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446B1 -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446B1
KR101583446B1 KR1020150077177A KR20150077177A KR101583446B1 KR 101583446 B1 KR101583446 B1 KR 101583446B1 KR 1020150077177 A KR1020150077177 A KR 1020150077177A KR 20150077177 A KR20150077177 A KR 20150077177A KR 101583446 B1 KR101583446 B1 KR 10158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water
plant
plant cultivat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준호
여종엽
안종식
Original Assignee
염준호
여종엽
안종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준호, 여종엽, 안종식 filed Critical 염준호
Priority to KR1020150077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재배함 상에 식재된 모든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됨에 따라 식물재배함에 식재된 모든 식물이 고르게 생장유지될 수 있도록 한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는, 상부면에는 다수의 식재용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식재용 관통공에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식물재배함과, 상기 식물재배함의 식재용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메쉬형 식재포트와, 상기 식물재배함 내에 구비되고 상기 식물재배함의 내부공간 내로 물미립자를 안개형태로 방출시켜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원심무화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CENTRIFUGAL FORCE ATOMIZATION TYPE PLANT CULTIV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재배함 상에 식재된 모든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됨에 따라 식물재배함에 식재된 모든 식물이 고르게 생장유지될 수 있도록 한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물(농작물 포함)은 수분 및 산소가 잘 통하며 양분이 있는 토양으로 이루어지는 논과 밭 등의 노지에서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어서 재배하거나, 식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영양소가 함유된 물로 이루어진 수경지에 씨앗을 파종하거나 모종을 심어서 재배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토양과 무관하게 공간적인 제약없이 식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하는 식물재배장치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식물재배장치의 일 예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350394호 (2014.01.14. 공고)에는, 양액배출구가 형성되어 양액이 저장-순환되는 재배조와, 상기 재배조의 상부에 안착되며,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 또는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가 들어있는 포트가 장착되는 식재홀이 형성된 재배트레이와, 상기 양액배출구와 연결되어 상기 양액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양액관을 포함하는 수경재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배트레이의 소정의 위치에서 상기 식재홀 사이에 수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액관의 출구가 상기 수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경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4-0034789호(2004.04.29. 공개)에는 윗면이 개방되고 저면에 하나 이상의 환수구가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분무상자와, 상기 분무상자의 내부 한쪽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노즐이 설치되는 급수파이프와, 상기 분무상자의 상부에 얹혀져 지지되고 윗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과 측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상기 노즐을 통하여 분무되는 수분 및 공기가 유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식물의 종자나 모종이 심겨지는 하나 이상의 재배상자와, 상기 분무상자의 내부 온도를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도록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상기 분무상자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분무상자의 외부에 설치되고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와, 소정의 간격으로 노즐이 설치되고 상기 급수파이프에 상기 분무상자의 외부로 분기되도록 설치되는 가습파이프와, 상기 온도센서에서 측정한 온도가 소정의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장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가열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식물재재상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056400호(2015.05.26. 공개)에는 평면상 원형 또는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평면상 다각형의 형상으로 배치되고, 하부에 바퀴가 결합되는 다수의 지주대와, 상기 다수의 지주대 간에 설치되며,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다수의 홀이 전면에 형성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주대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근접하는 다른 지주대와 결합시키는 결합체와,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배치되며, 내부에 식물이 식재되고, 상기 지주대와 접촉되는 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지주대에 결합되는 재배조와, 상기 다수의 지주대 상단에 결합되어 광원이 설치되는 광원선반을 포함하는 적층형 식물 재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식물재배장치의 경우에는 식물의 뿌리가 물(영양액)에 잠긴 상태로 재배되는 수경재배식 또는 예를 들어 스프링클러 등에 의해 식물로 물이 주기적으로 분사되는 물분사식으로 구성됨에 따라 재배가능한 식물의 