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220B1 -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220B1
KR101581220B1 KR1020090022749A KR20090022749A KR101581220B1 KR 101581220 B1 KR101581220 B1 KR 101581220B1 KR 1020090022749 A KR1020090022749 A KR 1020090022749A KR 20090022749 A KR20090022749 A KR 20090022749A KR 101581220 B1 KR101581220 B1 KR 101581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ving gear
rotary shaft
rotating shaft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7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104374A (en
Inventor
송명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2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220B1/en
Publication of KR20100104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3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간 부분에 제1 고정 부재가 장착되고 일단에 제2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에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작용 기어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크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토크 제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이동 기어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구조체와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22749

동력 전달 구조체, 촬상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tary shaft having a rotary shaft on which a first fixing member is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is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including a slope shap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having a shape of a slope,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shaft and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so as to be able to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while being restricted by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shaft; A moving gear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gear, It provides also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nd an imaging device having the same that.

Figure R1020090022749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Description

구동 모터 보호를 위한 동력 전달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a driving motor and an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동력 전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모터를 보호하기 위한 동력 전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for protecting a driving motor.

촬상 장치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장치로서, 최근 들어,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An image pickup apparatus is an apparatus for picking up an image of a subject. Recently, image pickup apparatuse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and digital video cameras have been widely used.

촬상 장치는 초점을 자동으로 맞추어 주는 자동 초점 기능(Auto-focusing) 기능을 내장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고급 사용자들 및 예전의 스타일을 추구하는 사용자들은 자동 초점 기능과 함께 수동 초점 기능(Manual-focusing)도 구비한 촬상 장치를 선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근에는 자동 초점 기능과 수동 초점 기능을 동시에 구비한 촬상 장치가 많이 시판되고 있다. The imaging device often incorporates an auto-focusing function that automatically adjusts the focus. However, advanced users and users seeking an older style often prefer an imaging device with manual focus as well as autofocus. Therefore, in recent years, many imaging apparatuses including an autofocus function and a manual focus function are commercially available.

일반적으로, 그러한 기능들을 가지는 촬상 장치는 렌즈 경통에 전환 버튼이 있어서, 사용자가 전환 버튼을 조작하게 되면, 자동 초점 기능에서 수동 초점 기능으로, 또는 수동 초점 기능에서 자동 초점 기능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 었다.In general, an imaging device having such functions has a switch button on the lens barrel, and when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button, the switch is switched from the auto focus function to the manual focus function or from the manual focus function to the auto focus function Respectively.

그러한 전환 작용이 가능한 종래의 촬상 장치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a conventional image pickup apparatus capable of such a switching ope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즉, 사용자가 자동 초점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전환 버튼을 『자동 초점』의 위치에 놓게 되면, 구동 모터의 동력 전달 기어와 렌즈 경통의 링 기어가 직접 치합되어 구동 모터로부터 링 기어로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자동 초점 작용을 수행할 수 있었다. That is, when the user places the switch button in the "auto focus" position to use the auto focus function, the power transmission gear of the drive motor and the ring gear of the lens barrel are directly engaged and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drive motor to the ring gear It was possible to perform an auto focus operation.

또한, 사용자가 수동 초점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전환 버튼을 『수동 초점』의 위치에 놓게 되면, 구동 모터의 동력 전달 기어와 렌즈 경통의 링 기어와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사용자는 렌즈 경통을 손으로 잡고 돌려 초점을 수동으로 맞출 수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places the switching button in the " manual focus " position to use the manual focusing function, the user disconnects the power transmission gear of the driving motor from the ring gear of the lens barrel, I could grab and turn the focus manually.

그러나, 상기의 촬상 장치를 사용하면서, 사용자가 전환 버튼의 위치 상태를 깜박 잊고 조작하다가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 모터가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However, there has been a case where, while using the above-described image pickup apparatus, the drive motor that performs the auto-focus function while the user is blinking and manipulating the position of the changeover button is broken.

즉, 전환 버튼의 위치가 『수동 초점』의 위치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전환 버튼의 위치를『자동 초점』의 위치라고 생각하고 셔터 버튼을 누르는 경우에는 초점이 맞지 않는 사진을 얻는다는 문제점만이 있게 된다. 그렇지만, 역으로 전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의 위치에 있음에도 사용자는 전환 버튼의 위치가『수동 초점』의 위치라고 생각하고 렌즈 경통을 손으로 잡고 무리하게 돌리게 되면, 구동 모터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과도한 토크가 구동 모터에 직접 작용 하게 됨으로써 구동 모터가 파손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That is, although the position of the switch button is at the position of " manual focus ", the user considers the position of the switch button to be the position of " auto focus " . However, when the position of the switch button is in the position of " auto focus ", the user thinks that the position of the switch button is the position of " manual focus " The excessive torque acts on the drive motor directly, which may cause the drive motor to break.

따라서, 상기의 경우, 즉, 전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의 위치에 있음에도 사용자는 『수동 초점』의 위치라고 생각하고 렌즈 경통을 손으로 잡고 무리하게 돌리게 되는 경우에도 구동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in the above case, that is, even if the position of the switch button is at the position of " auto focus ", the user thinks that the position is the " manual focus "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technology.

본 발명은,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는 구동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동력 전달 구조체와 이를 구비한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capable of protecting a driving motor that performs an auto focus function and an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중간 부분에 제1 고정 부재가 장착되고, 일단에 제2 고정 부재가 장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에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작용 기어;와,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크 제한 부재;와,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토크 제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되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이동 기어;와,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구조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rotary shaft on which a first fixing member is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and a second fixing member is mounted at an end thereof and a first coupling portion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and including a slope shape,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having a slope shape, wherein the second engaging portion is constrained to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rotation axis,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the first elastic member being constrain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on shaft, 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gear, It provides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including a;

여기서, 상기 작용 기어는 링 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Here, the action gear can be engaged with the ring gear.

여기서, 상기 회전축에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토크 제한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guide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rotary shaft, and a sliding groove may be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to receive the guide protrusion.

여기서, 상기 토크 제한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may be formed with a first engaging step for engaging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여기서,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Here, the first elastic member may be a cylindrical coil spring.

