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0271B1 -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0271B1
KR101580271B1 KR1020140093173A KR20140093173A KR101580271B1 KR 101580271 B1 KR101580271 B1 KR 101580271B1 KR 1020140093173 A KR1020140093173 A KR 1020140093173A KR 20140093173 A KR20140093173 A KR 20140093173A KR 101580271 B1 KR101580271 B1 KR 101580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ated carbon
radioactive
dust
adsorbed
waste activ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멘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멘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멘도타
Priority to KR102014009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0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0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0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방사성 폐활성탄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제거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활성탄 투입조, 방사형 다단 탄화로, 버너, 방사형 다단 냉각로, 집진기(백필터, 헤파필터), 가스상 방사성물질 흡착분말 투입기 및 송풍기로 구성된다. 방사성 폐활성탄을 700℃ 이상의 고온으로 균일하게 연속적으로 열처리하여 방사성물질을 탈착하고 입자상의 활성탄소는 고온상태에서 분리한 다음, 나머지 활성탄 분진을 포함한 배가스는 상온으로 급냉하여 가스상의 방사성물질이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 또는 추가로 투입된 방사성물질 흡착분말에 흡착되도록 하였다.
연속처리 및 대용량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시스템 및 처리공정이 단순하고, 경제적으로 신속하게 폐활성탄에 함유되어 있는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거나 방사성 폐기물의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Processing Method of Radwaste Spent Activated Carbon}
본 발명은 방사성 폐활성탄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제거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저준위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폐활성탄으로부터 방사성핵종 제거 및 폐활성탄의 재생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성탄은 수질 또는 대기의 오염물질을 흡착하거나 탈색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사용된 활성탄은 주기적으로 교체되어 재생처리하여 재사용되고 있다. 사용된 폐활성탄을 물리적, 화학적 및 생물학적 처리를 통해 폐활성탄 표면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원래의 흡착성능을 복원시켜서 재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폐활성탄의 재생을 위해서 100∼200℃의 온도에서 화학물질로 처리하여 재생하거나 700∼950℃의 온도에서 고온 열처리하여 재생하는 열적 재생 방법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폐활성탄은 열적 재생을 하여 재사용하고 있다.
한편, 원자력발전소에서 공기 정화용으로 사용된 활성탄은 방사능에 오염되어 있어서 재활용되지도 못할 뿐만 아니라 원자력발전소에서 자체적으로 처분하지도 못하고 방사성 고체폐기물로 분류하여 원자력발전소 내에 저장하고 있다. 원자력시설의 공기정화계통(HVAC)에 사용되는 활성탄은 방출되는 방사성 기체 중 요오드(I) 및 제논(Xe)을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며, 흡착효율을 좋게 하기 위하여 이러한 활성탄에 주로 TEDA(Triethylene Diamine)와 KI(Potassium Iodide)가 첨착되어 있다. 활성탄에 흡착되어 제거된 방사성 물질 중 반감기가 짧은 요오드(반감기: 8일)와 제논은 사용 후 장기간 보관 중에 대부분 감쇄되어 방사능이 소멸되나 반감기가 긴 방사성탄소(14C)나 삼중수소(3H)는 오랫동안 남아 있게 된다. 국내 원자력발전소나 원자력시설에서 발생되고 있는 폐활성탄에서도 방사성탄소(14C)와 삼중수소(3H)가 잔류해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폐활성탄에서 국제원자력기구에서 제시하는 규제해제(IAEA, SSNo RS-G-1.7) 농도값인 1 Bq/g과 100 Bq/g을 각각 초과하는 방사성탄소(14C)와 삼중수소(3H)가 검출되어 폐활성탄을 원자력발전소에서 자체 처분을 하지 못하고 방사성 고체폐기물로 분류하여 약 1,000 드럼 이상의 폐활성탄을 원자력발전소 내에 저장하면서 관리하고 있다. 더욱이, 발전소의 운전과 더불어 매년 수십 드럼의 폐활성탄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어, 이를 전량 방사성 폐기물로 분류하여 관리할 경우 관리비용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하기 문헌 1 및 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폐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무기형 방사성이산화탄소(14CO2)는 산성용액을 이용하여 폐활성탄으로부터 분리시켜 방사성 기체 임시 저장조로 배출시키고, 유기형 방사성탄화수소(14CmHn)는 산화제를 이용하여 무기형 기체방사성이산화탄소(14CO2)로 전환시켜 방사성 기체 임시저장조로 배출시키는 기술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폐활성탄을 1차 파쇄하여 폐활성탄 내부에 물리, 화학적으로 흡착된 3H 또는 14C 화합물질을 표면에 노출시키는 파쇄공정, 폐활성탄 내부에 흡착되어 있는 삼중수소(3H) 또는 방사성탄소(14C) 화합물질을 진공가열로에 투입하여 고온, 진공 조건에서 추출하는 추출공정과 추출공정에서 발생하는 유해가스를 촉매를 이용해 H2O와 CO2로 산화시키는 배기체 처리공정을 포함하는 폐활성탄 처리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3542호(2013.02.0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13706호(2012.02.01 등록)