종류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특히 물분사식의 경우 식물로 분사된 물이 중력에 의해 떨어지게 되므로 식물의 뿌리에 항상 일정한 수분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식물재배함 상에 식재된 모든 식물의 뿌리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됨에 따라 식물재배함에 식재된 모든 식물이 고르게 생장유지될 수 있도록 한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는 과제를 기초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는, 상부면에는 다수의 식재용 관통공이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식재용 관통공에 연통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식물재배함과, 상기 식물재배함의 식재용 관통공에 각각 결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메쉬형 식재포트와, 상기 식물재배함 내에 구비되고 상기 식물재배함의 내부공간 내로 물미립자를 안개형태로 방출시켜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원심무화유닛을 포함하는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재배함은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용 관통공이 관통형성되는 상부덮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는 상기 식물재배함의 식재용 관통공에 기밀적으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식물재배함의 식재용 관통공의 내주면에 면접되는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의 외주면에는 패킹부재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원심무화유닛은, 상부배출구와 하부배출구가 구획형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물을 원심력에 의해 물미립자 형태로 방출시켜 상기 상부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출구로 바람을 토출시켜 상기 물미립자가 안개형태로 방출되게 하는 송풍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판은 제 1 중공원판부재 사이에 방출홈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2 중공원판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결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에 의하면, 회전판의 고속회전에 의해 방출된 물미립자를 송풍팬의 풍력에 의해 식물재배함 내로 안개형태로 배출시키는 원심무화유닛이 구비되어 식물재배함의 내부공간의 전영역에 걸쳐 균일한 습도가 유지됨으로써 식물재배함 상에 식재된 모든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됨에 따라 식물재배함에 식재된 모든 식물이 고르게 생장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에 있어서, 원심무화유닛의 개략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1)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다수의 식재용 관통공(11)이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식재용 관통공(11)에 연통되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되는 식물재배함(10)과,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에 각각 결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메쉬형 식재포트(20)과, 식물재배함(10) 내에 구비되고 식물재배함(10)의 내부공간(13) 내로 물미립자를 안개형태로 방출시켜 메쉬형 식재포트(20)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원심무화유닛(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식물재배함(10)은 메쉬형 식재포트(20)의 설치를 통해 식물재배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것으로, 상부면에는 메쉬형 식재포트(20)가 결합되는 다수의 식재용 관통공(11)이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식재용 관통공(11)에 연통되고 물미립자가 안개 형태로 충전되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된다.
식물재배함(10)은 내부공간(13)이 형성된 함체(10a)와, 함체(10a)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용 관통공(11)이 관통형성되는 상부덮개(10b)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물재배함(10)은 합성수지재, 금속재, 목재, 세라믹재, 콘크리트재 등 공지된 다양한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전술한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에는 메쉬형 식재포트(20)가 각각 결합되는데, 이 메쉬형 식재포트(20)는 식물이 식재되는 포트로, 식물의 뿌리를 감싸는 토양배지가 그물망에 둘러싸여지는 형상을 가진다.
메쉬형 식재포트(20)의 그물망 구조는 차후에 설명될 원심무화유닛(30)으로부터 방출되는 안개형태의 물미립자가 식물의 뿌리를 감싸는 토양배지에 흡습되어 최종적으로 식물의 뿌리로 제공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메쉬형 식재포트(20)는 원심무화유닛(30)으로부터 방출되는 안개형태의 물미립자가가 식물재배함(1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의 내주면에 면접되는 메쉬형 식재포트(20)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어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패킹부재(2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식물재배함(10) 내에는 원심무화유닛(30)이 구비되는데, 이 원심무화유닛(30)은 식물재배함(10)의 내부공간(13) 내로 물미립자를 안개형태로 방출시켜 메쉬형 식재포트(20)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3에 상세히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미립자가 방출되는 상부배출구(31a)와 바람이 방출되는 하부배출구(31b)가 구획형되는 케이싱(31)과, 케이싱(3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와, 구동모터(32)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물을 원심력에 의해 물미립자 형태로 방출시켜 상부배출구(31a)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회전판(33)과, 회전판(33)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4)과, 케이싱(3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하부배출구(31b)로 바람을 토출시켜 물미립자가 안개형태로 방출되게 하는 송풍팬(35)을 포함한다.