여기서, 상기 이동 기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기어를 움직이는 버튼 조립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utton assembly for moving the moving gear in contact with the moving gear.

여기서,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utton assembly may include a button and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button to move the movement gear.

여기서, 상기 이동 기어는 상기 버튼 조립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기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 기어가 상기 이동 기어에 치합되며, 상기 이동 기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 기어는 상기 제1 구동 기어와의 치합이 해제될 수 있다.Here, the moving gear may b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assembly, and when the moving gear is at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moving gear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 moving gear can be disengaged from the first driving gear.

여기서, 상기 이동 기어는,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Here, the moving gear may be engaged with a first driving gea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여기서, 상기 이동 기어의 내주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Here, a second stopping jaw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moving gear so that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hook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상기의 동력 전달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above-described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본 발명에 따른 동력 전달 구조체에 의하면, 구동 모터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e motor can be protec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렌즈 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the lens unit of Fig. 1.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single-lens reflex camera)로서 필요에 따라 렌즈 유닛(110)의 착탈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이다.As shown in FIG. 1, the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ingle-lens reflex camera, and is a digital camera capable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lens unit 110 as need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의 종류 및 형식에 대해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촬상 장치는, 컴팩트 카메라, 영상 캠 코더 등의 다양한 종류 및 형식의 촬상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single-lens reflex camera,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ype and the format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n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kinds and types of image pickup apparatuses such as a compact camera and an image camcorder can be applied.

촬상 장치(100)는, 크게 렌즈 유닛(110)과 본체(120)로 이루어져 있다.The image pickup apparatus 100 mainly includes a lens unit 110 and a main body 120.

렌즈 유닛(110)은 렌즈군(111)과 렌즈 경통(112)으로 이루어져, 피사체의 영상광을 본체(12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lens unit 110 includes a lens group 111 and a lens barrel 112 and transmits the image light of the subject to the main body 120.

렌즈군(111)은 피사체의 영상광을 투과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줌 렌즈, 포커스 렌즈, 조리개 등이 포함된다. 그 중 줌 렌즈는 광축 방향에 전후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초점거리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렌즈로서 피사체의 크기를 변화하여 촬영하는 렌즈이고, 포커스 렌즈는 초점을 맞추기 위한 렌즈이다. 조리개는, 피사체를 촬영할 때에 촬상 소자로 들어가는 광량을 조절하는 장치이다. The lens group 111 functions to transmit an image light of a subject, and includes a zoom lens, a focus lens, a diaphragm, and the like. Among them, the zoom lens is a lens in which the focal length continuously changes by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direction of the optical axis, and is a lens for changing the size of the subject, and the focus lens is a lens for focusing. The diaphragm is a device for adjusting the amount of light entering the image pickup element when photographing a subjec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 유닛(110)의 일 측에는 버튼(113a) 이 배치되게 된다. As shown in Figs. 1 and 2, a button 113a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lens unit 110. Fig.

버튼(113a)은 『자동 초점 기능 상태(AF: Auto-focusing)』와 『수동 초점 기능 상태(MF: Manual-focusing)』의 2가지 상태 중 어느 한가지 상태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버튼(113a)이,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초점이 맞추어지고, 『수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렌즈 경통(112)의 외부 테두리를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초점을 맞추게 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렌즈 경통(112)을 회전시키면 내부의 캠 부재도 회전되어 렌즈 경통(112) 내부의 포커스 렌즈의 거리가 변화되어 초점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그러한 구성은 이미 공지의 기술이라 할 수 있다. Button 113a may be positioned in one of two states of "auto-focusing" and "manual-focusing". That is, when the button 113a is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it is automatically focused, and when the button 113a is in the " manual focus function state ", when the user holds the outer periphery of the lens- Focus. That is, although not shown, when the lens barrel 112 is rotated, the inner cam member is also rotated so that the distance of the focus lens in the lens barrel 112 is changed and can be focused. Known technology.

본체(120)는, 셔터와, 촬상 소자(imaging device)와, 영상 처리부와, 뷰 파인더와, 자동 초점 기능을 수행하며 내부의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한다.The main body 120 includes a shutter, an imaging device, an image processing unit, a viewfinder, and a control unit that performs an auto focus function and controls an internal motor.

본체(120)는 렌즈 유닛(110)을 경유한 영상광을 받아들여 촬상을 수행한다.The main body 120 receives image light via the lens unit 110 and performs imaging.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계를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to FIG.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의 링 기어, 동력 전달 구조체, 버튼, 구동 기어 조립체 및 구동 모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중 지지 부재, 동력 전달 구조체, 구동 기어 조립체, 구동 모터를 따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토크 제한 부재를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ring gear,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 button, a drive gear assembly, and a drive motor of a lens barr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the drive gear assembly, and the drive motor amo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3, and FIG. 5 is a plan view of FIG.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taken at another angle. 8 is a front view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shown in Fig. 6 as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계는, 링 기어(112a), 버튼 조립체(113), 동력 전달 구조체(130), 구동 기어 조립체(140), 구동 모터(150)를 포함한다. 3 to 5,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ring gear 112a, a button assembly 113,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130, a drive gear assembly 140, a drive motor 150 ).

링 기어(112a)는 렌즈 경통(112)의 내주에 형성되어, 렌즈 경통(112)을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ring gear 112a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lens barrel 112 and functions to rotate the lens barrel 112. [

버튼 조립체(113)는, 버튼(113a)과 버튼(113a)에 연결되는 지지 부재(113b)를 포함하는데, 지지 부재(113b)는 버튼(113a)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 기어(137)를 움직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The button assembly 113 includes a button 113a and a support member 113b connected to the button 113a. The support member 113b has a function of moving the moving gear 137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button 113a .

동력 전달 구조체(1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31), 제1 고정 부재(132), 제2 고정 부재(133), 작용 기어(134), 토크 제한 부재(135), 제1 탄성 부재(136), 이동 기어(137), 제2 탄성 부재(138)를 포함한다.6 and 7,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includes a rotating shaft 131, a first fixing member 132, a second fixing member 133, a working gear 134, a torque limiting member 135, a first elastic member 136, a moving gear 137, and a second elastic member 138.

