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981B1 -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981B1
KR101578981B1 KR1020130168680A KR20130168680A KR101578981B1 KR 101578981 B1 KR101578981 B1 KR 101578981B1 KR 1020130168680 A KR1020130168680 A KR 1020130168680A KR 20130168680 A KR20130168680 A KR 20130168680A KR 101578981 B1 KR101578981 B1 KR 10157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rn
fermented
pi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6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0263A (en
Inventor
김인호
조진호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981B1/en
Publication of KR20150080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2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9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50/00Feeding-stuff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Bird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 발효물을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대신에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함으로써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cor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breeding pigs using the feed composi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ontaining corn,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digestibility of energy by replacing corn with corn, and reducing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produced in excrement,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breeding pigs using the composition.

Description

옥수수 발효물을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corn,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fermented corn,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using pig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옥수수 발효물을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대신에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함으로써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돼지의 사육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omprising a fermented product of corn,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breeding pigs using the feed composition.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ontaining corn, Which is capable of improving the digestibility of energy by replacing corn with corn, and reducing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produced in excrement,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composition, and a method for breeding pigs using the composition.

곡물들은 돼지 사료에서의 주된 성분이다. 따라서, 동물생산의 비용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곡물들은 미생물학적 발효에 대한 기질로서 대장에서 사용될 수 있는 부분적으로 용해가능한 식용 세포벽 다당류를 높은 비율로 포함하고 있다. 곡물의 발효는 후장에서 암모니아 생산을 제한할 수 있는 가수분해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단백질과 전분의 소화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곡물의 발효는 사료에서 항영양소를 감소시킴으로써 영양소 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Grains are the main ingredient in pig feed. Thus, it has a serious effect on the cost of animal production. The grains contain a high proportion of partially soluble edible cell wall polysaccharides that can be used in the large intestine as a substrate for microbiological fermentation. Grain fermentation can increase the digestibility of protein and starch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hydrolytic enzymes, which can limit ammonia production in the posterior. On the other hand, grain fermentation can improve nutrient utilization by reducing antinutrients in feed.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에너지 함량이 높은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대신에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한 후 돼지의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 및 배설물의 유해 가스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한 경우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resent inventors measured the growth rate, nutrient digestibility and noxious gas components of pigs after replacing fermented corn instead of fermented corn which is generally used in feed compositions containing high energy cor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gestion efficiency of energy when the fermented corn is replaced with corn, and to reduce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generated in the excrement, thereby completing the present inven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1-0015694(2001.02.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1-0015694 (Mar. 26, 2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568689(2006.03.31.)Korean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568689 (March 31, 2006)

본 발명의 목적은 에너지 소화율이 개선되고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energy digestibility and reducing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generated in excr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the feed breed feed com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사용하여 돼지를 사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breeding pigs using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 발효물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comprising 5 to 3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cor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옥수수는 돼지의 영양소 공급을 위한 사료 내 에너지 공급원 중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주로 사용되는 곡물이다.
Corn is a grain mainly used as a carbohydrate source among feed energy sources for pigs' nutrient supply.

에너지는 심장의 운동, 혈압과 근육기낭의 유지, 신경자극의 전달, 막을 통한 이온의 교환, 신장의 재흡수, 단백질과 지방의 합성, 유즙분비 등 가축의 생산과 생명현상의 모든 과정에 요구되므로 에너지 요구량도 그 각각의 돼지의 생산기능에 따라 다르다. 기본적인 유지 요구량에 각각의 생산 기능에 맞게 생산 요구량을 결정하여 총 요구량을 설정해야 한다. 육성돈의 경우에는 성장 향상을 위한 고에너지 사료가 급여되어야 한다.
Energy is required for all processes of the production of livestock such as exercise of the heart, maintenance of the blood pressure and muscle bag, transmission of the nerve stimulation, ion exchange through the membrane, renal resorption, protein and fat synthesis, The energy demand also depends on the production function of each pig. It is necessary to set the total demand amount by determining the production requirement amount according to each production function at the basic maintenance requirement amount. In the case of breeding pigs, high energy feed should be fed to improve growth.