폐활성탄 중에 함유된 방사성탄소(14C)와 삼중수소(3H)를 분리하여 제거하는 것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로 적용하여 실제 입증이 어려워서 실증 및 상용화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이고 단순한 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원자력발전소에서 대량으로 발생되고 있는 방사성 폐활성탄을 원자력발전소에서 자체적으로 재활용처리가 가능한 정도(1Bq/g이하)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연속처리가 가능한 대용량의 처리공정으로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시스템 및 처리공정을 보다 단순화시켜 2차 폐기물의 발생량과 처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은 방사성물질(방사성탄소(14C) 또는 삼중수소(3H))이 흡착된 방사성 폐활성탄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연속적인 열처리가 가능한 방사형 다단 탄화로 내부의 고온상태에서 폐활성탄을 탄화하여 유기물질을 연소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고온의 활성탄소로부터 입자상의 활성탄소만 고온상태에서 분리하여 방사형 다단 냉각로의 고상 유동공간을 통과시켜 급냉하여 배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활성탄 분진을 포함하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방사형 다단 냉각로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시켜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상온의 기체상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함께 유동하는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되면서 집진기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집진기에 상온으로 유입되는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의 배가스에 제올라이트 또는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흡착분말을 추가로 분사시켜서 방사성 물질이 상기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 또는 추가적인 흡착분말에 흡착되는 단계, (d2) 상기 집진기에서 방사성 물질이 흡착된 활성탄 분진 및 분말을 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3) 상기 집진기에서 배출되는 기체로부터 마이크로 입자 및 나노입자를 분리하고자 추가적인 집진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활성탄이 고온으로 열처리되어 냉각로에 유입되면서, 방사성물질이 입자상의 활성탄소에 재흡착되지 않도록, 반드시 고온상태에서 입자상의 활성탄소를 활성탄 분진 및 기체상과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고온상태의 기체상의 배가스 및 분진은 냉각로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하면서 기체상의 방사성 물질이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되도록 상온으로 급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된 폐활성탄이 고온상태의 밀폐된 공간에서 입자상과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으로 연속적으로 분리되고, 동시에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은 상온으로 급냉되도록 방사형 다단식 냉각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집진기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배가스에 방사성물질 검지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흡착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의하면, 연속처리가 가능하여 대용량의 신속한 처리가 가능하고 시스템 및 처리공정이 보다 단순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비가 적게 소요되어 보다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폐활성탄에 함유되어 있는 방사성핵종을 분리하거나 추출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의하면, 고온 열처리 과정에서 방사성핵종의 제거와 동시에 폐활성탄의 재생으로 2차 폐기물의 발생량이 기존 방사성 폐기물 대비(부피기준) 1/10 이하로 감소될 뿐만 아니라, 방사형 다단 회전로 기술을 이용한 기상 및 고상 분리 급랭 방식으로 다이옥신 생성을 방지하여 배기가스에 따른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 의하면,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이 적게 되고 원자력발전소 폐기물 저장공간의 이용률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공정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활성탄은 넓은 표면적과 미세기공을 가진 특성을 갖고 있다. 주로 반데르발스 인력(van der waals force)에 의해서 활성탄의 미세기공에 비극성분자와 약극성유기분자를 흡착하는 물리적 흡착력을 가지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공기정화계통(HVAC)에는 기체 방사성폐기물 중 요오드(I), 제논(Xe)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TEDA(Triethylene Diamine)와 KI(Potassium Iodide)가 첨착된 활성탄이 주로 사용된다.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탄소(14C)는 무기형의 방사성 이산화탄소(14CO2)와 유기형의 방사성탄화수소(14CmHn, 주로 메탄(CH4))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폐활성탄에서 방사능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고온의 열처리 방법을 사용한다. 즉, 원자력발전소, 연구소 및 대학교의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대기오염 물질을 흡착한 폐활성탄으로부터 방사성핵종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원자력발전소에서 재사용하거나 일반폐기물로 분류하여 자체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을 마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 1 및 도 2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분해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장치는 프레임(10)에 장착되며, 폐활성탄 투입조(1), 방사형 다단 탄화로(2), 버너(3), 방사형 다단 냉각로(4), 집진기(5), 제올라이트를 포함한 흡착분말을 투입하는 약품 투입기(6) 및 송풍기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원자력발전소, 연구소 및 대학교의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대기오염 물질을 흡착한 방사성 폐활성탄은 상기 투입조(1)를 통해 투입되어 방사형 다단 탄화로(2)에서 버너(3)에 의해 700~900℃의 고온으로 탄화처리된다. 또 상기 투입조(1) 내에는 폐활성탄의 정량 공급을 위해 스크류가 마련된다.
