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9047B1 -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 - Google Patents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9047B1
KR101579047B1 KR1020157002250A KR20157002250A KR101579047B1 KR 101579047 B1 KR101579047 B1 KR 101579047B1 KR 1020157002250 A KR1020157002250 A KR 1020157002250A KR 20157002250 A KR20157002250 A KR 20157002250A KR 101579047 B1 KR101579047 B1 KR 101579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gas
peripheral side
turbine
internal combustion
combustion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2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622A (ko
Inventor
게이이치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1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22Control of the pumps by varying cross-section of exhaust passages or air passages, e.g. by throttling turbine inlets or outlets or by varying effective number of guid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7/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driven at least for part of the time by exhaust
    • F02B37/12Control of the pumps
    • F02B37/18Control of the pumps by bypassing exhaust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of turbine or to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5/00Blades; Blade-carrying members; Heating, heat-insulating, cooling or antivibration means on the blades or the members
    • F01D5/12Blades
    • F01D5/14Form or construction
    • F01D5/141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 F01D5/146Shape, i.e. outer, aerodynamic form of blades with tandem configuration, split blades or slotted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relating to, driven charging or scavenging pump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B33/00 - F02B37/0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F02C6/12Turbochargers, i.e. plants for augmenting mechanical power output of 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by increase of charg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8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number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e.g. sequentially operable valves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1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us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9/00Stators
    • F01D9/02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 F01D9/04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 F01D9/045Nozzles; Nozzle boxes; Stator blades; Guide conduits, e.g. individual nozzles forming ring or sector for radial flow machines or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20/00Application
    • F05D2220/40Application in turbocharg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percharger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터빈 효율을 향상시킴과 함께, 기관 부하에 따라 터빈 노즐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터빈 노즐 (25) 에 있어서, 외주측 부재 (25b)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 (44) 를 형성하고,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 (45) 를 형성하였다. 그리고, 내주 날개부 (45) 의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를, 외주 날개부 (44) 의 후방 가장자리부 (44b)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였다. 이로써, 터빈 노즐 (25)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을,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Description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TURBOCHARGER, TURBINE NOZZLE, AND SHIP}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선박용 내연 기관이나 발전용 내연 기관 등의 대형 내연 기관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의 저부하 운전이 활발하게 행해지고 있어, 선박용 내연 기관에 있어서는, 저부하시에 보다 높은 성능이 요구되고 있다.
이 때문에, 선박용 내연 기관이나 발전용 내연 기관 등의 대형 내연 기관과 조합하여 사용되는 터보 과급기로서는, 내측 케이싱과 외측 케이싱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터빈 노즐의 외주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 1 배기 가스 유로가 되도록 구성되고, 내측 케이싱의 내주측에, 제 1 배기 가스 유로 도중에서 분기된 배기 가스를 터빈 노즐의 내주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제 2 배기 가스 유로가 형성된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로써, 기관 부하에 따라 터빈 노즐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2 단계 (제 1 배기 가스 유로만 또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와 제 2 배기 가스 유로의 양방) 로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터보 과급기에 있어서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만으로부터 배기 가스를 터빈 노즐로 유도한 경우에, 배기 가스가, 제 1 배기 가스 유로와 제 2 배기 가스 유로를 가로막기 위해 터빈 노즐에 형성되어 있는 구획 부재 (내측 케이싱) 를 따라 터빈 노즐의 하류측으로 흐른다. 그 때문에, 터빈 노즐로부터 도출된 배기 가스가 터빈 동익 전체로 유도되지 않게 되어, 터빈 노즐에 구획 부재를 형성하지 않은 터보 과급기에 비해 터빈 효율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특허문헌 2 에는,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가 유도되는 터보 압축기의 터빈 노즐에, 그 반경 방향의 도중 위치에 구획 부재를 형성하여, 그 구획 부재의 외주측이 터빈 노즐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터빈 노즐의 내주측으로 경사지는 구성의 터보 과급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터보 과급기에 의하면, 구획 부재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터빈 노즐을 흐르는 배기 가스는, 구획 부재 외주측의 경사를 따라 터빈 노즐의 내주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로써, 터빈 노즐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를 터빈 동익 전체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부재의 외주측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터빈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522227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215129호