에너지는 일반적으로 양돈 사료에서 많은 요구량으로 인해 가장 비싼 영양소이며, 기타 영양소의 경우 단위당 비용은 더 비싸지만 사료 내에 상대적으로 소량 존재한다. 따라서, 영양학자들은 돼지의 능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가능한 한 낮은 수준의 사료비용 유지를 위해 에너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Energy is generally the most expensive nutrient due to the high demand in pig feed, while the cost per unit is higher for other nutrients, but is relatively small in feed. Therefore, nutritionists focus on energy to keep feed costs as low as possibl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ig's ability.

사료에 있어 탄수화물과 지방 그리고 단백질(아미노산)의 3가지 공급원이 주로 에너지 공급원으로 사용된다. 동물에게 일반적으로 에너지 공급원의 관점으로 보면, 탄수화물이 가장 중요한 에너지 공급원이다.
In feed, three sources of carbohydrates, fats and proteins (amino acids) are used primarily as energy sources. Carbohydrates are the most important energy source from an energy source perspective, generally for animals.

옥수수는 돼지 사료의 주요한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특히 에너지 함량이 높고 Ca 함량이 낮고 P의 이용성이 비교적 낮으며, 나이아신의 함량은 높으나 돼지에서는 그 이용성이 낮다. 그리고 조단백질, 라이신, 트립토판, 비타민 D, 리보플라민, 엽산 등의 함량이 비교적 낮은 사료 원료이다.
Corn is a major source of carbohydrates in pig feeds, especially those with high energy, low Ca, low availability of P, high niacin content but low availability in pigs. And low crude protein, lysine, tryptophan, vitamin D, riboflamine, and folic acid.

한편, 양돈 사육은 가축에게 유해한 많은 양의 황화수소와 다른 유해한 가스를 유발하여 심한 호흡기성 질병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황화수소는 700ppm을 초과하게 되면 혈액 중에서의 산화능력을 초과하게 되어 신경세포를 공격하여 신경독성작용을 일으키는 유독 가스이다. 황화수소의 농도가 20~30ppm이 되면 후각신경세포가 피로하게 되며 그 이상의 농도로 증가되어도 농도증가를 느끼지 못하게 되며, 100~200ppm의 농도로 되면 후각신경이 마비되어 황화수소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되며, 보다 높은 농도의 황화수소에 대한 경계도 저하되어 위험으로부터 탈출할 기회를 잃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양돈농장에서 가축의 배설물을 이송하는 배관이 막혀 돈분을 제거하거나 정화조를 청소하는 작업 도중 돈분에서 발생한 황화수소(H2S)에 질식되어 사망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돼지 사육에 있어 돼지의 배설물로부터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줄이는 것은 특히 중요하다.
Swine farming, on the other hand, can cause severe respiratory illness by causing large amounts of hydrogen sulphide and other harmful gases harmful to livestock. In particular, when hydrogen sulfide exceeds 700 ppm, it exceeds the oxidizing ability in the blood, which is a toxic gas that attacks neurons and causes neurotoxic ac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s 20 ~ 30ppm, the olfactory neurons become fatigued. If the concentration of hydrogen sulfide is increased to a concentration higher than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olfactory neuron does not increase. When the concentration of oxygen is 100 ~ 200ppm, The boundaries for high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phide are also lowered and the opportunity to escape from the risk is lost. For this reason, there are frequent fatalities due to suffocation from hydrogen sulfide (H 2 S) generated from swine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swine and cleaning the septic tank by clogging pipelines transporting livestock excreta from swine farms. Therefore,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reduce the production of hydrogen sulfide from pig excrement in pig breeding.

이에 본 발명에서는 에너지 함량이 높은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대신에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함으로써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최초로 규명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nergy digestibility by replacing fermented corn instead of the fermented corn which is generally used in a feed composition containing corn having a high energy content, and to reduce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generated in the excrement And fin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mpleted.

본 발명에서, 옥수수 발효물은 증자한 옥수수에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ed corn may be obtained by inoculating microorganisms into the fermented corn and fermenting the fermented corn.