회전축(131)은 렌즈 유닛(110)의 내부 프레임(미도시)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회전축(131)에는 중간 부분에는 고정홈(131a)이 형성되어 있고, 제1 단부(131b)와 고정홈(131a) 사이에는 가이드 돌기(131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31)의 제2 단부(131d)와 고정홈(131a) 사이에서 외측 면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절개부인 D-cut 부분(131e)이 형성되어 있다. The rotary shaft 131 is rotatably mounted on an inner frame (not shown) of the lens unit 110. A fixing groove 131a is form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and a guide protrusion 131c is formed between the first end 131b and the fixing groove 131a. Further, a D-cut portion 131e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end portion 131d of the rotary shaft 131 and the fixing groove 131a. The D-cut portion 131e is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end portion 131d.

제1 고정 부재(132)는 링(ring) 형상을 가지고 있는데, 고정홈(131a)에 끼워져 고정된다. The first fixing member 132 has a ring shape and is fitted and fixed in the fixing groove 131a.

제2 고정 부재(133)는 회전축(131)의 제2 단부(131d)에 끼워져 고정된다.The second fixing member 133 is fitted and fixed to the second end 131d of the rotary shaft 131. [

작용 기어(134)는 회전축(131)에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즉, 작용 기어(134)의 장착 구멍(134a)의 내경은 회전축(131)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회전축(131)의 회전 작용과는 관련 없이 독자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The action gear 134 is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131 so as to be slidable. That is, the inner diameter of the mounting hole 134a of the operating gear 134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shaft 131 so that it can rotate independently of the rotating a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작용 기어(134)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스퍼 기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일측에는 회전축(131)의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결합부(134b)가 형성되어 있다. The operating gear 134 has a spur gear shape as a whole, and a first engaging portion 134b formed on one side thereof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is formed.

제1 결합부(134b)는 회전축(131)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사면의 형상은 볼록과 오목의 형상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사면의 설계에 관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includes a shape of a slope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 The shape of the slope is formed by repeating the shape of the convex and the concave. The design of the slope will be described later.

토크 제한 부재(135)는 원통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회전축(131)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어 회전축(131)과 함께 회전하되 회전축(13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크 제한 부재(135)의 내주에는 제1 걸림턱(135a)과 슬라이딩 홈(135b)이 형성된다. 즉, 조립 시 회전축(131)의 가이드 돌기(131c)는 토크 제한 부재(135)의 슬라이딩 홈(135b)에 끼워짐으로써 토크 제한 부재(135)는 회전축(131)의 회전 움직임에는 구속되어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회전축(131)과 함께 토크 제한 부재(135)도 회전하지만, 토크 제한 부재(135)는 회전축(13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된다.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has a cylindrical shape and is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axis 131 and to be able to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31 while being restricted by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rotation axis 131. [ To this end, as shown in Fig. 8, a first engaging protrusion 135a and a sliding groove 135b ar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 The guide protrusion 131c of the rotary shaft 131 is engaged with the sliding groove 135b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so that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constrained to the rotary motion of the rotary shaft 131,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131 so that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can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

토크 제한 부재(135)의 축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가능한 거리는 슬라이딩 홈(135b)의 길이보다는 작게 설계되나, 토크 제한 부재(135)가 미끄러져 이동 기어(137)에 닿아 이동 기어(137)를 미는 경우에는, 이동 기어(137)와 제1 구동 기어(141)와의 치합이 해제될 때까지 이동 기어(137)를 충분히 밀 수 있을 정도로 설 계된다.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designed to be smaller than the length of the sliding groove 135b but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slides to contact the moving gear 137 to push the moving gear 137 It is designed such that the moving gear 137 can be sufficiently pushed until the engagement between the moving gear 137 and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released.

한편, 토크 제한 부재(135)에는, 제1 결합부(134b)와 결합이 가능하도록 제2 결합부(135c)가 형성되어 있다. 제2 결합부(135c)는 제1 결합부(134b)와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회전축(131)의 축 방향으로 기울어진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는데, 사면의 형상은 볼록과 오목의 형상이 반복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결합부(134b)와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formed with a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so as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is formed to fa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includes the shape of a slope inclin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The shape of the slope is a shape in which convex and concave shapes are repeated So that it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4b.

여기서,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는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제1결합부(134b)의 볼록부와 제2결합부(135c)의 오목부, 제1결합부(134b)의 오목부와 제2결합부(135c)의 볼록부가 결합되어 있다가도, 소정의 크기를 초과하는 토크가 작용할 경우,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는 각각 마주보는 사면들을 타고 움직여 분리되며 서로 거리가 멀어지게 되는데, 이와 관련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Sinc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include a slope shape,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When the convex por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convex portion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are engaged and a torque exceeding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oving on slopes facing each other, and the distances from each other become far apart. Details related to them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제1 탄성 부재(136)는 제1 고정 부재(132)와 토크 제한 부재(135) 사이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132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제1 탄성 부재(136)로는 원통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는데, 조립 과정에서 제1 탄성 부재(136)의 일단(136a)은 토크 제한 부재(135)의 제1 걸림턱(135a)에 걸리고, 타단(136b)은 제1 고정 부재(132)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A cylindrical coil spring is used as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One end 136a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is caught by the first engagement protrusion 135a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136b are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first fixing member 132. [

제1 탄성 부재(136)는 조립 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압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조립된 동력 전달 구조체(130)에서는 제1 탄성 부재(136)의 탄성력이 토크 제한 부재(135)를 작용 기어(134) 쪽으로 밀게 됨으로써,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가 상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조립된다.The first elastic member 136 is compressed and install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when assembled. Therefore, in the assembled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pushes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toward the action gear 134, so that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are assembled so as to maintain mutual engagement.

