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398B1 -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 Google Patents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398B1
KR101580398B1 KR1020140070126A KR20140070126A KR101580398B1 KR 101580398 B1 KR101580398 B1 KR 101580398B1 KR 1020140070126 A KR1020140070126 A KR 1020140070126A KR 20140070126 A KR20140070126 A KR 20140070126A KR 101580398 B1 KR101580398 B1 KR 10158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pair
hooks
heavy duty
step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2120A (en
Inventor
도성진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398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1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3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18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 B60C23/19Tyre cooling arrangements, e.g. heat shields for dissipating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60C2011/1338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comprising protru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는 종 그루브의 벽면에 좌우로 대향하는 계단형의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이 형성되고,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하여 상기 자립형 스텝퍼들의 하부에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들을 포함하되,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상기 한 쌍의 훅들은 상호 결합되어, 트레드 중심부 조기 마모 및 타이어 중후기 마모를 개선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블록의 강성을 증대시켜 구제동 능력 및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heavy duty vehicl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tepwise standing steppers oppos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re form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longitudinal groove and a pair of hooks vertically op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lf- Wherein a load is applied to the tire to narrow the spacing between the pair of free standing steppers and to couple the pair of hooks together to improve premature tread wear and tire wea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igidity and improve the remediation capability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Description

종 그루브가 개량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ed tire,

본 발명은 종 그루브가 개량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 종 그루브의 벽면에 좌우로 대향하는 계단형의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Self-Support Steppers)이 형성되고,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하여 상기 자립형 스텝퍼들의 하부에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들을 포함하여, 트레드 중심부 조기 마모 및 타이어 중후기 마모를 개선할 수 있으며, 구제동 능력 및 핸들링 성능을 보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타이어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ire for a heavy-duty vehicle having an improved longitudinal groove, more specifically, a step-like pair of self-supporting steppers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wall surface of a tire longitudinal groove, The pair of hooks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below the free standing steppers with respect to the center direction can improve the early wear of the tread center and the wear of the tire, , And a heavy duty vehicle tire capable of improving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a tire.

타이어의 블록 패턴(Block Pattern)은 그루브가 서로 연결되어 독립된 블록을 이루는 패턴이다. 블록 패턴은 눈길이나 빗길에서도 구동력과 제동력이 뛰어나며, 배수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수막현상(Hydroplaning)이 중요시되는 타이어에 적용된다. 따라서 트럭의 구동축이나 배수성이 문제가 되는 고속버스 및 스노우 타이어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블록 패턴을 갖는 타이어는 보통 비포장 도로를 겸하여 주행하며 이로 인하여 블록에 많은 응력이 작용하여 블록의 찢김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즉, 고무의 블록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주행시 블록의 움직임이 많고 횡항력(Cornering Force)이 낮아 내 편마모성이 약하며, 중심 트레드부의 조기마모 및 핸들링(Handling) 성능이 불리해질 수 있다.
A block pattern of a tire is a pattern in which groov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independent blocks. The block pattern is applied to tires where hydroplaning is important because of excellent drivability and braking force even on snowy roads and snowy roads and excellent drainage. Therefore, it is mainly used in high-speed buses and snow tires in which the driving shaft of the truck or the drainage of the truck becomes a problem. A tire with a block pattern usually travels along an unpaved road, which results in frequent tearing of the block due to a large stress applied to the block. That is, since the block stiffness of the rubber is weak, the movement of the block is large and the cornering force is low at the time of running, so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is weak, and the early abrasion and handling performance of the center tread portion may be deteriorated.

일반적으로 블록 강성을 보완하기 위해 블록의 크기를 증가시키는데, 블록의 크기를 증가시키면 발열에 취약해지므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Generally, to increase the block stiffness, the block size is increased. If the block size is increased, it becomes vulnerable to heat generation, which may cause accidents of heavy-duty vehicle tires.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노면과 접지할 때 타이어 중앙 블록과 좌우 블록이 접촉되어 블록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초기 마모를 억제하며,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neumatic tire capable of suppressing initial abrasion and increasing handling performance by increasing the block stiffness by contacting the tire center block and the left and right blocks when grounding the road surf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록의 접지 면적을 증대시켜 타이어 중후기 마모를 억제하고,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neumatic tire which can increase the grounding area of a block to suppress abrasion of the tire at the rear end and improve the heat generating performanc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타이어 트레드부에 블록들이 형성되고, 일측 블록과 이에 이웃하는 타측 블록 사이에 종 그루브가 형성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로서, 상기 종 그루브의 벽면에 좌우로 대향하는 계단형의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이 형성되고,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하여 상기 자립형 스텝퍼들의 하부에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들을 포함하되,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상기 한 쌍의 훅들은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A heavy duty automobile tire in which blocks are formed in a tire tread portion and in which longitudinal grooves are formed between one side block and another adjacent side block, wherein a pair of stepwise self-standing steppers opposed to each other on the wall surface of the longitudinal groove are formed And a pair of hooks vertically op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lf-supporting steppers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tire, wherei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ir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stand- To a tire of a heavy duty vehicle.

