로서 각종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과 도로, 교량, 자동차, 지하 전선 케이블, 상하수도관 등에 부식현상을 유발하는 등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소재들과 염소 이온(Cl-)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염들이 물에 녹아 하천으로 흘러들어감으로써 수중 생태계의 파괴, 음용수의 오염 및 도로 주변의 식물이나 생태계에 피해를 주는 등 여러 가지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염화칼슘은 제설 후 제습하는 과정에서 지속력이 떨어져 쉽게 재 결빙되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따라서 국내에서도 공공기관에 공급되는 제설용 염화칼슘과 소금이 점진적으로 친환경 제설제로 교체되기 시작하고 있고, 조달청에서는 환경과 인체에 악영향 논란이 커지고 있는 염화칼슘과 소금 사용을 점차 줄이고 점차 친환경 제설제를 구매, 공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뿐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기존 제설제 중 특히 소금이 제빙효과가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동안 염화칼슘이나 소금으로 제공되는 제설제에 대한 환경오염 피해와 부식피해 정도가 점차 심각해지자, 1980년부터 대체용 제설제를 찾기 위한 연구가 시작되고 물리, 화학적 특성, 환경에 미치는 영향, 독성 여부, 생산비 등을 고려하여 CMA(Calcium Magnesium Acetate, 칼슘 마그네슘 아세테이트)를 대체용 제설제로서 선정되기도 하였다.
CMA는 빙점강하에 의한 제빙효과가 소금과 유사하며, 부식성이 극히 적고, 물속에 용해된 후 Ca+2 이온과 Mg+2 이온은 토양생물의 영양분이 되고, 초산이온(CH3COO-)은 박테리아에 의해 생분해되어 환경오염의 위험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대량생산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데 그 주요인은 바로 높은 생산원가 때문이다.
순수한 CMA의 가격은 현재 톤당 600불 정도로 소금값의 27배에 달하며, 이 가격의 80% 이상이 초산, 칼슘, 마그네슘 등의 원료 값에 기인한다.
종래의 유기산 제설제는 석유나 천연가스로부터 합성되었기 때문에 생산가가 높을 수밖에 없었고, 이에 생산단가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순수한 당이나 전분을 이용한 세포 고정식 초산 박테리아 발효 공정을 사용하여 CA(Calcium Acetate, 칼슘 아세테이트) 생산비를 톤당 258불까지 낮출 수 있으나, 초산 박테리아의 까다롭고 복잡한 발효조건과 공정으로 인해 비교적 다루기 쉬운 프로피온산 박테리아를 이용하여 초산과 프로피온산의 비율이 약 2:1인 CMO(Calcium Magnesium salt of Organic acids) 생산방법이 제안되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도 저렴한 값에 얼음 상태의 눈을 순식간에 녹게 만들어주는 제설제로 대부분 소금이나 염화칼슘이 사용되고 있으나 독성의 염소 이온(Cl-)이 광합성작용을 저해하여 가로수를 말라죽게 하고 생태환경에 악영향을 끼치며 부식성이 강해 보도와 차도 사이 경계블록과 고가도로 방호벽을 녹슬게 하거나 마모시켜 도로 훼손 및 교통사고를 유발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4-0046135호(2014년 04월 1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제설제 사용에 따른 피해 저감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제설제 사용에 따른 피해 저감방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제설제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피해 중화물을 첨가하여 살포하기 때문에 피해 중화물이 충분히 혼합되지 않고 제설제와 함께 살포되는 경우에는 중화물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살포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중화물을 제설제 살포 전에 콘크리트 구조물에 살포하는 경우에는 중화물의 살포에 사용되는 별도의 살포장치를 구비해야 하고, 중화물의 살포를 연속하여 행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화물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도로 측구, 중앙분리대 및 옹벽 등에 살포되어 제설제에 포함되는 염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방지제를 연속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구동휠이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흡수방지제가 수납되는 탱크; 상기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흡수방지제를 공급관을 따라 압송시키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이드부; 및 다수 개의 상기 노즐을 동시에 감싸도록 브래킷에 의해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을 청소 또는 치핑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고압의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청소부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청소브러시; 및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브러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청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차체의 후방에 도로에 살포된 흡수방지제가 넓게 퍼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도로 측구에 도포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산부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흡수방지제를 분산시키는 분산브러시; 및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산브러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분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산부는, 지면에 살포된 흡수방지제를 균일한 두께로 분산시키도록 상기 차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면의 수분 함유량을 감지하여 흡수방지제를 토출량을 조절하는 분사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사량조절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지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분감지센서;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분데이터에 따라 흡수방지제의 토출량을 판단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분기관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 개의 힌지부가 구비되는 가이드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에는 지면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흡수방지제가 충진되는 탱크가 설치되고 