따라서, 폐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형 방사성이산화탄소(14CO2)는 고온으로 열처리되어 방사성 물질이 분리되고 활성탄 자체의 기능을 회복하는 활성 탄소로 변환된다. 700~900℃로 탄화된 활성 탄소는 방사형 다단 냉각로(4)로 공급된다.
상기 폐활성탄이 고온으로 열처리되는 과정에서 유기물이 소각 연소되어 방사성 물질이 모두 고상의 활성탄소에서 탈착하여 기상으로 분리된다. 상기 기상은 무기성 기체방사성탄소, 활성탄소 분진 및 배가스이다.
상기 고온의 활성탄소는 방사형 다단 냉각로(4) 입구 내부에서 함께 배출된 고온의 배출가스와 분리되어 냉각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냉각과정에서 활성 탄소에 방사성 오염물질이 재흡착되지 않는다. 방사형 다단 냉각로(4)에는 상온의 냉각수가 유입되어 방사형 다단 냉각로(4) 내부 냉각수 재킷을 통과하면서 고온의 열을 흡수한 후 온수 또는 스팀으로 변환되어 배출된다.
사용되는 냉각수는 방사성 물질과 직접 접촉이 없어서 오염되지 않는다. 방사형 다단 탄화로(2)와 방사형 다단 냉각로(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밀착시켜 조립하여 방사형 다단 탄화로(2)에서 발생된 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방사형 다단 냉각로(4) 내부 기상 유동 공간만 통과하도록 하였다.
방사형 다단 냉각로(4)의 입구부 온도는 700~900℃이지만, 냉각수에 의해 방사형 다단 냉각로(4) 출구부 온도는 30℃에 불과하여 배출되는 배가스 또는 활성탄소 역시 30℃ 이하로 유지된다. 방사형 다단 냉각로(4)에서 배출된 활성 탄소는 제품으로 포장하여 재사용한다.
한편, 방사형 다단 냉각로(4)에서 거의 상온으로 배출된 배가스는 많은 활성 탄소 분진 및 방사성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방사성물질의 대부분은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된다. 또한 냉각과정에서 상기 배가스가 응축되어 수분 및 삼중수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흡착하기 위하여 약품 투입기(6)에서 제올라이트 또는 수산화 칼륨 등을 포함한 흡착분말을 냉각로에서 배출되는 배가스에 충분히 분사시킨다.
상기 약품 투입기(6)에서 투입되는 흡착분말은 방사형 다단 탄화로(2), 방사형 다단 냉각로(4), 집진기(5) 등에 투입될 수 있다.
분진과 분말을 포함한 배가스는 백필터, 헤파필터 등을 구비한 집진기(5)를 통과하면서 백필터에 의해 1차 집진된다. 또한 집진기(5)를 통과한 배가스로부터 미세입자(마이크로 및 나노입자)를 헤파필터를 이용하여 2차 집진한다.