상기한 바와 같이, 터빈 노즐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를 터빈 동익 전체로 유도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구획 부재의 외주측을 경사지게 할 뿐만 아니라, 구획 부재 자체를 가능한 한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저부하시에 보다 높은 성능을 얻는다는 관점에서도, 구획 부재를 가능한 한 반경 방향 내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구획 부재 자체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키면, 구획 부재보다 반경 방향 내측의 제 2 배기 가스 유로의 폭이 좁아진다. 그러면, 구획 부재보다 내측의 노즐 날개 부분이, 구획 부재보다 외측의 노즐 날개 부분을 단순히 연장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경우, 제 2 배기 가스 유로의 면적이 작아진다. 그 결과,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된 배기 가스를, 제 1 배기 가스 유로에만 흘린 경우와, 제 1 배기 가스 유로와 제 2 배기 가스 유로의 양방에 흘린 경우에서 터빈 노즐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의 변화량이 작아진다. 그러면, 기관 부하에 따라 터빈 노즐에 유입되는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2 단계로 변화시킴에 따른 효과가 작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작게 한 경우의 터빈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관 저부하시에 있어서 최적의 배기 가스 유입 면적으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기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는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복수의 터빈 노즐과,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터빈 노즐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와,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이 특정 출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터빈 노즐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를 차단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스로트폭이란,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끼리, 내주 날개부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유로에 있어서, 외주 날개부끼리, 내주 날개부끼리의 간격이 가장 작아지는 부분의 간격 치수를 말한다.
외주 날개부와 내주 날개부는, 동일한 단면 형상이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한 경우, 터빈 노즐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끼리, 내주 날개부끼리의 간격은, 터빈 노즐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그러면,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끼리의 사이, 내주 날개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유로의 스로트폭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제 1 양태 및 제 2 양태에 관련된 터보 과급기에 의하면,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을,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함으로써, 내주측 부재와 구획 부재 사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로 면적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면, 구획 부재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설치해도, 내주측 부재와 구획 부재 사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적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과 상기 내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이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주 날개부와 내주 날개부를, 당초에는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하여,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해 두고, 그 후,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를 절삭한다. 그러면,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커진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과 상기 내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이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터보 과급기는,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면 되고,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작아도, 외주 날개부와 내주 날개부가 동일한 단면 형상이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상기 구성에 의해 충분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상기 외주 날개부의 장수보다, 상기 내주 날개부의 장수쪽이 적게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커진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의 터빈 동익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로 할 수도 있다. 이 터빈 노즐은,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터빈 노즐은, 이미 형성된 터보 과급기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선체에 내연 기관과, 상기한 바와 같은 터보 과급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터보 과급기에 의하면,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작게 한 경우의 터빈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관 저부하시에 있어서 최적의 배기 가스 유입 면적으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기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터보 과급기의 터빈측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터보 과급기에 구비한 터빈 노즐을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 는 도 2 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b 는 도 2 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터빈 노즐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위치와 스로트폭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배기 터빈 과급기의 일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5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터보 과급기의 터빈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터보 과급기에 구비한 터빈 노즐을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3a 는 도 2 의 D-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3b 는 도 2 의 E-E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F-F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는 터빈 노즐에 있어서의 반경 방향 위치와 스로트폭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보 과급기 (「배기 터빈 과급기」라고도 한다) (10) 는, 내연 기관 (도시 생략) 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밀도를 높인 공기를 내연 기관의 연소실 (도시 생략) 내로 강제적으로 보내는 것이다. 터보 과급기 (10) 는, 터빈 (20) 과 압축기 (도시 생략) 를 구비하고 있다.
터빈 (20) 은,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 (30) 과, 터빈 동익 (30) 으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 (25) 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터보 과급기는, 내연 기관과 함께 선체 (도시 생략) 에 탑재되어 선박을 구성한다.
터보 과급기 (10) 는, 터빈 (20) 에 도입한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가 팽창하여 얻어지는 축 출력에 의해 로터축 (31) 의 타단부에 배치된 압축기 (도시 생략) 를 회전시켜, 고밀도로 압축한 압축 공기를 내연 기관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축류식 터빈이다.
또한, 도 1 중에 격자상의 해칭으로 나타내는 부분은, 단열 및 방음의 목적으로 설치된 단열재 (11) 이다.