본 발명에 의한 타이어는 타이어 주행 및 하중 인가시 블록들을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시켜 트레드 중심부 조기 마모 및 타이어 중후기 마모를 개선할 수 있으며, 블록의 강성을 증대시켜 구제동 능력 및 핸들링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공기와 블록간의 접촉 면적을 넓혀 블록의 열전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타이어 발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ti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arly wear of the tread center and the tread of the tire by connecting the blocks in the lateral direction when the tire is running and the load is applied and the stiffness of the block is increased to compensate the resilience ability and handling performance . Further,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air and the block and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lock, the heat generation performance of the tir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타이어 종 그루브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자립형 스텝퍼들 및 훅들이 타이어에 적용된 형상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타이어의 노면 접지시 족적 형상(foot shape) 해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longitudinal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stand-alone steppers and hoo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tire. FIG.
FIG. 3 is a graph showing a foot shape analysis result of the ground surface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타이어 종 그루브의 일부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트레드(1)와 트레드(1) 양측의 사이드월 및 양 사이드월 단부의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1)에 블록(2, 12)이 형성되고, 일측 블록(2)과 이에 이웃하는 타측 블록(12) 사이에 종 그루브(3)가 형성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로서, 상기 종 그루브(3)의 벽면에 좌우로 대향하는 계단형의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4, 14)이 형성된다.
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tire longitudinal gro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ead 1 and a bead of both sidewalls and both sidewalls of the tread 1, blocks 2 and 12 are formed on the tread 1, (2) and a neighboring block (12) adjacent to the groove (3), wherein a pair of stepped self-standing steppers 4 and 14 are formed.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4, 14)에 의해 블록(2, 12)의 측면부 종 그루브(3)에 2중의 스텝이 적용되어, 자동차 주행으로 인하여 타이어에 하중이 인가되면 일측의 자립형 스텝퍼(4)와 타측의 자립형 스텝퍼(14) 사이의 간격은 내측으로 좁아진다. 또한, 상기 자립형 스텝퍼들(4, 14) 사이의 간격이 계속 좁아지는 경우 일측의 자립형 스텝퍼(4)와 타측의 자립형 스텝퍼(14)는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록의 강성이 증대되어 트레드 중앙부 조기 마모 개선 및 핸들링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타이어 사용의 중후기에는 자립형 스텝퍼들(4, 14)이 블록의 접지 면적을 늘려주기 때문에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step is applied to the sidewall grooves (3) on the side surface of the blocks (2, 12) by the pair of stand-alone steppers (4, 14), and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ire The distance between the stand-alone stepper 4 and the other stand-alone stepper 14 becomes narrower toward the inside. Further, when the interval between the stand-alone steppers 4 and 14 is continuously narrowed, the stand-alone stepper 4 on one side and the stand-alone stepper 14 on the other side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ccordingly, the stiffness of the block is increased to improve the early wear of the tread center portion and the handling performance. Further, in the middle of the use of the tire, the self-standing steppers 4 and 14 increase the grounding area of the block, thereby improving the wear resistance.

본 발명에서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한 자립형 스텝퍼들(4, 14)의 깊이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종 그루브(3) 전체 깊이의 10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pth of the independent standing steppers 4, 14 with respect to the tire center direction can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but is preferably 10 to 30% of the total dep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3.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의한 타이어 트레드부는 종 그루브(3) 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들(5, 15)이 배치되는데, 상기 훅들은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하여 자립형 스텝퍼들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훅들(5, 15)을 적용하면, 블록의 크기 증가에 따른 발열 문제를 방지하고 블록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1차적으로 자립형 스텝퍼들(4, 14)이 내측으로 좁아지는데, 이에 따라 훅들(5, 15)의 일측 끝단부의 돌출부들(51, 151)이 각각 타측 끝단부의 홈부들(52, 152)와 접촉하여 결합되는 것이다. 일단, 훅들(5, 15)이 서로 고리처럼 연결되면 마찰력에 의해 타이어의 구동 또는 제동시 연결 상태가 지속된다. 이에 의해 블록 강성이 보완되고, 따라서 타이어의 전체적인 강성이 증가한다. 또한, 훅들(5, 15)을 구성하는 고무와 공기의 접촉 면적이 증가되어 열전도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타이어의 발열시 냉각 효과에도 기여할 수 있다.
The tire tread por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air of hooks 5 and 15 vertically oppos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grooves 3, Are positioned below the stand-alone steppers. By applying the hooks 5 and 15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event heat genera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block and to increase the block stiffness. That is, when the load is applied to the tire as described above, the independent standing steppers 4 and 14 are narrowed inwardly. Thus, the protrusions 51 and 151 at one end of the hooks 5 and 15, respectively,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s 52 and 152 at the other end. Once the hooks 5 and 1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like a ring, the connection state is maintained when the tire is driven or braked by the frictional force. This reinforces the block stiffness and thus increases the overall stiffness of the tire. Further, the contact area of the rubber and the air constituting the hooks 5, 15 is increased to improve the thermal conductivity, thereby contributing to the cooling effect in the heating of the tire.

