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212B1 -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 Google Patents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212B1
KR101584212B1 KR1020130144707A KR20130144707A KR101584212B1 KR 101584212 B1 KR101584212 B1 KR 101584212B1 KR 1020130144707 A KR1020130144707 A KR 1020130144707A KR 20130144707 A KR20130144707 A KR 20130144707A KR 101584212 B1 KR101584212 B1 KR 101584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sthesis
crown
abutment
vinyl
dental c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4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359A (ko
Inventor
권지민
권지용
Original Assignee
권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민 filed Critical 권지민
Priority to KR1020130144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212B1/ko
Publication of KR2015006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tapered or conical conne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크라운은 인공치아로 사용되는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외부에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보철물에 부착되는 비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CROWN FOR REMOVING DENTAL CEMENT AND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치과용시멘트를 이용하여 크라운과 어버트먼트를 접착시킬때 외부로 나오는 치과용시멘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구조체는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치아가 상실된 부위에 인공 치근을 심어 치조골에 유착시키고 그 인공 치근에 크라운을 고정하여 형성한 구조체를 의미한다.
임플란트 구조체는 손상 또는 손실된 치아를 수복하기 위한 시술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시술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구조체가 존재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100)는 치조골에 식립되는 픽스츄어(120) 및 보철물(180)과 일체를 이루며 픽스츄어(120) 상에 배치되는 어버트먼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보철물(180) 및 어버트먼트(140)는 외부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을 관통하는 홀(184)이 형성된다. 스크류(160)는 홀(184)을 통해 픽스츄어(120)에 체결됨으로써, 보철물(180) 및 어버트먼트(140)가 픽스츄어(12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100)는 홀(184)이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160)와 픽스츄어(120) 간의 결합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나, 결합을 위해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하며 제작비용이 경제적이지 않다. 또한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100)는 나사풀림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 큰 문제점을 가진다.
도 2는 종래의 시멘트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시멘트타입 임플란트 구조체(200)는 상기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100)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시멘트타입 임플란트 구조체(200)은 픽스츄어(220), 시멘트형 어버트먼트(240) 및 보철물(280)을 포함한다.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220)에 스크류 홀(242)이 형성된 어버트먼트(240)를 배치하고, 스크류 홀(242)을 통해 스크류(260)를 픽스츄어(220)에 체결하여 어버트먼트(240)를 고정한다.
고정된 어버트먼트(240)에 보철물(280)을 끼우고,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를 개재하여 어버트먼트(240) 및 보철물(280)을 합착한다. 도 1의 스크류 타입과는 달리, 보철물(280)을 어버트먼트(240)와 분리하여 제조한 후, 보철물(280)과 어버트먼트(240)를 치과용시멘트를 사용하여 합착한다.
종래의 시멘트타입은 스크류타입과 달리 자연스러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지만 일단 장착한 후에는 스크류를 풀어 크라운을 분리할 수 없는 문제점과 구강내에 남아있는 치과용시멘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염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도 3은 종래의 SCRP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SCRP타입 임플란트 구조체(300)는 픽스츄어(310), 어버트먼트(320), 스크류(330) 및 보철물(340)을 포함한다.
치조골에 식립된 픽스츄어(310)에 제1 스크류 홀(324)이 형성된 어버트먼트(320)를 배치하고, 제1 스크류 홀(324)을 통해 스크류(330)를 픽스츄어(310)에 체결하여 어버트먼트(320)를 고정한다.