터빈 (20) 은, 내측 케이싱 (21) 과 외측 케이싱 (2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 내연 기관의 출력에 관계없이 배기 가스를 터빈 노즐 (25) 로 유도하기 위한 배기 가스 유로 (제 1 배기 가스 유로) (26) 가 되도록 구성된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2 중 구조의 가스 입구 케이싱 (27) 에서는, 배기 가스 유로 (26) 가 터빈 (20) 의 회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의 가스 입구 (27a) 로부터 도 1 중에 화살표 Gi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입된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유로 (26) 를 지나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의 가스 출구 (27b) 로 유도된 후, 도 1 중에 화살표 Go 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가스 출구 케이싱 (28) 의 출구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또, 가스 출구 (27b) 는, 회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터빈 노즐 (25) 로 배기 가스를 공급하도록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 터빈 (20) 은, 로터축 (31) 의 일단부에 형성된 로터 디스크 (32) 와, 이 로터 디스크 (32) 의 주연부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된 다수의 터빈 동익 (30) 을 구비하고 있다. 터빈 동익 (30) 은, 터빈 노즐 (25) 의 출구가 되는 하류측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터빈 노즐 (25) 로부터 분출되는 고온의 배기 가스가 터빈 동익 (30) 을 통과하여 팽창함으로써, 로터 디스크 (32) 및 로터축 (31) 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가스 입구 케이싱 (27) 에 있어서, 내측 케이싱 (21) 의 일단부는, 외측 케이싱 (22) 의 일단부에 체결 수단 (예를 들어, 스터드 볼트 (23) 및 너트 (24)) 에 의해 고정 지지되어 있다. 즉, 내측 케이싱 (21) 은, 로터 디스크 (32) 의 반대측이 되는 지면 우측의 케이싱 단부 (端部) 에 형성된 플랜지면 (21a) 과, 이 플랜지면 (21a) 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외측 케이싱 (22) 의 플랜지면 (22a) 을 중첩시킨 상태로 하고, 이 상태에서 체결 수단 (예를 들어, 너트 (24)) 을 단단히 조여 감으로써 고정 지지되어 있다. 이들 플랜지면 (21a, 22a) 은 모두 로터 디스크 (32) 와 일체로 회전하는 로터축 (31) 의 축 방향과 직교하는 면으로 되어 있다.
내측 케이싱 (21) 의 내주측 (반경 방향 내측) 에는, 내연 기관의 출력이 특정 출력 이상일 때에만 배기 가스 유로 (26) 도중에서 분기된 배기 가스를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 (반경 방향 내측) 으로 유도하는 배기 가스 유로 (제 2 배기 가스 유로) (36) 가, 터빈 (20) 의 회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 가스 유로 (36) 는, 배기 가스 유로 (26) 의 내주측 (반경 방향 내측) 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기 가스 유로 (26) 와 배기 가스 유로 (36) 는, 내측 케이싱 (21) 에 형성된 격벽 (37) 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또, 내측 케이싱 (21) 의 일단 내주부 (일단부 내주측) 에는, 배관 (38) 을 접속시키기 위한 플랜지 (39) 가 형성되어 있다. 배관 (38) 의 도중에는, 제어 장치 (40) 에 의해 자동적으로 개폐되는 개폐 밸브 (예를 들어, 버터플라이 밸브) (41) 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유로 (26) 도중에서 분기된 배기 가스는, 플랜지 (39) 및 배관 (38) 을 지나 내주측 배기 가스 유로 (36) 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노즐 링이라고 불리며 터빈 노즐 (25) 을 형성하는 링상 부재는,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 (25a) 와, 내주측 부재 (25a) 보다 큰 내경을 가진 원통상이며, 내주측 부재 (25a) 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 (25b) 와, 내주측 부재 (25a) 와 외주측 부재 (25b) 사이에 동심상으로 형성된 원통상의 구획 부재 (42) 를 구비한 2 중 링 구조로 되어 있다. 구획 부재 (42) 는, 배기 가스 유로 (26) 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와 배기 가스 유로 (36) 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를 차단한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 부재 (25a) 는, 내측 케이싱 (21) 의 타단 (로터 디스크 (32) 측 단부) 내주부 (타단부 내주측) 에 볼트 (35) 를 통하여 결합되어 (장착되어) 있다.