본 발명에서 훅들(5, 15)의 너비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나 종 그루브(3) 전체 너비의 30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hooks 5 and 15 may be fre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but is preferably 30 to 60% of the total wid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3.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자립형 스텝퍼들 및 훅들이 타이어에 적용된 형상을 도시한 일부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의 이웃하는 블록들(2, 12) 사이에 훅들(5, 15)이 연결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훅들(5, 15)은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지 않고, 각각의 블록의 연결고리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상기 훅들(5, 15)이 이격되는 간격은 3 내지 10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3 cm 미만이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경우 시각적으로 종 그루브(3)의 깊이가 얕게 느껴져 심미감이 떨어지고, 타이어 중량의 증대로 인해 블록의 발열 효과가 저해된다. 또한, 상기 간격이 10 c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블록 강성 및 발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훅들(5, 15)을 일정한 간격으로 비연속식으로 배치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고려함과 동시에, 블록의 발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FIG. 2 is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stand-alone steppers and hook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o a tire. FIG. Referring to FIG. 2, there is shown a connection of hooks 5, 15 between neighboring blocks 2, 12 of the tire. The hooks 5 and 15 are not disposed continuous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u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inking rings of the respective blocks. The spacing between the hooks 5 and 15 is preferably 3 to 10 cm. If the interval is less than 3 cm or is continuously arranged, the depth of the longitudinal grooves 3 is visually shallow, and the esthetic sense is lowered, and the heating effect of the block is hindered by the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tire. In addition, when the interval is more than 10 cm,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lock stiffness and heat gener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grad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ooks 5 and 15 are arranged in a non-continuous manner at a constant interval, so that the visual effect can be considered and the heating effect of the block can be increas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 주행시 중앙부 블록(2)의 마모가 빠른 구동축에서 접지할 때 중앙부 블록들(2, 12, 112)은 자립형 스텝퍼(4, 14) 및 훅들(5, 15)에 의해 측방향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 그루브(3)에 2중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핸들링 성능을 향상시키고 타이어 중앙부의 조기 마모 성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 사용의 중후기에는 블록의 접지 면적을 증가시켜 마모 성능을 향상시킨다.
2, the central blocks 2, 12 and 112 are connected to the stand-alone steppers 4 and 14 and the hooks 5 and 15, respectively, when the central block 2 is grounded at a fast- As shown in Fig. In this manner, double groov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grooves 3 to improve the handling performance and compensate for the early wear performance of the tire center portion. In the middle of the use of the tire, the grounding area of the block is increased to improve the wear performance.

본 발명에서 상부 훅(5)과 상하로 대향하는 이웃하는 하부 훅(15) 사이의 간격은 3 내지 6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이 3 mm 미만인 경우에는 블록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떨어지고, 6 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훅들(5, 15)의 돌출부들(51,151) 및 홈부들(52, 152)이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종 그루브(3) 내에 훅들(5, 15)을 형성하면 구제동시 블록들이 훅들(5, 15)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강성이 보완되며 구제동 능력 및 핸들링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훅들(5, 15)을 구성하는 고무는 타이어에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블록과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혀 블록의 열전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타이어에 발생한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hook 5 and the adjacent lower hook 15 facing up and down is preferably 3 to 6 mm. If the distance is less than 3 mm,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lock and the air is deteriorated. If the distance exceeds 6 mm, the projections 51 and 151 of the hooks 5 and 15, (52, 152) may not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n the hooks 5 and 15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grooves 3 as described above, the simultaneous blocks are interconnected through the hooks 5 and 15 to improve the rigidity and improve the resilience and handling performance. Further, since the rubber constituting the hooks 5 and 15 is not fixed to the tire, it is possible to cool the heat generated by the tire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lock and the air and increasing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block.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의한 타이어의 노면 접지시 족적 형상(foot shape) 해석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에 의한 족적 형상은 (주) 한국타이어의 주기억 데이터 베이스(Main Storage Data Base:MSDB) 해석 결과에 의해 작성되었다. 타이어 프로파일(Tire Profile) 및 그루브 위치에 따라서 지면과 접지시 타이어의 족적 형상을 나타내었다. 도 3에 의하면, 노면 접지시에 중앙부 블록들(2, 12, 112)이 상호 연결되어 트레드부의 조기 마모가 억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3 is a graph showing a foot shape analysis result of the ground surface of a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otprint according to FIG. 3 was created by analyzing Hankook Tire's Main Storage Data Base (MSDB). The tread shape of the tire when the tire is grounded according to the tire profile and the groove position is shown. Referring to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center blocks 2, 12 and 1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 time of grounding the ground, thereby suppressing premature wear of the tread portion.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구조를 다양하게 변경하고 변형할 수 있다는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e fact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 트레드 2, 12, 112: 블록
3: 종 그루브 4, 14: 자립형 스텝퍼
5, 15: 훅 51, 151: 훅의 돌출부
52, 152: 훅의 홈부
1: Tread 2, 12, 112: Block
3: longitudinal groove 4, 14: stand-alone stepper
5, 15: hook 51, 151: projecting portion of the hook
52, 152: groove portion of the hook