본 발명에서,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증자한 옥수수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것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fermented product is prepared by adding the cornstarch to Bacillus subtilis subtilis ) or Aspergillus niger niger ) strain.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증자하기 전에 수(water) 중에서 일정 기간 동안 침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침지시 침지 온도는 상온, 구체적으로 15 내지 30℃의 범위일 수 있고, 침지 시간은 30분 내지 3시간일 수 있다. 상기 침지 과정을 통해 증자시킨 후 얻은 옥수수 증자물 내 수분 함유량을 높여 이후 발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can be immersed in wat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efore the growth. Preferably, the immersion temperature during immersion may be in the range of room temperature, specifically 15 to 30 DEG C, and the immersion time may be 30 minutes to 3 hours. The moisture content in the corn steep liquor obtained after the steeping process is increased to improve the fermentation efficiency afterwards.

본 발명에서, 상기 옥수수의 증자는 60 내지 100℃에서 30분 내지 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may be grown at 60 to 100 DEG C for 30 minutes to 3 hours.

본 발명에서, 발효 균주의 접종량은 균주의 종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1×102 내지 1×105 cfu/g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oculation amount of the fermentation strain may vary from 1 x 10 2 to 1 x 10 5 cfu / g, depending on the type of strain and the like.

본 발명에서, 상기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건에서 발효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얻은 옥수수 발효물 내에 적정량의 미생물 수를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ermentation can be carried out at 20 to 40 DEG C for 24 to 72 hou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microorganisms can be secured in the fermented corn finally obtained by fermentation under the above conditions.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옥수수를 증류수에 1시간 동안 침지한 후, 60-70℃에서 1시간 동안 증자하여 증자된 곡물을 얻은 다음, 여기에 1×103 cfu/g의 초기 개수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2-19x 접종물을 혼합하여 25℃에서 42 시간 동안 발효시켜 옥수수 발효물을 얻을 수 있었다.
Specifically,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n i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for 1 hour, and then it is heated at 60-70 ° C for 1 hour to obtain the expanded cereal. Thereafter, an initial of 1 × 10 3 cfu / g Number of Bacillus subtilis subtilis ) 2-19x inoculum was fermented at 25 ° C for 42 hours to obtain fermented corn.

본 발명에서,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최종적으로 발효 균주를 1×105 내지 1×1012 cfu/g 정도까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ermented corn finally contains fermentation strains at about 1 × 10 5 to 1 × 10 12 cfu / g.

본 발명은 상기 옥수수 발효물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혼합하여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ixed with the above fermented corn to prepare a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탄수화물성 농후사료로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 발효물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에너지 소화율 개선 및 배설물 황화수소 발생량 감소 측면에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기로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1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is a carbohydrate-rich fee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corn ingredient, and comprises 5 to 30 parts by weight of corn fermented produc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In particular, the fermented corn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2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ntire feed composition, in view of improvement in energy digestibility and reduction in the amount of excreted hydrogen sulfide. Most preferably, the corn fermentation produc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1 parts by weigh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전체 사료 조성물 중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의 함량인 57.05 중량%를 기준으로 이의 10 중량%, 20 중량% 및 30 중량%의 양을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하여, 즉 전체 사료 조성물 중 5.7 중량%, 11.41 중량% 및 17.1 중량%에 해당하는 양의 발효된 옥수수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육성돈에게 급여한 다음 에너지 소화율 및 배설물 황화수소 발생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만을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성돈에 비하여 발효된 옥수수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성돈에서 에너지 소화율이 더욱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실시예 4, 표 4), 배설물 황화수소 발생량은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실시예 4, 표 5). 특히, 11.41 중량%의 발효된 옥수수를 포함하는 사료 조성물을 급여한 육성돈에서 에너지 소화율이 가장 크게 향상되었고 배설물 황화수소 발생량은 더욱 감소되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20% and 30% by weight of the total feed composition is replaced with fermented corn based on 57.05% by weight of the unfermented corn, Fermented corn in an amount corresponding to 5.7% by weight, 11.41% by weight and 17.1% by weight was prepared, fed to the grower, and the energy digestibility and the amount of fecal hydrogen sulfide produced were measured. As a result, (Example 4, Table 4), and the amount of fecal hydrogen sulfide produced was further reduced in the breeding pigs fed the fee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corn compared with the breeding pigs fed the feed composition containing the fermented corn (Example 4, Table 5). In particular, the energy digestibility was greatly improved and the amount of fecal hydrogen sulfide generated was further reduced in the seedlings fed with the feed composition containing 11.41% by weight of fermented corn.