한편, 터빈 노즐 (25) 의 외주측 부재 (25b) 는, 가스 입구측 (가스 출구 (27b) 측) 의 단부 내주면 (25c) 이 나팔 형상으로 확경되어 있다. 또, 외측 케이싱 (22) 의 로터 디스크 (32) 측 단부에는, 외측 케이싱 (22) 의 내주면을 로터 디스크 (32) 의 방향으로 절곡하도록 하여 형성된 단차부 (22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부 (22b) 와, 노즐 링의 가스 입구측 단부에 형성된 단차부 (25d) 가 축 방향에서 걸어맞춰지도록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 링의 외주측 부재 (25b) 에는, 가스 출구측 (터빈 동익 (30) 측)이 되는 단부에 가스 안내통 (29) 이 연결되어 있다. 노즐 링의 외주측 부재 (25b) 와 가스 안내통 (29) 의 연결부는, 서로의 단부끼리를 끼워맞춘 스피곳 구조로 되어 있다.
구획 부재 (42) 의 내주면 (42a) 은, 터빈 노즐 (25) 의 루트측 (노즐 링의 내주측 부재 (25a) 측) 에 있어서, 격벽 (37) 의 내주면 (반경 방향 내측의 표면) (37a) 에 연속되는 면을 형성함과 함께, 로터축 (31) 및 노즐 링의 내주측 부재 (25a) 와 대략 평행하게 되어 있다.
또,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외주측) (42b) 은, 배기 가스 유로 (26) 로부터 외주측 터빈 노즐 (25) 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 (도 1 에 있어서 우측에서 좌측) 을 향하여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으로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주측 터빈 노즐 (25) 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은, 그 테이퍼 각도가, 예를 들어 20°정도로 되어 있다.
또, 구획 부재 (42) 는, 외주측 부재 (25b)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형성되는 스로트 면적과,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형성되는 스로트 면적의 비가, 예를 들어 9 : 1 (90 % : 10 %) 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노즐 (25) 에 있어서, 외주측 부재 (25b)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 (44) 가 형성되고,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 (45) 가 형성되어 있다. 외주 날개부 (44) 에는 배기 가스 유로 (26) 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고, 내주 날개부 (45) 에는 배기 가스 유로 (36) 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한다.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날개부 (44) 및 내주 날개부 (45) 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을 향한 날개 표면 (44s, 45s) 이,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오목해지는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또, 외주 날개부 (44) 및 내주 날개부 (45) 에 있어서,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을 향한 날개 표면 (44t, 45t) 이, 흐름 방향 하류측으로 볼록해지는 만곡면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외주 날개부 (44) 와 내주 날개부 (45) 는, 날개 표면 (44s, 44t) 의 형상과 내주 날개부 (45) 의 날개 표면 (45s, 45t) 의 형상이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두고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도 3a, 도 3b 및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주 날개부 (44) 의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의 전방 가장자리부 (44f) 와, 내주 날개부 (45) 의 전방 가장자리부 (45f) 는,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주 날개부 (45) 의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하류측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는, 외주 날개부 (44) 의 후방 가장자리부 (44b)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도 3a 및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빈 노즐 (25)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 유로의 최협폭의 값, 즉 스로트폭 (S1) 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내주 날개부 (45) 를 형성하려면, 예를 들어, 외주 날개부 (44) 와 내주 날개부 (45) 를, 당초에는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하여,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해 두고, 그 후, 내주 날개부 (45) 의 후방 가장자리를 절삭한다. 그러면, 내주 날개부 (45) 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가, 외주 날개부 (44) 의 후방 가장자리부 (44b)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한다. 이로써,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이,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커진다.
물론, 이와 같이, 내주 날개부 (45) 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를 나중에 절삭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소정 치수로 형성해도 된다. 이 터빈 노즐 (25) 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는 전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터보 과급기 (10) 에 있어서의 배기 가스의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부하가 낮고, 배기 가스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개폐 밸브 (41) 가 전체 폐쇄 상태가 되고, 내연 기관의 부하가 높고, 배기 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 개폐 밸브 (41) 가 전체 개방 상태가 된다.
즉, 내연 기관의 부하가 낮고, 배기 가스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의 가스 입구 (27a) 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의 전체량이, 배기 가스 유로 (26) 를 지나 외주측 가스 출구 (27b) 로 유도된다. 외주측 가스 출구 (27b) 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가스 출구 (27b) 로부터 터빈 노즐 (25) 의 외주측 (외주측 부재 (25b) 과 구획 부재 (42) 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 내) 으로 유도된다.