고정된 어버트먼트(320)에 제2 스크류 홀(344)이 형성된 보철물(340)을 끼우고, 그 사이에 치과용 시멘트(350)를 개재하여 어버트먼트(320) 및 보철물(340)을 합착한다. 보철물(340)과 어버트먼트(320)를 치과용시멘트를 사용하여 합착하며, 상기 제2 스크류 홀(344)은 합착된 어버트먼트(320) 및 보철물(340)을 픽스츄어(310)로부터 분리하는 등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 3의 SCRP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는 도 1의 스크류타입과 도 2의 시멘트타입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나, SCRP타입의 경우에도 시멘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구강내에 남아있는 치과용시멘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염증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치과용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 구강내에 상기 치과용시멘트가 거의 남지않도록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크라운은 인공치아로 사용되는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외부에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보철물을 감싸는 비닐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라운은 상기 비닐부와 상기 보철물을 부착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핫멜트 접착제 또는 천연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부는 상기 보철물의 외부형태에 매칭되도록 제조된 상기 보철물의 외부를 감싸는 비닐커버의 형태이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상기 보철물의 하단부의 미리결정된 높이만큼만 상기 보철물에 입혀져 상기 비닐커버와 상기 보철물을 부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커버는 상기 보철물의 높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기를 구성하면서 상기 보철물을 감싸면서 상기 보철물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닐부는 상기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상기 보철물의 하단부의 미리결정된 높이만큼만 감싸는 비닐보호라인의 형태로, 상기 접착제를 통해 상기 보철물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닐보호라인은 상기 미리결정된 높이만큼의 제2돌기를 구성하면서 상기 보철물을 감싸면서 상기 보철물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는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접착되는 제1항의 크라운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부가 제거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이 서로 접착하는 경우에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 배출되어 상기 비닐부에 부착된 치과용 시멘트도 같이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에 의하면 임플란트 구조체에 치과용시멘트를 사용할 경우에 구강내에 치과용시멘트가 거의 남지 않도록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시멘트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SCRP타입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의 비닐커버 제거 이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의 비닐커버 제거 이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상술한 효과를 지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의 결합시술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에 도시된 크라운(285)은 도 2에 도시된 시멘트타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4b에 도시된 크라운(345)은 도 3에 도시된 SCRP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4a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285)은 보철물(280) 및 상기 보철물(280)의 외부를 감싸는 비닐커버(290)를 포함한다.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345)은 보철물(340) 및 상기 보철물(340)의 외부를 감싸는 비닐커버(390)를 포함한다.
상기 보철물(280,340)은 금속(metal), 세라믹(ceramics) 또는 자기(porcelaine)의 겹층 구조 또는 그 자체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닐커버(290,390)는 그 재료가 비닐(vinyl)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4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닐커버(290)는 상기 보철물(280)의 외부형태에 매칭되도록 제조되어 상기 보철물(280)의 외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접착제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설계변경에 따라 상기 보철물(280)은 상기 비닐커버(290)와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도 있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핫멜트 접착제 또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전체적으로 상기 보철물(280)에 입혀져 상기 비닐커버(290)가 접착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철물(280)의 하단부의 가장자리(또는 미리결정된 높이)만 입혀져 상기 비닐커버(290)를 보철물(280)과 접착시킬 수 있다.
그 이유는 상기 보철물(280)의 하단부가 어버트먼트와 직접 접착제를 통해 접촉하게 되는데, 이때의 압력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치과용 시멘트가 비닐커버(290)와 보철물(280)의 사이가 아닌 상기 비닐커버(290)의 외부에 묻도록 하기 위함이고, 최소한의 접착제의 사용을 위함이다.
상기 비닐커버(290)가 상기 보철물(280)의 외부를 감싸 제작되는 경우 도 4c처럼 보철물(280)의 높이방향으로 미리결정된 길이만큼 부착되지 않고 돌출되는 구조(도 4c의 돌기(292))이기 때문에 치과의사 또는 비닐제거장치가 이를 잡아 쉽게 뗄 수가 있어 편리하다.
즉, 보철물(280)이 어버트먼트에 합착되는 경우 외부로 밀려나오는 치과용 시멘트는 상기 보철물(280)을 감싸는 상기 비닐커버(290) 위에 묻게 되며 치과용 시멘트가 묻은 상기 비닐커버(290)를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밀려나오는 치과용 시멘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c를 참고하면, 보철물(280)에 외부에 비닐커버(290)가 위치하고 상기 비닐커버(290)는 돌기(292)를 포함한다.
