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584B1 - 일체형 기액 분리기 - Google Patents

일체형 기액 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584B1
KR101584584B1 KR1020140022317A KR20140022317A KR101584584B1 KR 101584584 B1 KR101584584 B1 KR 101584584B1 KR 1020140022317 A KR1020140022317 A KR 1020140022317A KR 20140022317 A KR20140022317 A KR 20140022317A KR 101584584 B1 KR101584584 B1 KR 101584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liquid
reservoir
gas discharge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089A (ko
Inventor
정붕익
김정식
이명헌
김민용
신현수
Original Assignee
(주) 테크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테크윈 filed Critical (주) 테크윈
Priority to KR102014002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58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4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 B01D19/0052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 B01D19/0057Degasification of liquids modifying the liquid flow in rotating vessels, vessels containing movable parts or in which centrifugal movement is caused the centrifugal movement being caused by a vortex, e.g. using a cyclone, or by a tangential inlet

Abstract

기액 분리기 본체(1)의 내부 공간에 하부 분리판(2)과 상부 분리판(3)을 설치하여 3개의 공간부로 분할하여, 중간 저장조에서 기액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하부 저장조(4)와; 유입구(7)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액체 중에 기체가 포함된 혼합 액체를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12)을 통해 기액분리하는 중간 저장조(5) 및 중간 저장조의 사이클론에서 기액분리되어 상부로 분리 배출된 기체 및 일부 액체가 저장되는 상부 저장조(6)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부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액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91)가 기체배출커버(92)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921)을 개폐하도록 장치된 기체 분출부(9)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저장조(4)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저장조에 설치된 제 1 액체 배출구(8)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된 액체는 그 하부 중간 저장조(5)에 설치되어 연통되는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Description

일체형 기액 분리기{One body type gas-liquid separator}
본 발명은 혼합된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는 기액 분리기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용액을 내부가 상하로 다단 구획된 저장조를 가지는 일체형 용기에서 다단 분리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고 분리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최종 분리된 기체를 배출시 동일 공간에 저장된 액체가 수위가 상승하여 함께 배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일체형 기액 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액 분리기는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체와 액체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예로 들면 연료전지 시스템, 공기조화기, 냉장/냉동장치, 의료장비, 쓰레기 매립장에서 혼합유출물을 분리장치, 액체나 기체 화합물을 합성 또는 분해하는 각종 화학공정 장치에서 공급된 혼합 유체를 기체와 액체로 분리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여러장치에서 기액 분리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기체 중에 포함된 액체 성분 또는 액체 중에 포함된 기체 성분으로 인하여 그 후단에 설치된 기계장치의 성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기액 분리기 후단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목적의 유체 성분에 따라 주가 되는 유체 성분에 포함된 기체 또는 액체 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된다.
특히 쓰레기 매립장에서 침출수와 가스를 분리하는 장치나 화학공정 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기액 분리기는 액체 중에 포함된 기체를 분리함으로써 액체 중에 포함된 기체가 밀폐된 상태의 파이프에 누적 시 발생할 수 있는 폭발의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서 중요한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기액 분리기의 종류로는 원심분리식, 응축냉각식, 고체 흡착제를 이용하는 흡착식, 건조제를 이용한 흡수식, 필터식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상기한 기액 분리기 중에서 액체 중에 포함된 기체를 분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장치로는 기체와 액체의 비중 차이를 이용하는 원심분리식이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그 이유는 주로 사이클론 형태로 이루어져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공기 등 기체의 유동에 장애가 되지 않아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다만 종래의 원심분리식 기액 분리기는 사이클론에서 기체와 액체를 분리시 100% 기체로 분리되지 않고 기체 배출시 미분리된 약간의 액체 성분이 함께 포함되어 배출되기 때문에 1차 분리 배출된 기체를 파이프 등을 통해 별도의 저장조로 이동시키면서 액체 성분을 저장하면서 상부쪽으로 기체를 배출토록 구성하게 된다. 이 때문에 설치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고, 또한 2차 저장된 액체 성분의 수위가 높아지면 기체 배출시 함께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별도의 수위 측정 장치와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장치를 구비해야 함으로 전체적인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748347(2007.08.03.)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66402(2013.05.15.)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2-0008124(2012.01.30)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07-0099759(2007.10.10)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상태로 공급된 용액을 상하로 나뉘어진 액체 저장조를 구비한 일체형 기액 분리기에서 다단 분리토록 하여 1차 분리시는 액체 중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2차 분리시는 분리 배출된 기체 중에서 액체 성분을 재차 분리함과 동시에 최종 분리된 액체 수위가 상승하여 기체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액 분리기를 이용하여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용액을 다단분리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시 최종 분리된 기체의 압력 및 액체의 수위 에 따라 기체 배출구가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기액 분리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하부 분리판과 상부 분리판을 설치하여 3개의 공간부로 분할하여, 중간 저장조에서 기액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하부 저장조와; 유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액체 중에 기체가 포함된 혼합 액체를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을 통해 기액분리하는 중간 저장조 및 중간 저장조의 사이클론에서 기액분리되어 상부로 분리 배출된 기체 및 일부 액체가 저장되는 상부 저장조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부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액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가 