본 발명에서,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발효물 이외에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밀, 당밀, 우지, 인산칼슘, 및 소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may include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in addition to the fermented corn, and further includes wheat, molasses, tallow, calcium phosphate, and salt .

본 발명에서, 옥수수 발효물 이외에 사용되는 옥수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로서 증자한 것이나 증자하지 않은 것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옥수수는 본 발명의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이에 따라 옥수수는 적정량 이상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옥수수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orn used in addition to the corn fermentation product may be any of those which are not fermented and which are not fermented. As described above, corn is used as a carbohydrate source of the growth fee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orn is contained in an amount exceeding the proper amount. In the present invention, corn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0 to 5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대두박은 대두에서 기름을 추출하고 난 부산물로서 조단백질 함량이 44~50% 정도로 높을 뿐만 아니라 아미노산이 균형되어 부족된 단백질과 아미노산 결합을 보충해 준다. 본 발명에서, 대두박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4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oybean meal is used as a protein source of the growth feed composition. Soybean meal is a byproduct of oil extraction from soybean, which has a high crude protein content of 44 ~ 50%, and it also compensates amino acid and amino acid bonds. In the present invention, soybean meal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0 to 4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소맥피는 곡류가공 부산물로서 기호성 향상을 위한 첨가물이다. 소맥피는 기호성이 좋아서 오래전부터 가축 사료로 이용되어져 왔으며 조단백질 함량이 15~16% 정도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at bran is an additive for improving the taste as a by-product of cereal processing. Wheat bran has been used as livestock feed for a long time since it has good palatability and crude protein content is about 15 ~ 16%.

본 발명에서, 석회석은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칼슘 보급을 위해 사용되는 사료용 석회석으로서, CaCO3의 함량이 높을수록 좋고, 100-200 메쉬(mesh)의 입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limestone is a feed limestone used for calcium supplementation of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ent of CaCO 3 is higher, and the particle size of 100-200 mesh is preferable.

본 발명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육성돈에게 필요한 비타민을 사료의 배합 시 원료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미리 제조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돼지에 있어서 비타민은 그 요구량이 극히 적지만 체내에서 각각 고유한 역할을 하는 유기물로서 모든 동물세포의 정상적인 대사작용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이러한 비타민은 지용성비타민과 수용성비타민으로 나누어진다. 지용성 비타민에는 비타민A, D, E, K가 있으며, 수용성비타민에는 비타민 B군(티아민, 리보플라민, 나이아신, 판토테닉산, 비타민 B6, 콜린, 폴라신, 비타민 B12)과 비타민 C가 있다. 이들 비타민류는 사료의 가공이나 저장의 단계에서 광선, 온도, 효소, 산소 등의 작용에 의해서 분해되기 쉽고 그 역가가 저하되기 쉽기 때문에 사료의 배합 시 첨가해줄 필요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vitamin premix refers to a mixture prepared in advance by mixing vitamins necessary for breeding pigments with raw materials at the time of blending feeds. Vitamins in pigs are extremely small, but they are essential for the normal metabolism of all animal cells. These vitamins are divided into fat-soluble vitamins and water-soluble vitamins. There are vitamins A, D, E and K in fat-soluble vitamins. Vitamin B group (thiamine, riboflamine, niacin, pantothenic acid, vitamin B6, choline, polacin and vitamin B12) and vitamin C are contained in water-soluble vitamins. These vitamins are easily decomposed by action of light rays, temperature, enzymes, oxygen and the like at the stage of processing or storage of the feed, and their potency is likely to be lowered.

