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858B1 -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 Google Patents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858B1
KR101582858B1 KR1020150115890A KR20150115890A KR101582858B1 KR 101582858 B1 KR101582858 B1 KR 101582858B1 KR 1020150115890 A KR1020150115890 A KR 1020150115890A KR 20150115890 A KR20150115890 A KR 20150115890A KR 101582858 B1 KR101582858 B1 KR 10158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lift
lock
hing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티
Priority to KR1020150115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8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858B1/ko
Priority to CN201620303533.1U priority patent/CN206043873U/zh
Priority to US15/096,567 priority patent/US9814309B2/en
Priority to JP2016001805U priority patent/JP3206353U/ja
Priority to EP16166797.7A priority patent/EP313271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2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vertical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6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means for, or adapted for, inclining the legs of the table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e.g. with adjust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64Table leg assembly held in folded position by tens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면을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리프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과, 다수의 막대형 부재와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리프트조립체;와, 리프트조립체의 일단부에 걸림구조를 형성시켜, 리프트조립체의 접철 및 전개 시의 외형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와, 리프트조립체를 지지하여 설치면에 하중을 전달시키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Lift Table for Computing}
본 발명은 컴퓨터를 조작하는 것을 보조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면을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리프트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가정 및 직장에서 컴퓨터 사용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컴퓨터 사용환경은 책상에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후 의자에 앉아서 컴퓨터를 조작하는 좌식 사용이다.
장시간 동안 좌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은 다방면에 걸쳐 몸에 해로울 뿐만 아니라, 비만, 당뇨, 심혈관계질환, 암 등의 질병에 걸릴 가능성도 높아진다. 그래서 최근 입식 책상이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다. 서있는 사람은 앉아있는 사람보다 시간당 50칼로리를 더 많이 소모하게 되어 건강 및 체중 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하지만 입식으로 컴퓨터를 장시간 사용하는 것은 피로를 증가시키고 업무 집중력을 저해시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계속 앉아 있기보다는 업무 중간 중간에 서 있기도 하고 걷기도 하는 등의 활동을 하는 것이다. 입식 좌식 겸용 책상이 개발되었지만, 상판 지지부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길이를 조절해 겸용으로 사용하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수시로 입식이나 좌식으로 변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종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040호에 컴퓨팅용 보조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040호의 컴퓨팅용 보조기구의 좌식 및 입식 사용시의 사시도이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040호의 컴퓨팅용 보조기구(300)는, 설치면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칼럼(312)과, 모니터 및 노트북이 거치되되 상기 지지칼럼(312)과 커플링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장착부(350)와, 상기 장착부(350)에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마운트(362), 트레이(364), 크로스바(360), 키보드트레이(355) 등을 포함한다. 지지칼럼(312)은 지지칼럼(312) 하부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미도시)와 베이스(310)와 레그(370)를 통해 지지면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칼럼(312)은, 커플링된 장착부(350)를 실제 중량에 비해 적은 힘으로 상하로 위치변경시킬 수 있게 보조하는, 탄성체(144) 및 리프트메커니즘(116) 및 휠풀리(120)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컴퓨팅용 보조기구(3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50)를 지지칼럼(312)의 하부로 이동시킨 후 의자에 앉아 좌식으로 컴퓨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350)를 지지칼럼(312)의 상부로 이동시킨 후 일어서서 입식으로 컴퓨팅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040호의 컴퓨팅용 보조기구(300)는, 설치면에 지지칼럼(312)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구조로 인해, 설치면 상부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게 되고 미관상으로도 불리하게 된다. 그리고 평평한 면에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하여 사용하는 일반적 방식이 아닌, 모니터는 마운트에 설치하고 키보드는 키보드트레이에 설치하는 방식으로 인해, 컴퓨터 사용에 있어 컴퓨팅용 보조기구(300)의 범용성이 떨어지고, 사용자가 컴퓨터 주변기기의 수량과 사용위치와 사용방법 등을 커스터마이징하기가 불편하고,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부재와 비용이 필요한 문제도 있다.