기체배출커버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장치된 기체 분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에 설치된 제 1 액체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로 연통된 중간 저장조의 제 2 액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사이클론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여 상부 둘레 일 지점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중간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가 측방향으로 유입되어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하단부는 하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제 3 액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하부 저장조에 분리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단부는 상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기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기체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기체를 상부 저장조로 배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 사이클론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여 상부 둘레 일 지점에 형성된 유입구와 사이클론의 유입구가 직결식으로 연결되어 기체가 포함된 혼합된 액체가 중간저장조에 보관없이 외부에서 직접 사이클론으로 유입되어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하단부는 하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제 3 액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하부 저장조에 분리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단부는 상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기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기체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기체를 상부 저장조로 배출하게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중간저장조에 설치되는 사이클론은 유입되는 유체의 용량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체 분출부는 하단에 부구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둘레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어 기체 및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수납된 부구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도 기체 및 액체가 배출되도록 한 실린더 형상의 부구 케이스와;
부구의 승하강에 의해 개폐되도록 중앙부에는 기체 배출홀이 형성되고, 하부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부구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게 형성된 기체 배출 커버;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체 배출 커버는 기액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 플랜지와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관의 일측단에 형성된 이송관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간을 체결하여 고정되고,
상기 본체 플랜지와 이송관 플랜지의 접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실링홈이 형성되어 실링이 끼워져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체 배출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 상승시 기체 배출홀을 막는 배출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출마개는 부구의 상부와 이격되게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가 접촉 가압시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출마개는 부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배출마개는 기체 배출 커버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에 삽입되어 막는 하부마개와, 이 하부마개가 평상시 기체 배출홀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상기 하부마개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걸려 있고 복수개의 개방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개방홀의 위치는 연결부의 외경과 기체 배출홀의 내경이 이루는 틈새에 해당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하부마개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이 구비되어 각각의 실링홈에 실링이 설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체 배출 커버의 기체 배출홀 상부쪽에는 분리된 기체만을 배출되도록 상부면에 홀이 형성된 가이드 챔버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기체 배출 커버의 기체 배출홀 상부쪽에는 분리된 기체가 배출되도록 이송관에 분리형 이송관을 추가로 형성하고, 이 분리형 이송관 내측에 소수성막을 설치하여 기체만 통과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소수성막 후단에 다공성 필터를 더 구비하여 소수성막을 지지토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할 실시예로, 상기 소수성막의 전후단에 수증기상의 액체를 제거할 수 있는 데미스터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부구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화학 공정 등을 포함한 단계를 거치면서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용액을 일체형으로 구성된 단일의 기액 분리기에서 기체와 액체를 일괄 분리 및 저장토록 함으로써 장치를 소형화화여 설치 공간 협소 문제를 해결하였다는 장점과,
또한 화학 공정 등을 거치면서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용액을 하나의 기액분리장치에서 다단 분리하여 1차 분리시는 액체 중에서 기체를 분리하고, 2차 분리시는 분리 배출기체와 함께 배출된 액체 성분을 재차 분리하여 최종 배출 기체의 순도를 높임으로써 기액 분리 효율을 높였다는 장점과,
또한 액체와 기체가 혼합된 용액을 다단분리하여 기체와 액체로 분리시 액체의 수위 증가 및 기체의 압축력에 의해 기체 배출구를 막고 있는 개폐용 마개가 승하강하여 자동 개폐토록 구성함으로써 유입되는 기체의 용적량이 많아지면 부구와 액체를 가압하여 기체만 배출토록 하고, 액체가 많아지게 되면 부구를 상승시켜 액체의 배출을 막도록 하여 최종 외부로 배출되는 기체에 액체 성분이 함께 배출되는 것을 신뢰성 있게 차단할 수 있다는 장점과,
또한 기액 분리장치의 기체 배출구쪽을 막도록 설치된 개폐용 마개의 고장 또는 마모시 간단히 개폐용 마개만 수리 또는 교체하면 됨으로써 운전비용이 적게 소요되어 경제적이라는 장점을 가진 유용한 발명으로 산업상 그 이용이 크게 기대되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수성막을 구비한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 배출시의 작용을 보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차단시의 작용을 보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인 구성과 그 작용을 첨부도면에 연계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를 보인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6는 도 5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수성막을 구비한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기체 배출시의 작용을 보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배출 차단시의 작용을 보인 일체형 기액 분리기의 단면 예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액 분리기 본체(1) 내부 공간에 하부 분리판(2)과 상부 분리판(3)을 설치하여 내부 공간을 하부 저장조(4), 중간 저장조(5) 및 상부 저장조(6)의 3개 공간부로 분할 구성한다. 상기 기액분리기 본체(1)의 형상은 압력에 대응하기 좋은 원통형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저장조(4)는 기체가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이고, 중간 저장조(5)는 외부에서 공급된 미분리 상태의 액체 즉, 액체 중에 기체가 포함된 혼합 액체가 저장되고, 상부 저장조(6)에는 중간 저장조에서 상부로 분리 배출되는 기체 및 이 기체와 함께 배출되는 일부 액체가 저장되는 저장조이다.
