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27B1 - 낚시용 찌 - Google Patents

낚시용 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27B1
KR101583727B1 KR1020150080766A KR20150080766A KR101583727B1 KR 101583727 B1 KR101583727 B1 KR 101583727B1 KR 1020150080766 A KR1020150080766 A KR 1020150080766A KR 20150080766 A KR20150080766 A KR 20150080766A KR 101583727 B1 KR101583727 B1 KR 101583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astener
groove
jig
cruc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길
이현숙
이슬기
Original Assignee
이봉길
이현숙
이슬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봉길, 이현숙, 이슬기 filed Critical 이봉길
Priority to KR102015008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용 찌 {fishing float}
본 발명은 낚시용 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찌는 낚시용 찌는 낚시를 위하여 물속에 잠겨진 바늘에 끼워진 미끼를 물고기가 물었다는 어신을 낚시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챔질하여 물고기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낚시 도구의 일종이다.
이러한 낚시용 찌는 수초낚시, 대물낚시, 중층낚시, 내림낚시, 바닥낚시 등 각각의 장르에 맞게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낚시용 찌는 물속에서 부력을 발생시키면서 입수와 찌올림 시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찌다리를 구비한다.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는 어신을 용이하게 감지하면서 찌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색을 가지는 찌톱으로 구성된다.
상기 낚시용 찌를 구성하는 찌몸통은 부력을 좋게 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하게 되는 데, 그 대표적인 예가 오동나무, 대나무, 발사목, 스기나무, 합성수지 또는 카본화이버 등 다양한 재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찌몸통을 만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찌몸통의 표면에는 수분이 찌몸통 내부로 흡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처리는 물론 미적인 감각을 높일 수 있도록 다양한 무늬나 채색을 수행하여 구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의 낚시용 찌는 단지 하나의 찌를 사용하고, 따라서 낚시시에 어신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효과가 약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어신을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도록 낚시줄에 고정되는 찌의 측방에 보조찌를 구비하는 방법이 연구되어 왔으며,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121220호 '낚시용 찌및 그 제조방법'에 낚시줄이 중앙 관통공을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평상시에는 수평 상태에 있다가, 입질이 있는 경우에, 수직 상태로 직립하여 어신을 신속하게 포착할 수 있는 낚시용 찌 및 그 제조 방법이 개시되어, 낚시용 찌는 좌우측에 돌출 단부를 구비하는 원통형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양단부를 연통하는 중공부를 포함한다. 본체는 표면과 내주면이 방수도료로 도포되며, 표면의 일부는 형광도료로 도포되고, 본체는 낚시줄의 원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곁줄에 의하여 고정되며, 수면에 가로방향으로 부유되되, 물고기가 미끼를 물면 본체가 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직립되어 어신이 표시되는 낚시용 찌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이를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출원 제10-1418068호에 '바다낚시용 찌'를 개시한 바 있으나, 이는 구멍찌와 부유찌가 결합된 것으로 민물낚시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낚시 초심자라 하더라도 어신을 감지하기 용이한 낚시용 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찌톱의 측방에 보조찌톱을 연결하되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어신에 따라 찌톱과 보조찌톱이 상이한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어신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낚시 등에도 발광부를 구비하여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덮개부를 구비하여 침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속불량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낚시용 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찌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면의 상부로 돌출된 찌톱과 보조찌톱의 거리와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세밀한 어신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찌톱은 수중에서 기립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부력체가 끼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공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의 상부를 체결공이 상부로 향하도록 옆방향으로 눕힌 후, 찌톱의 하단부가 체결공을 통해 결합홈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의 상단부에 연결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홈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의 내측으로 찌톱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으로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홈의 상부로 돌출된 체결구의 상부를 찌톱이 절개홈을 통해 배출되도록 옆방향으로 벗겨내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의 상단부에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구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옆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의 내측으로 찌톱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돌출돌기의 단부에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구는 굴절이 가능한 이음줄과, 이음줄의 양단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양쪽 단부에 고리가 구비된 핀도래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찌몸통의 내측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전원부를 내삽하고, 상기 찌톱의 상단부에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에 결속되며 내부에 LED램프를 수용하는 발광부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야간에도 어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조찌톱을 찌톱의 측방에서 나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체의 외주연에는 찌톱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끼움홈이 구비되고, 상기 찌톱이 끼움홈으로 삽입되고 배출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찌톱의 측방에 보조찌톱을 연결하되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써, 어신에 따라 찌톱과 보조찌톱이 상이한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어신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야간 낚시 등에도 발광부를 구비하여 시인성이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덮개부를 구비하여 침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접속불량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 수명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찌몸통의 상부 수직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이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돌기가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줄이 구비된 연결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도래가 구비된 연결구를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수중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어신에 따라 소폭 상승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어신에 따라 대폭 상승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찌몸통의 수직절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이 구비된 부력체를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찌톱이 부력체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찌몸통의 상부 수직절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결공이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개홈이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돌기가 구비된 체결구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음줄이 구비된 연결구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핀도래가 구비된 연결구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수중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어신에 따라 소폭 상승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가 어신에 따라 대폭 상승되는 것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찌몸통의 수직절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발광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홈이 구비된 부력체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찌톱이 부력체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10)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20)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30)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찌(100)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10)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11)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40)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50)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6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면의 상부로 돌출된 찌톱과 보조찌톱의 거리와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세밀한 어신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과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10)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20)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30)을; 포함한다.
