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819B1 -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 Google Patents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819B1
KR101580819B1 KR1020150149690A KR20150149690A KR101580819B1 KR 101580819 B1 KR101580819 B1 KR 101580819B1 KR 1020150149690 A KR1020150149690 A KR 1020150149690A KR 20150149690 A KR20150149690 A KR 20150149690A KR 101580819 B1 KR101580819 B1 KR 10158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signal
band signal
diplexer
bran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예진
노성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149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2Horn reflector antennas; Off-set fee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9/0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 H01Q19/10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 H01Q19/12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 H01Q19/13Combinations of primary active antenna elements and units with secondary devices, e.g. with quasi-optical devices, for giving the antenna a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using reflecting surfaces wherein the surfaces are concave the primary radiating source being a single radiating element, e.g. a dipole, a slot, a waveguide termination
    • H01Q19/134Rear-feeds; Splash plate feeds
    • H01Q19/136Rear-feeds; Splash plate feeds cross-polaris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5/00Antennas or antenna systems providing at least two radiating patterns
    • H01Q25/001Crossed polarisation dual antenn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원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광대역 급전혼; 상기 광대역 급전혼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서로 분기시켜 주는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플렉서를 통해 분기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 및 결합시켜서 원형 편파를 생성시키는 편파기;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회전시켜 주는 편파 회전 장치; 및 상기 편파 회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편파 회전 장치를 통해 회전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키는 OMT(Orthomode Transducer);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를 개시한다.
이에 의하여, 본원발명은 2중 주파수 대역, 즉, 원형 편파를 사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선형 편파를 사용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및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SIMULTANEOUS DUAL BAND ANTENNA USING TWO KINDS OF POLARIZATION}
본원발명은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및 위성 통신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하나의 단말 장치를 통해 여러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다중 대역 통신 방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에는 2중 주파수 대역 및 이종 편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대역 및 편파를 소화할 수 있는 안테나들을 따로 구비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안테나를 따로 구비하게 되면, 과다 비용이 지출된다는 점과 안테나의 심미성을 떨어뜨리게 된다는 점 등의 단점들을 갖고 있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2중 주파수 대역을 갖는 이종 편파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주파수 대역 안테나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원발명의 목적은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종 편파를 갖는 2중 주파수 대역, 즉, 원형 편파를 사용하고 있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선형 편파를 사용하고 있는 제2 주파수 대역을 함께 사용하는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형 편파를 사용하고 있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안테나에서의 편파 각도 불일치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원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광대역 급전혼; 상기 광대역 급전혼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서로 분기 및 결합시켜 주는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기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켜서 원형 편파를 생성시키는 편파기;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회전시켜 주는 편파 회전 장치; 및 상기 편파 회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편파 회전 장치를 통해 회전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키는 OMT(Orthomode Transducer);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통신 목적 지점과 현위치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GPS 센서;를 더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상기 편파 회전 장치는 상기 GPS 센서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회전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앞서 살펴본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중 어느 하나; 및 상기 광대역 급전혼과 상기 다이플렉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대역 급전혼에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반사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다른 예에 따르면, 원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수신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분기시켜 주는 2중 주파수 대역 송수신 신호의 분기 단계; 분기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다시 제1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킨 다음 원형 편파를 생성시키는 제1 주파수 대역 송수신 신호의 분기 단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회전시켜 주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회전 단계; 및 분기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다시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키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분기 단계;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회전 단계에서, 회전량은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통신 목적 지점과 현위치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계산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통신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원발명에 의하면, 2중 주파수 대역, 즉, 원형 편파를 사용하는 제1 주파수 대역과 선형 편파를 사용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및 안테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에 의하면, 선형 편파를 사용하는 제2 주파수 대역의 편파 회전을 통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사용시에도 안테나의 편파 각도 불일치에 따른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 중 급전부 조립체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급전부 조립체에 포함된 다이플렉서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를 통해 2중 주파수 대역 신호가 처리되는 흐름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송수신되는 선형 편파가 서로 불일치 하는 경우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편파 회전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편파 회전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2중 주파수 대역의 이종 편파를 사용하는 안테나용 급전부 조립체(100) 및 이를 포함하는 안테나 장치(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장치", "기" 및 "체"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본원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 중 급전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원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대역 급전혼(110), 다이플렉서(120), 편파기(130), OMT(140), 편파 회전 장치(150)를 포함한다.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100)의 선단에 구비되며, 2중 주파수 대역 신호를 원활하게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100)의 선단 방향으로 단면적이 확대되는 형태의 고깔 형상(원추형)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은 고깔 모자를 눕혀 놓은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고깔 모자의 꼭지점을 이루는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를 통해 2중 주파수 대역 신호가 지나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은 위와 같은 형상을 취함으로써 2중 주파수 대역 신호의 수신(포집) 또는 송신(분산)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을 통해서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원형 편파)의 송수신은 물론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선형 편파)의 송수신도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원형 편파)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선형 편파) 각각을 송수신하는 것은 물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원형 편파)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선형 편파)를 함께 송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다이플렉서(120)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원발명의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100)에 구비되는 상기 다이플렉서(120)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상기 다이플렉서(120)는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의 고깔 모자 형상의 꼭지점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에 연결된다.