상기 중간 저장조(5)에 공급되는, 기체가 혼합된 액체는 상기 기액분리기 본체(1)의 둘레 일지점을 관통해 중간 저장조와 연결되는 유입구(7)를 통해 공급된다. 그 위치는 중간 저장조의 둘레 상부쪽 위치를 관통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 저장조(4)에 저장된, 기체가 분리된 액체의 배출은 기액 분리기 본체(1)의 하부 일 지점을 관통해 하부 저장조와 연결되는 제 1 액체 배출구(8)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상부 저장조(6)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는 상부에 설치되어 부구(91)의 승하강에 의해 기체배출커버(92)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921)이 개폐되는 기체 분출부(9)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된 액체는 중간 저장조(5)에 설치되되, 일측단이 상부 분리판(3)의 일 지점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타측이 기액 분리기 본체(1)의 둘레 일 지점에 형성된 홀을 관통하는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 1 액체 배출구(8) 및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배출된 액체는 동일 액체 성분으로 일 지점에서 합류하게 이송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저장조(5)에는 공급된 액체를 기액 분리하기 위한 사이클론(12)이 설치된다.
상기 사이클론의 하단부는 하부 분리판(2)을 관통하여 하부 저장조(4)에 분리된 액체를 공급하는 제 3 액체 배출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사이클론의 상단부는 상부 분리판(3)을 관통하는 기체 배출구(122)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기체를 상부 저장조(6)로 배출하게 구성된다.
상기 사이클론의 상부 둘레 일 지점에는 유입구(123)가 형성되어 중간 저장조(5)에 저장된 액체가 일정 수위가 되면 이를 통해 사이클론의 측방향으로 유입되어 하강하면서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게 구성된다. 즉, 측방향으로 유입되는 액체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이클론의 내벽을 따라 소용돌이 치면서 하강하여 상기 제 3 액체 배출구(121)를 통해 하부 저장조(4)로 배출되며, 동시에 소용돌이 치는 사이클론의 안쪽 공간을 통해 무게가 가벼운 기체는 상승하여 기체 배출구(122) 및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다른 실시형태로 상기 기체가 혼합된 액체가 유입되는 상기 중간 저장조(5)에 연결된 유입구(7)와 상기 사이클론(12)에 기체와 혼합된 액체가 유입되는 유입구(123)가 직결형으로 바로 연결되어 기체가 혼합된 액체가 중간 저장조(5)에 저장되지 않고 바로 사이클론(12)으로 공급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기체가 혼합된 액체의 용량에 따라서 필요에 따라 상기 사이클론(12)을 단일 또는 복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되는 기체는 100% 기체로 분리되는 것이 아니고 일부 액체 성분이 함유되어 배출되어 상부 저장조(6)에는 기체 배출이 늘어남에 따라 액 성분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승된 액체가 상부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 상부 저장조(6) 표면에 머물다 무게가 증가되면 하부로 낙하하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저장조(6)의 상부에는 전술한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면, 이 기체는 상부에 설치된 기체 분출부(9)의 기체 배출홀(921)을 통해 배출되게 되고, 점차 저장된 액체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구(91)가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921)을 막아 액체의 배출을 막고 기체만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부구(91)의 승하강을 돕기 위해 부구 둘레에 부구와 같은 형상의 부구 케이스(93)가 설치되어 부구를 수납하게 된다. 또한 부구는 표면 상하 일구간에 덧 씌워진 부구 가이드(911)가 더 형성되어 상승시 좌우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때 부구(91)와 부구케이스(93)의 형상은 실린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구를 감싸고 있는 부구 케이스(93)는 상하부가 개방된 형상인데 상부는 상부 저장조(6)의 상부를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부는 상부 저장조(6)의 바닥을 이루는 상부 분리판(3)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뜬 상태를 이룬다. 이때 상기 부구 케이스(93)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막기위해 부구 케이스의 하부에는 걸림턱(931)이 형성되어 부구(91)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토록 구성된다. 또한 부구케이스의 상부와 하부 둘레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상부홀(932) 및 하부홀(933)이 형성되어 기체 및 액체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구(91)는 부구 케이스(9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약간의 틈새가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틈새를 통해 기체 및 액체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 때문에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된 액체가 부구 케이스(93)의 하부보다 낮을때는 상부홀(932) 및 하부홀(933)을 통해 기체가 기체 배출홀(921)로 상승하게 되고, 액체의 수위가 높아질 경우에도 기체는 액체를 통과하여 상부홀(932) 및 하부홀(933)을 통해 기체 배출홀(921)로 상승하여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부 저장조(6)의 액체 수위가 상기 상부홀(932)을 넘어서게 될 경우에는 기체가 압축되어 액체의 상승을 막으면서 일정 시간동안 기체 