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4131B1 -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 Google Patents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4131B1
KR101584131B1 KR1020130141697A KR20130141697A KR101584131B1 KR 101584131 B1 KR101584131 B1 KR 101584131B1 KR 1020130141697 A KR1020130141697 A KR 1020130141697A KR 20130141697 A KR20130141697 A KR 20130141697A KR 101584131 B1 KR101584131 B1 KR 10158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water
concentration
flavor
contained
pp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8719A (ko
Inventor
김호열
김영하
김정주
양성돈
홍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30141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41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58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원수유입부와,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와,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부와,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에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고도산화처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의 대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Apparatus for removing taste odor matter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수와 관련된 맛냄새 유발물질은 크게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생물작용에 의한 자연발생적인 것이 일반적이다. 자연발생적 원인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은 대부분 조류에 의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조류에서 유발되는 대표적인 맛냄새 유발물질은 지오스민(Geosmin)과 2-MIB(2-methylisoborneol) 등이 있다.
즉, 조류는 세포 내 저장, 체외분비 및 분해산물 방출 형태로 맛냄새 유발물질을 발산하고, 조류가 죽었을 때 조류가 분해되면서 방선균(Actinomycetes)의 영양소로 작용하거나 기타 세균작용에 의해 조류 세포 내에 함유된 물질이 분리,용해된다.
방선균은 섬유성 단세포 세균으로 주로 토양에 서식하며 빗물에 유출되어 원수를 오염시킨다. 방선균 이외의 박테리아에서도 지오스민(Geosmin)이나 2-MIB와 같은 물질이 방출되며, 곰팡이(Fungi) 역시 지오스민(Geosmin)을 발산한다.
이와 같이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수조(1)에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수단(2)을 연결하여 분말활성탄(3: Powdered activated carbon, PAC)으로 흡착처리하고 응집혼화조(4)에서 응집제를 혼화하고, 막여과(5a)와 모래여과(5b)로 이루어진 여과조(5)에서 처리하고 배수지(6)로 배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에서 상수의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지오스민(Geosmin)이나 2-MIB와 같은 맛냄새 유발물질이 분말활성탄이나 막여과 및 모래여과를 통과하는 정수처리과정에서 맛냄새 유발물질이 완전하게 제거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분말활성탄 처리시에는 상수원과 같이 맛냄새 유발물질이 유기물로 존재할 경우에는 흡착효과가 미미하여 활성탄에 의해 제거효율이 증가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효율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맛냄새 유발물질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은 크게 관능법과 기기분석법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방법은 정수장 운영자가 직접 시료를 채수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연속적 측정이 불가능하고, 분석을 위한 전처리가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맛냄새 유발물질이 다량 유입시 정수처리 장애에 대한 대응이 불가능하다.
또한, 고도정수공정에서 원수에 조류가 다수 증식하였을 경우에 맛냄새 유발물질은 정수처리과정에서 제거되지 않고 음용수까지 잔류하는 경우, 기존의 감시방법으로는 연속적으로 맛냄새 유발물질을 측정할 수 없어서, 맛냄새 유발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약품투입여부의 결정여부 등 현장 대응이 늦어지는 등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고도정수공정의 운전 및 제어시, 맛냄새 유발물질과 같은 제거대상 물질의 변화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약품의 주입량을 제거 대상물질의 변화량 및 유량의 변화에 따라 주입량의 조절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3035호 (2009년 02월 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3251호 (2013년 04월 1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의 대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성능을 최적화시키는 동시에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도산화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제어밸브에 의해 다양한 고도산화처리공정을 구성할 수 있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원수유입부(10); 상기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 상기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부(30); 상기 응집혼화부(3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40); 및 상기 여과부(40)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에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도산화부(50)에서 원수를 구분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 및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로 설정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고도산화부(50)는, 상기 저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활성탄으로 처리하는 활성탄 처리수단; 상기 중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으로 처리하는 오존처리수단; 및 상기 위험농도의 원수의 처리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 과산화수소로 처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항에 기재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으로서, 원수를 유입시켜 저장하는 원수유입단계(S10); 상기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 상기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단계(S30); 상기 응집처리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40); 및 상기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에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된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도산화단계(S50)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의 원수를 활성탄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의 원수를 오존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과산화수소와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고도산화처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의 대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위험농도의 4단계로 원수를 구분하여 고도산화처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성능을 최적화시키는 동시에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도산화부에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하도록 활성탄 처리수단, 오존처리수단, 과산화처리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연결배관에 제어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고도산화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제어밸브에 의해 다양한 고도산화처리공정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는, 원수유입부(10),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 응집혼화부(30), 여과부(40), 고도산화부(50) 및 배수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원수의 고도정수 처리공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이다.