미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0119040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후,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면을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리프트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가 거치되는 거치면 외의 상부나 하부에 기구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을 높이고 미관상 유려한 리프트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평평한 면에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 컴퓨팅이 가능한 리프트 테이블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과, 두 쌍의 막대형 부재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형성되고, 두 쌍의 막대형 부재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구동암조립체;와, 상판과 결합되되, 구동암조립체의 일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판과 상부프레임과 구동암조립체의 하중을 하측으로 전달시키되, 구동암조립체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리프트조립체;와, 구동암조립체의 일단부에 걸림구조를 형성시켜, 리프트조립체의 접철 및 전개 시의 외형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와,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리프트조립체를 지지하여 설치면에 하중을 전달시키는 판 형상의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본체;와, 하측면이 리프트조립체의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되, 상판본체의 하측면에서는 오목하게 함몰되고 상판본체의 상측면에서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프트조립체가 접철될 시 리프트조립체 및 잠금장치가 하측면으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리프트수납부;와, 상판본체의 테두리 부위의 상측면에 하중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판 형상의 보조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수납부는,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본체의 상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측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잠금장치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구동암조립체는, 일단부가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암;과, 일단부가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상부암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보조암;과, 상부암 및 상부보조암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암조립체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부암 및 상부보조암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상부탄성체;와, 힌지공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암의 타단부 및 상부보조암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암조인트;와, 일단부가 암조인트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암;과, 일단부가 암조인트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하부암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보조암;과, 하부암 및 하부보조암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암조립체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하부암 및 하부보조암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하부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은,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일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제1잠금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는, 제1잠금기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제2잠금기어;와,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게 되어, 제1잠금기어와 제2잠금기어가 맞물리고 이격되게 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잠금힌지;를, 포함하는 잠금걸쇠;와, 잠금걸쇠에 제1잠금기어와 제2잠금기어가 맞물리게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잠금탄성체;와, 일단부가 잠금걸쇠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외력이 작용될 시 제1잠금기어와 제2잠금기어가 이격되게 하는, 막대 형상의 잠금구동암;과, 잠금구동암에 수동으로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은, 암조인트 측의 타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상부조인트기어;를, 포함하고, 하부암은, 암조인트 측의 일단부에 상부조인트기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하부조인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은, 하부탄성체가 하부암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하부암의 암조인트 측의 일단부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탄성체가 하부암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탄성력조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테이블은,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시킨 거치면을 수직방향으로 위치 이동시켜,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테이블은, 거치면 상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고, 거치면 하부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간효율을 높이고 미관상 유리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테이블은, 평평한 면에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기기를 거치하고 사용하는 방식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a은 종래의 컴퓨팅용 보조기구의 좌식 사용시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컴퓨팅용 보조기구의 입식 사용시의 사시도이다.
도 2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접철시의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전개시의 사시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접철시의 측면도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4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접철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전개시의 사시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접철시의 측면도이다.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과 상부보조암의 접철시의 측면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과 상부보조암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과 하부보조암의 접철시의 측면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과 하부보조암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탄성력조절레버 조작시의 측면도이다.