본 발명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비타민들의 적정 혼합 비율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타민 프리믹스는 전체 사료 1kg 당 비타민 A, 10,000 IU; 비타민 D3, 2000 IU; 비타민 E, 42 IU; 비타민 K, 5 mg; 리보플라빈, 2400 mg; 비타민 B2, 9.6 mg; 비타민 B6, 2.45 mg; 비타민 B12, 40 μg; 나이아신, 49 mg; 판토텐산, 27 mg; 및 비오틴, 0.05 mg을 제공하는 양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vitamin premixes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nd suitable mixing ratios of the respective vitamins are known in the art.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vitamin premix contains vitamin A, 10,000 IU per kilogram of whole feed; Vitamin D3, 2000 IU; Vitamin E, 42 IU; Vitamin K, 5 mg; Riboflavin, 2400 mg; Vitamin B2, 9.6 mg; Vitamin B6, 2.45 mg; Vitamin B12, 40 μg; Niacin, 49 mg; Pantothenic acid, 27 mg; And biotin, 0.05 mg, were used.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육성돈에게 필요한 미네랄을 사료의 배합 시 원료들과 혼합이 용이하게 미리 제조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미네랄은 돼지의 체내에서 골격을 형성하고 또 대사과정 중에서 중요한 영양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미네랄은 가축의 체내에 분포되어있는 정도에 따라 그 요구량이 달라질 수 있는데, 보통 Ca, P, Na, Cl, K, Mg의 요구량은 많으며, Fe, Zn, I, Se, Mn, Cu 등의 요구량은 미량으로 알려져 있는데 돼지사료에 있어서 K, Mg, Mn, S 등은 사료 속에 충분히 함유되어 부족 되지 않으나 그 외의 미네랄은 사료에 첨가 급여하여 주어야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ineral premix means a mixture prepared in advance by mixing the minerals necessary for breeding stock with the raw materials when mixing the feeds. Minerals form skeletons in the body of pigs and can be used as important nutrients in metabolic processes. The requirements of Ca, P, Na, Cl, K and Mg are high and the requirements of Fe, Zn, I, Se, Mn and Cu K, Mg, Mn, S, etc. in pig feeds are fully contained in the feed, and other minerals should be added to the feed.

본 발명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각 미네랄들의 적정 혼합 비율은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미네랄 프리믹스는 전체 사료 1kg 당 Cu, 140 mg; Fe, 145 mg; Zn, 179 mg; Mn, 12.5 mg; I, 0.5 mg; Co, 0.25 mg; 및 Se, 0.4 mg을 제공하는 양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ineral premixes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and suitable mixing ratios of the respective minerals are known in the art.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mineral premix comprises Cu, 140 mg / kg of whole feed; Fe, 145 mg; Zn, 179 mg; Mn, 12.5 mg; I, 0.5 mg; Co, 0.25 mg; And Se, 0.4 mg were used.