원수유입부(10)는,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원수유입수단으로서, 고도정수처리공정에 사용되는 원수를 취수정으로부터 유입시켜 저장하는 저장조로 이루어져 원수를 고도정수처리공정 이전에 일정시간 저장하게 된다.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는,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함유량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산출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수단으로서, 남조류나 방선균에 의한 2-메틸이소보르네올(2-Methylisoborneol, 2-MIB), 지오스민(Geosmin) 등과 같은 맛냄새 유발물질의 함유량을 감지하는 전자코(Electric Nose)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사용해서 감지하여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산출하게 된다.
본 실시예의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에서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Geosmin)의 함유량을 감지하여 농도를 산출하고, 본 실시예의 고도산화부(50)에서는 지오스민(Geosmin)의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해서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는, 원수유입부(10)에 연결된 맛냄새 유발물질 인지시스템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Geosmin)의 존재여부가 감지되며, 주어진 검량선에 따라 지오스민(Geosmin)의 농도가 산출된다.
따라서,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에서는 맛냄새 유발물질이 인지되고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가 맛냄새 유발물질 인지시스템에서 산출된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부인 고도산화부(50)에서 자동으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고도산화공정이 진행된다. 이때 맛냄새 유발물질 인지시스템 인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별로 다른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별도의 변환설비(translation facility)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의 하류에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가 맛냄새 유발물질 인지시스템에서 산출된 신호로 송신여부를 제어하도록 별도의 On/Off 스위치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응집혼화부(30)는,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조로서, 응집혼화조 내에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를 혼화시켜 플럭을 형성하게 되고, 플럭 중 중량의 플럭을 침전시켜 제거하게 된다.
여과부(40)는, 응집혼화부(3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수단으로서, 여과막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경량의 플럭을 여과하는 막여과기(31)와 모래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모래여과기(32)로 이루어져 있다.
고도산화부(50)는, 여과부(40)의 하류에 연결되어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공정의 처리수단이다.
이러한 고도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은 산화공정에서 사용하는 산화제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수산화 라디칼을 중간 생성물질로 생성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산화해서 분해하게 된다.
고도산화부(50)에서 원수를 구분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인 지오스민(Geosmin)의 농도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Parts Per Trillion; ng/ℓ)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와,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와,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와,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로 구분하게 된다.
고도산화부(50)는, 저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분말활성탄(Powdered activated carbon, PAC)으로 흡착처리하는 활성탄 처리수단(51)과, 중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으로 처리하는 오존처리수단(52)과, 위험농도의 원수에 과산화수소를 주입하여 처리하는 과산화수소 주입수단(53)을 포함한다.
활성탄 처리수단(51)은, 저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분말활성탄(PAC)으로 흡착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상류에 여과부(40)와 연결된 제1 유입관(51a)에는 제1 유입밸브(54)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일방에 배수부(60)와 연결된 제1 유출관(51b)에는 제1 유출밸브(55)가 설치되어 있다.