도 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조인트기어와 하부조인트기어의 접철시의 상세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조인트기어와 하부조인트기어의 전개시의 상세도이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의 잠금시의 상세도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의 잠금해제시의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접철시 및 전개시의 사시도이고,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접철시 및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1000);과, 다수의 막대형 부재가 힌지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부재들이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에 의해 전개가 가능한 리프트조립체(2000);와, 리프트조립체(2000)의 일단부에 걸림구조를 형성시켜, 리프트조립체(2000)의 접철 및 전개 시의 외형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2400);와, 리프트조립체(2000)를 지지하여 설치면에 하중을 전달시키는 베이스프레임(3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상기 리프트조립체(2000)가 접철될 시에는 좌식으로 상판에 위치한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게 하고, 상기 리프트조립체(2000)가 전개될 시에는 입식으로 상판에 위치한 컴퓨터 및 컴퓨터 주변장치들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구조를 통하여,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함에 있어서, 상판(1000)의 외부로 부설되거나 돌출되는 구성요소를 배제하여, 공간의 효율을 증대시키고 미관상으로도 더욱 유려한 외형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에 포함되는 탄성체들은, 상기 리프트조립체(20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상기 잠금장치(2400)는 잠금레버(2410)를 조작하여 리프트조립체(2000)의 외형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리프트 테이블이 접철된 상태에서 잠금레버(2410)를 조작시키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리프트조립체(2000)가 전개를 하게 되고, 리프트 테이블은 좌식 테이블에서 입식 테이블로 변형하게 된다. 또, 잠금레버(2410)를 조작시킨 상태로 상판(1000)에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리프트조립체(2000)가 접철되고, 리프트 테이블은 입식 테이블에서 좌식 테이블로 변형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 실시예들의 사시도들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본체(1100);와, 하측면이 리프트조립체(2000)의 상부프레임(2100)과 결합되되, 상판본체(1100)의 하측면에서는 오목하게 함몰되고 상판본체(1100)의 상측면에서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리프트조립체(2000)가 접철될 시 리프트조립체(2000) 및 잠금장치(2400)가 하측면으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리프트수납부(1200);와, 상판본체(1100)의 테두리 부위의 상측면에 하중물이 거치될 수 있는 보조상판(1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수납부(1200)는, 잠금장치(2400)를 조작하여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본체(1100)의 상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측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잠금장치조작부(120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은,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수납부(1200)에 리프트조립체(2000) 및 잠금장치(2400)가 수납됨으로써, 리프트 테이블의 설치면에 최대한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리프트 테이블의 공간 효율과 사용성 및 미관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에 상기 리프트수납부(1200)가 구비되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을 베이스프레임(3000)이 놓여지는 설치면에 최대한 인접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종래 컴퓨팅에 사용되던 책상이나 테이블 위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종래의 책상이나 테이블의 사용 높이에서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의 높이가 높다면, 사용자는 사용환경이 변화됨에 따르는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또한, 종래의 책상이나 테이블은 일반적인 사용자와 사용환경에 따라 설계 및 제작되는바, 부가적인 보조기구에 의해 그 인체치수가 변화하게 된다면, 그에 따르는 불편은 영구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에는, 리프트조립체(2000)가 하부로 수납되는 리프트수납부(1200)가 구비되어, 상기 상판(1000)은 리프트 테이블의 설치면에서 리프트조립체(2000)의 접철시의 두께 및 부피가 아니라, 상기 상판(1000) 자체의 두께만큼만 이격되게 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상판(1000)의 두께만큼만 종래의 사용환경과 인체치수가 변화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종래의 사용환경과 인체치수에서의 아주 경미한 변화로써, 종래의 사용환경에서 연속적으로 입식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됨을 의미하게 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공간 효율과 사용성 및 미관의 향상뿐 아니라, 추가적인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이질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까지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리프트수납부(1200)에 리프트조립체(2000) 및 잠금장치(2400)가 수납될 시 잠금장치(2400)를 해제시키는 잠금레버(2410) 또한 리프트수납부(1200) 내부에 수납되게 되는데, 리프트수납부(1200)의 잠금장치조작부(1201)를 통해 잠금레버(241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고, 리프트 테이블의 사용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보조상판(1300)은 키보드 및 모니터 외의 컴퓨터 주변기기 및 소지품를 거치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실시들이 가능함은 물론인 사실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접철시 및 전개시의 사시도이고,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의 