터빈 노즐 (25) 의 외주측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터빈 노즐 (25) 에 형성되어 있는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이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의 테이퍼 형상을 따라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을 향하여 흐른다. 그 때문에, 터빈 노즐 (25) 의 하류측으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전체에 걸쳐 유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빈 동익 (30) 전체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을 통과할 때에 팽창하여 로터 디스크 (32) 및 로터축 (31) 을 회전시킨다.
한편, 내연 기관의 부하가 높고, 배기 가스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의 가스 입구 (27a) 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 대부분 (예를 들어, 약 70 ∼ 95 %) 이, 배기 가스 유로 (26) 를 지나 외주측 가스 출구 (27b) 로 유도되고, 가스 입구 케이싱 (27) 의 가스 입구 (27a) 로부터 도입된 배기 가스의 일부 (약 5 ∼ 30 %) 가, 플랜지 (39), 배관 (38), 개폐 밸브 (41), 배기 가스 유로 (36) 를 지나 내주측 가스 출구 (36a) 로 유도된다.
외주측 가스 출구 (27b) 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회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개구되는 가스 출구 (27b) 로부터 터빈 노즐 (25) 의 외주측 (외주측 부재 (25b) 와 구획 부재 (42) 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 내) 으로 유도된다.
터빈 노즐 (25) 의 외주측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테이퍼 형상의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을 따라 흐른다. 그 때문에, 터빈 노즐 (25) 의 하류측으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전체에 걸쳐 유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빈 동익 (30) 전체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을 통과할 때에 팽창하여 로터 디스크 (32) 및 로터축 (31) 을 회전시킨다.
한편, 내주측 가스 출구 (36a) 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회전 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개구되는 가스 출구 (36a) 로부터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에 의해 나누어진 공간 내) 으로 유도된다. 이 때,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이,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량은, 스로트폭 (S1) 을 스로트폭 (S2) 이하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증대된다.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터빈 노즐 (25) 에 형성되어 있는 구획 부재 (42) 의 내주면 (42a) 을 따라 흐른다. 그 때문에, 터빈 노즐 (25) 의 하류측으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의 내주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빈 동익 (30) 의 내주측으로 유도된 배기 가스는, 터빈 동익 (30) 을 통과할 때에 팽창하여 로터 디스크 (32) 및 로터축 (31) 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배기 가스가 터빈 동익 (30) 을 통과할 때에 팽창하여 로터 디스크 (32) 및 로터축 (31) 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터축 (31) 의 타단부에 형성된 압축기가 구동되어, 내연 기관에 공급하는 공기가 압축된다.
또한, 압축기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는, 필터 (도시 생략) 를 통하여 흡입되고, 터빈 동익 (30) 에 의해 팽창된 배기 가스는, 가스 안내통 (29) 및 가스 출구 케이싱 (28) 으로 유도되어 외부로 유출된다.
또, 개폐 밸브 (41) 는, 예를 들어, 압축기로부터 송출 (토출) 되는 공기의 압력 또는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절대 압력으로 예를 들어 0.2 ㎫ (2 bar) 보다 낮은 경우, 즉 내연 기관이 저부하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 전체 폐쇄 상태가 되고, 압축기로부터 송출 (토출) 되는 공기의 압력 또는 내연 기관의 연소실에 공급되는 공기의 압력이 절대 압력으로 예를 들어 0.2 ㎫ (2 bar) 이상인 경우, 즉 내연 기관이 고부하 운전되고 있는 경우에 전체 개방 상태가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을,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하였다.