오존처리수단(52)은, 중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으로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상류에 여과부(40)와 연결된 제2 유입관(52a)에는 제2 유입밸브(56)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일방에 배수부(60)와 연결된 제3 유출관(52b)에는 제3 유출밸브(57)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타방에 활성탄처리수단(51)과 연결된 제2 유출관(51c)에는 제2 유출밸브(58)가 설치되어 있다.
과산화수소 주입수단(53)은, 위험농도의 원수를 고농도 처리공정에 과산화수소를 주입하여 반응속도를 높이기 위해 과산화수소로 처리하는 수단으로서, 하류에 오존처리수단(52)과 연결된 제3 유입관(53a)에는 제3 유입밸브(59)가 설치되어 있다.
원수가 저농도인 경우에는, 제1 유입밸브(54)와 제1 유출밸브(55)가 개방되고, 제2 유입밸브(52)와 제2 유출밸브(58)가 폐쇄되어, 저농도의 원수가 활성탄 처리수단(51)에서 활성탄에 의해 흡착처리되어 배수된다.
원수가 중농도인 경우에는, 제2 유입밸브(56)와 제3 유출밸브(57)가 개방되고, 제1 유입밸브(54)와 제2 유출밸브(58)와 제3 유입밸브(59)가 폐쇄되어, 중농도의 원수가 오존처리수단(52)에서 오존에 의해 처리되어 배수된다.
원수가 고농도인 경우에는, 제2 유입밸브(56)와 제2 유출밸브(58)와 제1 유출밸브(55)가 개방되고, 제1 유입밸브(54)와 제3 유출밸브(57)와 제3 유입밸브(59)가 폐쇄되어, 오존처리수단(52)과 활성탄 처리수단(51)에서 오존과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배수된다.
따라서, 고농도의 원수를 처리하는 경우에 활성탄 처리수단(51)에서의 활성탄처리를 오존처리수단(52)에서의 오존처리 후에 처리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원수가 위험농도인 경우에는, 제2 유입밸브(56)와 제3 유입밸브(59)와 제2 유출밸브(58)와 제1 유출밸브(55)가 개방되고, 제1 유입밸브(54)와 제3 유출밸브(57)가 폐쇄되어, 오존처리수단(52)과 과산화수소 주입수단(53)과 활성탄 처리수단(51)에서 오존과 과산화수소와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배수된다.
또한 위험농도의 원수를 처리할 경우 오존처리수단에 과산화수소를 인위적으로 첨가하여 오존을 빠른 속도로 분해시켜 OH라디칼을 생성시켜 오염물질을 분해시키는 방법을 오존 과산화수소 AOP라 한다.
오존과 과산화수소는 서로 반응이 매우느리지만 HO2 -이 발생하면 오존분해가 활발히 일어난다. 과산화수소는 반응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리되어 HO2 -을 생성하고,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존과 같이 반응한다.
이중에서 O3 -·는 아래의 반응식 3과 반응식 4의 반응을 거쳐 OH라디칼을 생성하게 된다. HO2·는 O3 -·과는 달리 반응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O2 -·를 생성하게 되고, 다시 O2 -·가 반응식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O3 -·를 생성한 후, 반응식 4의 반응으로 OH라디칼을 생성한다. 이 과정을 종합한 최종반응식은 반응식 7과 같다.
[반응식 1]
H2O2 → H+ + HO2 -
[반응식 2]
O3 + HO2 - → HO2 · + O3 - ·
[반응식 3]
O3 - · + H+ → HO3 ·
[반응식 4]
HO3 · → OH · + O2
[반응식 5]
HO2 - → H+ + O2 - ·
[반응식 6]
O2 - · + O3 → O3 - · + O2
[반응식 7]
2O3 + H2O2 → 2OH · + 3O2
따라서, 고도산화부(50)에서는, 저농도의 원수가 활성탄 처리수단(51)에 의해 흡착처리되어 배수되고, 중농도의 원수가 오존처리수단(52)에 의해 처리되어 배수되고, 고농도의 원수가 오존처리수단(52)과 활성탄 처리수단(51)에 의해 순차적 처리되어 배수되고, 위험농도의 원수가 오존처리수단(52)과 과산화수소 주입수단(53)과 활성탄 처리수단(51)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되어 배수된다.