Claims (6)

타이어 트레드부에 블록들이 형성되고, 일측 블록과 이에 이웃하는 타측 블록 사이에 종 그루브가 형성된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로서, 상기 종 그루브의 벽면에 좌우로 대향하는 계단형의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Self-Support Steppers)이 형성되고, 타이어 중심 방향에 대하여 상기 자립형 스텝퍼들의 하부에 상하로 대향하는 한 쌍의 훅들을 포함하되, 타이어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서 상기 한 쌍의 훅들은 일측 끝단부의 돌출부들이 타측 끝단부의 홈부들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A heavy duty automobile tire in which blocks are formed in a tire tread portion and in which longitudinal grooves are formed between one side block and a neighboring adjacent one of the adjacent blocks, comprising: a pair of stepped self-standing steppers And a pair of hooks vertically oppos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lf-standing steppers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tire, wherein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tire, a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stand- Wherein the pair of hooks are engaged with protrusions of one end portion and grooves of the other end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자립형 스텝퍼들이 상호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2. The heavy duty vehicle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standing-up stepper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훅들은 상기 종 그루브 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2. The heavy duty vehicle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hook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groove.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훅들이 이격되는 간격은 3 내지 10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4. The heavy duty vehicle tir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distance between the pair of hooks is 3 to 10 cm.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훅들은 상부 훅과 하부 훅 사이의 간격이 3 내지 6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하중 차량용 타이어. 2. The heavy duty vehicle ti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ir of hooks have an interval between the upper hook and the lower hook of 3 to 6 mm.
KR1020140070126A 2014-06-10 2014-06-10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KR1015803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26A KR101580398B1 (en) 2014-06-10 2014-06-10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126A KR101580398B1 (en) 2014-06-10 2014-06-10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20A KR20150142120A (en) 2015-12-22
KR101580398B1 true KR101580398B1 (en) 2015-12-28

Family

ID=55081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126A KR101580398B1 (en) 2014-06-10 2014-06-10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398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51B1 (en) * 2009-11-25 2011-11-25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having a Asymmetric Pattern
KR20120067137A (en) * 2010-12-15 2012-06-25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Vehicle tire improved groo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120A (en)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9650B2 (en) Pneumatic tire
JP6711169B2 (en) tire
JP4547012B2 (en) Pneumatic tire
JP4705684B2 (en) Heavy duty tire
JP6258785B2 (en) Pneumatic tire
JP4422622B2 (en) Heavy duty tire
JP3533757B2 (en) Pneumatic tire
JP2015016853A (en) Pneumatic tire
JP6848359B2 (en) tire
KR20150138435A (en) Pneumatic tire
JP2013216148A (en) Pneumatic tire
JP6029910B2 (en) Pneumatic tire
JPWO2011111319A1 (en) Pneumatic tire
JP3315051B2 (en) Pneumatic tire
US10232669B2 (en) Heavy duty pneumatic tire
JP2011031831A (en) Pneumatic tire
JP2010064578A (en) Pneumatic tire
JP6949649B2 (en) tire
US11292296B2 (en) Inclined stone ejector for irregular wear protection
JP2011084186A (en) Tire
US7188650B2 (en) Siped tire tread with high transverse stiffness
KR101580398B1 (en) Heavy duty vehicle tire improved longitudinal groov
KR101007641B1 (en) Pneumatic radial tire
KR101878324B1 (en) Medium long distance guide wheel tyre pattern
JP2019104416A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