상기 돌기(292)의 역할은 상기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에 부착된 이후 상기 비닐커버(290)의 제거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상기 돌기(292)는 상기 비닐커버(290)가 상기 보철물(280)을 감싸면서 부착되는 경우 그 일부분은 부착되지 않고 돌기 형태로 남는 것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비닐커버(290)는 상기 보철물(280)과 미리결정된 높이(294)만큼만 접착제가 묻어 부착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크라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크라운(285')은 도 2에 도시된 시멘트타입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5b에 도시된 크라운(345')은 도 3에 도시된 SCRP타입에 적용될 수 있다.
도 5a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285')은 보철물(280) 및 상기 보철물(280)의 하단 외부를 감싸는 비닐보호라인(290')을 포함한다.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크라운(345')은 보철물(340) 및 상기 보철물(340)의 외부를 감싸는 비닐보호라인(390')을 포함한다.
상기 보철물(280,340)은 금속(metal), 세라믹(ceramics) 또는 자기(porcelaine)의 겹층 구조 또는 그 자체만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비닐보호라인(290',390')는 그 재료가 비닐(vinyl)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 도 5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비닐보호라인(290')는 상기 보철물(280) 하부의 외부형태에 매칭되도록 제조되어 도 5a처럼 상기 보철물(280)의 하부 외부를 감쌀 수 있으며, 접착제 없이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설계변경에 따라 상기 보철물(280)은 상기 비닐보호라인(290')과 필요에 따라 접착제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상기 접착제는 인체에 무해한 접착제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핫멜트 접착제 또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닐보호라인(290')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철물(280)의 하단에 상기 접착제를 통해 부착되며, 상기 보철물(280)에 부착되는 경우 길이방향의 일측의 끝단의 미리결정된 길이(291')만큼은 부착되지 않고 돌출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치과의사 또는 비닐제거장치가 떼어내 제거를 할 수가 있기 편리한 구조이다.
즉, 보철물(340)이 어버트먼트에 합착되는 경우 외부로 밀려나오는 치과용 시멘트는 상기 보철물(340) 하부에 부착된 상기 비닐보호라인(290',390') 위에 묻게 되며 치과용 시멘트가 묻은 상기 비닐보호라인(290',390')을 제거함으로써 외부로 밀려나오는 치과용 시멘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염증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임플란트 구조체의 비닐커버 제거 이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b는 비닐커버 제거 이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임플란트 구조체는 도 4b에 도시된 크라운(345)이 적용된 예를 나타낸다. 도 6a를 참고하면, 상술한 것과 같은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합착되는 경우 외부로 밀려나와 배출되는 치과용 시멘트(350)가 비닐커버(390)를 통해 효율적으로 제거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b는 비닐커버(390)가 제거된 이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비닐커버(390) 대신 비닐보호라인이 적용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도 7은 상술한 효과를 지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의 결합시술방법을 나타내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단계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구조체가 결합되어 시술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보철물에 접착제를 통해 비닐커버 또는 비닐보호라인이 결합되어 크라운을 형성한다(S100). 이때, 상기 접착제는 핫멜트 접착제 또는 천연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라운은 어버트먼트와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결합하며(S200), 상기 어버트먼트는 픽스츄어와 스크류를 통해 결합한다.
상기 크라운이 어버트먼트와 결합하는 경우 상기 치과용 시멘트는 결합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 배출될 수 있으며, 밀려 배출된 상기 치과용 시멘트는 상기 비닐커버 또는 비닐보호라인에 묻는다.
