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62B1 -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 Google Patents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62B1
KR101582862B1 KR1020140059450A KR20140059450A KR101582862B1 KR 101582862 B1 KR101582862 B1 KR 101582862B1 KR 1020140059450 A KR1020140059450 A KR 1020140059450A KR 20140059450 A KR20140059450 A KR 20140059450A KR 101582862 B1 KR101582862 B1 KR 101582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user
random sequence
sequenc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9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909A (ko
Inventor
표성수
Original Assignee
표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표성수 filed Critical 표성수
Priority to KR1020140059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62B1/ko
Priority to PCT/KR2015/004828 priority patent/WO2015178622A1/ko
Priority to CN201580025801.6A priority patent/CN106462695A/zh
Publication of KR20150132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62B1/ko
Priority to US15/352,876 priority patent/US2017006383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06Q20/108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 G06Q20/1085Remote banking, e.g. home banking invol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하고자 하는 기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수열이 매겨지는 자리의 수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를 관련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접근을 하고자 할 때,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랜덤수열을 제공하면, 설정된 자리의 수에 따라 입력값을 달리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접근하는 방법이다.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주어지는 수열이 다르다면 입력값이 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정한 순간에 입력되는 값을 보더라도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에 접근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METHOD OF IDENTIFYING PASSWORD BASED ON RAMDOM NUMBER SEQUENCE}
본 발명은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는 비밀 번호의 보안성을 극대화시켜 안전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공개된 장소에서 비밀 번호를 입력할 때 비밀 번호의 누출 우려가 없게 된다.
일반적으로, 보안성이 요구되는 장치등에는 대부분 비밀번호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비밀번호는 악의의 제 3자로 하여금 사용자의 정보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수단의 일환이다.
특히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통화기능외에 전자수첩, 인터넷 접속, 소액결제 등 개인의 사생활 및 금융정보를 담고 있어 비밀번호가 노출될 경우 심각한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와 경제적인 손실을 입을 수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보안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금지급기 및 이동통신의 단말기는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곳에 설치되어 있고, 첨단 카메라의 사용으로 제 3자에게 비밀번호가 노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아래 선행기술 문헌들과 같은 비밀번호 유출을 방지하는 방법의 특허들이 있으나, 기존의 발명들은 시각에 의존하는 발명이라, 사용자가 쉽게 사용하기 어려운 점( 랜덤하게 설정된 10개의 키패드를 기억해야 하는 것), 시각적인 효과(워트 마크)등을 이용한 발명인데, 이러한 발명은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쉽지 않은 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05-0002001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 10-2003-0059397호
[학술발표자료]스도쿠(Sudoku) 퍼즐을 이용한 훔쳐보기 방지용 비밀번호 입력 시스템 2011년(전자/정보통신공학|김동화 외 4 명|한국정보과학회)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사용자가 공개된 장소에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현금지급기에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사용자가 누르는 키패드의 숫자와 화면에 나타낸 랜덤 숫자열이 상관관계를 맺고 설정된 비밀번호를 생성함으로써 비밀번호의 보안성을 극대화 시킨 안전한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이를 확인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은,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은 사용자가 재배열 명령 입력시 새로운 랜덤 수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은, a)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 b)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c)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d)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이 경우 상기 b) 내지 d) 단계를 2회 이상 반복된다.
상기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은 사용자가 재배열 명령 입력시 새로운 랜덤 수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를 확인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표시된 수열을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접속하고자 하는 기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수열이 매겨지는 자리의 수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를 관련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접근을 하고자 할 때,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랜덤수열을 제공하면, 설정된 자리의 수에 따라 입력값을 달리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접근하는 방법이다.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주어지는 수열이 다르다면 입력값이 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정한 순간에 입력되는 값을 보더라도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에 접근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내용을 통해 사용자는 비밀 번호의 보안성을 극대화시켜 안전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므로 공개된 장소에서 비밀 번호를 입력할 때 비밀 번호의 누출 우려가 없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 입력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번호 확인창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비밀 번호 확인창의 일 예를 각각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접속하고자 하는 기구 또는 인터넷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수열이 매겨지는 자리의 수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수를 관련하여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정당한 사용자가 접근을 하고자 할 때,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랜덤수열을 제공하면, 설정된 자리의 수에 따라 입력값을 달리하여 비밀번호를 생성하여 접근하는 방법이다. 기구 또는 사이트에서 주어지는 수열이 다르다면 입력값이 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특정한 순간에 입력되는 값을 보더라도 재사용할 수 없으므로 비밀번호에 접근을 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은,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S 210);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S 220);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S 230);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 240)를 포함한다.
