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712B1 - 카테터 홀더 - Google Patents

카테터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712B1
KR101583712B1 KR1020150098682A KR20150098682A KR101583712B1 KR 101583712 B1 KR101583712 B1 KR 101583712B1 KR 1020150098682 A KR1020150098682 A KR 1020150098682A KR 20150098682 A KR20150098682 A KR 20150098682A KR 101583712 B1 KR101583712 B1 KR 101583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pad
holder body
coupling portion
cath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20150098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clip or clamp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4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fixed on the skin having a cover for covering the hol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테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카테터 홀더 {Catheter holder}
본 발명은 카테터 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환자의 소변의 배출과 약 공급 또는 정맥혈 투석 등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에서 환자의 신체 외부로 돌출된 관 부분을 환자의 피부 일측에 고정하되, 삽관된 부분 또는 신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탈락되지 않도록 관의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회전,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테터 홀더에 관한 것이다.
카테터(catheter)는 의료용 소재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관으로 심혈관, 비뇨기과, 위장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 의료용 기구이다.
카테터는 특히 방광에 차 있는 소변의 배출, 혈관으로의 액체 및 약물 공급, 정맥혈의 투석 등을 위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카테터는 인체 내부로 일부가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인체의 외부에서 각각의 기능 수행을 돕는데, 상기 카테터가 관으로 이뤄지므로 관의 고정을 위한 연구가 이뤄졌다.
카테터 고정을 위한 종래 기술의 일예로 등록특허 제10-0816486호의 "카테터 고정장치"가 있으며, 환자의 몸에 카테터 허브나 연결기 이음쇠(connector fitting)와 같은 의료용구를 고정시키고, 의료용구가 적어도 길이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해 카테터에 발생되는 외력에 대해 카테터 고정장치가 유연하게 대처할 수 없음으로 인해 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카테터가 환자의 몸에서 탈락되는 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환자의 움직임을 지나치게 구속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카테터를 한번 고정한 이후에 카테터의 위치를 조정하려고 할 때, 환자의 몸에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전체적으로 떼었다가 다시 부착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16486호 (2008년 03월 18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환자의 소변의 배출과 약 공급 또는 정맥혈 투석 등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에서 환자의 신체 외부로 돌출된 관 부분을 환자의 피부 일측에 고정하되, 삽관된 부분 또는 신체 외부로 돌출된 부분이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탈락되지 않도록 관의 유동성을 보장하기 위해 회전, 수직 또는 수평방향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카테터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카테터 홀더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유격(裕隔)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탄지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패드의 상부에 수평 방향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는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몸체상부와 몸체하부는 홀더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의 타측에는 상기 몸체상부와 몸체하부의 타측을 체결 또는 해제하는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홀더결합부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홀더몸체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기저부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에 의해 상기 패드의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결합부는 회동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탈락방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탈락방지부와 기저부 사이의 회동축의 외측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더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결합부는, 홀더몸체부가 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기저부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결합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공이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패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홀더결합부는, 홀더몸체부가 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기저부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결합부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공이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패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신체 외부로 드러난 카테터를 피부 일측에 고정하면서도 패드를 기준으로 카테터 홀더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카테터가 신체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홀더몸체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카테터의 수직방향의 움직임에도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패드의 탈착 없이 카테터 홀더의 홀딩위치의 이동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테터 홀더의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로서, 탄지수단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로서, 탄지수단이 이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300)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10)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홀더(10)는, 환자의 신체 외부로 드러난 카테터(20)를 환자의 신체 일부, 일예로 신체의 피부 표면 일측에 고정하되, 카테터를 수납하는 카테터 홀더(10)의 일부의 회전 및/또는 상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홀더(10)는 신체에 부착되는 패드(100),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300)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패드(100)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예로, 패드(100)의 상면에 부착 등으로 고정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상기 홀더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상기 패드(100)는 신체의 피부 일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공지의 신체 부착용 패드가 이용될 수 있으며, 피부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으면서도 피부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의료용으로 사용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에는 상기 카테터(20)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360, 도 3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용 홈(360)은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작은 관과 하나의 큰 관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하나의 관만을 수납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3 이상의 관을 수납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는 홀더몸체부(300)의 일측에 형성된 힌지부(330)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330)는 공지의 다양한 구조, 형태의 힌지가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일반적인 힌지 구조뿐만 아니라 탄성소재로 변형이 이뤄지면서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 및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절첩구조도 이용가능하며, 특정 구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의 타측에는 상기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의 타측을 체결 또는 해제하는 개폐수단(34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개폐수단(340)은 한 번의 동작으로 몸체상부(310) 및 몸체하부(320)의 체결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이뤄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개폐수단(340)은 몸체상부(310)의 일측에 형성된 끼움부(부호 미도시)를 몸체하부(32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부(부호 미도시)에 압입하여 끼움부(부호 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가 체결되고, 상기 끼움부(부호 미도시)의 상부 일측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부호 미도시)로부터 끼움부가 탈락되면서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의 해제가 이뤄진다.