상기 찌몸통(10)는 나무, 바람직하기로는 발사목으로 제조된다. 즉, 발사목을 일정 기간 동안 자연 건조시킨 후에,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고, 절단된 발사목을 원하는 형상, 예를 들면 방추형으로 가공한다.
방추형으로 가공된 발사목은 약품 처리를 통해 탈진 및 탈색 처리된 이후에, 표면에 투명한 방수도료를 사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도포한 후, 표면 일부를 형광 페인트로 수회 도장한다.
이와 같이, 찌몸통(10)은 목재 특히 발사목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목재, 합성수지, 발포우레탄, 발포폴리에틸렌, 발포폴리스틸렌, 발포스티롤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찌몸통(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형태 및 모양이 방추형으로 형성되고 있으나, 둥근형, 또는 반둥근형, 또는 길이가 길게 형성된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찌다리(20)는 찌몸통(10)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찌톱(30)은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데, 소정의 외경을 갖는 봉체상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외주면에 적정 간격만큼 형광색의 색표시가 형성된다.
아울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찌몸통(10)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11)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40)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50)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11)은 찌몸통(10)의 상단부 중심에 축방향으로 마련되어, 찌톱(30)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체결구(40)는 하부는 찌톱(30)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11)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결합홈(11)에 끼움된 체결구의 하단부가 이탈되지 않도록 체결구(40)의 하단부는 외주면에 요부가 구비되고, 결합홈(11)의 내측에 체결구의 요부에 대응하는 철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공(41)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상부를 체결공(41)이 상부로 향하도록 옆방향으로 눕힌 후, 찌톱(30)의 하단부가 체결공을 통해 결합홈(11)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40)의 상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공(41)은 체결구의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체결구(40)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내측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체결구(40)는 체결공이 결합홈(11)의 상부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체결구(40)의 상부를 옆방향으로 눕히면, 체결공(41)이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찌톱(30)의 하단부를 체결공(41)을 통해 결합홈(11)에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고, 옆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되는 체결구(40)의 상단부에는 연결구(50)가 결합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홈(42)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내측으로 찌톱(30)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11)으로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홈의 상부로 돌출된 체결구의 상부를 찌톱(30)이 절개홈(42)을 통해 배출되도록 옆방향으로 벗겨내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40)의 상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42)은 결합홈(11)의 상부로 돌출된 체결구(4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구(40)와 찌톱(30)의 하단부가 결합홈(11)으으로 함께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옆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43)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내측으로 찌톱(30)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1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돌출돌기(43)의 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50)는 한쪽 단부가 체결구(40)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구(50)는 굴절이 가능한 이음줄(51)과, 이음줄의 양단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5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구(50)는 양쪽 단부에 고리가 구비된 핀도래(53)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찌톱(60)은 하단부가 연결구(50)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어 마련되며, 수중에서 기립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부력체(61)가 끼움되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찌(100)는 하부에 연결되는 낚시바늘을 포함하는 채비가 수중에 배치되되, 보조찌톱(60)의 상단부가 수면에 돌출되도록 찌다리의 하부에 구비된 찌고무를 낚시줄에 고정하게 된다.