상기 다이플렉서(120)는 총 4개의 포트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제1 포트(121)는 공용 포트로서 제1 주파수 대역 신호와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포트이다.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위한 수직 포트로서, 상기 제2 포트(122)의 경우,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성분을 송수신할 수 있는 포트이고, 상기 제3 포트(123)는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 성분을 송수신할 수 있는 포트이다.
상기 제2 포트(122) 신호의 수평 성분과 상기 제3 포트(123) 신호의 수직 성분이 다이플렉서(12) 내부에서 서로 90도의 위상차로 만나면 원형 편파가 생성된다.
제4 포트(124)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위한 포트로서,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포트이다.
상기 다이플렉서(120)는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상기 제1 포트(121)를 통해 전달받게 되고, 이렇게 전달받은 신호를 제2 내지 제4 포트(122 내지 124)에서 각각 송수신할 수 있는 유형의 신호로 서로 분기시켜 준다.
즉, 상기 다이플렉서(120)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2 내지 제4 포트(122 내지 124)로 각각 분기시켜 보내면서,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 제2 주파수 대역 신호 등의 유형을 각각 띄도록 서로 분기시켜 준다.
추후, 상기 제2 포트(122)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및 상기 제3 포트(123)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는 서로 결합되어 제1 주파수 대역 원형 편파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이용된다.
한편,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상기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에는 상기 편파기(130)가 연결된다.
상기 편파기(130)는 90도 위상차를 만들어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제2 포트(122)를 통한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및 상기 제3 포트(123)를 통한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를 함께 이용하여 원형 편파를 생성하여 준다.
또한, 상기 편파기(130)는 송신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로 서로 분기하여 주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는 제2 포트(122)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는 제3 포트(123)로 각각 내보낸다.
즉, 상기 편파기(130)는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를 통해 상기 다이플렉서(120)에 연결되어서, 90도의 위상차로 결합되어 원형 편파를 생성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포트(122) 및 제3 포트(123)를 통해 '수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 수평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직 신호는 상기 편파기(130)를 거치면서 서로 결합되어 우현 편파(우측으로 회전되는 원형 편파)로 생성된다.
또한, 상기 편파기(130)를 통해 '송신'되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는 좌현 편파(좌측으로 회전되는 원형 편파)로 생성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원발명의 다이플렉서(120)의 제1 포트(121) 및 제4 포트(124)의 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 포트(121) 및 제4 포트(124)가 사각형 도파관의 형상으로 형성되지 아니하고 원형 도파관의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편파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제4 포트(124)에는 후술할 편파 회전 장치(150)가 연결된다.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제4 포트(124)에 상기 편파 회전 장치(150)가 연결되면,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편파 회전이 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원발명의 다이플렉서(120)에 의하면, 상기 선형 편파를 회전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전파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도 안테나의 편파 각도 불일치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다이플렉서(120)의 제4 포트(124)에서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는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다.