회전판(33)은 제 1 중공원판부재(33a) 사이에 방출홈(33c)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2 중공원판부재(33b)가 개재되어 적층된 상태로 체결결합되어 형성됨에 따라 회전판(33)의 고속회전시에 중앙 중공부로 투입되는 물이 방출홈(33c)을 통해 방사상으로 물미립자 형태로 방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물공급수단(34)은 물이 수용 및 저장되는 수조(34a)와, 수조(34a)로부터 회전판(33)의 중앙 중공부로 연장되는 물공급관(34b)와, 물공급관(34b) 상에 설치되고 식물재배함(10) 내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펌프(34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조(34a)는 식물재배함(10)의 내부공간(13) 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관로를 통해 물을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식물재배함(1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수조(34a) 내에는 물이 저장될 수 있지만 식물 생장에 유용한 비료성분이 용해된 배양액이 저장될 수도 있다.
원심무화유닛(30)은 식물재배함(10) 내에 1개만 설치될 수도 있고, 식물재배함(10)의 크기에 따라 식물재배함(10) 내에 2개 이상 설치될 수도 있다.
원심무화유닛(30)은 종래의 원심무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명세서의 간략화를 위해 더 이상의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1)는, 식물재배함(10) 내에 회전판(33)의 고속회전에 의해 방출된 물미립자를 송풍팬(35)의 풍력에 의해 안개형태로 배출시키는 원심무화유닛(30)이 구비되어 식물재배함(10)의 내부공간(13)의 전영역에 걸쳐 균일한 습도가 유지됨에 따라, 식물재배함(10) 상에 메쉬형 식재포트(20)를 통해 식재된 모든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식물재배함(10)에 식재된 식물이 부분 고사되는 일없이 모두 고르게 생장유지될 수 있다.
위에서 몇몇의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10 : 식물재배함
10a : 함체
10b : 상부덮개
11 : 식재용 관통공
13 : 내부공간
20 : 메쉬형 식재포트
21 : 패킹부재
30 : 원심무화유닛
31 : 케이싱
31a : 상부배출구
31b : 하부배출구
32 : 구동모터
33 : 회전판
33a : 제 1 중공원판부재
33b : 제 2 중공원판부재
33c : 방출홈
34 : 물공급수단
34a : 수조
34b : 물공급관
34c : 펌프
35 : 송풍팬

Claims (6)

  1. 상부면에는 다수의 식재용 관통공(11)이 관통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식재용 관통공(11)에 연통되는 내부공간(13)이 형성되는 식물재배함(10);
    상기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에 각각 결합되고 식물이 식재되는 메쉬형 식재포트(20); 및
    상기 식물재배함(10) 내에 구비되고 상기 식물재배함(10)의 내부공간(13) 내로 물미립자를 안개형태로 방출시켜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20)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이 균일하게 제공되도록 하는 원심무화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원심무화유닛(30)은, 상부배출구(31a)와 하부배출구(31b)가 구획형성되는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의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모터(32)와, 상기 구동모터(32)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물을 원심력에 의해 물미립자 형태로 방출시켜 상기 상부배출구(31a)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회전판(33)과, 상기 회전판(33)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34)과, 상기 케이싱(31)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배출구(31b)로 바람을 토출시켜 상기 물미립자가 안개형태로 방출되게 하는 송풍팬(35)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판(33)은 제 1 중공원판부재(33a) 사이에 방출홈(33c)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2 중공원판부재(33b)가 개재된 상태로 체결결합되어 형성되는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함(10)은 상기 내부공간(13)이 형성된 함체(10a)와, 상기 함체(10a)의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식재용 관통공(11)이 관통형성되는 상부덮개(1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20)는 상기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에 기밀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식물재배함(10)의 식재용 관통공(11)의 내주면에 면접되는 상기 메쉬형 식재포트(20)의 외주면에는 패킹부재(21)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50077177A 2015-06-01 2015-06-01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KR10158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77A KR101583446B1 (ko) 2015-06-01 2015-06-01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177A KR101583446B1 (ko) 2015-06-01 2015-06-01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446B1 true KR101583446B1 (ko) 2016-01-07