외주 날개부 (44) 와 내주 날개부 (45) 를 동일한 단면 형상이며,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한 경우, 터빈 노즐 (25) 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의 간격은, 터빈 노즐 (25) 의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그러면, 도 5 중의 이점 쇄선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의 사이,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의 사이에 형성되는 배기 가스 유로의 스로트폭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에 반해, 상기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을,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함으로써,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증대된다. 그러면, 외주 날개부 (44) 와 내주 날개부 (45) 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하여,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연속해서 형성한 경우와 비교하여, 구획 부재 (42) 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시켜 설치해도, 내주측 부재 (25a) 와 구획 부재 (42) 사이를 흐르는 배기 가스의 유량이 적어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터빈 효율을 향상시키면서, 기관 부하에 따라 터빈 노즐 (25) 로 유입되는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명확하게 2 단계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외주측) (42b) 이 터빈 노즐 (25) 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으로 경사지는 것으로 하였다. 그 때문에, 구획 부재 (42) 보다 반경 방향 외측의 터빈 노즐 (25) 을 흐르는 배기 가스는,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을 따라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이로써, 터빈 노즐 (25) 로부터 도출되는 배기 가스를 터빈 동익 (30) 전체로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을 경사지게 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터빈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배기 가스 유입 면적을 작게 한 경우의 터빈 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기관 저부하시에 최적의 배기 가스 유입 면적으로 전환한 상태에서의 기관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필요에 따라 변형 실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의 테이퍼 각도를 20°정도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터빈 노즐 (25) 의 하류측으로부터 터빈 동익 (30) 으로 유도되는 배기 가스가 터빈 동익 (30) 전체로 유도되는 각도라면 몇 도여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구획 부재 (42) 의 외주면 (42b) 이 터빈 노즐 (25) 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점차 하강 경사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개폐 밸브 (41) 를 닫았을 때 하류측을 향하여 배기 가스의 흐름을 터빈 노즐 (25) 의 내주측으로 유도하는 형상, 예를 들어, 원추면상이거나 곡면상이라 하더라도, 터빈 노즐 (25) 을 통과한 배기 가스가 터빈 동익 (30) 의 루트측으로 유도되는 형상이면 된다.
게다가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축류 터빈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지만, 원심식/사류식 터빈이나 파워 터빈 등의 회전 기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터보 과급기 (10) 는, 내주 날개부 (45) 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가, 외주 날개부 (44) 의 후방 가장자리부 (44b)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라면,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이,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이,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작아도, 내주 날개부 (45) 의 후방 가장자리부 (45b) 가, 외주 날개부 (44) 의 후방 가장자리부 (44b) 보다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외주 날개부 (44) 와 내주 날개부 (45) 가 동일한 단면 형상이며, 구획 부재 (42) 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면, 충분한 작용 효과가 얻어지기 때문이다.
또, 둘레 방향을 따른 외주 날개부 (44) 의 장수보다, 내주 날개부 (45) 의 장수가 적게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서도, 내주 날개부 (45, 45)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1) 이, 외주 날개부 (44, 44) 끼리 사이의 스로트폭 (S2) 보다 커져,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터보 과급기 (10) 전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에 나타낸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한 바와 같은 터빈 노즐 (25) 은, 이미 형성된 터보 과급기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로써, 터빈 노즐 (25) 을 장착하는 것만으로, 이미 형성된 터보 과급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10 : 터보 과급기
20 : 터빈
21 : 내측 케이싱
22 : 외측 케이싱
25 : 터빈 노즐
25a : 내주측 부재
25b : 외주측 부재
26 : 배기 가스 유로 (제 1 배기 가스 유로)
27 : 가스 입구 케이싱
27a : 가스 입구
27b : 가스 출구
28 : 가스 출구 케이싱
30 : 터빈 동익
36 : 배기 가스 유로 (제 2 배기 가스 유로)
36a : 가스 출구
37 : 격벽
42 : 구획 부재
44 : 외주 날개부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
44b : 후방 가장자리부
44f : 전방 가장자리부
44s, 44t : 날개 표면
45 : 내주 날개부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
45b : 후방 가장자리부
45f : 전방 가장자리부
45s, 45t : 날개 표면

Claims (7)

  1.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복수의 터빈 노즐과,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터빈 노즐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와,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이 특정 출력 이상일 때에만 상기 터빈 노즐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를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를 차단하는 구획 부재와,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와,
    상기 제 2 배기 가스 유로로부터 유도된 배기 가스가 통과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과급기.
  2.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과급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과 상기 내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이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과급기.
  4.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로서,
    상기 터보 과급기에 형성된 터빈은,
    상기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터빈 동익과,
    그 터빈 동익으로 상기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을 구비하고,
    상기 터빈 노즐은,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획 부재를 사이에 둔 내주측과 외주측에서, 상기 외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과 상기 내주 날개부의 날개 표면 형상이 연속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가, 상기 외주 날개부의 후방 가장자리부보다 상기 배기 가스의 흐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과급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을 따른 상기 제 1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의 장수보다, 상기 제 2 배기 가스 유로측 날개부의 장수쪽이 적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 과급기.