접철시 및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2000)는, 두 쌍의 막대형 부재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형성되고, 두 쌍의 막대형 부재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구동암조립체(2200);와, 상판(1000)과 결합되되, 구동암조립체(2200)의 일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2100);과, 상판(1000)과 상부프레임(2100)과 구동암조립체(2200)의 하중을 하측으로 전달시키되, 구동암조립체(2200)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2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암조립체(2200)는, 일단부가 상부프레임(2100)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암(2210);과, 일단부가 상부프레임(2100)과 힌지결합되며, 상부암(2210)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보조암(2220);과, 상부암(2210) 및 상부보조암(222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암조립체(22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부암(2210) 및 상부보조암(222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상부탄성체(2230);와, 힌지공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부암(2210)의 타단부 및 상부보조암(2220)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암조인트(2240);와, 일단부가 암조인트(224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프레임(2300)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암(2250);과, 일단부가 암조인트(2240)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하부프레임(2300)과 힌지결합되며, 하부암(2250)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보조암(2260);과, 하부암(2250) 및 하부보조암(2260)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암조립체(22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하부암(2250) 및 하부보조암(226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하부탄성체(2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프레임(2100) 및 상기 하부프레임(2300)과, 상기 상부암(2210) 및 상기 상부보조암(2220) 및 상기 상부탄성체(2230) 및 상기 하부암(2250) 및 상기 하부보조암(2260) 및 상기 하부탄성체(2270)를, 포함하는 막대형 부재들 및 탄성부재들은, 평면상에서 겹치지 않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리프트조립체(2000)가 최소의 두께와 부피로 접철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의 리프트수납부(1200)가 최소의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공간효율성 및 사용성 및 미관이 더 향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과 상부보조암의 접철시의 측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과 상부보조암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구동암조립체(2200)는,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과 상부탄성체(2230)와 암조인트(2240)를 포함한다.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의 일단부는 상부프레임(2100)에 힌지결합되고,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의 타단부는 암조인트(2240)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이 평행한 상태로, 그리고 상부프레임(2100)과 암조인트(2240)가 평행한 상태로,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과 상부탄성체(2230)와 암조인트(2240)는 결합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암(2210)의 단부측에는 상부탄성체(223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1A걸림돌기(2211)가 구비되고, 상부보조암(2220)의 단부측에는 상부탄성체(223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1B걸림돌기(2221)가 구비된다. 상부탄성체(2230)는 구동암조립체(22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외력이나 마찰이 해제될 시 구동암조립체(2200)는 자동적으로 전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2210)은, 상부프레임(2100)과 힌지결합되는 일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제1잠금기어(22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잠금기어(2213)는 잠금장치(2400)와 함께 작용하여 상부암(2210)의 이동 및 회전을 고정시키게 되는데, 본 제1잠금기어(2213)와 잠금장치(2400)의 구성과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잠금장치(2400)에 대한 기술에서 도 8a 및 도 8b와 더불어 이어질 것이다.
도 6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과 하부보조암의 접철시의 측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과 하부보조암의 전개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탄성력조절레버 조작시의 측면도로써, 도 6b에서 탄성력조절레버 조작시의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구동암조립체(2200)는,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과 하부탄성체(2270)와 암조인트(2240)를 포함한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2250)은, 하부탄성체(2270)가 하부암(2250)에 연결되는 제2A걸림돌기(2281)를 포함하고, 하부암(2250)의 암조인트(2240) 측의 일단부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탄성체(2270)가 하부암(2250)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탄성력조절레버(2280);를 포함한다.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의 일단부는 하부프레임(2300)에 힌지결합되고,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의 타단부는 암조인트(2240)에 힌지결합된다. 