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3039B1 -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 Google Patents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3039B1
KR101583039B1 KR1020140173268A KR20140173268A KR101583039B1 KR 101583039 B1 KR101583039 B1 KR 101583039B1 KR 1020140173268 A KR1020140173268 A KR 1020140173268A KR 20140173268 A KR20140173268 A KR 20140173268A KR 101583039 B1 KR101583039 B1 KR 101583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de information
unit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2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riority to KR10201401732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3039B1/en
Priority to PCT/KR2015/013146 priority patent/WO201608913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3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30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lay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and a playing method. Provided is the content play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which includes a terminal. The electronic pen includes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and a communications unit for receiving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nd the content from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A terminal includes: a memory unit for storing the content and th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a content playing unit for playing voice or a video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be played by the content play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is transmitted to a separated terminal; the content related to the code information is played by the terminal; the electronic pen can be miniaturized; and the content playing system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s.

Description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layback system and a playback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펜에 인식된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비에서 컨텐츠를 재생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a reproduction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ent reproduction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that reproduces content on a separate device us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Reproducing method.

종래의 전자펜 및 스피킹 펜과 같이 출판물에 기재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고, 이를 음성으로 서비스하는 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Development of a device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described in a publication such as a conventional electronic pen and a speaking pen and serving it by voice has been actively developed.

이와 같은 학습용 전자펜은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고가이며, 무게가 무겁고 부피가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컨텐츠를 업데이트 하기 위해 전자펜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컨텐츠 정보를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Such a learning electronic pen includes a memory for storing voic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de information and an audio output module for outputting voice, which is expensive, heavy, and bulky.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electronic pen must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to download the content information in order to update the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저가이며 소형화된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및 재생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and a reproducing method using a low-cost and miniaturized electronic p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실시예를 통해 당업자에 의해 도출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example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de recognition apparatus comprising: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management server and th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nd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 contents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or a moving pic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또한,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이 제공된다.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 content reproduction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or a moving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producing unit may include a video out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a correct request interface on the video output uni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from a user,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ler compares the corr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 content with the input information, and displays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noon or not through the content player .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 및 상기 문제형 컨테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정오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성취도를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whether or not the input information is noon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atic content,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can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problematic content using the noon.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from a user,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답에 대한 입력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es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no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playback unit.

상기 코드 정보는 OID(object identifier) 패턴 코드 또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인식부는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거나 촬영하는 센서 또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de information may include an OID (object identifier) pattern code or a two-dimensional graphic code, and the code recognition unit may include a sensor or a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or photographing the code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들의 다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들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own request signal of content for the public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전송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transmits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can manag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electronic pen user using the transmitted learning inform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 다운 요청 신호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들 중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tent delivery method, comprising: transmitting a content down request signal for a public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ontents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management server and storing the contents; Receiv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using the electronic pen amo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reproduc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among the stored contents.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들 중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printing a document,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using an electronic pen amo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producing the received content.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 using an electronic pen.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별도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단말기를 통해 코드 정보와 관련된 컨텐즈를 재생함으로써, 전자펜을 소형화하고, 저가에 생산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ransmitting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electronic pen to another terminal and reproducing the content related to the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the electronic pen can be miniaturized and produced at low cost.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단말기와 컨텐츠 관리서버간의 통신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자펜에 저장된 메모리를 분리 또는 전자펜을 컴퓨터 등에 연결하여 컨텐츠를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various contents can be supplied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contents management server, so that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of separating the memory store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or downloading the contents by connecting the electronic pen to a computer or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s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본 발명의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from and elucidat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t is assumed that a part is connected to another part, But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other element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thereof. In the drawings, parts no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and like par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전자펜(100), 단말기(200) 및 컨텐츠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content reproduction system may include an electronic pen 100, a terminal 200, and a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전자펜(100)은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정보(10)를 인식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110)로 전송한다.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10 printed on the publication and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110 via wireless communication.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스마트 패드, 데스크탑 PC, 노트북, TV 등 음성 및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pad, a desktop PC, a notebook computer, a TV, and the like.

