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458B1 -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458B1
KR101582458B1 KR1020140100064A KR20140100064A KR101582458B1 KR 101582458 B1 KR101582458 B1 KR 101582458B1 KR 1020140100064 A KR1020140100064 A KR 1020140100064A KR 20140100064 A KR20140100064 A KR 20140100064A KR 101582458 B1 KR101582458 B1 KR 10158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ssembly
compressor
bead
termin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0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배
Original Assignee
씨알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알에스(주) filed Critical 씨알에스(주)
Priority to KR1020140100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45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ompressor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하우징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압축부와 구동부의 전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내구성과 절연구조가 형성되어 직경이 20mm이하의 소형화를 이룩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원기둥형의 모재를 단조 프레스 장치에 투입시켜 모재의 가압을 통해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부가 확관하여 형성된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공정과;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단자 배열부에 드릴링 또는 파인 블랭킹 가공을 실시하여, 단자 배열부에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조립구들이 동심구조로 형성하는 천공공정과;
상기 단자 배열부의 각 단자 조립구에, 글라스 비드의 중공부에 단자핀을 관통시킨 단자 조립체를 삽입시켜 가조립하는 가조립 공정; 및
상기 단자 조립체가 가조립된 본체를 소결로에 투입시켜, 단자 조립구 내에서 용융되는 글라스 비드에 의해 단자핀이 절연상태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소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Forming method of hermetic terminal of compressor}
본 발명은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하우징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압축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압축부와 구동부의 전류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내구성과 절연구조가 형성되어 직경 20mm이하의 소형화를 이룩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압축성 유체의 압축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저압의 증발기에서 냉매가스를 흡입하고 이 압력을 응축 압력까지 높이는 작용을 하며, 왕복압축기, 회전압축기, 터보압축기형이 있다.
상기의 압축기는, 냉장고나 공기조화기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냉장고에 사용되는 경우 냉장고 내부를 저열원으로 하고, 외부를 고열원으로 하는 저비등점의 냉매의 포화증기를 고압으로 압축하여 응축기로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응축기에서는 고온, 고압의 냉매로부터 증발의 잠열이 냉장고 외부의 고열원으로 방출되어 액체상태의 냉매가스로 상변화를 일으키고, 이 액상의 냉매가스가 팽창밸브를 통과하여 저온, 저압으로 스로틀링 된 후 증발기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에서 저온, 저압의 냉매가스는 대부분 액상으로 냉장고 내부의 저열원으로부터 잠열을 흡수하여 포화증기상태의 냉매가스로 상변화를 일으킨 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됨으로써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며, 이에 따라 냉장고 내부는 지속적으로 냉기를 공급받아 냉동효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주 구성요소인 압축기는,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냉매가스가 충진된 것으로서, 상기 압축기의 하우징에는 유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 하우징에 수용된 압축부와 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경로인 허매틱 터미널이 관통되게 설치된다.
상기 허매틱 터미널은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이 확관하여 형성되며, 상기 단자 배열부에 복수의 단자 조립구들이 동심구조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각 단자 조립구에 용융된 글라스 비드를 통해 절연구조로 설치되어 구동전류의 도전경로를 제공하는 단자핀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 압축 기술의 발달에 의해 압축기는 점차 소형화가 이룩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에 설치되는 허매틱 터미널의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과정을 개략적으로 상술하자면, 브랭킹 성형된 1 내지 2mm 두께의 판재를 드로잉 성형하여 단자 배열부와 융착링이 형성된 본체를 성형하고, 상기 본체의 단자 배열부에 피어싱을 통한 천공과 버링을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관상의 단자 조립공들을 동심구조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관상의 단자 조립공에 단자핀을 삽입한 글라스 비드를 가조립시킨 다음, 소결공정을 통해 용융된 글라스 비드에 의해 단자 조립공에 삽입된 각 단자핀이 절연구조를 형성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성형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은, 압축기 하우징의 단자 조립공에 원추형의 융착링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전기 저항용접을 통해 융착링을 단자 조립공의 내벽에 융착시켜서, 기밀상태로 압축기 하우징에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블랭킹과 피어싱 및 버링을 포함하는 프레스 가공을 통해 본체를 성형하면,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제작에 따른 부대비용이 절감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런데, 본 발명자가 실제 이러한 성형방법을 적용하여 본체의 직경이 20mm 이하의 소형 허매틱 터미널을 성형한 결과, 글라스 비드층에 의한 단자핀들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안정된 내구성을 갖기 어렵고, 압축기 하우징에 허매틱 터미널을 용접함에 있어, 단자핀이 배열된 단자 배열부가 열변형되어 글라스 비드층에 의한 본체와 단자핀 사이의 절연 및 기밀상태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특히, 단자핀과 이를 동심구조로 배열한 단자 배열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됨에 따라, 단자핀의 절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어서, 품질의 안정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한계성들이 지적되었다.