여기서, 제1 탄성 부재(136)의 스프링 계수 K 값과, 조립 시 압축되는 제1 탄성 부재(136)의 변위(δ)등은 적절히 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토크 제한 부재(135)를 소정의 탄성력으로 눌러 작용 기어(134)와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제1 탄성 부재(136)의 특성을 결정함에 있어,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의 형상 설계도 고려하여야 한다. Here, the spring coefficient K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and the displacemen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compressed during assembly must be appropriately determined. This is because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urged by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engage with the action gear 134. In desig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the shape of the slopes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should also be considered.

도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탄성 부재(136)의 설계와,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의 형상 설계에 대해 설명한다. The desig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 design of the shape of the slopes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9는 본 실시예에 관한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에 작용하는 탄성력, 수직력, 마찰력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의 각도는 엄밀하게 말하자면 위치에 따라 약간씩 변화하는 값을 가지나, 여기에서는 이해를 위해 일정한 θ의 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9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force, a normal force, and a frictional force acting on the slopes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ngle of the slop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4b is strictly a value slightly varying depending on the position, but it is assumed here that it has a certain value of? For the sake of understanding.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34b)의 사면과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은 서로 결합하므로, 그 형상이 서로 마주보며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대응하는 수직력 및 마찰력도 서로 대응되어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대표적으로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의 형상 설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lop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lop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are mutually coupled, their shap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have the same shape. Therefore, the corresponding vertical force and frictional force als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refore, the design of the shape of the slop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will be described below.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체(130)를 조립할 때에는, 제1 탄성 부재(136)가 어느 정도 압축되어 눌려지면서 발생한 탄성력이 토크 제한 부재(135)를 작용 기어(134) 쪽으로 밀도록 장착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assembling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lastic force generated when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is compressed and pressed to some extent causes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to move toward the action gear 134 .

그렇게 되면, 제1 탄성 부재(136)의 압축된 변화량(δ)만큼 탄성력 Fs이 작용하는데, 그러한 탄성력 Fs는 토크 제한 부재(135)를 작용 기어(134) 방향으로 밀게 되어,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으로부터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으로 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 즉, 제1 탄성 부재(136)의 스프링 계수를 K라고 하면, 다음의 수학식 1이 성립한다. 여기서, 스프링 계수 K는 선형의 성질을 갖는 것으로 가정한다.When that happens, the first to spring force F s acting as a compressed amount of change in the resilient member (136) (δ), such a spring force F s has been pushed a torque limiting member 135 by the action gear (134) direction, the second coupling A load acts on the slop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from the slope of the portion 135c. That is, when the spring coefficien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is K, the following equation (1) holds. Here, it is assumed that the spring coefficient K has a linear property.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1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1

한편, 제1 결합부(134b)를 구성하는 사면의 개수는 n개라고 가정한다. 여기서, n개의 사면 각각에 작용하는 수직력 fn는, 탄성력 Fs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θ는 사면에 직각인 선분과 회전축(131) 방향의 선분 사이의 각도를 의미하며, 사면의 형성 각도이기도 하다. On the other hand, it is assumed that the number of slopes constitu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4b is n. Here, the normal force f n acting on each of the n slopes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2) using the elastic force F s . Here,? Denotes an angle between a line segment perpendicular to the slope and a line segmen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131, and is also an angle at which the slope is formed.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2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2

그리고, 제1 결합부(134b)의 각각의 사면에 작용하는 마찰력 ff는 마찰계수 μ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The frictional force f f acting on each slope of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3 using the friction coefficient mu.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3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3

따라서,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에 작용하는 총 마찰력 Ff 는 전술한 수학식 1, 수학식 2 및 수학식 3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수학식 4로 나타낼 수 있다.Therefore, the total frictional force F f acting on the slop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4b can be expressed by Equation (4) using Equations (1), (2) and (3)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4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4

또한, 사면으로부터 회전축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R이라고 하면, 마찰 토크 Tf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5로 나타낼 수 있다.When the distance from the slope to the center of the rotary shaft is R, the friction torque T f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5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5

따라서,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의 형상 설계 시, 마찰력 Ff는 정상적인 부하 상태의 토크 Tnormal보다는 높아야, 정상적인 구동 시에 제1 결합부(134b)의 사면과 제2 결합부(135c)의 사면 상호간의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hape design of the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art (134b), the frictional force F f is higher than the torque T normal in the normal load state,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surface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in during normal driving So that slippage between the slopes does not occur and the power can be transmitted.

그와 반대로, 사용자가 실수로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서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리게 됨으로써 작용하는 과대한 외부 부하로 인하여, 구동 모터(150)의 내부 회전자가 손상을 받을 정도의 크기의 한계 토크 Tlimit가 작용한다면, 그 한계 토크 Tlimit보다 마찰 토크 Tf가 작아야,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 상호간의 미끄러짐 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동력의 전달을 막아 구동 모터(150)를 보호할 수 있게 되므로, 사면의 설계시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시켜야 한다.On the contrary, due to an excessive external load that acts by the user inadvertently turning the lens barrel 112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by force, the inner rotor of the drive motor 150 is damaged If the limit torque T limit is applied, the frictional torque T f must be smaller than the limit torque T limit so that a slipping action occurs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In this case, since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driving motor 150 by preventing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the following equation (6) must be satisfied when designing the slope.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6
Figure 112009016153313-pat00006

따라서, 설계자는, 정상적인 부하 상태의 토크 Tnormal와, 구동 모터(150)를 보호할 수 없는 한계 토크 Tlimit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의 형성 각도 θ,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의 사면 재료의 마찰계수 μ, 제1 탄성 부재(136)의 스프링 계수 K, 최초 장착 시 압축되는 스프링 변화량 δ의 설계 변수를 적절히 결정하여 설계한다.Therefore, the designer determines the torque T normal in the normal load condition and the limit torque T limit that can not protect the drive motor 150, and accordingly,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The friction coefficient μ of the slope material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the spring coefficient K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the amount of spring change δ And the design parameters of the system are determined appropriately.