단말기(2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단말기(20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단말기(200)를 통해 재생한다.The terminal 200 receive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100 and reproduc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terminal 200. [

여기서, 컨텐츠는 음성 컨텐츠, 영상 컨텐츠 등 출판물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ent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content capable of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such as audio content and image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0)는 전자펜(100)으로부터 수신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고,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송받아 재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and transmit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It can also receive and play.

즉, 본 발명은 종래의 전자펜에 구비된 음성 출력 모듈 및 컨텐츠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별도의 단말기에 구현함으로써, 전자펜(100)을 소형화하고 저가에 생산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pen 100 can be miniaturized and manufactured at low cost by implementing the audio output module provide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and the memory unit storing the contents in a separate terminal.

컨텐츠 관리서버(100)는 출판물에서 제공되는 내용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들 및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관리한다. 또한, 단말기(200)의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이 있는 경우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들을 단말기(200)로 전송하거나, 단말기(200)로부터 코드 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100 manages content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ntents provided in the publication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When a content download request of the terminal 200 is received,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publication ar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or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200,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Lt; / RTI >

단말기(200)와 컨텐츠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120)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2세대,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의 3세대, LTE(Long Term Evolution)/Wibro 기반의 4세대 또는 그 이상의 세대를 지원하는 무선환경과, 인터넷 등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신 기술을 지원하는 유선 환경을 모두 포함하는 통신망일 수 있다.The terminal 200 and the contents server 300 can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20 is a second generation based on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based 3G, LTE (Long Term Evolution) / Wibro based wireless environments that support 4th generation or higher generation, and wired environments that support IP (Internet Protocol) bas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Lt; / RTI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electronic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자펜(100)은 코드 인식부(110), 무선 통신부(120), 전원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pen 100 may include a code recognition unit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a power supply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코드 인식부(110)는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10)를 인식한다.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10 printed on the publication.

여기서, 코드 정보(10)는 OID(object identifier) 패턴 코드 또는 바코드 QR 코드, 식별 문자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패턴 코드는 거의 투명한 탄소물질로 구성되어 격자무늬를 형성하며 인쇄되며, 별도의 인쇄공간을 확보할 필요 없이 다른 인쇄면과 겹쳐 인쇄될 수 있으며, 또한 스티커에 인쇄하여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코드는 바이너리 코드의 패턴체계를 가지는 12비트나 그 이상의 비트의 코드데이터를 통해 최소 4096개의 패턴 조합이 가능한 정방형 단위의 격자인쇄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de information 10 may include a two-dimensional graphic code composed of an OID (object identifier) pattern code, a bar code QR code, an identification character, or the like. Here, the pattern code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transparent carbon material to form a lattice pattern. The pattern code can be superimposed on another printed surface without having to secure a separate printing space, and can be printed on a sticker and attached. In addition, the pattern code may be composed of a grid print pattern of square units capable of at least 4096 pattern combinations through code data of 12 bits or more having a binary code pattern scheme.

코드 인식부(110)는 코드 정보를 인식하거나 촬영하는 센서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may include a sensor or a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or photographing code information.

일례로, 코드 정보가 패턴 코드로 구현되는 경우, 코드 인식부(110)는 CCD 또는 CMOS 형태의 광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코드 인식부(110)는 가시광선, 레이저, 적외선 등의 광선을 이용하여 반사된 패턴코드 이미지를 해독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탄소 패턴 코드의 경우에는 광 센서는 적외선을 방출하여 반사되는 패턴 코드를 분석하게 된다. 이는 적외선이 탄소 성분에 흡수되는 원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광 센서는 반사된 적외선의 농도차이로 패턴 코드를 인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 외에도 코드 인식부(110)는 코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or example, when the code information is implemented as a pattern code, 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as a CCD or CMOS optical sensor. In this case, 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may use a method of decoding the reflected pattern code image using light beams such as visible light, laser light, and infrared ligh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carbon pattern code, the optical sensor emits infrared rays to analyze the reflected pattern code. It uses the principle that the infrared rays are absorbed by the carbon component, and the optical sensor recognizes the pattern code by the difference of the reflected infrared rays. In addition to such a method, 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methods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무선 통신부(120)는 코드 인식부(110)에서 인식된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이를 위해 무선 통신부(120)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ZigBee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transmits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to the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may transmit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by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Infrared Radiation, Bluetooth, Home Radio Frequency, ZigBee, or the like.