배출홀(921)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 일정시간이라는 것은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부구가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921)을 막기 전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이때 압축된 기체는 액체상승을 지연시킴으로 물보다 비중이 낮은 합성수지재 특히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구가 배출홀을 막는 것을 지연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체배출이 일정시간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부구 케이스(93)는 상기 상부 저장조의 상부 끝단부쪽에 일 구간이 관통되게 설치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상부홀은 부구 케이스(93)의 상부쪽에 위치시켰다. 그 이유는 만약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가 상부홀(932)을 넘어서기 전까지는 압축된 기체가 액체 및 부구의 상승을 저지하면서 기체만 배출되게 하기 위함이고, 액체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상부홀(932) 보다 높이지게 되면 그 전에 이미 부구가 상승되어 기체 배출홀(921)을 막게 되어 액체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미 배출된 기체를 가압하게 된다.
이 경우 미배출되어 상부에 남아 있는 압축 상태의 기체가 액체의 최상부와 기체 배출홀(921) 간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기체가 상부 저장조(6)로 유입되어 기체의 용적량이 많아지면서 부구와 액체를 하부방향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상부 저장조(6)로부터 액체가 배출되면 압축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부구가 하부로 하강하면서 기체는 다시 기체 배출홀(921)을 통해 배출되게 된다.
상기 기체 배출홀(921)이 중앙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기체 배출 커버(92)는 한 실시예로 상기 기액 분리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 플랜지(14)와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관(18)의 일측단에 형성된 이송관 플랜지(15)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 플랜지와 기체배출 커버(92)간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체결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 플랜지(14)와 이송관 플랜지(15)의 접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실링홈(16)이 형성되어 각 실링홈에 실링(17)이 끼워져 기체 배출 커버(92)를 통해 배출되는 기체가 플랜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기체 배출 커버(92)는 하부 일부분에 돌출부(922)가 형성되어 상기 부구 케이스(93)의 상부에 삽입되게 형성되고, 상부 일부분에 가이드 챔버(923)가 돌출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921)을 통해 배출된 기체가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923)의 상부면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이송관(18)으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이때 한 실시예로, 상기 가이드 챔버(923)는 원통 구조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돌출된 배출마개(94)의 걸림부(943)가 기울어지지 않고 정밀하게 승하강하는 것을 돕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 승강시 각도 변화에 따라 후술되는 하부마개가 기체 배출홀과 불안전 접촉하여 기체가 누설되는 것을 막도록 하였다.
또한 가이드 챔버(923)와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기체 배출 커버의 기체 배출홀 상부쪽에는 배출된 기체가 배출되도록 이송관(18)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교체가 가능한 분리형 이송관(181)을 추가로 형성하고, 이 분리형 이송관 내측에 소수성막(925)을 설치하여 기체만 통과토록 구성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른 소수성막으로는 PTFE, PVDF, PP 등의 소수성 유기막 또는 소수성처리가 된 무기막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기체는 통과시키고 액체 통과는 막을 수 있는 미세한 다공성 구조를 가지는 소수성 막이면 모두 사용 가능하다. 상기 분리형 이송관 내측에 고정 설치된 소수성 막은 내측에 형성된 지지 브라켓 등으로 지지토록 구성할 수 있다. 소수성막은 물과 같은 액체는 반발력으로 인해 통과시키지 못하고 공기 및 기체는 미세기공을 통해 통과시키도록 형성된 막이다. 이러한 소수성막의 기체와 액체에 대한 투과선택도는 미세기공의 크기, 소수성막의 액체에 대한 반발력, 처리용량, 압력차 등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각 공정의 특성에 따라 선별이 가능하므로 별도로 미세기공의 크기 등에 대한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이송관 하부 또는 이송관 하부 일 구간에 분리형 이송관을 설치한 이유는 소수성막이 내구성을 다해 헤어지거나 파손시 간편하게 교체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소수성막 후단에는 다공성 필터(926)를 더 구비하여 소수성막을 지지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압력에 의해 소수성막이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다공성 필터는 부직포와 같은 다공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고, 다공성을 가지는 금속이나 세라믹 고체 성분의 재질로 구성 할 수도 있다. 이때 다공성 필터의 구멍은 상기 소수성막과는 달리 눈에 보이는 구멍으로 단지 소수성막을 지난 기체가 통과하기만 하면 충분한 것으로, 다공성 필터의 주된 구성이유는 소수성막의 후단을 지지하여 소수성막이 압력에 의해 밀리지 않도록 하면서 기체가 통과되기만 하면 충분하다.