(특허문헌 1) KR10-2009-0119086 A
(특허문헌 2) KR10-0415817 B1
(특허문헌 3) KR10-0486601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하우징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 배치된 압축부와 구동부의 전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특히 개량된 내구성과 절연구조가 형성되어 직경 20mm이하의 소형화를 이룩하면서도 안정적인 내구성과 기밀성 및 절연성이 확보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은,
원기둥형의 모재를 단조 프레스 장치에 투입시켜 모재의 가압을 통해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부가 확관하여 형성된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공정과;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단자 배열부에 드릴링 가공, 또는 파인 블랭킹 가공을 실시하여, 단자 배열부에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조립구들이 동심구조로 형성하는 천공공정과;
상기 단자 배열부의 각 단자 조립구에, 글라스 비드의 중공부에 단자핀을 관통시킨 단자 조립체를 삽입시켜 가조립하는 가조립 공정; 및
상기 단자 조립체가 가조립된 본체를 소결로에 투입시켜, 단자 조립구 내에서 용융되는 글라스 비드에 의해 단자핀이 절연상태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소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조립 공정에서 단자핀에 가조립되는 글라스 비드는, 단자 배열부의 단자 조립구에 수용되는 고정 비드구간의 상부와 하부에 단자 조립구에서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연장 비드구간이 형성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상기 연장 비드구간을 통해 단자 조립구의 상부와 하부로 노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를 감싸도록 하고,
상기 소결공정에 의해, 상기 고정 비드구간은 용융되어 단자 조립구에 수용된 단자핀의 중반부를 단자 조립구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비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비드구간은 단자 조립구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용융 및 고착되는 연장 비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장 비드층에 의해 소형화에 의해 근접된 단자 배치부와 단자부 사이의 안정된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하며,
상기 글라스 비드에 삽입되는 단자핀의 상반부 일지점 또는 하반부 일지점에는 흘림 방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소결공정에서 용융된 글라스 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함으로써 전원 접점이 요구되는 단자핀의 단부가 용융된 글라스 비드에 의해 도포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단자 배열부는 2.5 내지 6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압축기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와의 전기 저항 용접시 열변형에 의한 뒤틀림, 또는 압축기의 내압에 의한 형상 변형이 억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확관하여 형성되는 원추형의 융착링부는, 단자 배열부 보다 두께가 얇은 1 내지 2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압축기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와의 저항용접시 신속히 용융하여 접합되도록 구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상기 단자 조립체가 가조립된 본체는, 900℃ 내지 1100℃의 온도 조건이 형성된 소결로에 투입되어, 3 내지 7분 동안 소결 처리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원기둥형의 모재를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부가 확관하여 형성된 본체를 성형함에 있어, 상기 모재를 단조 프레스 공정을 통해 단자 배열부는 2.5 내지 6mm의 두께를 갖고, 융착링부는 1 내지 2mm의 두께를 갖는 형태로 제작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단자 조립구를 형성하여 단자핀을 관통시켜 고정하는 단자 조립부는 충분한 두께에 의해 단자핀의 안정적인 고정과 추후 압축기 하우징에 용접시 야기되는 열변형과, 압축기의 내압에 의한 형상 변형이 억제되고, 또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융착링부는 전기 저항용접시 신속히 용융하여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의 내벽에 신속히 융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은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단조 조립구에 의해 단자핀의 안정된 고정이 가능하고, 또 용접시 단자 배치부가 열변형, 또는 압축기에 충진된 냉매가스에 의한 내압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어서 단자핀을 고정하는 글라스 비드층이 손상되어 