전원부(130)는 전자펜(100)의 동작 온/오프 여부를 사용자로부터 선택받아 전원을 제어부(140) 및 각 기능부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30)의 스위치가 온(On)으로 선택될 시에는 전원을 제어부(140) 및 각 기능부에 제공한다.The power supply unit 130 selects whether the operation of the electronic pen 100 is on / off from the user, and provides power to the control unit 140 and the functional units. When the switch of the power supply unit 130 is selected to be on, the power supply unit 130 supplies power to the control unit 140 and each function unit.

제어부(140)는 전자펜(100)에 포함된 각 기능부를 제어하여 코드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코드 정보가 무선 통신부(120)를 통해 단말기(200)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each function included in the electronic pen 100 to control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code recognition unit 110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20.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200)는 통신부(210), 메모리부(220), 컨텐츠 재생부(230), 입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210, a memory unit 220, a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and an input unit 240.

통신부(210)는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며, 전자펜(100)으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유무선 통신부이다.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at receives content related to a publication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and receives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

메모리부(220)는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 및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로서,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내장형 메모리뿐만 아니라,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memory unit 220 is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ntents and contents related to a publication receiv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and includes not only a built-in memory such as a hard disk and a flash memory , A CF card (Compact Flash Card), an SD card (Secure Digital Card), an MMC card (Multi-Media Card), a Memory Stick, or the like.

컨텐츠 재생부(230)는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한다. 컨텐츠 재생부(230)는 보다 상세하게, 음성 출력부 및 영상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reproduce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230 may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and a video output unit in more detail.

음성 출력부는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영상 출력부는 컨텐츠에 포함된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peaker for outputting audio information included in the content, and the video output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display device for outputting an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입력부(24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장치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터치 방식으로 구현되거나, 키보드 또는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The input unit 240 is a device for receiving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may be implemented by a touch device of a display device or a separate input device such as a keyboard or a mouse.

제어부(250)는 단말기(200)에 포함된 각 기능부들을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메모리부(220)에서 독출하여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한다.The control unit 250 controls the functional units included in the terminal 200.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50 read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from the memory unit 220, and reproduces the content through the content playback unit 230.

즉, 본 발명은 단말기(200)의 메모리부(220)에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을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미리 다운로드 받아 저장할 수 있으며, 전자펜(100)에서 인식된 코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출판물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download and store content related to a publicati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in advance in the memory unit 220 of the terminal 200. When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electronic pen 100 is received, It is possible to reprodu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and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또한,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입력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메모리부(220)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코드 정보를 포함하는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들의 다운 요청 신호를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어서, 통신부(210)를 통해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을 메모리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If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inpu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is not stored in the memory unit 220,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a down request signal of contents for the publication including the code information to the communication unit 210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via the Internet. The content related to the pub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220.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통신부(210)를 통해 인식된 코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통신부(210)로 전송되는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210,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can reproduce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unit 300 to the communication unit 210.

즉, 본 발명은 단말기(200)에 전자펜으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서버(300)로 전송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전송받은 컨텐츠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출판물에 기재된 내용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electronic pen is received in the terminal 200,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ent server 300 so that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can be received in real time , The user can reproduce the content transmitted in real time and provide the user wit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재생부(230)에서 재생되는 컨텐츠는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일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50)는 영상 출력부에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가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may be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50 may control the image output unit to display a correct request interface.

사용자의 정답 입력에 의해 입력부(240)에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250)는 문제형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정보와 입력 정보를 비교하여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 및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여,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성취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by the user's correct answer input, the controller 250 compares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 content with the input information, (230). ≪ / RTI >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information about the trouble content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and can manage the achievement of the problem cont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입력부(240)를 통해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입력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하며,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수신하여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240, the control unit 250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Whether or not the input information is noon is received and displayed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컨텐츠 재생부(230)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학습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전송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할 수 있으며, 단말기(200)에서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학습 이력에 대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50 may transmit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In this case,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can manag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electronic pen user using the transmitted learning information. If there is a request from the terminal 200,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learning history to the terminal 200 .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관리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통신부(31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0) 및 학습관리 이력부(330) 및 제어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a content database 320, a learning management history unit 330, and a control unit 340.