또한, 상기 소수성막의 전후단에 수증기상의 액체를 제거할 수 있는 데미스터(927)를 추가로 설치하도록 구성하여 소수성막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구(91)가 승강하여 직접 기체 배출홀(921)을 막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불안정한 면접촉에 의한 누수문제, 액체와 기체배출홀 간의 간격이 너무 가까울 경우 미배출 기체가 형성하는 완충 공간부의 축소에 따른 압축된 기체에 의한 팽창력 저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기체 배출홀(921)을 확실하게 실링하면서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 상승시 기체 배출홀을 막는 배출마개(94)를 상기 기체 배출홀(921)에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출마개는 부구의 상부와 이격되게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가 접촉 가압시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하거나 부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출마개(94)는 기체 배출 커버(92)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921)에 삽입되어 막는 하부마개(941)와, 이 하부마개(941)가 평상시 기체 배출홀(921)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상기 하부마개(941)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부(942)와, 이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921)의 상부에 걸려 있는 걸림부(943)로 구성된다.
이때 연결부(942)의 길이는 상기 하부마개(941)가 기체 배출홀(921)을 막고 있는 상태에서 기체 배출 커버(92)의 상부 높이보다 길게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걸림부(943)가 뜬 상태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942)의 외경은 기체 배출홀(921)의 내경보다 작게하여 하부마개(941)가 하부로 돌출되어 기체 배출홀(921)이 개방된 상태일 경우 기체가 원활히 상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하부마개가 하강되었을 경우 상기 걸림부(943)의 하부면이 기체 배출 커버(92)의 상부면을 막아 기체의 배출을 막게 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걸림부에 복수개의 개방홀(94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하였다. 이 개방홀의 위치는 상기 연결부(942)의 외경과 기체 배출홀(921)의 내경이 이루는 틈새에 해당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걸림부가 기체 배출 커버(92)의 상부면에 접촉시는 연결부의 길이에 의해 항시 하부마개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면서 기체가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942)와 걸림부(943)는 분리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형 방식은 상하 억지끼움 방식 또는 볼트 체결 방식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한 실시예를 들어 볼트에 의해 체결되도록 분리형을 설명하면 상기 걸림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 후 상기 연결부의 상부 일부를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홈(945)을 형성하고, 이 체결홈에 볼트(946)를 삽입하여 결합하거나 볼트를 분리하여 연결부와 걸림부를 분해토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분리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에 따라 배출마개를 교체해야 할 경우 간단히 볼트 체결을 해제함으로써 교체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마개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947)이 구비되어 각각의 실링홈에 실링(948)이 설치되어 수밀력을 높이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마개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에서는 원뿔형 구조로만 구성되어 있지만 원통형 구조 또는 원뿔형 구조 또는 구형 구조 및 다각형의 통형구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구조 중 바람직하게는 원뿔형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가장 개폐가 쉽고 보다 수밀력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배출마개(94)를 원뿔형 구조로 구성시는 당연히 상기 기체 배출홀(921)의 형상 역시 배출마개의 형상에 따라 하부에서 상부 일정 높이까지 직경이 작아지게 형성하고 그 위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일체형 기액분리기의 작동을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기액분리기 본체(1)의 유입구(7)를 통해 기체가 포함된 액체가 중간저장조(5)에 유입되면 일정수위가 될 때까지 계속 저장되다가 사이클론(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23)까지 차올라 넘쳐흐르면서 사이클론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 유입된 액체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이클론의 내벽을 따라 소용돌이치면서 하강하여 하부에 형성된 제 3 액체 배출구(121)를 통해 하부 저장조(4)로 배출되어 저장된 후 제 1 액체 배출구(8)를 따라 배출되고, 동시에 액체가 소용돌이치면서 형성하는 사이클론의 안쪽 중앙부 공간을 통해 기체가 상승하여 기체 배출구(122) 및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상부 저장조(6)로 배출 된다.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된 기체는 그 상부쪽에 매달려 설치된 기체 분출부(9)를 구성하는 원통형 부구 케이스(93)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홀(932), 하부홀(933) 및 부구케이스와 내부에 삽입된 부구(91)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하여 기체 배출 커버(92)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921) 및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되는 기체가 머금은 액체 즉, 중간 저장조에 설치된 사이클론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일부 액체는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기체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함께 공급되어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가 높아져 상부에 위치한 부구케이스(93)까지 차오르게 될 경우, 부구를 완전히 상승시키기 전까지는 기체가 부구케이스의 상부홀(932), 하부홀(933) 및 부구케이스와 부구(91)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하여 기체 배출 커버(92)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921) 및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더욱 수위가 상승하면 부구(91)의 상부면이 기체 배출홀(921)의 하부를 막아 기체의 배출을 막게 된다.