이후 외부로 배출되는 치과용 시멘트가 묻은 상기 비닐커버 또는 비닐보호라인이 제거되어(S300). 치과용 시멘트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내용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임플란트에 사용되는 크라운에 있어서,
    인공치아로 사용되는 보철물; 및
    상기 보철물의 외부에 제거가능하도록 상기 보철물의 외부형태에 매칭되도록 제조된 상기 보철물의 외부전체를 감싸는 비닐커버의 형태로 상기 보철물에 부착되는 비닐부; 및
    상기 비닐부와 상기 보철물을 부착하는 접착제;를 포함하고,
    상기 비닐부는,
    그 외부에 상기 보철물의 높이방향으로 이어져 돌출된 제1돌기를 구성하여 사용자가 잡아서 제거하기에 편리하게 구성되며,
    상기 접착제는,
    상기 보철물이 어버트먼트에 결합하는 상기 보철물의 하단부의 미리결정된 높이만큼만 상기 보철물에 입혀져 상기 비닐부와 상기 보철물을 부착하여 사용자에 의한 제거를 편리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라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치조골에 결합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어버트먼트에 치과용 시멘트를 통해 접착되는 제1항의 크라운을 포함하고,
    상기 비닐부가 제거되면서 상기 어버트먼트와 상기 크라운이 서로 접착하는 경우에 압력에 의해 외부로 밀려 배출되어 상기 비닐부에 부착된 치과용 시멘트도 같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20130144707A 2013-11-26 2013-11-26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1584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07A KR101584212B1 (ko) 2013-11-26 2013-11-26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4707A KR101584212B1 (ko) 2013-11-26 2013-11-26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59A KR20150060359A (ko) 2015-06-03
KR101584212B1 true KR101584212B1 (ko) 2016-01-14

Family

ID=53504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4707A KR101584212B1 (ko) 2013-11-26 2013-11-26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751A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593B1 (en) 2019-12-31 2020-11-24 King Saud University Sulcular guard and method of use
KR102242487B1 (ko) * 2021-01-22 2021-04-19 김정규 밴드타입 크라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94B1 (ko) 2009-02-17 2011-10-17 홍순진 시멘트 타입 치과 임플랜트용 어부트먼트
US20120203235A1 (en) 2011-02-08 2012-08-09 Richard Berger Device and Method for Bone Cement Removal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094B1 (ko) 2009-02-17 2011-10-17 홍순진 시멘트 타입 치과 임플랜트용 어부트먼트
US20120203235A1 (en) 2011-02-08 2012-08-09 Richard Berger Device and Method for Bone Cement Remov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2751A (ko)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워랜텍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의 장착 보조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359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3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기구
KR101114933B1 (ko) 지르코니아 임플란트 지대주
JPH0712365B2 (ja) 人工歯根
KR101669893B1 (ko) 임플란트의 2중 구조 어버트먼트
KR101584212B1 (ko) 치과용시멘트 제거를 위한 크라운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구조체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KR101869348B1 (ko) 임플란트 고정체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임플란트 고정체
US20160199161A1 (en) Attachment for denture
KR100842318B1 (ko) 치과 임플란트용 슬리브 및 그를 구비한 치과 임플란트
KR100788455B1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KR100997553B1 (ko) 일체형 임플란트
US20150250569A1 (en) Superstructur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70119503A1 (en) Spike-fixing type implant and method for implanting same
KR20180002942U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1646168B1 (ko) 치과용 임플란트 조립체
KR20140103630A (ko) 플러그 타입 임플란트
KR100963432B1 (ko) 임플란트 상부보철물용 홀캡
KR101155702B1 (ko) 일체형 임플란트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62575B1 (ko) 지대주 및 이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KR20070104661A (ko) 치아용 보철물 및 제공 방법
KR20200031561A (ko) 잉여 치과용 시멘트에 의한 염증 방지 시트의 사용 방법 및 염증 방지 시트
KR101514723B1 (ko) 임플란트의 에어 크라운용 어버트먼트
KR2013008438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