구동휠에 의해 이동되는 차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되는 분기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예비단계; (b)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동시켜 흡수방지제를 예비 살포하는 살포단계; 및 (c) 상기 차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방지제를 살포하는 살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은, 차체에 설치되는 탱크로부터 흡수방지제가 연속하여 분사되므로 사용자가 차체를 이동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을 행하여 도로 측구, 중앙부리대 또는 옹벽 등에 흡수방지제를 연속하여 신속히 살포할 수 있어 흡수방지제 살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의 분기관 및 굴곡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는, 복수 개의 구동휠(12)이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차체(10)와, 차체(10)에 설치되어 흡수방지제가 수납되는 탱크(14)와, 탱크(14)로부터 제공되는 흡수방지제를 공급관(16)을 따라 압송시키는 펌프(18)와, 공급관(1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32)이 설치되는 분기관(30)과, 분기관(30)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이드부(34)와, 다수 개의 노즐(32)을 동시에 감싸도록 브래킷에 의해 분기관(30)에 설치되는 커버(36)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를 도로 측구에 대향되게 배치시킨 후에 차체(10)를 주행시키면 차체(10)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관(30)으로부터 흡수방지제가 분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도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작동에 의해 작업자는 차체(10)를 이동시키는 단순한 작업에 의해 도로를 따라 길게 시공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방지제를 용이하게 살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면에 안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부(34)가 구비되므로 차체(10)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분기관(30)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분기관(30)에 구비되는 다수 개의 노즐(32)을 통하여 흡수방지제를 효과적으로 분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를 이용한 흡수방지제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은, 흡수방지제가 충진되는 탱크(14)가 설치되고 구동휠(12)에 의해 이동되는 차체(10)로부터 연장되고 탱크(14)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32)이 설치되는 분기관(30)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예비단계와, 탱크(14)에 연결되는 펌프(18)를 구동시켜 흡수방지제를 예비 살포하는 살포단계와, 차체(10)를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방지제를 살포하는 살포단계를 포함한다.
베어링(38)에 의해 차체(10)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회전되는 분기관(30)을 차체(10)의 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안착시키면 분기관(30)의 단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부(34)가 도로 경계석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후에, 작업자가 펌프(18)를 구동시켜 탱크(14)로부터 공급되는 흡수방지제가 공급관(16) 및 분기관(30)을 따라 공급되어 다수 개의 노즐(32)을 통해 측구에 분사되면서 측구 상면에 흡수방지제의 예비분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예비분사를 행하는 동안 작업자는 도로의 특징에 맞는 흡수방지제의 분사량이 적당한지 판단하고, 도로 특징에 적합한 흡수방지제의 분사량이 이루어지도록 조작부를 조작하면서 흡수방지제의 분사량을 조절하게 된다.
흡수방지제의 분사량이 조절된 후에는, 작업자가 차체(10)를 도로 경계석의 연장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도로 경계석을 따라 길게 시공된 측구에 연속하여 흡수방지제를 살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다수 개의 노즐(32)로부터 분사되는 흡수방지제는 커버(36)에 의해 비산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흡수방지제가 도로 경계석이나 인도 등 다른 곳에 살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차체(10)에는 차체(10)를 주행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구성을 인지한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다른 실시예에 대한 구체적인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는, 지면을 청소 또는 치핑할 수 있도록 차체(10)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청소부(50)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누적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펌프(18)의 구동에 의해 탱크(14)로부터 제공되는 흡수방지제는 공급관(16) 및 분기관(30)을 통해 측구에 분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청소부(50)는, 차체(10)에 설치되고 고압의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탱크(52)와, 에어탱크(52)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에 설치되고 차체(10)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54)과, 연결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56)을 포함한다.
따라서 살포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개폐밸브(56)가 개방되면 에어탱크(52)로부터 분사되는 공압의 공기가 분사노즐(54)을 따라 지면에 분사되므로 콘크리트 구조물, 즉 측구에 누적된 이물질이 측구 외측으로 제거되어 흡수방지제의 살포가 이루어진 후에 매끈한 면을 이루도록 마감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는, 차체(10)의 후방에 도로에 살포된 흡수방지제가 넓게 퍼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도로 측구에 도포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분산부(70)를 더 포함하고, 분산부(70)는,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흡수방지제를 분산시키는 분산브러시(72)와, 차체(10)에 설치되고 분산브러시(72)에 동력을 제공하는 분산모터(74)를 포함한다.