위와 같은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도 1에서 도시된 개략적인 시스템의 구성이 필요하며, 이러한 시스템은 구성도로 도시되었다. 이하에서는 위의 각 단계별 내용을 도 1의 구성도와 함께 설명하도록 하겠다.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S 210)은 시스템의 표시부에서 나타나는 화면을 통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방식을 이용해 입력을 하거나 또는 별도의 키보드 등과 같은 입력 수단을 이용해 입력될 수도 있다.
도 3a에서 보는 것처럼, 도면부호 10은 아래 나타나는 랜덤 수열의 고정된 자리를 나타내며, 이 자리는 변하지 아니하며 도면부호 20의 생성된 랜덤 수열의 고정된 자리를 나타낸다. 도면부호 20은 랜덤 수열에 의해 0~9까지의 숫자가 표시되는 자리이다. 각각의 랜덤 수열의 숫자의 자리는 위의 도면 부호 10에 의해 알 수 있다.
사용자는 선택 번호를 설정하기 위해 선택번호 입력창(30)에 선택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또한 비밀 번호 입력창(40)에는 비밀 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도 3a의 실시예에서는 선택 번호로써 3077을 설정하였고, 비밀번호로는 1575를 설정하였다. 이 선택 번호와 비밀 번호는 사용자만이 알고 있는 번호이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선택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하고, 이후 사용자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밀 번호 입력 시스템을 가진 시스템에 접근하고자 할 때,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된다.(단계 S 210)
이 경우 사용자는 선택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설정할 때, 후술하는 함수에 대해서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함수에 대해서 미리 설정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비밀 번호 모두에 대한 일괄적인 함수의 정의도 가능하며 또는 각각의 비밀 번호 자리 별로 상이한 함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직접 함수를 설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미리 함수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비밀 번호의 보안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단계 220에서는 도 4의 일 실시예의 화면과 같이 사용자에게 비밀 번호를 입력하라는 창(40)이 뜨며, 이 경우 고정된 번호(10) 아래에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20)이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이 보안에 취약하거나 또는 그렇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재배열 명령을 입력(30)함으로써 새로운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이 표시되면 사용자는 단계 S 230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게 된다.
이 경우 비밀 번호는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 계산되어 입력되는 번호에 해당한다. 함수는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f(랜덤수열, 입력번호) = 비밀번호 의 관계를 이룬다. 함수 f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이미 설정한 선택 번호와 입력 번호의 관계가 함수에 의해 비밀 번호가 나오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선택번호)+(입력번호)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비밀번호)가 되도록 함수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함수는 다양하게 설정 가능한 부분이며, 사용자는 이러한 함수 관계를 미리 알고 있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선택번호)+(입력번호)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비밀번호)가 되도록 함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 랜덤 수열에 의해 표시된 숫자의 배열(20)을 보고,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 번호 "3077"에 해당하는 랜덤 수열의 숫자 배열의 숫자인 "0388"이 선택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함수 관계를 통해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인 "1575"를 만들어 내기 위해 사용자는 비밀번호 입력창(40)에 입력 번호를 "1297"로 입력하게 된다.
이후 시스템은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입력 받은 번호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S 240). 이러한 확인은, 위에서 이미 설명한 것처럼,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된다.
위의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입력 번호가 "1297"이면 시스템은 함수 관계에 의해 비밀 번호 "1575"가 나옴을 확인하고, 비밀 번호가 일치함을 확인할 것이며, 다른 번호가 입력되면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은, 도 5에서 도시되며, 이러한 방법은 a)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S 510); b)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S 520); c)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S 530); 및 d)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S 540)를 포함하고, 상기 b) 내지 d)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는 단계(S 550)를 포함한다.