따라서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이 평행한 상태로, 그리고 하부프레임(2300)과 암조인트(2240)가 평행한 상태로,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과 하부탄성체(2270)와 암조인트(2240)는 결합형태를 변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력조절레버(2280)에는 하부탄성체(2270)의 일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2A걸림돌기(2281)가 구비되고, 하부보조암(2260)의 단부측에는 하부탄성체(2270)의 타단부가 연결될 수 있는 제2B걸림돌기(2261)가 구비된다. 하부탄성체(2270)는 구동암조립체(22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데, 이로 인해 외력이나 반력이나 마찰력이 해제될 시 구동암조립체(2200)는 자동적으로 전개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탄성력조절레버(2280)를 통해 구동암조립체(2200)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력조절레버(2280)는 하부탄성체(2270)가 하부암(2250)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시키게 한다. 하부탄성체(2270)의 탄성력에는 변화가 없지만,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방향의 각도가 변화함에 따라,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에 가해지는 실제적인 탄성력의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암조립체(2200)에 가해지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리프트조립체(2000)를 전개시키는 탄성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상판(1000)에 거치되는 하중물의 무게에 따라, 리프트 테이블의 전개에 필요한 탄성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상판(1000)에 거치되는 하중물이 비교적 가벼운 것들이라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조절레버(2280)를 위치시킬 수 있고, 상판(1000)에 거치되는 하중물이 비교적 무거운 것들이라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조절레버(228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조인트기어와 하부조인트기어의 접철시 및 전개시의 상세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상부암(2210)은, 암조인트(2240)측 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상부조인트기어(2212);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하부암(2250)은, 암조인트(2240)측 단부에 상기 상부조인트기어(2212)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하부조인트기어(22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이 평행한 상태로, 그리고 상부프레임(2100)과 암조인트(2240)가 평행한 상태로,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과 상부탄성체(2230)와 암조인트(2240)의 결합형태가 변형되고,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이 평행한 상태로, 그리고 하부프레임(2300)과 암조인트(2240)가 평행한 상태로, 하부암(2250)과 하부보조암(2260)과 하부탄성체(2270)와 암조인트(2240)의 결합형태가 변형되게 된다. 이러한 변형은 상부탄성체(2230)와 하부탄성체(2270)의 탄성력에 의해, 또는 사용자가 리프트 테이블에 가하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게 되는데, 암조인트(2240) 부분에는 상부탄성체(2230) 및 하부탄성체(2270)의 탄성력과 사용자가 리프트 테이블에 가하는 외력이 비교적으로 적게 작용하게 된다. 상부암(2210)과 하부암(2250)이 암조인트(2240)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를 이루지 못하면, 상기의 부재 간 위치의 평행성이 저감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판(1000)과 베이스프레임(3000)이 평행하게 위치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리프트 테이블의 사용성을 저감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상판(1000)과 베이스프레임(3000)의 평행성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부암(2210)과 하부암(2250)이 암조인트(2240)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로 전개되도록 구속하는 상기 상부조인트기어(2212)와 상기 하부조인트기어(2251)를 구비하여, 전체 부재의 평행성과 상판(1000)과 베이스프레임(3000)간의 평행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8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의 잠금시의 상세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의 잠금해제시의 상세도이다.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2400)는, 상부암(2210)의 제1잠금기어(2213)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제2잠금기어(2431);와, 상부프레임(2100)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게 되어, 제1잠금기어(2213)와 제2잠금기어(2431)가 맞물리고 이격되게 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잠금힌지(2432);를, 포함하는 잠금걸쇠(2430);와, 잠금걸쇠(2430)에 제1잠금기어(2213)와 제2잠금기어(2431)가 맞물리게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잠금탄성체(2440);와, 일단부가 잠금걸쇠(2430)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외력이 작용될 시 제1잠금기어(2213)와 제2잠금기어(2431)가 이격되게 하는, 막대 형상의 잠금구동암(2420);과, 잠금구동암(2420)에 수동으로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24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a 내지 도 2d 와 관련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잠금장치(2400)는 잠금레버(2410)를 조작하여 리프트조립체(2000)의 외형을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리프트 테이블이 접철된 상태에서 잠금레버(2410)를 조작시키게 되면 자동적으로 리프트조립체(2000)가 전개를 하게 되고, 잠금레버(2410)를 조작시킨 상태로 상판(1000)에 하측으로 외력을 가하면 리프트조립체(2000)가 접철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잠금걸쇠(2430)의 제2잠금기어(2431)가 잠금탄성체(2440)에 의해 제1잠금기어(2213)와 맞물리게 되어 상부암(221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고, 잠금레버(2410)에 외력이 가해지면 잠금구동암(2420)이 직선운동을 하여 잠금걸쇠(2430)를 회전시켜 제1잠금기어(2213)에서 제2잠금기어(2431)를 이격시킴으로써 구현되게 된다.