도 5는 송수신되는 선형 편파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수신되는 선형 편파가 서로 불일치하는 경우에는 손실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함정이 원거리 항해를 하는 경우, 항해를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함정의 위치가 변화되게 되고, 이에 따라 함정이 위치한 위도 및 경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 경우 송신하는 선형 편파의 각도와 수신하는 선형 편파의 각도가 서로 불일치하게 된다. 이러한 불일치로 인해 전파의 송수신 이득은 감소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선형 편파 송수신 이득의 감소를 위해 송수신되는 편파들이 서로 일치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즉, 본원발명에서는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로 선형 편파를 이용하고 있으며, 상기 선형 편파를 사용하면서 편파 회전을 해주게 된다. 따라서, 본원발명에 의하면,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 전파 송수신을 하는 경우에도 안테나의 편파 각도 불일치에 따른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위와 같은 편파 각도 불일치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GPS 센서 등으로부터 현재의 위치 정보, 즉, 위도, 경도, 고도 등을 파악한다.
그 다음으로, 위에서 파악된 위치 정보를 토대로 위성 지향 시 회전시킬 각도(손실이 일어나지 않을 각도)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계산된 각도를 모터에 전달하여 선형 편파를 회전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형 편파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상술할 OMT를 회전시키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상기 편파 회전 장치(150)를 독립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및 사시도가 도시된다.
상기 편파 회전 장치(150)에는 OMT(140, Orthomode Transducer)가 연결되어 있다.
제1 주파수 대역의 경우, 원형 편파의 사용을 위해 편파기가 필요하며, 제2 주파수 대역의 경우, 선형 편파의 사용을 위해 상기 OMT(140)가 필요하다.
상기 OMT(140)는 '직교 모드 편파 분기기'라고도 불리우며, 위성 안테나 또는 전파 망원경 등에 사용되는 도파관 형태의 마이크로 웨이브 소자이다.
상기 OMT(140)는 일반적으로 3개의 포트로 구성되어 있다. 위성 안테나에서 사용되는 OMT(140)는 일반적으로 한 편파에 송신, 반대 편파에 수신이 할당되어 송수신 신호를 분기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원발명의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에 사용되는 OMT(140)는 상기 편파 회전 장치(150)에 연결된다.
상기 OMT(140)는 상기 편파 회전 장치(15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결합/분기시켜 준다.
한편, 도 2는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해당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도 2에 도시된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광대역 급전혼(110)과 다이플렉서(120)의 연결 부위에 반사판 조립체(210)를 더 구비한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반사판 조립체(210)는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효율적으로 수신하여 포집시킬 수 있고, 또 효율적으로 발신시킬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판 조립체(210)의 재질은 상기 2중 주파수 대역 신호의 포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재료이기만 하면 어느 재료를 이용하더라도 무방하다.
100 :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110 : 광대역 급전혼
120 : 다이플렉서 130 : 편파기
121 : 제1 포트 140 : OMT
122 : 제2 포트 150 : 편파 회전 장치
123 : 제3 포트 200 :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
124 : 제4 포트 210 : 반사판 조립체

Claims (6)

  1. 원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광대역 급전혼;
    상기 광대역 급전혼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서로 분기 및 결합시켜 주는 다이플렉서;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다이플렉서에서 분기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1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켜서 원형 편파를 생성시키는 편파기;
    상기 다이플렉서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회전시켜 주는 편파 회전 장치; 및
    상기 편파 회전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편파 회전 장치를 통해 회전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키는 OMT(Orthomode Transducer);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통신 목적 지점과 현위치의 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GPS 센서;를 더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파 회전 장치는 상기 GPS 센서에서 측정한 위치 정보를 토대로 회전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급전부 조립체; 및
    상기 광대역 급전혼과 상기 다이플렉서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광대역 급전혼에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반사판 조립체;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안테나 장치.