기밀성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글라스 비드를 개량하여, 상기 글라스 비드의 수용구간은 용융되어 단자핀의 중반부를 단자 조립구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비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구간은 단자 조립구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용융되어 연장 비드층을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소형화에 의해 단자핀과 이를 동심구조로 배열한 단자 배열부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더라도, 단자핀과 본체는 고정 비드층과 연장 비드층에 의해 안정된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및 조립상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을 압축기 하우징의 단자 설치구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성형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결합 및 조립상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을 압축기 하우징의 단자 설치구에 설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성형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1)은, 압축기의 하우징(100)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110)에 관통되게 배치되어, 하우징(100) 내에 배치된 압축부(미도시)와 구동부(미도시)의 전류 공급경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1)은, 기본적으로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부(11)의 가장자리부에 원추형의 융착링부(12)가 확관하여 형성되며, 상기 단자 배열부(11)에 복수의 단자 조립구(11a)들이 동심구조로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각 단자 조립구(11a)에 용융되는 글라스 비드(22)를 통해 절연구조로 설치되어 전원의 도전경로를 제공하는 단자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기 하우징(100)의 단자 설치구(110)에 원추형의 융착링(12)을 외접시킨 상태에서, 전기 저항용접을 통해 융착링(12)을 단자 설치구(110)의 내벽에 융착시켜, 압축기 하우징(100)에 기밀상태로 관통하여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직경이 20mm이하의 소형화를 이룩하면서 이를 통해 성형된 허매틱 터미널은 안정된 내구성과 기밀성, 및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한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 성형방법은 종래 30mm 이상의 직경으로 성형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직경을 20mm 내지 10mm로 소형화함에 있어, 성형공정들을 개량하여 단자핀이 배치되는 본체의 내구성을 확보하면서 단자핀과 본체 사이의 향상된 절연성을 확보하여서, 소형화에 따른 제반적인 문제점들이 해소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커팅, 또는 블랭킹 성형된 원기둥형의 모재를 도 4a와 같이 단조 프레스 장치(P)에 투입시켜 모재의 가압을 통해 단자 배열부(11)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부(12)가 확관하여 형성된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10)를 성형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단조 프레스 공정을 통해 모재를 가압시켜 본체(10)를 성형하면, 본체(10)는 높은 강도를 가질 뿐만 아니라 향상된 표면 조도와 치수 정밀도를 갖고, 결과적으로 전기 저항용접을 통한 압축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단자 설치공(110)과 허매틱 터미널(1)에 형성된 융착링부(12)의 안정된 밀착 및 기밀성이 확보된 상태로 용접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단자 배열부(11)는 2.5 내지 6mm의 두께로 구성되어, 전기 저항 용접시 열변형에 의한 뒤틀림 또는 압축기의 내압에 의한 형상 변형이 억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자 배열부(11)의 가장자리에 확관하여 형성되는 원추형의 융착링부(12)는 1 내지 2mm의 두께로 구성되어, 압축기 하우징(100)에 형성된 단자 조립구(110)와의 저항용접시 신속히 용융하여 접합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10)의 단자 배열부(11)에는 도 4b와 같이 드릴링 장치(D)를 통해 드릴링 가공이 실시하거나, 파인 블랭킹 가공을 실시하여서, 단자 배열부(11)에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조립구(11a)들을 동심구조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천공공정에 의해 단자 배열부(11)에 형성되는 각 단자 조립구(11a)들은, 2.5 내지 6mm의 긴 길이를 가지면서, 2.0mm 내지 2.5mm 내외의 좁은 직경을 갖는 터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단자 배열부(11)의 각 단자 조립구(11a)에, 도 4c와 도 4d와 같이 글라스 비드(22)의 중공부에 봉상의 단자핀(21)을 관통시킨 단자 조립체(20)가 삽입되어 가조립된다.