이후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상부 저장조(6)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저장된 액체 수위의 하강과 함께 압축된 상태로 상부 저장조(6)의 상부쪽에 남아 있던 미 배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부구가 하부로 하강하면 다시 기체가 배출되게 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는 그 구성이 상기 제 1 실시예와 구성과 동일하고, 제 1 실시예에 기재된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 대신에 소수성막이 구비되어 기체 배출홀을 통과한 기체가 상부쪽에 설치된 소수성막(925)를 통과하면서 기체만 통과되고, 습한 성분이 제거되어 배출된 후 분리형 이송관(181) 및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만 다르다.
(제 3 실시예)
이하 설명되는 제 3 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의 구성에 배출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의 실시예이다.
기액분리기 본체(1)의 유입구(7)를 통해 기체가 포함된 액체가 중간저장조(5)에 유입되면 일정수위가 될 때까지 계속 저장되다가 사이클론(12)의 상단부에 형성된 유입구(123)까지 차올라 넘쳐흐르면서 사이클론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되면 유입된 액체는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사이클론의 내벽을 따라 소용돌이치면서 하강하여 하부에 형성된 제 3 액체 배출구(121)를 통해 하부 저장조(4)로 배출되어 저장된 후 제 1 액체 배출구(8)를 따라 배출되고, 동시에 액체가 소용돌이치면서 형성하는 사이클론의 안쪽 중앙부 공간을 통해 기체가 상승하여 기체 배출구(122) 및 기체 배출 가이드관(13)을 통해 상부 저장조(6)로 배출 된다.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된 기체는 그 상부쪽에 매달려 설치된 기체 분출부(9)를 구성하는 원통형 부구 케이스(93)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홀(932), 하부홀(933) 및 부구케이스와 내부에 삽입된 부구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921)에 매달려 있는 배출마개(94)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마개(941) 및 연결부(942)와 기체 배출홀(921)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 후 배출마개(94)의 상부를 구성하는 걸림부(94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홀(944)을 통해 배출되어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배출되어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부 저장조(6)로 배출되는 기체가 머금은 액체 즉, 중간 저장조에 설치된 사이클론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은 일부 액체는 상부 저장조(6)에 저장되게 된다.
이후 지속적으로 기체 배출량이 늘어나면서 함께 공급되어 저장되는 액체의 수위가 높아져 상부에 위치한 부구케이스(93)까지 차오르게 될 경우, 부구를 완전히 상승시키기 전까지는 기체가 부구케이스의 상부홀(932), 하부홀(933) 및 부구케이스와 부구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921)에 매달려 있는 배출마개(94)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마개(941) 및 연결부(942)와 기체 배출홀(921) 간의 틈새를 통해 상승 후 배출마개(94)의 상부를 구성하는 걸림부(94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홀(944)을 통해 배출되어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배출된 후 이와 연결된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후 더욱 수위가 상승하면 부구(91)의 상부면이 기체 배출홀(921)에 매달려 있는 배출마개(94)를 들어올려 배출마개를 구성하는 하부마개(941)가 기체 배출홀(921)을 막아 액체의 배출을 막게 된다.