상기 개폐수단(340)은 본 실시예 이외에도 몸체상부(310)와 몸체하부(320)를 체결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형태의 개폐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또다른 실시예로, 상부가 개방된 몸체(미도시)와 상기 몸체의 상부측에 형성되어 수납된 카테터(20)의 탈락을 방지하면서도 카테터의 수납을 위한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카테터 삽입고정부(미도시)가 포함되어 이뤄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에는 상기 홀더결합부(200)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結合孔, 350)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350)은 일예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하부(320)의 중앙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상기 결합공(350)에 삽입되어 홀더몸체부(3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240)과, 상기 회동축(2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2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회동축(240)은 일예로 속이 비어 있는 관 형태로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결합공(350)의 직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상기 기저부(260)는 패드(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결합공(350)의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얇은 디스크 형태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저부(260)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동축(240)의 상단에는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안정적으로 홀더결합부(200)에 결합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탈락방지부(22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탈락방지부(22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결합공(350) 및 회동축(240)의 본체 직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확장부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탈락방지부(220)의 가압시 상기 결합공(350)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탄성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탈락방지부(220)는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홀더결합부(200)에 용이하게 결합되면서도 쉽게 홀더결합부(200)로부터 탈락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상기 기저부(260)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100)의 상면에 부착되는 부착수단(400)에 의해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 결합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부착수단(400)은 중심에 적어도 회동축의 외경보다 큰 크기의 구멍이 형성된 원형의 유공판(有孔板) 형상을 가지며, 상기 회동축(240)의 상부에서 삽입되어 상기 기저부(260)의 상측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다.
상기 부착수단(400)은 상기 유공판 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접착층이 형성된 유연한 소재의 합성수지재 시트가 사용되며, 공지의 테이프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상기 부착수단(400) 이외에도 상기 기저부(260)의 하면에 상기 패드(100)의 상면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한 추가 부착부(또는 접착층, 도면부호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를 상기 패드(100)에 부착하는 부착수단(400)으로 인해,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환자의 피부 일측에 고정되면서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40)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에 의해 카테터(20)가 탈락하는 상황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열려진 카테터 홀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로서, 탄지수단이 압축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로서, 탄지수단이 이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 내지 도 6b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탄지수단(500)이 더욱 포함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20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결합부(200)는 유격을 구비하지 않도록 형성된 경우에 비해 회동축(240)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몸체부(300)와 홀더결합부(200)의 사이에는 상기 유격(裕隔)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탄지수단(500)이 더 포함된다.
상기 탄지수단(500)은 탄성력을 제공하는 한편 일정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지지력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무방하며, 일예로 다양한 형태의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회동축(24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탈락방지부(220)를 더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탈락방지부(220)와 기저부(260) 사이의 회동축(240)의 외측에는 상기 회동축(240)에 결합된 홀더몸체부(300)와 홀더결합부(200)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10)이 탄지수단(500)으로써 더 삽설된다.
상기 탈락방지부(220)는 상기 스프링(510)의 상단부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510)이 상기 홀더결합부(200)와 상기 홀더몸체부(300)의 사이에서 상측으로 탈락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본 실시예의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상기 스프링(510)의 하단부를 지지, 구속하여 상기 스프링(510)이 탄지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베이스부(370)를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스프링(510)은 일예로, 금속의 코일 스프링일 수 있으며, 압축 또는 이완되면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회동축(240)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시 탄지력을 제공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테터 홀더(10)에 외력이 가해져, 홀더몸체부(300)가 상부로 당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510)이 압축되면서, 일정한 유격만큼 상기 홀더몸체부(300)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몸체부(3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스프링(510)이 이완되면서, 탄지력에 의해 홀더몸체부(300)와 홀더결합부(200)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몸체부(300)가 홀더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홀더결합부(200) 상측에 결합되고, 도 5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지수단(500)이 카테터 홀더(10)에 더 포함되면, 패드를 기준으로 카테터(20)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거나 및 회전되더라도 카테터(20)가 카테터 홀더(10)로부터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 수평 방향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확장공(620)이 형성된 결합수단(600)에 의해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홀더몸체부(300)가 결합되는 축(240)과, 상기 축(2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2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축(240)은 도 3의 회동축(240) 또는 도 5의 회동축(240)과 동일한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회동축'이라는 용어로 예시 설명한다.