잠금걸쇠(2430)의 제2잠금기어(2431)와 제1잠금기어(2213)의 맞물림에 의해 상부암(2210)의 위치가 고정되게 되면, 상부암(2210)과 상부보조암(2220)과 암조인트(2240)와 상부프레임(2100)으로 구성되는 구조물이 고정되게 되고, 하부암(2250)과 하부조보암()과 암조인트(2240)와 하부프레임(2300)으로 구성되는 구조물도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리프트조립체(2000)는, 상기 구조물의 힌지연결부분 중 한 군데라도 고정이 되면 전체 구조물과 각 부분의 힌지가 고정되는 구조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상기 잠금장치(2400)를 통해 리프트조립체(2000)를 접철시킨 상태와 리프트조립체(2000)를 전개시킨 상태를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의 잠금장치(2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프트 테이블에 포함되는 리프트조립체(2000)들 마다 구비된다. 그러므로 상기 잠금장치(2400)는, 리프트 테이블에 포함되는 개개의 리프트조립체(2000)들에 구비된 개개의 잠금장치(2400)들의 잠금레버(2410)들을 동시에 조작해서, 동시에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수행해야만 리프트 테이블의 상판(1000)의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사용상의 안전을 위한 것으로, 잠금장치(2400)를 하나의 리프트조립체(2000)에만 구비하거나, 잠금장치(2400)들의 잠금레버(2410)들이 연동되어 단일한 잠금레버(2410)를 조작함으로써 다수의 잠금장치(2400)들의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이 가능하다면, 의식하지 못하고 잠금레버(2410)를 조작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차단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복수의 잠금레버(2410)들을 동시에 조작해야만 잠금장치(240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수행시킬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되어, 무의식중에 잠금레버(2410)를 조작하는 일을 완전히 차단시키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프트 테이블은, 상판 및 베이스와, 다수의 막대형 부재 및 탄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리프트조립체와, 리프트조립체의 외형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여, 입식 및 좌식 겸용으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상판
1100...상판본체
1200...리프트수납부
1201...잠금장치조작부
1300...보조상판
2000...리프트조립체
2100...상부프레임
2200...구동암조립체
2210...상부암
2211...제1A걸림돌기
2212...상부조인트기어
2213...제1잠금기어
2220...상부보조암
2221...제1B걸림돌기
2230...상부탄성체
2240...암조인트
2250...하부암
2251...하부조인트기어
2260...하부보조암
2261...제2B걸림돌기
2270...하부탄성체
2280...탄성력조절레버
2281...제2A걸림돌기
2300...하부프레임
2400...잠금장치
2410...잠금레버
2420...잠금구동암
2430...잠금걸쇠
2431...제2잠금기어
2432...잠금힌지
2440...잠금탄성체
3000...베이스프레임

Claims (8)

  1.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과,
    두 쌍의 막대형 부재의 일단부가 힌지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쌍의 막대형 부재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구동암조립체;와, 상기 상판과 결합되되, 상기 구동암조립체의 일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판과 상기 상부프레임과 상기 구동암조립체의 하중을 하측으로 전달시키되, 상기 구동암조립체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하부프레임;을, 포함하여 접철 및 탄성력에 의한 전개가 가능한 리프트조립체;와,
    상기 구동암조립체의 일단부에 걸림구조를 형성시켜, 상기 리프트조립체의 접철 및 전개 시의 외형을 고정시키는 잠금장치;와,
    상기 하부프레임과 결합되어, 상기 리프트조립체를 지지하여 설치면에 하중을 전달시키는 베이스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상판은,
    하중물이 거치되는 평평한 판 형상의 상판본체;와,
    하측면이 상기 리프트조립체의 상기 상부프레임과 결합되되, 상기 상판본체의 하측면에서는 오목하게 함몰되고 상기 상판본체의 상측면에서는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리프트조립체가 접철될 시 상기 리프트조립체 및 상기 잠금장치가 하측면으로 삽입되어 수납되는 리프트수납부;와,
    상기 상판본체의 테두리 부위의 상측면에 하중물을 거치시킬 수 있는 판 형상의 보조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수납부는,
    상기 잠금장치를 조작하여 해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판본체의 상측면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돌출부의 측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잠금장치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조립체는,
    일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암;과,
    일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상부암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상부보조암;과,
    상기 상부암 및 상기 상부보조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암조립체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상부암 및 상기 상부보조암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상부탄성체;와,
    힌지공이 형성된 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암의 타단부 및 상기 상부보조암의 타단부와 힌지결합되는 암조인트;와,
    일단부가 상기 암조인트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암;과,
    일단부가 상기 암조인트와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암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되는 막대 형상의 하부보조암;과,