이후 간헐적 또는 지속적으로 제 2 액체 배출구(11)를 통해 상부 저장조(6)로부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저장된 액체 수위의 하강과 함께 압축된 상태로 상부 저장조(6)의 상부쪽에 남아 있던 미 배출 기체의 압력으로 인해 부구가 하부로 하강하면서 배출마개를 구성하는 하부마개(941)와 연결부(942)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부(943)가 하강하면서 다시 걸리게 되고, 다시 상부 저장조에 공급되는 기체는 배출마개(94)의 상부를 구성하는 걸림부(943)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개방홀(944)을 통해 배출되어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가이드 챔버의 상부에 형성된 홀(924)을 통해 배출된 후 이와 연결된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는 그 구성이 상기 제 3 실시예와 구성과 동일하고, 제 3 실시예에 기재된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 챔버(923) 대신에 소수성막이 구비되어 기체 배출홀을 통과한 기체가 상부쪽에 설치된 소수성막(925)를 통과하면서 기체만 통과되고, 습한 성분이 제거되어 배출된 후 분리형 이송관(181) 및 이송관(18)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만 다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기액 분리기 본체 (2) : 하부 분리판
(3) : 상부 분리판 (4) : 하부 저장조
(5) : 중간 저장조 (6) : 상부 저장조
(7) : 유입구 (8) : 제 1 액체 배출구
(9) : 기체 분출부 (11) : 제 2 액체 배출구
(12) : 사이클론 (13) : 기체 배출 가이드관
(14) : 본체 플랜지 (15) : 이송관 플랜지
(16) : 실링홈 (17) : 실링
(18) : 이송관 (91) : 부구
(92) : 기체 배출 커버 (93) : 부구 케이스
(94) : 배출마개 (121) : 제 3 액체 배출구
(122) : 기체 배출구 (123) : 유입구
(181) : 분리형 이송관 (911) : 부구 가이드
(921) : 기체 배출홀 (922) : 돌출부
(923) : 가이드 챔버 (924) : 홀
(925) : 소수성막 (926) : 다공성필터
(927) : 데미스터 (931) : 걸림턱
(932) : 상부홀 (933) : 하부홀
(941) : 하부마개 (942) : 연결부
(943) : 걸림부 (944) : 개방홀
(945) : 체결홈 (946) : 볼트
(947) : 실링홈 (948) : 실링

Claims (18)

  1. 삭제
  2. 기액 분리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하부 분리판과 상부 분리판을 설치하여 3개의 공간부로 분할하여, 중간 저장조에서 기액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하부 저장조와; 유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액체 중에 기체가 포함된 혼합 액체를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을 통해 기액분리하는 중간 저장조 및 중간 저장조의 사이클론에서 기액분리되어 상부로 분리 배출된 기체 및 일부 액체가 저장되는 상부 저장조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부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액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가 기체배출커버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장치된 기체 분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에 설치된 제 1 액체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로 연통된 중간 저장조의 제 2 액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사이클론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여 상부 둘레 일 지점에 형성된 유입구를 통해 중간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가 측방향으로 유입되어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하단부는 하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제 3 액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하부 저장조에 분리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단부는 상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기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기체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기체를 상부 저장조로 배출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3. 기액 분리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하부 분리판과 상부 분리판을 설치하여 3개의 공간부로 분할하여, 중간 저장조에서 기액 분리된 액체가 저장되는 하부 저장조와; 유입구를 통해 외부에서 공급된 액체 중에 기체가 포함된 혼합 액체를 내부에 설치된 사이클론을 통해 기액분리하는 중간 저장조 및 중간 저장조의 사이클론에서 기액분리되어 상부로 분리 배출된 기체 및 일부 액체가 저장되는 상부 저장조로 구성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로 배출되는 기체는 상부 저장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액체 수위에 따라 승하강하는 부구가 기체배출커버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을 개폐하도록 장치된 기체 분출부를 통해 배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하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에 설치된 제 1 액체 배출구로 배출하고, 상기 상부 저장조에 저장된 액체는 하부로 연통된 중간 저장조의 제 2 액체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사이클론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형상을 가지게 형성하여 상부 둘레 일 지점에 형성된 유입구와 사이클론의 유입구가 직결식으로 연결되어 기체가 포함된 혼합된 액체가 중간저장조에 보관없이 외부에서 직접 사이클론으로 유입되어 기체와 액체가 분리되게 구성하고, 하단부는 하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제 3 액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하부 저장조에 분리된 액체를 공급하고, 상단부는 상부 분리판을 관통하는 기체 배출구가 형성되어 그 상부에 연결 설치된 기체 배출 가이드관을 통해 기체를 상부 저장조로 배출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론은 유입되는 유체의 용량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5.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기체 분출부는,
    하단에 부구가 하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부와 하부 둘레에는 각각 1개 이상의 상부홀 및 하부홀이 형성되어 기체 및 액체가 배출되도록 하고, 수납된 부구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도 기체 및 액체가 배출되도록 한 실린더 형상의 부구 케이스와;