  5. 원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선형 편파로 이루어진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송수신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수신 단계;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 및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분기시켜 주는 2중 주파수 대역 송수신 신호의 분기 단계;
    분기된 상기 제1 주파수 대역 신호를 다시 제1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1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킨 다음 원형 편파를 생성시키는 제1 주파수 대역 송수신 신호의 분기 단계;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회전시켜 주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회전 단계; 및
    분기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를 다시 제2 주파수 대역 송신 신호 및 제2 주파수 대역 수신 신호로 분기시키는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분기 단계;를 포함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통신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대역 신호의 회전 단계에서, 회전량은 GPS 센서를 통해 측정된 통신 목적 지점과 현위치의 위치 정보를 토대로 계산되어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중 주파수 대역 사용 통신 방법.
KR1020150149690A 2015-10-27 2015-10-27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KR101580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90A KR101580819B1 (ko) 2015-10-27 2015-10-27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690A KR101580819B1 (ko) 2015-10-27 2015-10-27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819B1 true KR101580819B1 (ko) 2015-12-30

Family

ID=5508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690A KR101580819B1 (ko) 2015-10-27 2015-10-27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4676A (zh) * 2017-07-11 2019-01-18 罗森伯格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双频馈源组件及双频微波天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766A (ko) * 2007-05-29 2008-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멀티모드 혼을 이용한 모노펄스 카플러 혼
KR20090035009A (ko) * 2006-07-28 2009-04-08 탈레스 안테나를 위한, 메시 평면에서 최적화된 컴팩트 오소모드 변환 장치
KR20130122375A (ko) * 2012-04-30 2013-11-07 국방과학연구소 통신용 파라볼라 안테나, 통신용 파라볼라 안테나의 급전 혼 조립체 및 그것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5009A (ko) * 2006-07-28 2009-04-08 탈레스 안테나를 위한, 메시 평면에서 최적화된 컴팩트 오소모드 변환 장치
KR20080104766A (ko) * 2007-05-29 2008-12-03 (주)하이게인안테나 멀티모드 혼을 이용한 모노펄스 카플러 혼
KR20130122375A (ko) * 2012-04-30 2013-11-07 국방과학연구소 통신용 파라볼라 안테나, 통신용 파라볼라 안테나의 급전 혼 조립체 및 그것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4676A (zh) * 2017-07-11 2019-01-18 罗森伯格技术(昆山)有限公司 一种双频馈源组件及双频微波天线
CN109244676B (zh) * 2017-07-11 2024-05-28 普罗斯通信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双频馈源组件及双频微波天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3978B1 (en) Antenna device and fading elimination method
US9014068B2 (en) Antenna having active and passive feed networks
KR101444659B1 (ko) 3중 대역 위성 통신용 안테나 시스템
US957118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larization control
EP1369955B1 (en) Multiband horn antenna
CN108140943B (zh) 低成本卫星用户终端天线
KR100883361B1 (ko) 이동체 탑재형 삼중대역 안테나 시스템
CN105580200B (zh) 用于天线对准的设备和方法
IL274312B (en) Orthogonal signal transducer
WO2016066016A1 (zh) 一种超宽带小型化交叉圆极化天线
US10523481B1 (en) Antenna device and signal reception method
US20170237182A1 (en) Antenna with beamwidth reconfigurable circularly polarized radiators
CN109462024A (zh) 一种宽轴比波束的双频北斗导航天线
US9774098B2 (en) Wireless communication node with 4TX/4RX triple band antenna arrangement
US10044083B2 (en) Dual-channel polarization correction
CN109755767A (zh) 八频段双极化单脉冲双反射面天线
KR101580819B1 (ko) 2중 주파수 대역 이종 편파 동시 사용 안테나 장치 및 급전부 조립체
JP6604770B2 (ja) 通信装置、アダプタ、及び無線中継伝送装置
CN106252878A (zh) 基于圆极化天线的空间分集覆盖收发系统
US20160329917A1 (en) Communications system for multiple aircraft in flight
CN113782987A (zh) 一种双频段全空域卫星通信相控阵天线
CN203644955U (zh) 一种卫星电话双模宽波束有源天线
CN215869820U (zh) 一种双频段全空域卫星通信相控阵天线
KR20140088250A (ko) 송수신 안테나를 위한 격리도 개선 장치
JPH03274907A (ja) アンテ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