통신부(310)는 유무선 통신망(400)을 통해 단말기(200)와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구성이다. The communication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via the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40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0)는 코드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컨텐츠들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320)는 컨텐츠가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정답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content database 320 stores code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contents. In addition, the database 320 may store correct answers to the problematic contents when the contents are questionable contents.

학습이력 관리부(330)는 컨텐츠에 대한 학습이력을 관리한다. 보다 상세하게, 단말기(200)로부터 단말기(200)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해 학습한 이력을 저장하며, 컨텐츠가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정답에 대한 정오 여부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330 manages the learning history of the contents.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20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content reproduced by the terminal 200, stores the history that the user has learned about the content, and if the content is the problematic content, .

제어부(340)는 컨텐츠 관리서버(300)에 포함된 각 기능부들을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340 controls the respective functional units included in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제어부(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컨텐츠 다운로드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 및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40 can transmit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ntents and contents related to a publication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320 to the terminal 200 when a content download request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

또한, 제어부(340)는 통신부(310)를 통해 인식된 코드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컨텐츠 데이터베이스(320)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독출하여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lso, when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10, the control unit 340 may read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code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content database 320 and transmit the read content to the terminal 2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reproducing contents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200)는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 다운 요청 신호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100).Referring to FIG. 5, the terminal 200 transmits a content down request signal for a public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S100).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요청된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각각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10).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ransmits the contents of the requested publication and th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to the terminal 200 (S110).

이어서, 단말기(200)는 컨텐츠 관리서버(300)로부터 전송된 출판물과 관련된 컨텐츠들 및 코드 정보를 메모리부(220)에 저장한다(S120).Then, the terminal 200 stores the content and code information related to the public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in the memory unit 220 (S120).

이어서, 사용자에 의해 전자펜(100)은 출판물에 기재된 코드 정보를 인식한다(S130).Then,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the code information described in the publication by the user (S130).

이어서, 전자펜(100)은 인식된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140).Then, the electronic pen 100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the terminal 200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140).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200)는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메모리부(220)로부터 독출하여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한다(S150).Upon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he terminal 200 read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220 and reproduces it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S150).

이어서, 단말기(200)는 컨텐츠 재생부(230)에서 재생된 컨텐츠 정보에 대한 학습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전자펜(100) 사용자의 학습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may transmit the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information reproduced by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receiving the content information may use the learning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manag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pen 100 user.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ent playback method using an electronic p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전자펜(100)은 출판물에 기재된 코드 정보를 인식한다(S130).Referring to FIG. 6, the electronic pen 100 recognizes code information written on a publication by a user (S130).

이어서, 전자펜(100)은 무선 통신을 통해 인식된 코드 정보를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20).Then, the electronic pen 100 transmits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to the terminal 200 (S220).

단말기(200)는 수신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300)로 전송한다(S230). The terminal 200 transmits the received code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S230).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전송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컨텐트 데이터베이스(320)로부터 독출(S240)하여,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250).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reads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co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database 320 (S240) and transmits the content to the terminal 200 (S250).