도 9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가 낚시바늘에 고정된 미끼와 접촉하게 되면 찌몸통(10)은 전체적으로 상승 및 하강하게 되는데, 보조찌톱(60)의 하부는 체결구(40)에 의해 연결구(50)에 체결되고 상부는 체결된 부력체(61)에 의해 부력을 제공받아 찌톱(30)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 때, 보조찌톱(60)이 상승하면서 보조찌톱(60)에 결합된 부력체(61)가 수면에 도달하게 되면, 부력체(61)의 무게에 의해 더이상 수면의 상부로 돌출되지 못하게 되고, 부력체(61)가 수면을 따라 측면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보조찌톱(60)이 전체적으로 기울어지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어신에 따라 찌몸통(10)이 상승 및 하강하게 되면서 찌톱(30)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고 보조찌톱(60)은 상승하면서 부력체(61)가 수면에 도달하게 되면 기울어짐으로써, 찌톱(30)과 보조찌톱(60)이 상이한 움직임을 보임으로써 어신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수면의 상부로 돌출된 찌톱(30)과 보조찌톱(60)의 거리와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세밀한 어신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찌톱(30)과 보조찌톱(60)의 외주면에 각각 적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색표시는 색상이 서로 상이하게 구비됨으로써 시인성이 증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과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찌몸통의 내측에 중공부(12)를 형성하여 전원부(71)를 내삽하고, 상기 찌톱의 상단부에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부(72)와; 상기 단자부에 결속되며 내부에 LED램프를 수용하는 발광부(73)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덮개부(74)를; 더 포함하여, 야간에도 어신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원부(71)는 찌몸통(10)의 내부에 중공부(12)를 구비하여 내삽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찌몸통(10)은 상부와 하부로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부의 저면과 하부의 상부면에 서로 치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어 결합되며, 찌몸통(10)의 내부에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패킹이 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자부(72)는 찌톱(30)의 상단부에 끼움되어 전원부(71)와 연결되며, 바람직하기로는 수직방향으로 입설되는 판형상체로 형성되어 전방 및 후방에 LED램프가 수용된 발광부(73)이 접착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74)는 하부가 개방된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단자부(72)의 상부에서 끼움되어 발광부(73)를 내부에 수용하여 방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단자부(72)와 발광부(73) 및 덮개부(74)는 찌톱(30) 뿐만 아니라 보조찌톱(60)의 상단부에도 체결될 수 있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찌톱(30)과 보조찌톱(60)의 각 상단부에 설치되는 발광부(74)에 수용된 LED램프는 야간에도 어신을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서로 상이한 색상으로 발광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3과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찌톱(60)을 찌톱(30)의 측방에서 나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체(61)의 외주연에는 찌톱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끼움홈(62)이 구비되고, 상기 찌톱이 끼움홈으로 삽입되고 배출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끼움홈(62)는 부력체(61)의 외주연에 수직방향으로 하나 이상 구비되어, 보관시에 찌톱(30)의 일부가 끼움홈(62)에 삽입되어 찌톱과 보조찌톱이 나란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61)의 외주면에 고정밴드(63)가 끼움홈(62)에 삽입된 찌톱(30)이 이탈되지 않도록 부력체(61)에 고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밴드(63)가 방추형으로 형성되는 부력체(61)의 외주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부력체(61)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홈(64)이 구비되어 부력체(61)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0: 낚시용 찌
10: 찌몸통 11: 결합홈
12: 중공부 20: 찌다리
30: 찌톱 40: 체결구
41: 체결공 42: 절개홈
50: 연결구 60: 보조찌톱
61: 부력체 62: 끼움홈
63: 고정밴드 64: 고정홈
71: 전원부 72: 단자부
73: 발광부 74: 덮개부

Claims (9)