한편, 이동 기어(137)는 회전축(131)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되 회전축(13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데,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the moving gear 137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while being restricted by the rotating mo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which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기어를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10 is a front view of the moving gear shown in Fig. 6 as seen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기어(137)의 내주에는 제2 걸림턱(137a)과 D-cut 대응 구멍(137b)이 형성된다. 이동 기어(137)의 D-cut 대응 구멍(137b)은 회전축(131)의 D-cut 부분(131e)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축(131)의 D-cut 부분(131e)이 이동 기어(137)의 D-cut 대응 구멍(137b)에 끼워짐으로써, 이동 기어(137)는 회전축(131)의 회전 움직임에 구속되어 회전축(131)이 회전하면 회전축(131)과 함께 이동 기어(137)도 회전한다. 또한 이동 기어(137)는 회전축(131)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137a and the D-cut corresponding hole 137b ar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ving gear 137. As shown in Fig. The D-cut corresponding hole 137b of the moving gear 137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D-cut portion 131e of the rotating shaft 131. [ Therefore, the D-cut portion 131e of the rotating shaft 131 is fitted in the D-cut corresponding hole 137b of the moving gear 137, so that the moving gear 137 is restrict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rotating shaft 131, The rotating shaft 131 rotates together with the moving gear 137 as well. Further, the moving gear 137 can be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131.

이동 기어(137)의 형상은 전체적으로 스퍼 기어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버튼 조립체(113)의 지지 부재(113b)는 이동 기어(137)의 일측부(137c)의 외부에 접촉하여 이동 기어(137)를 움직이게 된다.The support gear 113b of the button assembly 113 is in contact with the outside of the one side portion 137c of the moving gear 137 and is in contact with the moving gear 137, .

한편, 제2 탄성 부재(138)는 제2 고정 부재(133)와 이동 기어(137) 사이에 배치된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133 and the moving gear 137.

제2 탄성 부재(138)로는 원통 코일 스프링이 적용되는데, 조립 과정에서 제2 탄성 부재(138)의 일단(138a)은 이동 기어(137)의 제2 걸림턱(137a)에 걸리고, 타단(138b)은 제2 고정 부재(133)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A cylindrical coil spring is used as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One end 138a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caught by the second engagement protrusion 137a of the moving gear 137 and the other end 138b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second fixing member 133.

제2 탄성 부재(138)는 조립 시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도록 압축되어 설치된다. 따라서, 조립된 동력 전달 구조체(130)에서는 제2 탄성 부재(138)의 탄성력이 이동 기어(137)를 제1 고정 부재(132) 쪽으로 밀도록 작용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is compressed and install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when assembled. Therefore, in the assembled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acts to push the moving gear 137 toward the first fixing member 132.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기어 조립체(140)는 제1 구동 기어(141), 제2 구동 기어(142), 연결축(1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 구동 기어(141), 제2 구동 기어(142)는 스퍼기어의 형상을 가진다. 4 and 5, the driving gear assembly 140 includes a first driving gear 141, a second driving gear 142, and a connecting shaft 143. Here, the first drive gear 141 and the second drive gear 142 have the shape of a spur gear.

제1 구동 기어(141)는, 버튼(113a)의 위치가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을 경우, 이동 기어(137)와 치합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moving gear 137 when the position of the button 113a is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제2 구동 기어(142)는 모터 축 기어(151a)와 치합하도록 구성되며, 연결축(143)은 제1 구동 기어(141)와 제2 구동 기어(14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driving gear 142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motor shaft gear 151a and the connecting shaft 143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first driving gear 141 and the second driving gear 142. [

구동 모터(150)는 스텝 모터(step motor 또는 stepping motor)가 사용되는데, 구동 모터(150)의 모터 축(151)에는 제2 구동 기어(142)와 치합하는 모터 축 기어(151a)가 장착된다. A stepping motor or a stepping motor is used as the driving motor 150. A motor shaft gear 151a meshing with the second driving gear 142 is mounted on the motor shaft 151 of the driving motor 150 .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동력 전달 구조체(130)의 작동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3. FIG.

도 11은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구조체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수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지만 사용자가 렌즈 경통을 무리하게 돌리는 경우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되면서 이동 기어와 제1 구동 기어의 치합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when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auto-focus function state, and Fig.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when the position of the button is in the manual focus function state.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 the autofocus function state, but when the user turns the lens barrel forcib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disengag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ngagement of the gears is released.

먼저, 도 11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버튼(113a)을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위치시키고, 자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이 수행되는 작용을 살펴본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1, the operation of positioning the button 113a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by the user and performing imaging using the autofocus func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가 버튼(113a)의 위치를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위치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기어(137)는 제1 구동 기어(141)에 치합하게 된다. 여기서, 이동 기어(137)가 제1 구동 기어(141)에 치합할 때의 이동 기어(137)의 위치를 제1 위치라고 한다. 한편, 그 경우에 버튼(113a) 내부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본체(120)의 제어부(미도시)는 자동 초점 알고리즘을 수행하게 된다. When the user places the position of the button 113a in the " auto focus function state ", the moving gear 137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ing gear 141 as shown in Fig. Here, the position of the moving gear 137 when the moving gear 137 is engaged with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In this case,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ain body 120 performs an auto focus algorithm by a switch (not shown) in the button 113a.

그 경우에 본체(120)의 제어부(미도시)는 구동 모터(150)를 동작시키고, 그 때의 영상광을 촬상 소자(미도시)로 받아들여 연산하여 합초 동작을 수행하는데, 그 때는 구동 모터(150)로부터 렌즈 경통(112)의 링 기어(112a)로 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ain body 120 operates the driving motor 150, and receives the image light at that time in an image pickup element (not shown)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lens barrel 150 to the ring gear 112a of the lens barrel 112.

그 경우에 구체적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In this case, the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is transmitted is as follows.