집진기를 통과한 배가스는 송풍기를 통해 대기로 배출된다. 배출되는 배가스에서 방사성 물질 검지 센서를 설치하여 필요 시 자동적으로 상기 약품 투입기(6)에서에서의 흡착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방사성 물질 제거 및 폐활성탄 재생과정에서 2차 방사성 오염 물질은 백필터 집진기(5)에서의 활성탄소 분진 및 집진기에서 발생된다. 발생된 2차 오염물질은 기존 방사성 폐활성탄의 1/10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렇게 수거된 방사성 오염물질은 적절한 처리과정을 거쳐서 방폐장에 매립하면 된다. 즉, 상기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활성탄소 분진, 흡착분말 및 집진기 필터는 안전하게 분리하여 출입구를 밀봉한 후 방사능 준위에 따라 고건전성 용기나 탄소강 드럼에 넣어 방사성 폐기물 처분장으로 이송하여 처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폐활성탄에 흡착되어 있는 유기형 방사성이산화탄소(14CmHn)를 고온으로 소각처리하고, 무기형 기체 방사성이산화탄소(14CO2)는 고상의 활성탄으로부터 분리시켜서 냉각물질의 재흡착 및 제어 공정을 통하여 방사성 핵종이 제거되어 대기로 배출시킴과 동시에 고온 열처리된 폐활성탄은 활성탄소로 재생되어 방사형 다단 냉각로를 거쳐서 냉각시킨 후 활성탄으로 재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에서 배가스 처리용 집진시설 및 집진필터는 사용중 막힘 또는 불량에 대비하여 2개가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자력발전소 폐활성탄의 재생 및 방사성핵종 제거장치의 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 처리방법은 먼저 투입조(1)를 통해 원자력발전소, 연구소 및 대학교의 실험실에서 발생되는 방사성 대기오염 물질을 흡착한 방사성 폐활성탄이 투입된다(S10). 이와 같은 투입은 정량 공급 스크류에 의해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조(1)로 공급된 유기 및 무기형 방사성탄소(14C)가 흡착된 폐활성탄은 연속적인 열처리가 가능한 방사형 다단 탄화로(2) 내부의 고온상태(700~900℃)에서 고체상의 활성 탄소와 기체상의 물질로 분리되며, 기체상의 물질은 무기형 기체방사성이산화탄소(14CO2)와 유기형 기체방사성 탄화수소(14CmHn)로 분리되는데 유기성 기체방사성 탄화수소는 연소되어 소각된다(S20). 이와 같은 연소는 버너(3)에서 공급되는 열원에 의해 실행된다(S30).
고온의 고상의 활성 탄소는 방사형 다단 냉각로(4)의 고상 유동공간을 통과하여 30℃ 이하로 급랭 되어 배출저장된다(S40). 즉, 방사형 다단 탄화로(2)에서 폐활성탄이 고온으로 열처리된 후 고상의 활성탄소는 고온의 기체상과 분리되어 냉각로(4)의 고상 유동공간을 통과하고 기체상의 배가스는 방사형 다단 냉각로(4)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하여 고상과 기상이 방사형 다단 냉각로(4) 입구 내부에서 분리된다.
한편, 상기 약품 투입기(6)에서 투입되는 제올라이트 또는 수산화 칼륨 등을 포함한 흡착분말은 방사형 다단 탄화로(2), 방사형 다단 냉각로(4) 또는 집진기(5) 에 투입된다(S50).
고온의 배출가스(기체상으로 활성탄 분진 포함)는 방사형 다단 냉각로(4)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하면서 상온으로 급냉되어 함께 배출되는 방사성물질이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된다. 그리고 활성탄 분진에 흡착되지 않은 방사성 물질, 냉각과정에서 생성된 응축수분 및 삼중수소를 흡착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상기 제올라이트 또는 수산화 칼륨 등의 흡착분말을 배가스에 분사한다. 이러한 분진, 분말 및 배가스는 집진기(5)로 투입된다(S60).
집진기(5)를 통과하여 나노입자의 분진까지 모두 제거된 배가스에는 방사성물질이 전혀 남아있지 않도록 상기 흡착분말의 투입량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집진기(5)를 통과하여 분진이 제거된 기체상의 배가스는 송풍기에 의해 대기로 배출된다(S70).