  6. 내연 기관의 연소용 공기를 압축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로 보내는 터보 과급기의 터빈 동익의 상류측에 배치되고, 상기 터빈 동익으로 배기 가스를 유도하는 터빈 노즐로서,
    원통상의 내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보다 큰 내경을 갖고, 상기 내주측 부재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된 외주측 부재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 사이에 형성된 구획 부재와,
    상기 외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외주 날개부와,
    상기 내주측 부재와 상기 구획 부재 사이에,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 장의 내주 날개부를 구비하고,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내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이, 둘레 방향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외주 날개부끼리 사이의 스로트폭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빈 노즐.
  7. 선체에 내연 기관과,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보 과급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KR1020157002250A 2013-09-11 2014-08-21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 KR101579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8215 2013-09-11
JP2013188215A JP5960105B2 (ja) 2013-09-11 2013-09-11 ターボ過給機、タービンノズル及び船舶
PCT/JP2014/071907 WO2015037410A1 (ja) 2013-09-11 2014-08-21 ターボ過給機、タービンノズル及び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622A KR20150041622A (ko) 2015-04-16
KR101579047B1 true KR101579047B1 (ko) 2015-12-18

Family

ID=5259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2250A KR101579047B1 (ko) 2013-09-11 2014-08-21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873830A4 (ko)
JP (1) JP5960105B2 (ko)
KR (1) KR101579047B1 (ko)
CN (1) CN104718361B (ko)
WO (1) WO20150374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87934A (zh) * 2018-05-10 2018-09-04 游涛 螺旋管形涡轮及涡轮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9736A (ja)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ボ過給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2274B2 (ko) 1972-07-10 1977-06-16
DE3375419D1 (en) * 1982-04-29 1988-02-25 Bbc Brown Boveri & Cie Turbo charger with a sliding ring valve
SU1480776A3 (ru) * 1985-02-20 1989-05-15 Ббц Аг Браун, Бовери Унд Ко. (Фирма) Турбонагнетатель двигател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
DE19615237C2 (de) * 1996-04-18 1999-10-28 Daimler Chrysler Ag Abgasturbolader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JP5222274B2 (ja) * 2009-02-18 2013-06-2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軸流タービンを備えたターボ過給機
JP5342594B2 (ja) 2011-03-31 2013-11-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ーボ過給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9736A (ja) 2011-12-28 2013-07-18 Mitsubishi Heavy Ind Ltd ターボ過給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73830A4 (en) 2015-07-22
JP2015055174A (ja) 2015-03-23
EP2873830A1 (en) 2015-05-20
KR20150041622A (ko) 2015-04-16
CN104718361A (zh) 2015-06-17
JP5960105B2 (ja) 2016-08-02
CN104718361B (zh) 2016-08-24
WO2015037410A1 (ja) 2015-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19518B2 (en) Adjustable-trim centrifugal compressor with ported shroud, and turbocharger having same
JP6067095B2 (ja) 遠心圧縮機
KR101370117B1 (ko) 터보 과급기
US9638201B2 (en) Machined aerodynamic intercompressor bleed ports
JP5369723B2 (ja) 遠心圧縮機
JP2009047163A (ja) 効率範囲が広い出力タービンを備えた内燃機関装置
US9938894B2 (en) Turbocharger with variable-vane turbine nozzle having a bypass mechanism integrated with the vanes
WO2018146753A1 (ja) 遠心圧縮機、ターボチャージャ
JP2012255440A5 (ko)
KR101965086B1 (ko) 컴프레서, 이것을 구비한 과급기, 및 컴프레서의 스로트 통로 폭 조정 방법
KR101529411B1 (ko) 터보 과급기
KR101579047B1 (ko) 터보 과급기, 터빈 노즐 및 선박
JP4438524B2 (ja) 過給機
KR20150117690A (ko) 축류 전환 베인들을 구비한 터보차저 내부 터빈 열실드
KR101443019B1 (ko) 터보 과급기
JP5781461B2 (ja) 圧縮機
KR101834672B1 (ko) 터빈, 터보과급기, 내연기관, 및 선박
JP6101297B2 (ja) タービン及びターボ過給機
KR102632033B1 (ko) 과급기의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과급기
JP2011169233A (ja) タービンの可変ノズ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