즉, 구동 모터(150)의 모터 축 기어(151a)가 회전하면 그에 치합하는 제2 구 동 기어(142)가 회전하게 되고, 제2 구동 기어(142)가 회전하면 제1 구동 기어(141)도 회전하게 되고, 제1 구동 기어(141)가 회전하게 되면 이동 기어(137)가 회전하게 되고, 이동 기어(137)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3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31)이 회전하게 되면 토크 제한 부재(135)가 회전하게 되고, 토크 제한 부재(135)가 회전하게 되면 작용 기어(134)가 회전하게 되고, 작용 기어(134)가 회전하게 되면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고,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면 렌즈 경통(112)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포커스 렌즈의 거리를 변화시켜 합초 동작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when the motor shaft gear 151a of the driving motor 150 rotates, the second driving gear 142 that meshes therewith rotates. When the second driving gear 142 rotates, the first driving gear 141 rotates, When the first gear 141 rotates, the moving gear 137 rotates. When the moving gear 137 rotates, the rotating shaft 131 rotates. When the rotating shaft 131 rotates,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rotated. When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rotated, the action gear 134 is rotated. When the action gear 134 is rotated, the ring gear 112a is rotated When the ring gear 112a rotates, the lens barrel 112 rotates, so that the distance of the focus lens can be changed so that a focusing operation can be performed.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136)의 스프링 계수 K 및 조립 시의 초기 세팅에 의해,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간의 결합은, 링 기어(112a) 및 렌즈 경통(112)의 정상적인 토크 부하 Tnormal를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용 기어(134)와 토크 제한 부재(135)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어, 구동 모터(150)의 동력이 링 기어(112a)에 무리 없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by the spring coefficient K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and the initial setting at the time of assembly, the engagement between the first engagement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is established by the ring gear 112a ), and because it is constructed to withstand the normal torque load T normal of the lens barrel 112, the power of the working gear 134 and the torque limiter member 135 engaged state is maintained, the driving motor 150 of the ring gear So that it can be transmitted without fail.

그 다음,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버튼(113a)의 위치를 『수동 초점 기능 상태』에 위치시키고, 수동 초점 기능을 이용하여 촬상이 수행되는 작용을 살펴본다.Next, with reference to Fig. 12, the user seeks to position the position of the button 113a in the " manual focusing function state ", and to perform the imaging using the manual focusing function.

사용자가 버튼(113a)의 위치를 『자동 초점 기능 상태』로부터 『수동 초점 기능 상태』로 변경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13b)는 이동 기어(137)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이동 기어(137)는 제1 구동 기 어(141)와의 치합이 해제되게 된다. 여기서, 이동 기어(137)가 제1 구동 기어(141)와의 치합이 해제될 때의 이동 기어(137)의 위치를 제2 위치라고 한다. 버튼(113a)이 『수동 초점 기능 상태』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스톱퍼(미도시)가 버튼(113a)을 임시적으로 고정하게 되어, 이동 기어(137)가 제2 위치에 임시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그 경우에 버튼(113a) 내부의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본체(120)의 제어부(미도시)는 자동 초점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When the user changes the position of the button 113a from the "auto focus function state" to the "manual focus function state", the support member 113b pushes the moving gear 137 to the right side , So that the moving gear 137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driving gear 141. Here, the position of the moving gear 137 when the moving gear 137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referred to as a second position. When the button 113a reaches the position of the " manual focusing function state ", the stopper (not shown) temporarily locks the button 113a so that the moving gear 137 can be temporarily fixed to the second position do. In this case,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main body 120 stops the automatic focusing operation by a switch (not shown) in the button 113a.

수동 초점 작동의 경우, 사용자가 뷰 파인더(미도시)등으로 피사체를 보면서 렌즈 경통(112)을 직접 돌려 초점을 조정하게 되는데, 그 경우 사용자가 돌리는 렌즈 경통(112)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In the case of the manual focusing operation, the user directly adjusts the focus by rotating the lens barrel 112 while looking at the subject with a viewfinder (not shown). In this case, the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is transmitted from the lens barrel 112, As follows.

즉, 사용자가 렌즈 경통(112)을 돌리게 되면,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고,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면 그에 치합하는 작용 기어(134)가 회전하게 되고, 작용 기어(134)가 회전하게 되면 그에 결합한 토크 제한 부재(135)가 회전하게 되고, 토크 제한 부재(135)가 회전하게 되면 회전축(131)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31)이 회전하게 되면 이동 기어(137)가 회전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기어(137)가 회전하게 되더라도, 이미 지지 부재(113b)의 움직임에 의해 이동 기어(137)와 제1 구동 기어(141)의 치합이 해제되어 있으므로, 제1 구동 기어(141)로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That is, when the user turns the lens barrel 112, the ring gear 112a rotates, and when the ring gear 112a rotates, the action gear 134 engaging with the ring gear 112a rotates,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coupled to the rotation limiting member 135 rotates to rotate the rotation shaft 131. When the rotation shaft 131 rotates, . Even if the moving gear 137 rotates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engagement of the moving gear 137 and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released by the movement of the supporting member 113b, 141). ≪ / RTI >

이상과 같은 작동 모습은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113a)의 상태에 맞도록 촬상 장치(100)를 올바르게 사용하는 모습을 설명한 것이고, 이하, 도 12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버튼(113a)을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위치시키고도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려 초점을 맞추려고 한 경우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12, the user operates the button 113a as " auto-focus " and " auto focus " Functional state " and the lens barrel 112 is forcibly turned to focus.

사용자가 버튼(113a)을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위치시켜 자동 초점 동작이 수행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린다고 가정한다. It is assumed that the user forcibly rotates the lens barrel 112 while the user places the button 113a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그 경우, 사용자가 렌즈 경통(112)을 돌리게 되면,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고, 링 기어(112a)가 회전하게 되면 그에 치합하는 작용 기어(134)가 회전하게 된다. In this case, when the user turns the lens barrel 112, the ring gear 112a rotates, and when the ring gear 112a rotates, the action gear 134 engaging with the ring gear 112a rotates.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탄성 부재(136)의 스프링 계수 K 및 조립 시의 초기 세팅에 의해,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간의 결합 상태는, 링 기어(112a) 및 렌즈 경통(112)의 정상적인 토크 부하 Tnormal를 견디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서 사용자가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리는 경우에는 한계 토크 Tlimit를 초과하게 됨으로써, 작용 기어(134)와 토크 제한 부재(135)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즉, 한계 토크 Tlimit를 초과하기 때문에 제2 결합부(135c)의 사면이 제1 결합부(134b)의 사면을 타고 미끄러져 이동하게 되면서, 토크 제한 부재(135)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engagement condition betwe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is determined by the spring coefficient K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and the initial setting at the time of assembling, And the normal torque load T normal of the lens barrel 112, as shown in Fig. However, when the user forcibly turns the lens barrel 112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as described above, the limit torque T limit is exceeded so that the engagement state of the action gear 134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 That is, since the slope of the second engaging portion 135c slides on the slope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134b,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moves to the right side because it exceeds the limit torque T limit .