이때, 상기 각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단자 조립구(11a)에는 직경이 2mm 내외인 단자핀(21)이 가조립된 글라스 비드(22)가 삽입되고, 이후 도 4e와 같이 상기 단자 조립체(20)가 가조립된 본체(10)는 소결로에 투입되어, 단자 조립구(11a) 내에서 용융되는 글라스 비드(22)에 의해 단자핀(21)은 절연상태를 형성하여 단자 조립구(11a)에 절연상태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자 조립체(20)가 가조립된 본체(10)는, 900℃ 내지 1100℃의 온도 조건이 형성된 소결로에 투입되어, 3 내지 7분 동안 소결 처리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1000℃이 온도 조건이 형성된 소결로에 5분 가량 소결시켜서, 용융된 글라스 비드(22)에 의해 단자핀(21)이 단자 조립구(11a)에 절연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단자 조립구(11a)를 2.5 내지 6mm의 길이가 긴 터널형으로 구성하면, 상기 단자 조립구(11a)에 관통한 단자핀(21)은 2.5 내지 6mm의 길이를 갖는 단자 조립구(21a)의 내벽에 용융 고착되는 글라스 비드(22)에 의해 절연상태를 이루어 안정되게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성형방법을 통해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1)을 성형함에 있어, 상기 글라스 비드(22)를 개량하여 각 단자 조립구(11a)에 삽입된 단자핀(21)과 본체(10) 사이의 보다 안정된 절연성을 확보하여, 소형화에 의한 본체(10)와 단자핀(21)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더라도 각 단자핀(21)의 안정된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도 4c 내지 도 4d와 같이 상기 단자핀(21)에 가조립되는 글라스 비드(22)를, 단자 배열부(11)의 단자 조립구(11a)에 수용되는 고정 비드구간(22a)과, 상기 고정 비드구간(22a)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단자 조립구(11a)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연장 비드구간(22b)이 일체로 형성된 중공관체로 구성하여, 단자 조립구(11a)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단자핀(21)의 상반부(21b)와 하반부(21c)가 연장 비드구간(22b)에 의해 감싸지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글라스 비드(22)를 포함하는 단자 조립체(20)를 삽입한 본체(10)를 소결로에 투입시켜 소결공정을 실시하면, 도 1과 도 4e와 같이 상기 글라스 비드(22)의 고정 비드구간(22a)은 용융되어 단자핀(21)의 중반부(21a)를 단자 조립구(11a)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비드층(22a')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비드구간(22b)은 단자 조립구(11a)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단자핀(21)의 상반부(21b) 하반부(21c)의 표면에 연장 비드층(22b')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글라스 비드(22)의 고정 비드구간(22a)의 길이는 단자 배열부(11)와 두께와 동일한 2.5 내지 6mm의 길이를 갖고, 상기 연장 비드구간(22b)은 3mm 내지 10mm의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글라스 비드(22)에 삽입된 단자핀(21)의 상반부(21b) 일지점, 또는 하반부(21c) 일지점에는, 소결에 의해 용융된 글라스 비드(22)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흘림 방지홈(21d)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전원 접점이 요구되는 단자핀의 단부에 용융된 글라스 비드가 도포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성형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1)은 개량된 글라스 비드(22)에 의해, 상기 글라스 비드(22)의 고정 비드구간(22a)은 용융되어 단자핀(21)의 중반부(21a)를 단자 조립구(11a)의 내벽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비드층(22a')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비드구간(22b)은 단자 조립구(11a)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단자핀(21)의 상반부(21b)와 하반부(21c)에 용융되어 외부 노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를 절연하는 연장 비드층(22b')을 형성한다.
그리하여, 이러한 절연구조를 포함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은, 소형화에 의해 단자핀(21)과 이를 동심구조로 배열한 단자 배열부(11) 사이의 거리가 단축되더라도, 단자핀(21)과 본체(10)는 부가하여 형성되는 연장 비드층에 의해 안정된 절연성이 확보될 수 있다.