    상기 하부암 및 상기 하부보조암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암조립체가 전개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암 및 상기 하부보조암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하부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암은,
    상기 상부프레임과 힌지결합되는 일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제1잠금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제1잠금기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제2잠금기어;와, 상기 상부프레임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게 되어, 상기 제1잠금기어와 상기 제2잠금기어가 맞물리고 이격되게 되는 회전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잠금힌지;를, 포함하는 잠금걸쇠;와,
    상기 잠금걸쇠에 상기 제1잠금기어와 상기 제2잠금기어가 맞물리게 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잠금탄성체;와,
    일단부가 상기 잠금걸쇠의 일측면에 힌지결합되어, 타단부에 외력이 작용될 시 상기 제1잠금기어와 상기 제2잠금기어가 이격되게 하는, 막대 형상의 잠금구동암;과,
    상기 잠금구동암의 타단부에 수동으로 외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암은,
    상기 암조인트 측의 타단부에 톱니바퀴형상의 상부조인트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암은,
    상기 암조인트 측의 일단부에 상기 상부조인트기어에 대응하는, 톱니바퀴형상의 하부조인트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암은,
    상기 하부탄성체가 상기 하부암에 연결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암의 암조인트 측의 일단부 측면에 힌지결합되어, 소정의 각도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부탄성체가 상기 하부암에 연결되는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는 탄성력조절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트 테이블.
KR1020150115890A 2015-08-18 2015-08-18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KR10158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90A KR101582858B1 (ko) 2015-08-18 2015-08-18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CN201620303533.1U CN206043873U (zh) 2015-08-18 2016-04-12 电脑用升降台
US15/096,567 US9814309B2 (en) 2015-08-18 2016-04-12 Lift table for computer
JP2016001805U JP3206353U (ja) 2015-08-18 2016-04-19 コンピューティング用のリフトテーブル
EP16166797.7A EP3132710A1 (en) 2015-08-18 2016-04-25 Lift table for compu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890A KR101582858B1 (ko) 2015-08-18 2015-08-18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858B1 true KR101582858B1 (ko) 2016-01-19

Family

ID=55306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890A KR101582858B1 (ko) 2015-08-18 2015-08-18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833A (ja) * 1992-07-28 1994-02-15 Yukio Kanazawa 支持台
US20120119040A1 (en) 2010-07-30 2012-05-17 Ergotron, Inc. Edge Mount Position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40004886U (ko) * 2013-02-26 2014-09-03 신현길 높낮이 조절가능한 상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833A (ja) * 1992-07-28 1994-02-15 Yukio Kanazawa 支持台
US20120119040A1 (en) 2010-07-30 2012-05-17 Ergotron, Inc. Edge Mount Position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20140004886U (ko) * 2013-02-26 2014-09-03 신현길 높낮이 조절가능한 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6353U (ja) コンピューティング用のリフトテーブル
US10413053B2 (en) Adjustable desk platform
AU2020200160B2 (en) Adjustable Desk Platform
CN107257640B (zh) 高度可调式桌子
US7118080B2 (en) Multi-functional adjustable computer support stand
US11131141B2 (en) Lateral folding step unit
KR101582858B1 (ko)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KR101582864B1 (ko) 컴퓨팅용 리프트 테이블
CN103838306A (zh) 电子装置
WO2010150402A1 (ja) ノート型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用仰臥姿勢操作装置
AU2013245512A1 (en) Adjustable desk platform
JP2001314257A (ja) 転倒防止機構付ワゴンおよびその付属機器
JP2008113784A (ja) ノートパソコン用載置台
KR20020066691A (ko) 컴퓨터용 의자
KR101715808B1 (ko) 리프트 조립체
JP3095433U (ja) ノート型パソコンの支持装置
JP4817175B2 (ja) 部材の接続構造
JP2023122058A (ja) ラック
KR20230130348A (ko) 의자 및 이를 위한 힌지 구조 조립체
KR200304336Y1 (ko) 컴퓨터용 마우스패드
JP5103997B2 (ja) キーボード装置
KR20210074119A (ko) 절첩식 양문 메모판 매립형 관람용 의자
TWM444166U (zh) 可控制椅背傾斜的座椅
TW201305782A (zh) 平板或筆記型電腦使用輔助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