Family

ID=55169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177A KR101583446B1 (ko) 2015-06-01 2015-06-01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34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465A (zh) * 2018-05-07 2018-11-2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可有效防止植物烂根的气雾培装置
WO2021074849A1 (en) * 2019-10-15 2021-04-22 Richard Barr Aeroponic system and misting device
CN114208536A (zh) * 2021-11-03 2022-03-22 山东农业大学 用于番茄砧木苗期的耐旱性能试验装置和方法
CN116724874A (zh) * 2023-07-05 2023-09-12 塔盾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不受时空限制的智能物联网绿色生态自动化种植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4885Y (zh) * 2006-03-29 2008-01-16 干成剑 无土栽培厨房蔬菜园
JP2010124758A (ja) * 2008-11-27 2010-06-10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植物養生・育成管理装置
KR20130131867A (ko) * 2012-05-25 2013-12-04 엘이디아트 (주) 양액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004885Y (zh) * 2006-03-29 2008-01-16 干成剑 无土栽培厨房蔬菜园
JP2010124758A (ja) * 2008-11-27 2010-06-10 Fulta Electric Machinery Co Ltd 植物養生・育成管理装置
KR20130131867A (ko) * 2012-05-25 2013-12-04 엘이디아트 (주) 양액을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49465A (zh) * 2018-05-07 2018-11-23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可有效防止植物烂根的气雾培装置
WO2021074849A1 (en) * 2019-10-15 2021-04-22 Richard Barr Aeroponic system and misting device
CN114208536A (zh) * 2021-11-03 2022-03-22 山东农业大学 用于番茄砧木苗期的耐旱性能试验装置和方法
CN116724874A (zh) * 2023-07-05 2023-09-12 塔盾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不受时空限制的智能物联网绿色生态自动化种植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77786B1 (en) Two-stage aeroponic growing system and method
JP2023159073A5 (ko)
ES2864747T3 (es) Sistemas de cultivo de plantas sin suelo
EP3023005B1 (en) Hydroponic cultivation apparatus and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KR101583446B1 (ko) 원심무화식 식물재배장치
CN100407896C (zh) 育苗装置
KR101477087B1 (ko) 분무 수경재배 장치
WO2021026007A1 (en) Vertical hydroponic solid nutrient growing system and method
US20150313104A1 (en) Vertical Planter
JP2019535248A (ja) 植物を屋内で栽培するための環境隔離型の環境制御されたセル
US20210360888A1 (en) Aeroponics apparatus
US20190216028A1 (en) Plant cultivating apparatus
JP2023512429A (ja) 種子ポッドアセンブリおよび回転式空中栽培装置と方法
KR101930424B1 (ko) 천연 미네랄을 이용한 새싹재배기
KR101886231B1 (ko) 다기능 공기 순환팬
KR20140057482A (ko) 다단식 실내 경작방법과 장치
KR102026448B1 (ko) 수경재배기
KR101241039B1 (ko) 친환경 식물 재배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식물 재배 방법
JPH03224420A (ja) ミスト栽培装置
KR101512032B1 (ko) 새싹 재배기
KR101818219B1 (ko) 분무 수경 재배 장치
KR102450980B1 (ko) 식물재배기
KR101649870B1 (ko) 새싹재배기
JP2005295955A (ja) 植物育成装置
KR20170029847A (ko) 식물재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