    부구의 승하강에 의해 개폐되도록 중앙부에는 기체 배출홀이 형성되고, 하부 일부분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부구 케이스의 상부 내측에 삽입되게 형성된 기체 배출 커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커버는 기액 분리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본체 플랜지와 기체를 이송하는 기체 이송관의 일측단에 형성된 이송관 플랜지 사이에 위치하여 상하간을 체결하여 고정되고,
    상기 본체 플랜지와 이송관 플랜지의 접하는 내측면에는 각각 원주방향으로 실링홈이 형성되어 실링이 끼워져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 상승시 기체 배출홀을 막는 배출마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마개는 부구의 상부와 이격되게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하부에서 부구가 접촉 가압시 상승하여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마개는 부구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액체의 수위 상승에 따라 기체 배출홀을 막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배출마개는, 기체 배출 커버에 형성된 기체 배출홀에 삽입되어 막는 하부마개와, 이 하부마개가 평상시 기체 배출홀의 하부로 돌출되어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게 상기 하부마개의 상부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에 길이 방향으로 삽입되는 연결부와, 이 연결부의 끝단에 형성되어 기체 배출홀의 상부에 걸려 있고 복수개의 개방홀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걸림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방홀의 위치는 연결부의 외경과 기체 배출홀의 내경이 이루는 틈새에 해당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걸림부는 분리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하부마개의 둘레에는 하나 이상의 실링홈이 구비되어 각각의 실링홈에 실링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4.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커버의 기체 배출홀 상부쪽에는 분리된 기체가 배출되도록 상부면에 홀이 형성된 가이드 챔버가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5.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체 배출 커버의 기체 배출홀 상부쪽에는 분리된 기체가 배출되도록 이송관에 분리형 이송관을 추가로 형성하고, 이 분리형 이송관 내측에 소수성막을 설치하여 기체만 통과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막 후단에 다공성 필터를 더 구비하여 소수성막을 지지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막의 전후단에 수증기상의 액체를 제거할 수 있는 데미시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18.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부구는 물보다 비중이 작은 합성수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기액 분리기.
KR1020140022317A 2014-02-26 2014-02-26 일체형 기액 분리기 KR101584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17A KR101584584B1 (ko) 2014-02-26 2014-02-26 일체형 기액 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2317A KR101584584B1 (ko) 2014-02-26 2014-02-26 일체형 기액 분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089A KR20150101089A (ko) 2015-09-03
KR101584584B1 true KR101584584B1 (ko) 2016-01-13

Family

ID=54242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2317A KR101584584B1 (ko) 2014-02-26 2014-02-26 일체형 기액 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6618B (zh) * 2018-08-15 2024-02-02 河北科瑞达仪器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水路气体快速自动去除装置
CN111153460A (zh) * 2020-01-20 2020-05-15 中铁二院贵阳勘察设计研究院有限责任公司 带气封装置地下水与有害气体分离仓
KR200492927Y1 (ko) * 2020-06-30 2021-01-05 이에스피 주식회사 정량펌프용 탈가스 챔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2638A (ja) * 2009-04-06 2012-09-27 グレイ,イアン 気体−液体−固体分離器
WO2013144484A1 (fr) * 2012-03-26 2013-10-03 Mgi Coutier Séparateur à cycl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2638A (ja) * 2009-04-06 2012-09-27 グレイ,イアン 気体−液体−固体分離器
WO2013144484A1 (fr) * 2012-03-26 2013-10-03 Mgi Coutier Séparateur à cycl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089A (ko)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71B1 (ko) 필터 조립체 및 필터 조립체를 통한 유동 지향 방법
JP4967685B2 (ja) 気泡分離器
US20160288019A1 (en) Cyclonic separator system
KR101584584B1 (ko) 일체형 기액 분리기
KR101574660B1 (ko) 소수성막을 이용한 기액 분리기
WO2007049246A3 (en) A well fluid separator tank for separation of fluid comprising water, oil and gas, use of such a tank,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well fluid including water, oil, and gas
RU2008130105A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я сепараторная емкость
BR112018069358B1 (pt) Aparelho para separação de hidrocarbonetos a partir de água
KR920018397A (ko) 압축 공기용 필터 압축공기용 필터장치
CN103657313A (zh) 气液分离器
CN104043293A (zh) 一种螺旋管气液分离方法
CA2693025C (en) Liquid separator
CN103977665B (zh) 气液分离器
JP5776326B2 (ja) 気液分離器
CN215352481U (zh) 一种气液分离罐及气液分离系统
US8298309B2 (en) Liquid separator and tank system comprising a liquid separator
JP4352228B2 (ja) ブリーザ装置
US20140110333A1 (en) Solid from liquid separation apparatus
JP2018114469A5 (ko)
JP6703165B1 (ja) 気液分離装置
JP2007330937A (ja) 気液分離装置
KR102561567B1 (ko) 멀티 드레인을 포함한 세퍼레이터
RU2275228C1 (ru) Сепаратор
JP2013128879A (ja) 空気吹出し手段用の気液分離装置
JP2005144303A (ja) 気液分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