  1. 부력을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찌몸통(10)과; 상기 찌몸통의 하방에 낚시줄과 찌고무로 연결할 수 있게 구비되는 찌다리(20)와; 상기 찌몸통의 상방에 어신을 감지하면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찌톱(30)으로 구성되는 낚시용 찌(100)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10)의 상단부 중심에 축 방향으로 찌톱(30)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결합홈(11)을 구비하고, 하부는 찌톱의 하단부를 감싸며 결합홈에 끼움되고, 상부는 결합홈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구(40)와; 한쪽 단부가 체결구와 연결되며 자유롭게 꺽임이 가능한 연결구(50)와; 하단부가 연결구의 다른쪽 단부에 체결되는 보조찌톱(60)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수면의 상부로 돌출된 찌톱과 보조찌톱의 거리와 각도를 확인함으로써 세밀한 어신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찌톱(60)은 수중에서 기립될 수 있도록,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부력체(61)가 끼움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 수평방향으로 내측과 연통되는 체결공(41)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상부를 체결공(41)이 상부로 향하도록 옆방향으로 눕힌 후, 찌톱(30)의 하단부가 체결공을 통해 결합홈(11)에 삽입함으로써 고정되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40)의 상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개홈(42)이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내측으로 찌톱(30)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11)으로 함께 삽입되어 고정되고, 결합홈의 상부로 돌출된 체결구의 상부를 찌톱(30)이 절개홈(42)을 통해 배출되도록 옆방향으로 벗겨내고, 옆방향으로 절곡된 체결구(40)의 상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4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 일측에 옆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돌기(43)가 구비되어, 상기 체결구(40)의 내측으로 찌톱(30)의 하단부가 끼움되어 결합홈(11)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돌출돌기(43)의 단부에 연결구(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는 굴절이 가능한 이음줄(51)과, 이음줄의 양단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50)는 양쪽 단부에 고리가 구비된 핀도래(53)가 하나 이상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찌몸통의 내측에 중공부(12)를 형성하여 전원부(71)를 내삽하고, 상기 찌톱 또는 보조찌톱의 상단부에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단자부(72)와; 상기 단자부에 결속되며 내부에 LED램프를 수용하는 발광부(73)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발광부를 보호하는 덮개부(74)를; 더 포함하여, 야간에도 어신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찌톱을 찌톱의 측방에서 나란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부력체의 외주연에는 찌톱의 일부가 측방향으로 삽입되도록 수직방향으로 끼움홈(62)이 구비되고, 상기 찌톱이 끼움홈으로 삽입되고 배출되지 않도록 부력체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정밴드(6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찌.
KR1020150080766A 2015-06-08 2015-06-08 낚시용 찌 KR101583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66A KR101583727B1 (ko) 2015-06-08 2015-06-08 낚시용 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766A KR101583727B1 (ko) 2015-06-08 2015-06-08 낚시용 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727B1 true KR101583727B1 (ko) 2016-01-19

Family

ID=55306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766A KR101583727B1 (ko) 2015-06-08 2015-06-08 낚시용 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79255Y1 (ko) * 2004-12-22 2005-03-17 남창희 낚시용 수중찌.
KR200391787Y1 (ko) * 2005-03-07 2005-08-09 나영수 낚시찌
KR200463849Y1 (ko) * 2010-06-21 2012-11-30 박관호 개량낚시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361Y1 (ko) * 2004-05-11 2004-07-27 최재고 낚시찌의 발광장치
KR200379255Y1 (ko) * 2004-12-22 2005-03-17 남창희 낚시용 수중찌.
KR200391787Y1 (ko) * 2005-03-07 2005-08-09 나영수 낚시찌
KR200463849Y1 (ko) * 2010-06-21 2012-11-30 박관호 개량낚시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27655A (en) Illuminable fishing float
US7225583B1 (en) Fish attractor
US4727672A (en) Artificial structure for attracting fish
US5018480A (en) Simulated tree branch for small animal enclosures
KR101583727B1 (ko) 낚시용 찌
US20150257375A1 (en) Bait lighting and fish attracting bobber
KR101570334B1 (ko) 스마트 태그가 내장된 김 양식용 형광 부구장치
KR200415536Y1 (ko) 전자 발광 찌
KR200302104Y1 (ko) 비엘도료를 이용한 야광 낚시찌
KR20210127498A (ko) 오동나무를 이용한 낚시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87559B1 (ko) 다단 발광 낚시찌 및 다단 형광 낚시찌
KR200203670Y1 (ko) 해태(김)양식망용 지지대
KR200391787Y1 (ko) 낚시찌
CN104304206A (zh) 可诱鱼的浮标
KR200344879Y1 (ko) 개선된 바다낚시용 찌
WO2016126106A1 (ko) 낚시용 찌
CN204860558U (zh) 四棱台藻场养护礁
KR102615532B1 (ko) 낚시용 루어 축광기
KR200282090Y1 (ko) 낚시용 낚시찌
KR200328821Y1 (ko) 낚시용 구멍찌
KR102304382B1 (ko) 가시성이 향상된 타이러버헤드
KR102353332B1 (ko) 집어 효과가 우수한 집어등
CN214709780U (zh) 一种悬空式钓鱼浮漂
KR20080005708U (ko) 바다 낚시용 낚시찌
KR200227014Y1 (ko) 여뀌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