상기 확장공(620)은 상기 회동축(240)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홀더결합부(200)가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일예로, 상기 결합수단(600)은 패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적어도 2 이상의 이동 가지가 연결된 형태를 갖는 확장공(620)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패드(100)가 피부 표면에 먼저 부착된 후에도 상기 홀더결합부(200)의 위치가 상기 확장공(620)을 따라 패드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수단(600)이 4개의 이동 가지가 연결된 형태를 갖는 확장공(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확장공(620)의 형태 및 이동 가지의 개수가 특정 형태 및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결합수단(600)은 상기 기저부(260)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100)의 상면에 부착된다. 상기 결합수단(600)의 부착은 부착면(660)이 상기 패드의 상면에 접착제 등의 접착수단(미도시)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기저부(260)는 상기 결합수단(600)과 패드(100)가 이루는 미부착공간(640)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240)은 상기 확장공(620) 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확장공(620)의 최대 폭이 기저부(260)의 외경보다 작으므로 홀더결합부(2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600)은, 기저부(260)가 탈락하지 않으면서, 변형이 쉽게 일어나지 않도록 유연하지만 약간의 경질의 소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상기 결합수단(600)과 더불어 부착수단(400)에 의해 패드(100)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400)은 공지의 다양한 형상의 테이프 또는 반창고가 이용될 수 있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결합부(200)가 결합수단(600)에 의해 결합되고, 부착수단(40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환자의 피부 일측에 부착된 패드(100)에 홀더몸체부(300)의 위치가 고정된다.
도 7의 (B)는 (A)에서 부착된 패드(100)를 탈착하지 않고 홀더몸체부(300)의 위치만을 수평 이동시킨 것을 나타낸다. (A)의 상태에서 먼저 부착수단(400)을 제거하고, 확장공(620)을 따라 홀더결합부(200)를 이동시킨 다음, 홀더결합부(200)의 이동 후 위치의 결합수단(600) 위에 부착수단(400)을 부착하여 홀더결합부(200)를 고정함으로써 홀더몸체부(300)의 위치가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저부(260)는 상기 결합수단(600)의 내부 측면 및 상면과 접착 또는 부착되지 않으므로, 결합수단(600)의 내부에서 확장공(6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회동축(240)이 확장공(620)을 통해 상기 결합수단(600)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홀더몸체부(300)와 홀더결합부(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패드(100)의 상면에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홀더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결합되는 경우, 상기 홀더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홀더몸체부(300)의 회동이 가능하며, 홀더몸체부(300)의 수평적 위치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패드(100)를 기준으로 상기 홀더몸체부(300) 및/또는 홀더결합부(200)의 회전에 따른 회동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환자의 다양한 움직임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부착수단(400)은 고정 효과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예로, 원형의 유공판 형상에서 일부분이 개방된 'C'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1600)은 원형의 단일 확장공(162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확장공(1620)의 일측 위치에서(A), 타측 위치로(B) 상기 홀더결합부(200)가 이동 가능하므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서 약간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홀더몸체부(300)가 결합되는 축(240)과, 상기 축(2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2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축(240)은 도 3의 회동축(240) 또는 도 5의 회동축(240)과 동일한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편의상 '회동축'이라는 용어로 예시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기저부(260)는 상기 결합수단(1600)과 패드(100)가 이루는 미부착공간(1640)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축(240)은 상기 확장공(1620) 내에서 이동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결합수단(1600)은 부착면(1660)이 패드(100)의 상면에 부착됨으로써 패드(10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테터 홀더(10)는 일예로, 도 5 내지 도 6b의 실시예에 따른 탄지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지수단(500) 및 결합수단(600, 1600)을 동시에 포함하여 이뤄지는 카테터 홀더가 예시되었으나, 도 3과 유사한 형태로, 상기 탄지수단(500)은 포함되지 않고 결합수단이 포함되는 카테터 홀더의 구성도 가능하다.