토크 제한 부재(135)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토크 제한 부재(135)가 이동 기어(137)의 단부(137c_1)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그렇게 되면 이동 기어(137)는 제1 구동 기어(141)와의 치합이 해제되는 제2 위치에 있게 된다.When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moved to the right side,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pushes the end portion 137c_1 of the moving gear 137 to the right, and the moving gear 137 is rotated by the first driving gear 141 ) Is released in the second position.

따라서, 즉, 사용자가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림으로써 링 기어(112a) 및 작용 기어(134)가 비정상적으로 회전하게 되더라도, 작용 기어(134)와 토크 제 한 부재(135)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므로, 토크 제한 부재(135)는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작용 기어(134)와 토크 제한 부재(135)의 결합의 해제 과정을 통하여, 토크 제한 부재(135)가 이동 기어(137)를 우측으로 밀어 이동 기어(137)와 제1 구동 기어(141)의 치합이 해제됨으로써, 구동 모터(150)로부터의 동력이 이동 기어(137)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수로 렌즈 경통(112)을 무리하게 돌리게 되더라도, 동력의 전달이 2중으로 차단되므로, 구동 모터(150)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Even if the ring gear 112a and the action gear 134 rotate abnormally by the user turning the lens barrel 112 forcibly, the engagement state of the action gear 134 and the torque restricting member 135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is not rotated.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pushes the moving gear 137 to the right side through the releasing process of the engagement of the operating gear 134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to move the moving gear 137 and the first driving gear 141 So that the power from the drive motor 150 is not transmitted to the moving gear 137. As a result,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mistakenly turns the lens barrel 112 in the " auto-focus function state ", the transmission of the power is cut off in two, so that the driving motor 150 can be protected.

만약, 여기서, 사용자가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렌즈 경통(112)을 돌리지 않게 되면, 압축되었던 제1 탄성 부재(136)가 원복되면서 토크 제한 부재(135)를 좌측으로 밀게 되어, 제1 결합부(134b)와 제2 결합부(135c)의 결합이 재개되게 된다. 또한, 우측으로 이동하였던 이동 기어(147)도, 압축되었던 제2 탄성 부재(138)가 원복되면서 다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제1 구동 기어(141)와의 치합이 재개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되돌아가게 된다.Here, if the user realizes his mistake and does not turn the lens barrel 112, the first elastic member 136 that has been compressed is rotated to push the torque limiting member 135 to the left, 134b and the second engagement portion 135c are resumed. Also, the moving gear 147 that has moved to the right moves again to the left while the second elastic member 138 that has been compressed is rotated, and the engagement with the first driving gear 141 is resumed. Therefore, the state returns to the state shown in Fig. 11 as a whole.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체(130)에 따르면, 사용자가 실수로 렌즈 경통(112)에 한계 토크 Tlimit를 초과하는 부하를 가하더라도, 자동으로 동력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구동 모터(150)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of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a user mistakenly applies a load exceeding the limit torque T limit to the lens barrel 112, the transmission of power is automatically interrup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otor 150 can be protected.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체(130)는 버튼(113a)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 초점 기능 상태』와『수동 초점 기능 상태』중 어느 하나로 전환할 수 있는 촬상 장치(100)에 적용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 명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체는 『자동 초점 기능 상태』만을 가지는 촬상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그 경우에, 자동 초점 작동 중에 일어날 수 있는 렌즈 경통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충격 및 과부하 토크가 발생하더라도, 동력 전달 구조체는 구동 모터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applied to the image capturing apparatus 100 capable of switching to either the "auto focus function state" or the "manual focus function stat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113a ,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 imaging apparatus having only " autofocus function state ". In this case,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can protect the driving motor even if an external shock and an overload torque to the lens barrel that may occur during the auto focus operation occur.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렌즈 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측면도이다.2 is a side view showing a side surface of the lens unit of Fig. 1;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렌즈 경통의 링 기어, 동력 전달 구조체, 버튼, 구동 기어 조립체 및 구동 모터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ssembly state of a ring gear,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 button, a drive gear assembly, and a drive motor of a lens barr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구성들 중 지지 부재, 동력 전달 구조체, 구동 기어 조립체, 구동 모터를 따로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4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upport member, the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the drive gear assembly, and the drive motor among the components shown in Fig.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5 is a plan view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동력 전달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을 다른 각도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6 taken at another angle.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토크 제한 부재를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 8 is a front view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shown in Fig. 6 as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on shaft.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1 결합부의 사면에 작용하는 탄성력, 수직력, 마찰력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9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force, a normal force, and a frictional force acting on a slope of a first engag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이동 기어를 회전축의 축 방향에서 본 정면도이다.10 is a front view of the moving gear shown in Fig. 6 as seen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구조체에 동력이 전달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power is transmitted to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when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auto focus function stat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수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을 때 동력 전달 구조체의 모습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1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when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manual focus function stat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촬상 장치의 버튼의 위치가 자동 초점 기능 상태에 있지만 사용자가 렌즈 경통을 무리하게 돌리는 경우에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분리되면서 이동 기어와 제1 구동 기어의 치합이 해제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3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button of the image pickup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auto focus function state, but when the user turns the lens barrel forcibly,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re disengage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eshing of the driving gear is releas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0: 촬상 장치 110: 렌즈 유닛100: image pickup device 110: lens unit

111: 렌즈군 112: 렌즈 경통111: lens group 112: lens barrel

112a: 링 기어 113: 버튼 조립체112a: ring gear 113: button assembly

113a: 버튼 113b: 지지 부재113a: Button 113b: Support member

120: 본체 130: 동력 전달 구조체120: main body 130: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131: 회전축 132: 제1 고정 부재131: rotation shaft 132: first fixing member