1.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
10. 본체 11. 단자 배열부
11a. 단자 조립구 12. 원추형 융착링부
20. 단자 조립체 21. 단자핀
21a. 중간부 21b. 상반부
21c. 하반부 21d. 흘림 방지홈
22. 글라스 비드 22a. 고정 비드구간
22a'. 고정 비드층 22b. 연장 비드구간
22b'. 연장 비드층
100. 압축기 하우징 110. 단자 설치구

Claims (4)

  1. 원기둥형의 모재를 단조 프레스 장치에 투입시켜 모재의 가압을 통해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원추형의 융착링부가 확관하여 형성된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성형하는 단조 프레스공정과;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단자 배열부에 드릴링 가공, 또는 파인 블랭킹 가공을 실시하여, 단자 배열부에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단자 조립구들이 동심구조로 형성하는 천공공정과;
    상기 단자 배열부의 각 단자 조립구에, 글라스 비드의 중공부에 단자핀을 관통시킨 단자 조립체를 삽입시켜 가조립하는 가조립 공정; 및
    상기 단자 조립체가 가조립된 본체를 소결로에 투입시켜, 단자 조립구 내에서 용융되는 글라스 비드에 의해 단자핀이 절연상태를 형성하여 고정되는 소결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조립 공정에서 단자핀에 가조립되는 글라스 비드는, 단자 배열부의 단자 조립구에 수용되는 고정 비드구간의 상부와 하부에 단자 조립구에서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연장 비드구간이 형성된 중공관체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여, 상기 연장 비드구간을 통해 단자 조립구의 상부와 하부로 노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를 감싸도록 하고,
    상기 소결공정에 의해, 상기 고정 비드구간은 용융되어 단자 조립구에 수용된 단자핀의 중반부를 단자 조립구에 절연구조로 고정하는 고정 비드층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 비드구간은 단자 조립구의 상부 또는 하부로 돌출된 단자핀의 상반부와 하반부에 용융 및 고착되는 연장 비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연장 비드층에 의해 소형화에 의해 근접된 단자 배치부와 단자부 사이의 안정된 절연성이 확보되도록 하며,
    상기 글라스 비드에 삽입되는 단자핀의 상반부 일지점 또는 하반부 일지점에는 흘림 방지홈을 형성하여, 상기 소결공정에서 용융된 글라스 비드의 흘러내림을 방지함으로써 전원 접점이 요구되는 단자핀의 단부가 용융된 글라스 비드에 의해 도포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조 프레스 성형품으로 이루어진 본체의 단자 배열부는 2.5 내지 6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 압축기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와의 전기 저항 용접시 열변형에 의한 뒤틀림 또는 압축기의 내압에 따른 형상 변형이 억제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단자 배열부의 가장자리에 확관하여 형성되는 원추형의 융착링부는, 상기 단자 배열부보다 두께가 얇은 1 내지 2mm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되어서, 압축기 하우징에 형성된 단자 설치구와의 저항용접시 신속히 용융하여 접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조립체가 가조립된 본체는, 900℃ 내지 1100℃의 온도 조건이 형성된 소결로에 투입되어, 3 내지 7분 동안 소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KR1020140100064A 2014-08-04 2014-08-04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KR10158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64A KR101582458B1 (ko) 2014-08-04 2014-08-04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0064A KR101582458B1 (ko) 2014-08-04 2014-08-04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2458B1 true KR101582458B1 (ko) 2016-01-05

Family

ID=5516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0064A KR101582458B1 (ko) 2014-08-04 2014-08-04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4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556A (ja) * 2002-09-02 2004-03-25 Daikin Ind Ltd 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556A (ja) * 2002-09-02 2004-03-25 Daikin Ind Ltd 圧縮機及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85229B2 (ja) 高圧ハーメチック端子
TWI584545B (zh) Compression sealing type airtight terminal and compression seal type airtight terminal manufacturing method
JP2020531762A (ja) 電動弁
CN102388508B (zh) 耐高压气密密封端子及其制造方法
US20110083897A1 (en) Electric power terminal feed-through
JP2012524000A (ja) ガラス−金属密封封止アセンブリおよびガラス−金属密封封止アセンブリの製造方法
US10340642B2 (en) Fuse-equipped hermetic terminal
US10453611B2 (en) Capacitor manufacturing method
KR100688728B1 (ko) 판형 열전달 장치의 케이스 접합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제조된 장치
CN108692081A (zh) 电子膨胀阀
US10451511B2 (en) Header assembly for a pressure sensor
KR101582458B1 (ko) 압축기용 허매틱 터미널의 성형방법
CN103032295B (zh) 一种压缩机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5221435A (zh) 压缩机组件
RU2461104C2 (ru) Термостойкая герметичная вилка и способ ее монтажа
JP2002372316A (ja) 冷凍装置
CN102637764B (zh) 一种组合式的深低温工作的探测器封装结构及制作方法
KR101759337B1 (ko) 밀폐형 압축기 단자의 제조방법
JPH0212683Y2 (ko)
JP6809989B2 (ja) 気密端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6403530B2 (ja) 気密端子
JP5442146B2 (ja) 密閉形圧縮機
JPH0350613Y2 (ko)
WO2016120024A1 (en) Bulb for a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set comprising a bulb and at least a part of a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connected to a capillary and method for connecting a bulb and a capillary of a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KR101711416B1 (ko) 용접효율을 높인 리드선 및 이를 구비한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