분산브러시(72)는 제5실시예의 청소브러시(57)와 비교하여 브러시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청소브러시(57)는 가압력을 극대화시켜 이물질을 제거하는 브러시인 반면에, 분산브러시(72)는 흡수방지제를 콘크리트 구조물 상면에 넓게 바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분산모터(74)가 구동되면 분산브러시(72)가 회전되면서 콘크리트 구조물 상면에 살포된 흡수방지제를 넓게 문지르면서 비교적 균일한 뚜께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방지제가 도포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의 청소부(50)는, 차체(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청소브러시(57)와, 차체(10)에 설치되고 청소브러시(57)에 동력을 제공하는 청소모터(58)를 포함한다.
따라서 청소모터(58)가 구동되면 청소브러시(57)가 회전되면서 지면에 접촉되어 콘크리트 구조물 상면에 누적된 이물질을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 외측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의 분산부(70)는, 지면에 살포된 흡수방지제를 균일한 두께로 분산시키도록 차체(10)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76)와, 가압롤러(76)를 승강시키도록 차체(10)에 설치되는 실린더(78)를 포함한다.
따라서 실린더(78)로부터 로드가 돌출되어 가압롤러(76)가 콘크리트 구조물 측으로 하강하게 되면 가압롤러(76)에 의해 흡수방지제가 가압되면서 균일한 두께로 넓게 퍼지면서 도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는, 지면의 수분 함유량을 감지하여 흡수방지제를 토출량을 조절하는 분사량조절부(90)를 더 포함하고, 분사량조절부(90)는, 차체(10)에 설치되고 지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분감지센서(92)와, 수분감지센서(92)로부터 수신되는 수분데이터에 따라 흡수방지제의 토출량을 판단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94)를 포함한다.
따라서 수분감지센서(92)로부터 조사되는 적외선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에 함유된 수분의 양이 측정되어 수분데이터가 제어부(94)에 송신되고, 제어부(94)에서 판단되는 적당한 흡수방지제의 분사량이 결정되어 구동신호가 송신되면 구동신호에 따라 펌프(18)의 구동정도가 조절되면서 적당한 양의 흡수방지제가 공급관(16) 및 분기관(30)을 따라 콘크리트 구조물에 분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의 분기관 및 굴곡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의 상기 분기관(30)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 개의 힌지부가 구비되는 가이드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에는 지면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34)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의 분기관(30)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힌지부(82) 및 제2힌지부(84)가 구비되는 가이드관에 설치되므로 제1힌지부(82) 및 제2힌지부(84)에 의해 가이드관이 계단 모양으로 굴곡되면 분기관(30)은 가이드관을 따라 배치되면서 중앙 분리대 또는 옹벽 등과 같은 높은 구조물의 측면 및 저면에 흡수방지제를 살포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가이드관 단부에는 보조가이드(34a)가 설치되어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가이드관을 지지하고, 제1힌지부(82)에 의해 가이드관 상단에 설치되는 가이드부(34)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상면에 안착되어 가이드관의 상단을 지지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분기관(30)으로부터 분기되는 분기호스는 너트부재에 삽입되어 노즐(32)에 볼트결합되므로 가이드관에 볼트결합되는 노즐(32) 내부로 분기호스가 삽입되어 흡수방지제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로 측구, 중앙분리대 및 옹벽 등에 살포되어 제설제에 포함되는 염분이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흡수방지제를 연속하여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차체 12 : 구동휠
14 : 탱크 16 : 공급관
18 : 펌프 30 : 분기관
30a : 가이드관 32 : 노즐
34 : 가이드부 34a : 보조가이드
36 : 커버 50 : 청소부
52 : 에어탱크 54 : 분사노즐
56 : 개폐밸브 57 : 청소브러시
58 : 청소모터 70 : 분산부
72 : 분산브러시 74 : 분산모터
76 : 가압롤러 78 : 실린더
80 : 굴곡부 82 : 제1힌지부
84 : 제2힌지부 90 : 분사량조절부
92 : 수분감지센서 94 : 제어부

Claims (11)

  1. 복수 개의 구동휠이 설치되어 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차체;
    상기 차체에 설치되어 흡수방지제가 수납되는 탱크;
    상기 탱크로부터 제공되는 흡수방지제를 공급관을 따라 압송시키는 펌프;
    상기 공급관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되는 분기관;
    상기 분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가이드부; 및
    다수 개의 상기 노즐을 동시에 감싸도록 브래킷에 의해 상기 분기관에 설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지면을 청소 또는 치핑할 수 있도록 상기 차체의 전방부에 설치되는 청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고압의 압축 공기가 저장되는 에어탱크;
    상기 에어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차체로부터 지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청소브러시; 및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청소브러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청소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후방에 도로에 살포된 흡수방지제가 넓게 퍼지면서 균일한 두께로 도로 측구에 도포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분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상기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면에 접촉되어 흡수방지제를 분산시키는 분산브러시; 및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상기 분산브러시에 동력을 제공하는 분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부는,