한편, 상기 방사형 다단 냉각로(4)에서 배출된 고체상의 활성 탄소는 제품으로 포장하여 재사용한다(S8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원자력발전소 등에서 발생하는 폐활성탄뿐만 아니라 방사성 폐액에 오염되어 있는 방사성탄소(14C), 삼중수소, 방사성코발트(60Co ) 및 방사성세슘(137Cs )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 폐활성탄 투입조
2: 방사형 다단 탄화로
3: 버너
4: 방사형 다단 냉각로
5: 집진기
6 : 약품 투입기

Claims (6)

  1. 방사성물질(방사성탄소(14C) 또는 삼중수소(3H))이 흡착된 방사성 폐활성탄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연속적인 열처리가 가능한 방사형 다단 탄화로 내부의 고온상태에서 폐활성탄을 탄화하여 유기물질을 연소하는 단계,
    (b)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고온의 활성탄소로부터 입자상의 활성탄소만 고온상태에서 분리하여 방사형 다단 냉각로의 고상 유동공간을 통과시켜 급냉하여 배출 저장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a)에서 생성된 활성탄 분진을 포함하는 고온의 배출가스를 방사형 다단 냉각로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시켜 상온으로 급랭하는 단계,
    (d) 상기 단계(c)에서 상온의 기체상에 포함된 방사성 물질이 함께 유동하는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되면서 집진기로 유입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폐활성탄이 고온으로 열처리되어 냉각로에 유입되면서, 방사성물질이 입자상의 활성탄소에 재흡착되지 않도록, 반드시 고온상태에서 입자상의 활성탄소를 활성탄 분진 및 기체상과 분리되고,
    상기 열처리된 폐활성탄이 고온상태의 밀폐된 공간에서 입자상과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으로 연속적으로 분리되고, 동시에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은 상온으로 급냉되도록 방사형 다단식 냉각로를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는
    (d1) 상기 집진기에 상온으로 유입되는 분진을 포함한 기체상의 배가스에 제올라이트 또는 수산화 칼륨을 포함하는 흡착분말을 추가로 분사시켜서 방사성 물질이 상기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 또는 추가적인 흡착분말에 흡착되는 단계,
    (d2) 상기 집진기에서 방사성 물질이 흡착된 활성탄 분진 및 분말을 기체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d3) 상기 집진기에서 배출되는 기체로부터 마이크로 입자 및 나노입자를 분리하고자 추가적인 집진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고온상태의 기체상의 배가스 및 분진은 냉각로의 기상 유동공간을 통과하면서 기체상의 방사성 물질이 활성탄 분진에 재흡착되도록 상온으로 급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5. 삭제
  6. 제2항에 있어서,
    집진기에서 대기로 배출되는 배가스에 방사성물질 검지 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적으로 상기 흡착분말의 투입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KR1020140093173A 2014-07-23 2014-07-23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KR101580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73A KR101580271B1 (ko) 2014-07-23 2014-07-23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173A KR101580271B1 (ko) 2014-07-23 2014-07-23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0271B1 true KR101580271B1 (ko) 2015-12-24

Family

ID=55084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173A KR101580271B1 (ko) 2014-07-23 2014-07-23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027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309A (ko) * 2003-10-21 2005-04-27 유 연 수 폐기물 탄화처리 장치
KR20090009625A (ko) * 2007-07-20 2009-01-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마이크로 필터가 포함된 활성탄 블록
KR101113706B1 (ko) 2011-04-13 2012-02-27 김진길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KR101233542B1 (ko) 2012-12-21 2013-02-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8309A (ko) * 2003-10-21 2005-04-27 유 연 수 폐기물 탄화처리 장치
KR20090009625A (ko) * 2007-07-20 2009-01-2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마이크로 필터가 포함된 활성탄 블록
KR101113706B1 (ko) 2011-04-13 2012-02-27 김진길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KR101233542B1 (ko) 2012-12-21 2013-02-15 한국정수공업 주식회사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706B1 (ko) 폐활성탄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활성탄 처리방법
CN105810276B (zh) 一种放射性有机废物处理装置
KR101533977B1 (ko) 방사성 폐건조제의 삼중수소와 방사성탄소 제거시스템
KR101233542B1 (ko)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및 장치
An et al. Investigation on mercury removal and recovery based on enhanced adsorption by activated coke
CN105513661A (zh) 一种聚变堆热室清洗废气变压吸附净化再生利用方法及装置
CN107261788A (zh) 一种高温烟气中二噁英的脱除方法及装置
RU2627237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бработки радиоактивных углеродных отходов, в частности, графита
JP2014085329A (ja) 放射性セシウムおよびストロンチウムの捕集材および捕集方法
KR101495546B1 (ko)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CN102807902B (zh) 焦炉煤气的二次净化方法
KR101622336B1 (ko) 부피축소를 위한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 탄화 시스템
KR101580271B1 (ko) 방사성 폐활성탄의 처리방법
So et al. Thermal characteristics of spent activated carbon generated from air cleaning units in Korean nuclear power plants
KR102046463B1 (ko) 폐이온교환수지의 처리 장치 및 폐이온교환수지의 처리 방법
CN204619702U (zh) 一种含低浓度voc废气的净化装置
US10232417B1 (en) Recyc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oil contaminated with mercury and dioxin
JP6431888B2 (ja) 放射性核種を含む廃イオン交換樹脂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81733B1 (ko) 방사형 다단 회전식 오염수 처리방법
JP2014074694A (ja) 放射性セシウム除去方法
JP2013088401A (ja) 廃棄物処理装置及び廃棄物処理方法
KR101707533B1 (ko) 방사성 핵종을 포함하는 폐이온 교환수지 처리방법
CN206524203U (zh) 移动式放射性物资焚烧处理系统
CN101732959A (zh) 一种烟气中重金属的捕集方法
JP2013174543A (ja) 廃棄物焼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