배수부(60)는, 고도산화부(50)의 하류에 설치되어 고도산화부(50)에서 고도정수처리된 원수가 배수되어 저장되는 배수지로서, 고도정수처리된 원수를 일정기간 저장한 후 각종 원수 공급처에 공급하게 된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은, 원수유입단계(S10),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 응집혼화단계(S30), 여과단계(S40), 고도산화단계(S50), 배수단계(S6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원수유입단계(S10)는, 원수를 유입시켜 저장하는 단계로서, 고도정수처리공정에 사용되는 원수를 취수정으로부터 유입시켜 저장하게 된다.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는,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실시간으로 감지해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산출하는 단계로서, 남조류나 방선균에 의한 2-메틸이소보르네올(2-Methylisoborneol, 2-MIB), 지오스민(Geosmin) 등과 같은 맛냄새 유발물질의 함유량을 감지하는 전자코 등과 같은 감지센서를 사용해서 감지하여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산출하게 된다.
응집혼화단계(S30)는,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단계로서, 응집혼화조 내에서 원수에 투입되는 응집제를 혼화시켜 플럭을 형성하게 되고, 플럭 중 중량의 플럭을 침전시켜 제거하게 된다.
여과단계(S40)는, 응집처리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단계로서, 여과막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 중 경량의 플럭을 여과하거나 모래에 의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게 된다.
고도산화단계(S50)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여과단계(S40)에서 여과된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공정의 처리단계이다.
이러한 고도산화단계(S50)에서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의 원수를 활성탄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의 원수를 오존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과산화수소와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게 된다.
배수단계(S60)는, 고도산화단계(S50)에서 고도정수처리된 원수가 배수되어 저장되는 배수단계로서, 고도정수처리된 원수를 일정기간 저장한 후 각종 원수 공급처에 공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도정수처리공정에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고도산화처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의 대응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위험농도의 4단계로 원수를 구분하여 고도산화처리함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성능을 최적화시키는 동시에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도산화부에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고도산화처리하도록 활성탄 처리수단, 오존처리수단, 과산화처리수단을 구비하고 각각의 연결배관에 제어밸브를 설치함으로써, 고도산화부의 사이즈를 콤팩트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제어밸브에 의해 다양한 고도산화처리공정을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원수유입부 20: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
30: 응집혼화부 40: 여과부
50: 고도산화부 60: 배수부

Claims (5)

  1. 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원수유입부(10);
    상기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
    상기 원수유입부(10)의 하류에 연결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부(30);
    상기 응집혼화부(30)의 하류에 접속되어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40); 및
    상기 여과부(40)의 하류에 연결되어 상기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부(20)에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부(50);를 포함하고,
    상기 고도산화부(50)에서 원수를 구분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 및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고도산화부(50)는,
    상기 저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활성탄으로 처리하도록 상류에 여과부(40)와 연결된 제1 유입관(51a)에는 제1 유입밸브(54)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일방에 배수부(60)와 연결된 제1 유출관(51b)에는 제1 유출밸브(55)가 설치되어 있는 활성탄 처리수단(51);
    상기 중농도, 고농도 및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으로 처리하도록 상류에 여과부(40)와 연결된 제2 유입관(52a)에는 제2 유입밸브(56)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일방에 배수부(60)와 연결된 제3 유출관(52b)에는 제3 유출밸브(57)가 설치되어 있고, 하류 타방에 활성탄처리수단(51)과 연결된 제2 유출관(51c)에는 제2 유출밸브(58)가 설치되어 있는 오존처리수단(52); 및
    상기 위험농도의 원수를 과산화수소로 처리하도록 하류에 오존처리수단(52)과 연결된 제3 유입관(53a)에는 제3 유입밸브(59)가 설치되어 있는 과산화수소 주입수단(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기재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를 이용한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으로서,
    원수를 유입시켜 저장하는 원수유입단계(S10);
    상기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를 감지하는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
    상기 유입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는 응집혼화단계(S30);
    상기 응집처리된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단계(S40); 및
    상기 맛냄새 유발물질 감지단계(S20)에서 감지된 맛냄새 유발물질의 농도에 따라 상기 여과된 원수를 구분하여 원수에 포함된 맛냄새 유발물질을 제거하는 고도산화단계(S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도산화단계(S50)는,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 PPT이상 내지 20 PPT미만인 저농도의 원수를 활성탄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20 PPT이상 내지 50 PPT미만인 중농도의 원수를 오존에 의해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50 PPT이상 내지 100 PPT미만인 고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원수에 포함된 지오스민의 농도가 100 PPT이상인 위험농도의 원수를 오존과 과산화수소와 활성탄에 의해 순차적으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방법.