단말기(200)는 수신한 컨텐츠를 컨텐츠 재생부(230)를 통해 재생(S260)하며, 컨텐츠 관리서버(300)는 독출된 컨텐츠에 대한 학습이력을 전자펜(100)의 사용자에 대해 관리할 수 있다.The terminal 200 reproduces the received content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230 (S260),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can manage the learning history of the read content with respect to the user of the electronic pen 100 have.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자펜(100)으로부터 인식된 코드 정보를 별도의 단말기(200)로 전송하고, 단말기(200)를 통해 코드 정보와 관련된 컨텐즈를 재생함으로써, 전자펜(100)을 소형화하고, 저가에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컨텐츠를 단말기(200)와 컨텐츠 관리서버(300)간의 통신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전자펜(100)에 저장된 메모리를 분리 또는 전자펜(100)을 PC 등에 연결하여 컨텐츠를 다운받아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code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electronic pen 100 to a separate terminal 200, reproduces contents related to code information through the terminal 200, Can be miniaturized and can be produced at low cost. Since various contents can be supplied through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200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300, it is possible to separate the memory stored i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pen 100 or connect the electronic pen 100 to a PC or the like, The inconvenience of downloading can be sol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100: 전자펜 110: 코드 인식부
120: 무선 통신부 130: 전원부
140: 제어부
200: 단말기 210: 통신부
220: 메모리부 230: 컨텐츠 재생부
240: 입력부 250: 제어부
300: 컨텐츠 관리서버 310: 통신부
320: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330: 학습이력 관리부
100: electronic pen 110: code recognition unit
120: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30:
140:
200: terminal 210:
220: memory unit 230: content playback unit
240: input unit 250:
300: Content management server 310:
320: content database 330: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Claims (15)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답에 대한 입력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정보와 상기 입력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표시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management server and the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nd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A memory for storing the contents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A contents reproducing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or a moving picture included in the contents;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mong the contents stored in the memory unit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Wherein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includes a video out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orrect request interface on the video output uni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from a user,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correct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 type content with the input information, and compares the input information with the input information, .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를 인식하는 코드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는 전자펜과,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컨텐츠에 포함된 음성 또는 동영상을 재생하는 컨텐츠 재생부 및 상기 컨텐츠가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재생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단말기를 포함하되,
상기 컨텐츠 재생부는 영상 출력부 및 음성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상기 영상 출력부에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며,
상기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정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를 통해 정답에 대한 입력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입력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입력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재생부를 통해 표시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A code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pen,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 content reproduction unit for reproducing a voice or a moving image included in the conten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ent to be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Wherein the content reproducing unit includes a video output unit and an audio output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orrect request interface on the video output uni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for receiving correct answers from a user,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he input inform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input information for the correct answer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receives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no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 content playback system using an electronic pen displayed through a playback unit.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 및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정오 여부를 이용하여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대한 성취도를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whether the input information is at noon and information about the problem content,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achievement of the problem content using the noon.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electronic pen.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 정보는 OID(object identifier) 패턴 코드 또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포함하며, 상기 코드 인식부는 상기 코드 정보를 인식하거나 촬영하는 센서 또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de information includes an object identifier (OID) pattern code or a two-dimensional graphic code, and the code recognition unit includes a sensor or a camera module for recognizing or photographing the code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들의 다운 요청 신호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받은 컨텐츠들을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transmits a down request signal of content for the publication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not stored in the memory unit, And the content receiv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is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재생부에서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학습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는 상기 전송된 학습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control unit transmits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reproduced in the content reproduction unit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manages the learning history of the electronic pen user using the transmitted learning information. A content reproducing system using the electronic pen.
출판물에 대한 컨텐츠 다운 요청 신호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컨텐츠들 및 상기 컨텐츠들에 대응되는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들 중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무선 통신을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저장된 컨텐츠들 중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와 상기 문제형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
Transmitting a content down request signal for a public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ontents and cod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from the contents management server and storing the contents;
Receiv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using the electronic pen amo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Reproduc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among the stored contents;
Displaying the correct answer request interface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And
And comparing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rrect answer request interface with the correct answer information included in the question content to display whether or not the input information is at noon on the terminal. .
출판물에 인쇄된 코드 정보들 중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식된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를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
상기 인식된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컨텐츠가 정답 입력이 필요한 문제형 컨텐츠인 경우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상기 정답 요청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입력정보를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및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된 상기 입력 정보에 대한 정오 여부를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
Receiving code information recognized by using an electronic pen among code information printed on a publication;
Transmitting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Receiving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Playing the received content;
Displaying the correct answer request interface when the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code information is problematic content requiring correct input;
Transmitting th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correct response request interface to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And displaying on th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input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is in a noon s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된 컨텐츠에 대한 학습 정보를 컨텐츠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가 상기 전송된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펜 사용자의 학습 이력을 관리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츠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관리된 학습이력을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을 이용한 컨텐츠 재생방법.
1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Transmitting learning information about the reproduced contents to a content management server;
Managing the learning history of the electronic pen user using the transmitted learning information; And
And receiving the learning history managed by the content management server using the learning information, and displaying the learning history to the user.
KR1020140173268A 2014-12-04 2014-12-04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KR1015830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68A KR101583039B1 (en) 2014-12-04 2014-12-04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PCT/KR2015/013146 WO2016089130A1 (en) 2014-12-04 2015-12-03 Content reproduction system and reproduction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68A KR101583039B1 (en) 2014-12-04 2014-12-04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3039B1 true KR101583039B1 (en) 2016-01-19