상기 결합수단(600, 1600)은 전술한 탄지수단(500)의 포함여부와 상관없이 상기 패드(1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탄지수단(500) 없이 결합수단(600, 1600)만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탄지수단(500)과 결합수단(600, 1600)이 동시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지수단(500)과 결합수단(600, 1600)이 동시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탄지수단(500)에 의해 상하 방향의 이동이 가능하므로, 상기 홀더몸체부(300)의 회동축(240) 및/또는 패드(100)를 기준으로 한 회동 범위의 움직임을 포함한 환자의 다양한 움직임에도 카테터(20)가 환자로부터 탈락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 방향의 위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결합수단(600, 1600)에 의해, 패드(100)가 환자의 피부 일측에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몸체부(300)의 수평적 위치 이동이 가능하여, 카테터가 삽입된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카테터(20)를 수납하는 홀더몸체부(300)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가 닫혀진 카테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홀더(10)는 상기 패드(100)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200)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홀더몸체부(300)는 상기 홀더결합부(2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일예로,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패드(100)의 상부에 부착 등으로 고정되지 않고 움직임이 이뤄질 수 있는 상태가 유지되며, 이 경우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홀더결합부(200)의 상측에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되더라도, 상기 패드(100)를 기준으로 홀더몸체부(300)의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홀더몸체부(300)가 결합되는 축(240)과, 상기 축(240)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26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축(240)은 도 3의 회동축(240) 또는 도 5의 회동축(240)과 동일한 요소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실시예의 축(240)은 홀더몸체부(300)와 홀더결합부(200)의 고정 결합 상태에서는, 상기 회동축(240)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홀더몸체부(300)와 고정 결합이 이뤄져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홀더결합부(200)를 중심으로 회동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결합부(200)는 회동축(240)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고정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회동축(240)에 해당하는 부분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260)는 상기 패드(100)에 고정 결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패드(100)를 기준으로 회동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상기 카테터 홀더(10)는 결합수단(260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결합수단(2600)은 상기 기저부(260)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240)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결합부(20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회동공(2620)이 형성된다.
부연하면, 본 실시예의 상기 결합수단(260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240)보다 작지 않은 폭(또는 직경)을 갖는 회동공(2620)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동공(2620)은 상기 축(240)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회동공(2620) 내에서의 축(240)의 회동에 의해 결과적으로 홀더결합부(200)는 패드(100)를 기준으로 회동이 이뤄질 수 있다.
도 10에서는 상기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홀더결합부(200)와 고정되지 않고 상기 축(240)을 중심으로 회동이 이뤄질 수 있도록 예시되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몸체부(300)가 상기 홀더결합부(200)와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테터 홀더(10)는 일예로, 도 1 내지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홀더몸체부(300)의 회동축(24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성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도 5 내지 도 6b의 실시예에 따른 탄지수단(500)을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탄지수단(500) 등의 포함에 따른 구성 및 효과는 전술한 바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상기 카테터 홀더(10)의 홀더몸체부(300) 및/또는 홀더결합부(200)는 일예로, 탄성변형이 이뤄질 수 있는 통상의 합성수지재가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가볍고 탄성이 있는 연질의 금속재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 : 카테터 홀더 20 : 카테터
100 : 패드 200 : 홀더결합부
220 : 탈락방지부 240 : 회동축
260 : 기저부 300 : 홀더몸체부
310 : 몸체상부 320 : 몸체하부
330 : 힌지부 340 : 개폐수단
350 : 결합공 360 : 수납홈
400 : 부착수단 500 : 탄지수단
510 : 스프링 600, 1600, 2600 : 결합수단
620, 1620 : 확장공 2620 : 회동공

Claims (13)

  1.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유격(裕隔)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탄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2.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하 이동이 가능한 유격(裕隔)을 구비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에는 상기 유격(裕隔)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탄지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3.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패드의 상부에 수평 방향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4.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패드의 상부에 수평 방향의 위치 이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5.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홀더결합부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홀더몸체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회동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탈락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탈락방지부와 기저부 사이의 회동축의 외측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6.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홀더결합부가 삽입결합되도록 하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홀더몸체부가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회동축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탈락방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고, 상기 탈락방지부와 기저부 사이의 회동축의 외측에는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홀더몸체부와 홀더결합부의 사이의 유격을 유지하는 탄지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이 삽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7.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홀더몸체부가 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기저부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결합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공이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패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8. 패드; 및