KR1020130141697A 2013-11-20 2013-11-20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58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97A KR101584131B1 (ko) 2013-11-20 2013-11-20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697A KR101584131B1 (ko) 2013-11-20 2013-11-20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19A KR20150058719A (ko) 2015-05-29
KR101584131B1 true KR101584131B1 (ko) 2016-01-12

Family

ID=5339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697A KR101584131B1 (ko) 2013-11-20 2013-11-20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41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6495A1 (en) * 2008-03-21 2011-08-04 Robinson B Keel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treat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86495A1 (en) * 2008-03-21 2011-08-04 Robinson B Keel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water treat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719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41897B2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KR101759066B1 (ko) 과산화수소-자외선 공정 및 염소-자외선 공정을 조합한 2단 자외선 고도산화 공정을 이용하는 복합 수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3073119B (zh) 一种含油乳化液废水处理方法及装置
KR101640416B1 (ko) 조류-기인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염소-자외선 복합산화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염소 주입량과 자외선 강도 가변제어 방법
CA2439927A1 (en) Methods of treating water using combinations of chlorine dioxide, chlorine and ammonia
JP2006263505A (ja) 水処理方法及び装置
US11497230B2 (en) Humic and fulvic mineral extraction method and beverage for human consumption
BRPI0716961A2 (pt) Métodos para tratar água residual em uma instalação de tratamento de água residual, e para reduzir a formação de espuma ou intumescimento de água residual em uma bacia de lodos ativados
KR101186922B1 (ko) 오존반응 가압부상장치와 생물 활성탄 여과지를 이용한 정수처리장치
DE502006003666D1 (de) Verfahren zur oxidativen behandlung von wässrigen flüssigkeiten
DE60316195D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abwässer, welche insbesondere suspendierte schadstoffe enthalten
RU2012134663A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вод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614651B1 (ko)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이용한 정수 처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수 처리 방법
Masoomi et al. Effects of pre-ozonation and chemical coagulation on the removal of turbidity, color, TOC, and chlorophyll a from drinking water
KR101469891B1 (ko) 지표수·지하수 워터블랜딩 수처리시스템 및 방법
KR101584131B1 (ko) 맛냄새 유발물질의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389307B1 (ko) 김치 절임 공정의 절임수 재이용 장치
KR0149049B1 (ko) 고도정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8194558A (ja) 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EP2020401A1 (en) Installation for sterilizing the brine originating from the preserv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fish preserves and leather
CN205473169U (zh) 一种垃圾渗滤液深度处理的成套装置
JP7382744B2 (ja) 水処理方法および水処理装置
KR100670891B1 (ko) 가압오존 및 uv를 이용한 오폐수처리 방법 및 장치
WO2008038371A1 (fr) procÉdÉ et appareil de traitement de l'eau
RU169396U1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во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