위에서 이미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하며, 여기서는 기존의 실시예와의 차이점이 있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에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비밀 번호의 확인을 2번 이상 수행하게 된다. 이는 랜덤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입력 번호를 2번 이상 입력 받음으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 및 4에서 설명한 함수와 동일한 함수(설정번호 + 입력번호의 값의 일의 자리의 숫자가 비밀번호가 되는 함수)를 이용한다고 가정할 경우, 선택번호를 24로 그리고 비밀 번호를 15로 설정하였다.(S 510)
이후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하려고 할 경우, 사용자는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받게 된다(S 520). 이는 도 6에서 도시되며, 도 6과 같은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이 표시될 경우, 사용자는 입력 번호로 "65"를 입력하여 비밀 번호를 확인 받게 된다(S 530, S 540). 이후 다시 한번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이 표시되며, 이는 도 7에서 도시된다. 이 경우에는 수열이 변경되어서 사용자는 "13"을 입력하여 비밀 번호의 확인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입력번호의 입력을 통해 비밀 번호를 확인받는 작업은 그 횟수가 증가될수록 보안성은 급격히 증가될 것이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는,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표시된 수열을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은 사용자가 재배열 명령 입력시 새로운 랜덤 수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는,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3. 삭제
  4. a)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는 단계;
    b)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는 단계;
    c) 표시된 수열에 기초하여 배열된 숫자를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단계; 및
    d)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내지 d) 단계를 2회 이상 반복하고,
    상기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는,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은 사용자가 재배열 명령 입력시 새로운 랜덤 수열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는,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6. 삭제
  7.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를 확인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서,
    설정 번호 및 비밀 번호를 사용자로부터 미리 설정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사용자에게 랜덤 수열에 기초한 숫자의 배열을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표시된 수열을 기초로 사용자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 확인하도록 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받은 번호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비밀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확인은, 랜덤 수열, 사용자의 입력 번호 및 비밀 번호에 기초한 미리 설정된 함수에 의해 확인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KR1020140059450A 2014-05-19 2014-05-19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KR101582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0A KR101582862B1 (ko) 2014-05-19 2014-05-19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PCT/KR2015/004828 WO2015178622A1 (ko) 2014-05-19 2015-05-14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CN201580025801.6A CN106462695A (zh) 2014-05-19 2015-05-14 基于随机数列的密码确认方法
US15/352,876 US20170063837A1 (en) 2014-05-19 2016-11-16 Password checking method based on random sequ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9450A KR101582862B1 (ko) 2014-05-19 2014-05-19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09A KR20150132909A (ko) 2015-11-27
KR101582862B1 true KR101582862B1 (ko) 2016-01-11

Family

ID=5455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9450A KR101582862B1 (ko) 2014-05-19 2014-05-19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063837A1 (ko)
KR (1) KR101582862B1 (ko)
CN (1) CN106462695A (ko)
WO (1) WO201517862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72B1 (ko) 2005-02-28 2005-12-14 주식회사 소리나무미디어 비밀정보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해석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579A (ko) * 2000-08-18 2002-02-25 신언철 비밀 정보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405664B1 (ko) 2001-12-29 2003-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랜 액세스 포인트와 dect 기지국의 복합장치
JP3789462B2 (ja) * 2002-09-12 2006-06-21 三菱電機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装置及び端末装置及び認証方法
KR20050002001A (ko) 2003-06-30 2005-01-07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측벽 슬로프를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형성방법
KR101132368B1 (ko) * 2010-04-26 2012-07-13 (주)에이케이씨에스 비밀번호 키의 이동값을 이용하는 비밀번호 안전 입력 시스템 및 그 비밀번호 안전 입력 방법
KR101229054B1 (ko) * 2011-01-19 2013-02-04 김용삼 시도할 때마다 비밀번호가 바뀌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인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6072B1 (ko) 2005-02-28 2005-12-14 주식회사 소리나무미디어 비밀정보 입력 장치 및 비밀번호 해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909A (ko) 2015-11-27
WO2015178622A1 (ko) 2015-11-26
US20170063837A1 (en) 2017-03-02
CN106462695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39674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KR101769119B1 (ko) 정크 데이터 일치여부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N105825382B (zh) 一种移动支付方法及电子设备
JP5764203B2 (ja) パスワードキーの移動値を利用するパスワード安全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パスワード安全入力方法
RU2742910C1 (ru) Обработка закодирова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US8661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password
GB2514419A (en) Improved us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
CN103634107A (zh) 电子装置的认证方法及密码设定方法及认证系统
GB2533095A (en) System and method
CN104408363A (zh) 安全密码系统
US20230334452A1 (en) Security key input system and method using one-time keypad
CN103034798A (zh) 一种随机密码的生成方法及装置
CN102880303A (zh) 一种动态密码输入方法,装置及门禁系统
CN108027854A (zh) 多用户强认证令牌
CN111028392A (zh) 组合密码验证方法、硬件终端及密码系统
KR101474924B1 (ko) 다이얼을 이용한 잠금 시스템 및 방법
KR101392537B1 (ko) 사용자 설정 기억을 이용한 비밀번호 인증 방법
KR101582862B1 (ko) 랜덤 수열에 기초한 비밀 번호 확인 방법
US20160021102A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henticating persons
US11010491B2 (en) Randomized input device heating
KR102222411B1 (ko) 숫자와 패턴 혼용 입력부를 이용한 숫자와 패턴을 조합한 인증암호의 인증방법 및 인증장치
KR101632582B1 (ko) 랜덤키가 포함된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22576A (ko) 비밀번호 유출 방지를 위한 비밀번호 입력방법
KR20170101145A (ko) 랜덤 키를 이용한 해킹 및 노출 방지 패스워드 시스템 및 사용자 인증 방법
US20170300684A1 (en) Method of authenticating a user, corresponding terminals and authent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