133: 제2 고정 부재 134: 작용 기어133: second fixing member 134: operating gear

134b: 제1 결합부 135: 토크 제한 부재134b: first engaging portion 135: torque limiting member

135c: 제2 결합부 136: 제1 탄성 부재135c: second coupling portion 136: first elastic member

137: 이동 기어 138: 제2 탄성 부재137: moving gear 138: second elastic member

140: 구동 기어 조립체 141: 제1 구동 기어140: drive gear assembly 141: first drive gear

142: 제2 구동 기어 143: 연결축142: second driving gear 143: connecting shaft

150: 구동 모터 151: 모터 축150: drive motor 151: motor shaft

151a: 모터 축 기어151a: motor shaft gear

Claims (11)

중간 부분에 제1 고정 부재가 장착되고, 일단에 제2 고정 부재가 장착되며, 외측을 향해 돌출된 가이드 돌기와 외측 면의 일부분이 절개된 절개부를 구비하는 회전축;A rotary shaft having a first fixing member mount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thereof, a second fixing member mounted at one end thereof,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and a cutout portion hav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thereof cut away; 상기 회전축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1 결합부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의 축 중심에 대한 원주 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작용 기어;A working gear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to have a first engaging portion formed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and including a shape of a slope and to be slidabl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bout a shaft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제1 결합부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사면의 형상을 포함하는 제2 결합부와, 내주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끼워지는 슬라이딩 홈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의 상기 외측 면을 둘러싸며,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토크 제한 부재;A second engaging portion formed to be engageable with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including a shape of a slope and a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guide protrusion is inserted so as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 torque limiting member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and to slide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제1 고정 부재와 상기 토크 제한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제1 탄성 부재;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torque limiting member;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절개부가 끼워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상기 절개부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구멍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축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회전축의 축방향으로 미끄러짐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장착되는 이동 기어; 및And a hol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rotary shaft so as to fit the incision portion of the rotary shaft, wherein the rotary shaft is mounted on the rotary shaft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ry shaft and to slid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otary shaft Moving gear; And 상기 제2 고정 부재와 상기 이동 기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ixing member and the moving gea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작용 기어는 링 기어와 치합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the action gear is engaged with the ring g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토크 제한 부재의 내주에는 상기 제1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리는 제1 걸림턱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a first engaging step for engaging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torque limiting membe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탄성 부재는 원통 코일 스프링인 동력 전달 구조체.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a cylindrical coil spring.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 기어에 접촉하여 상기 이동 기어를 움직이는 버튼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동력 전달 구조체.Further comprising a button assembly for moving said moving gear in contact with said moving gear.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버튼 조립체는 버튼과, 상기 버튼에 연결되어 상기 이동 기어를 이동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구조체.Wherein the button assembly includes a button and a support member connected to the button to move the gear. 제6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상기 이동 기어는 상기 버튼 조립체의 움직임에 따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위치할 수 있으며, The moving gear may be located at a first position or a second posit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button assembly, 상기 이동 기어가 상기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제1 구동 기어가 상기 이동 기어에 치합되며, A first drive gear that transmits power is engaged with the moving gear when the moving gear is in the first position, 상기 이동 기어가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이동 기어는 상기 제1 구동 기어와의 치합이 해제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the shift gear is disengaged from the first drive gear when the shift gear is in the secon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 기어는, 구동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the moving gear is engaged with a first driving gear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driving motor.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이동 기어의 내주에는 상기 제2 탄성 부재의 일단이 걸리는 제2 걸림턱이 형성되는 동력 전달 구조체.And a second engaging step for engaging one end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moving gear.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하나 또는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동력 전달 구조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An image pickup apparatus comprising the power transmit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2 or any one of claims 4 to 10.
KR1020090022749A 2009-03-17 2009-03-17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KR101581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49A KR101581220B1 (en) 2009-03-17 2009-03-17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2749A KR101581220B1 (en) 2009-03-17 2009-03-17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74A KR20100104374A (en) 2010-09-29
KR101581220B1 true KR101581220B1 (en) 2015-12-30

Family

ID=43008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749A KR101581220B1 (en) 2009-03-17 2009-03-17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2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71A1 (en) * 2022-03-22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Gea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9576B (en) * 2018-09-18 2021-03-16 香港中文大学(深圳) Camera rotating device and self-closing rehabilitation robot with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6847A (en) * 1996-07-29 1998-04-14 Asahi Optical Co Ltd Focusing mode switching device
KR20070080183A (en) * 2006-02-06 2007-08-09 이광섭 Rotary reciprocating piston and pump with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82671A1 (en) * 2022-03-22 2023-09-28 삼성전자 주식회사 Gear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374A (en)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54809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JP4963415B2 (en) camera
US7595937B2 (en) Lens apparatus and image-pickup apparatus
US10139587B2 (en) Lens barrel and optical apparatus
JP5917021B2 (en) LENS DRIVE DEVICE AND OPTICAL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81220B1 (en) Transmission structure for protecting driving motor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4821847B2 (en) Optical component switching mechanism,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KR101626445B1 (en) Lens barrel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JP6525812B2 (en) Lens barrel and imaging device
EP2320261B1 (en) Lens apparatus
JP4855702B2 (en) Auto focus system
JP4537896B2 (en) Imaging device
JP6460671B2 (en) Optical equipment
US7099573B2 (en) Zoom lens camera, and a rotation transfer mechanism
KR100681835B1 (en) A apparatus for barrier opening and closing of a zoom camera
JP3538245B2 (en) Switching device for camera focus adjustment mechanism
JP4577599B2 (en) Lens device
US10444466B2 (en) Driving device
JP7206996B2 (en) Lens barrel and camera
JP2002107603A (en) Lens device
JP5651087B2 (en) Lens device
JP2006313235A (en) Operation device of television lens
JP2023143598A (en) Light quantity adjustment device and imaging device
US20040062534A1 (en) Lens barrel and camera
JP5577642B2 (en) Lens barr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