    지면에 살포된 흡수방지제를 균일한 두께로 분산시키도록 상기 차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 및
    상기 가압롤러를 승강시키도록 상기 차체에 설치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지면의 수분 함유량을 감지하여 흡수방지제를 토출량을 조절하는 분사량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량조절부는,
    상기 차체에 설치되고 지면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수분함유량을 측정하여 수분데이터를 송신하는 수분감지센서; 및
    상기 수분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분데이터에 따라 흡수방지제의 토출량을 판단하여 구동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은,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복수 개의 힌지부가 구비되는 가이드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관에는 지면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11. (a) 흡수방지제가 충진되는 탱크가 설치되고 구동휠에 의해 이동되는 차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탱크에 연결되고 복수 개의 노즐이 설치되는 분기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이동 가능하게 거치시키는 예비단계;
    (b) 상기 탱크에 연결되는 펌프를 구동시켜 흡수방지제를 예비 살포하는 살포단계; 및
    (c) 상기 차체를 콘크리트 구조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콘크리트 구조물에 흡수방지제를 살포하는 살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KR1020150136958A 2015-09-25 2015-09-25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KR101585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58A KR101585227B1 (ko) 2015-09-25 2015-09-25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958A KR101585227B1 (ko) 2015-09-25 2015-09-25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5227B1 true KR101585227B1 (ko) 2016-01-13

Family

ID=5517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58A KR101585227B1 (ko) 2015-09-25 2015-09-25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2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954A (zh) * 2018-05-21 2018-11-09 刘珍虎 一种混凝土配制专用场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369B1 (ko) 2002-09-17 2004-11-03 세원엔지니어링 (주) 습식과 건식의 동시이용이 가능한 노면 청소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369B1 (ko) 2002-09-17 2004-11-03 세원엔지니어링 (주) 습식과 건식의 동시이용이 가능한 노면 청소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72954A (zh) * 2018-05-21 2018-11-09 刘珍虎 一种混凝土配制专用场地
CN108772954B (zh) * 2018-05-21 2019-12-20 四川佰汇混凝土工程有限公司 一种混凝土配制专用场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34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ensing a deicer liquid
US71081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positing snow-ice treatment liquid on pavement
US20160053452A1 (en) Ice and snow removal system and apparatus
CN104314036B (zh) 液化气加热式除雪除冰车
FI124316B (fi) Menetelmä ja laite ajoradan päällysteessä olevan uran tai halkeaman korjaamiseksi ja paikkaamiseksi kuumalla paikkausaineella
KR1015852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염분 흡수방지제 살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흡수방지제 시공방법
KR102424158B1 (ko) 인공지능 제어 방식의 클린로드, 제설 및 해빙 시스템
KR101111500B1 (ko) 자동제설기능이 구비된 비닐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제설방법
CN108999137B (zh) 一种自动铺装收纳的道路融雪装置
KR101565568B1 (ko) 초산칼륨 및 글리세린을 포함하는 액상 동결방지제 분사장치
KR20040024698A (ko) 도로의 결빙방지용 융빙액 분사장치
CN106758677A (zh) 冰雪地区橡胶颗粒沥青混合料应用技术的方法
KR101412470B1 (ko) 제설제 자동살수 및 살포장치
KR101422735B1 (ko) 친환경 방역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시공 방법
CA3016927A1 (en) Integrated pavement system for collecting and recycling de-icing fluid
DE69810590T2 (de) Frostschutzmittel und Verfahren zur Verhinderung von Frost auf Strassenbelag
US20220389675A1 (en) System and method of snow conversion
Akin et al. Snow removal at extreme temperatures
KR20120119644A (ko) 액상 염화칼슘 살포장치
KR200396225Y1 (ko) 눈을 사용하여 제설액을 제조 후 살포하는 장치
CN113322875A (zh) 一种施工洒水装置
US5456744A (en) Traction with diatomaceous earth
KR20120009560A (ko) 결빙방지 오버레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방법
CN205839547U (zh) 一种具有防粘连清洁功能的压路机
CN218621660U (zh) 一种沥青洒布车的沥青即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