    카테터의 일부의 수납이 가능한 홀더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가 패드를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패드의 상부에 설치되는 홀더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몸체부는 상기 홀더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한 형태로 상기 홀더결합부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홀더몸체부에는 상기 카테터의 일부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결합부는, 홀더몸체부가 결합되는 축과, 상기 축의 하단에 형성되는 기저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기저부의 상측 일부를 덮은 상태에서 상기 패드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축이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결합부가 위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공이 형성된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패드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 홀더.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50098682A 2015-07-10 2015-07-10 카테터 홀더 KR101583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82A KR101583712B1 (ko) 2015-07-10 2015-07-10 카테터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682A KR101583712B1 (ko) 2015-07-10 2015-07-10 카테터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712B1 true KR101583712B1 (ko) 2016-01-08

Family

ID=5517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682A KR101583712B1 (ko) 2015-07-10 2015-07-10 카테터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7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656A (en) * 2016-07-29 2018-02-07 Univ Central Lancashire A tube stabilising device
KR101839894B1 (ko) 2016-08-11 2018-03-19 아이메디컴(주) 카테터용 커넥터
KR20190001952U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Cv 카테터 고정부재
US11364366B2 (en) 2018-12-21 2022-06-21 Levity Products, Inc. External catheter stabiliz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617A (en) * 1995-11-08 1997-11-25 Wright; Charles R. Adjusting catheter holding device
US5755225A (en) * 1996-09-30 1998-05-26 Hutson & Associates, Inc. Medical tube-retaining device
KR100816486B1 (ko) 2002-08-15 2008-03-24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고정장치
CN201988025U (zh) * 2011-02-16 2011-09-28 南京大学医学院附属鼓楼医院 球囊导尿管体外固定装置
US20120316505A1 (en) * 2005-09-19 2012-12-13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tubing secure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90617A (en) * 1995-11-08 1997-11-25 Wright; Charles R. Adjusting catheter holding device
US5755225A (en) * 1996-09-30 1998-05-26 Hutson & Associates, Inc. Medical tube-retaining device
KR100816486B1 (ko) 2002-08-15 2008-03-24 베네텍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카테터 고정장치
US20120316505A1 (en) * 2005-09-19 2012-12-13 Venetec International, Inc. Medical tubing securement assembly and methods of use
CN201988025U (zh) * 2011-02-16 2011-09-28 南京大学医学院附属鼓楼医院 球囊导尿管体外固定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2656A (en) * 2016-07-29 2018-02-07 Univ Central Lancashire A tube stabilising device
US11311701B2 (en) 2016-07-29 2022-04-26 University Of Central Lancashire Tube stabilising device
KR101839894B1 (ko) 2016-08-11 2018-03-19 아이메디컴(주) 카테터용 커넥터
KR20190001952U (ko) * 2018-01-24 2019-08-01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Cv 카테터 고정부재
KR200491367Y1 (ko) * 2018-01-24 2020-03-26 주식회사 유니메딕스 Cv 카테터 고정부재
US11364366B2 (en) 2018-12-21 2022-06-21 Levity Products, Inc. External catheter stabiliz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712B1 (ko) 카테터 홀더
CN111133739B (zh) 移动设备放置装置
EP3027266B1 (en) Self-closing bag connector
JP4891086B2 (ja) 皮下輸液装置及び方法
JP6906452B2 (ja) 一体化チュービング管理機構を備えたカテーテル装置および関連方法
JP5934343B2 (ja) 一体化係止装置を有する外科用留め具容器
EP3381305B1 (en) Case and battery assembly of electronic cigarette, and electronic cigarette
US9724127B2 (en) Insertion system and insertion kit
US7922697B2 (en) Catheter securement device
JP2005523781A (ja) 医療ライン固定デバイス
BRPI0719971A2 (pt)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com um septo resistente à ruptura
KR101646934B1 (ko) 유체 도포 롤러
JP2013070887A (ja) カテーテル固定具
CN104104403B (zh) 锁扣式腕带及具有该腕带的电子装置
US20100097747A1 (en) Rotation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GB2503329A (en) Catheter hub assembly with separable needle retracting assembly
WO2016185909A1 (ja) カテーテル組立体
US20150157361A1 (en) Inserter System with Transport Protection
JP2021521915A (ja) ペンニードル容器
JP7402799B2 (ja) サイズの異なるカートリッジを利用可能な注射器
JP5420466B2 (ja) 逆流防止弁及び医療用カテーテル
US20230026393A1 (en) Microneedle applicator
JP2006346075A (ja) 形状変更ができるガイドワイヤーホルダー
CN210057091U (zh) 一种导管固定器
KR102120432B1 (ko) 휴대 단말기용 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