Family

ID=55306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68A KR101583039B1 (en) 2014-12-04 2014-12-04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83039B1 (en)
WO (1) WO2016089130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085A (en) * 2016-04-29 2017-11-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tents market service system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micro OID coded prints and related digital files
KR20170130222A (en) * 2016-05-18 2017-1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KR20180008107A (en) * 2016-07-15 2018-01-24 김철회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KR102022650B1 (en) 2018-08-28 2019-09-18 유경학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an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972A (en) * 2004-12-07 2006-06-22 Wao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program
JP2013076721A (en) * 2011-09-29 2013-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Computer device, electronic pen system and program
KR20130140406A (en) * 2012-06-14 2013-12-24 서강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Push type e-learning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600A2 (en) * 2010-02-19 2011-08-25 (주)시누스 Study terminal, learning contents generation method, stud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JP2013076720A (en) * 2011-09-29 2013-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Computer device, electronic pen system and progr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62972A (en) * 2004-12-07 2006-06-22 Wao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output device and program
JP2013076721A (en) * 2011-09-29 2013-04-25 Dainippon Printing Co Ltd Computer device, electronic pen system and program
KR20130140406A (en) * 2012-06-14 2013-12-24 서강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Push type e-learning system and its service method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24085A (en) * 2016-04-29 2017-11-09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tents market service system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micro OID coded prints and related digital files
KR101887409B1 (en) * 2016-04-29 2018-08-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contents market service system based on the object information including micro OID coded prints and related digital files
KR20170130222A (en) * 2016-05-18 2017-1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KR101887407B1 (en) * 2016-05-18 2018-08-13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A system for solving problems and using corresponding explanation contents and its systematic building method
KR20180008107A (en) * 2016-07-15 2018-01-24 김철회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KR101879273B1 (en) * 2016-07-15 2018-07-17 김철회 Electronic pen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ata streaming output using the electronic pen
KR102022650B1 (en) 2018-08-28 2019-09-18 유경학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and Media Recorded with Program Executin Learning Management Method Using Electronic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9130A1 (en) 201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5134B (en) Image touch and talk playing system and mage touch and talk playing method
CN102902761B (en) Cross-terminal cloud browse method and system
CN101882366B (en) Remote control signal learning and processing by a host device and accessory
CN1297141C (en)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KR101583039B1 (en) Contents playing system and method by electronic pen
CN102884529A (en) Adaptable layouts for social feeds
CN105376443A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CN105376442A (en) Cloud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by cloud system, content
US20210076080A1 (en) Method and server for generating image data by using multiple cameras
WO2016192457A1 (en) Ar book and ar-book-based indexed augmented reality system and method
US20200252687A1 (en) Electronic device for playing high dynamic range video and method thereof
CN105187692A (en)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CN107209657A (en) Transcriber and output device
KR20170092790A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the controlling method
JP2014075094A (en)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CN105939431A (en) Display apparatus, display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apparatus
US2017025150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and transferring contents
CN202976538U (en) Image touch-read playing system
CN103780919B (en) A kind of method for realizing multimedia, mobile terminal and system
US11442683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021106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related camera
CN102918512A (en)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system, authentication device, client appliance, information appliance data connec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N103902245A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20140057219A (en) 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smart-phon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providing program of educational contents based on smart-phone
KR102172588B1 (en) Moving picture album production method and system for exhibition hall spect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