본 발명에서, 밀은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탄수화물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밀은 조단백질이 보통 12~14%로 돼지사료에 50 중량% 이하로 공급하여야 하며 너무 곱게 분쇄하여 급여할 경우 반죽모양의 식괴를 형성하고 소화기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밀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at is used as a carbohydrate source of the growth feed composition. Wheat should be fed at a rate of 50% by weight or less to pig feed, usually 12 ~ 14% of crude protein. If it is crushed too much, wheat may form a dough-shaped foodstuff and cause digestive disorder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a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당밀은 사탕수수나 사탕무를 설탕으로 가공할 때 부수적으로 나오는 시럽을 의미한다. 당밀에는 사탕수수 당밀, 사탕무우 당밀, 제당 당밀, 전분 당밀, 감귤 당밀, 헤미셀룰로즈 추출물(목재당밀) 및 수수 당밀이 포함된다. 당밀은 기호성이 월등하고 우수한 에너지원으로서 사용되는 가축 사료 첨가제이다. 당밀을 에너지원으로서 사용할 경우 사료 중에 15 중량% 이상 섞으면 사료적 가치가 떨어진다. 본 발명에서, 당밀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1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molasses refers to a syrup incidental to the processing of sugarcane or sugar beet into sugar. Molasses includes sugar cane molasses, sugar beet molasses, sugar molasses, starch molasses, citrus molasses, hemicellulose extract (wood molasses) and sorghum molasses. Molasses is a livestock feed additive that is superior in palatability and used as an excellent energy source. When molasses is used as an energy source, mixing of more than 15% by weight in the feed lowers the feed value. In the present invention, molasses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3 to 1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우지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지방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우지는 소, 양, 및 말 등의 허리와 신장 주변에 있는 굳은 지방을 의미하며, 이와 비슷한 특성이 있는 식물성 기름도 우지라고 일컫는다. 주요성분은 올레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등의 글리세릴 에스테르로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에서, 우지는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allow is used as a fat source of the growth feed composition. Uji refers to the hardened fat around the waist and kidneys of cattle, sheep, and horses, and vegetable oil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is called Uji. The main components consist of glyceryl esters such as oleic acid,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l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인산칼슘은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인(P) 및 칼슘(Ca)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사료용 인산칼슘의 종류에는 제1인산칼슘, 제2인산칼슘, 및 제3인산칼슘으로 구별되어지며, 제3인산칼슘이 안정성면에서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인산칼슘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내지 2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calcium phosphate is used as a source of phosphorus (P) and calcium (Ca) in the growth feed composition. Kinds of calcium phosphate for feed are classified into calcium phosphate monobasic, calcium phosphate dibasic and calcium dibasic calcium phosphate, and calcium dihydrogen phosphate is most preferable in terms of stab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calcium phosphate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5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본 발명에서, 소금은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나트륨(Na) 및 염소(Cl) 공급원으로서 사용된다. 나트륨과 염소는 각각 체내에서 세포외 주요 양이온과 음이온이다. 염소는 소화액의 주요 음이온이다. 소금은 옥수수 및 대두박 위주의 사료에서 육성돈의 나트륨 및 칼륨 요구량을 충족시킬 수 있다. 나트륨이나 염소가 결핍되면 돼지의 성장이 둔화되고, 사료효율이 낮아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금은 바람직하기로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alt is used as a source of sodium (Na) and chlorine (Cl) of the growth feed composition. Sodium and chlorine are major extracellular cations and anions in the body, respectively. Chlorine is the major anion of the digestive juices. Salt can meet the sodium and potassium requirements of breeding pigs in corn and soy-based diets. Lack of sodium or chlorine can slow the growth of pigs and reduce feed effici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alt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바람직하기로,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발효물 5 내지 30 중량부, 옥수수 30 내지 55 중량부, 대두박 10 내지 40 중량부, 소맥피 1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및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Preferably, the breed feed composition comprises 5 to 30 parts by weight of corn fermented product, 30 to 55 parts by weight of corn, 10 to 40 parts by weight of soybean meal,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bran, 0.5 to 2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To 0.5 parts by weight, and 0.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mineral premix.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은 옥수수 발효물 5 내지 30 중량부, 옥수수 30 내지 55 중량부, 대두박 10 내지 40 중량부, 밀 1 내지 5 중량부, 소맥피 1 내지 5 중량부, 당밀 3 내지 15 중량부, 우지 1 내지 5 중량부, 인산칼슘 0.5 내지 2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2 중량부, 소금 0.1 내지 1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및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comprises 5 to 30 parts by weight of fermented corn, 30 to 55 parts by weight of corn, 10 to 40 parts by weight of soybean meal,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bran, 1 to 5 parts by weight of tallow, 0.5 to 2 parts by weight of calcium phosphate, 0.5 to 2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0.1 to 1 part by weight of salt, 0.01 to 0.5 part by weight of vitamin premix and 0.01 to 0.5 part by weight of mineral premix, May include.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1) 증자한 옥수수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균주로 발효시켜 옥수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1) Increased corn was grown in Bacillus subtilis subtilis ) or Aspergillus niger niger ) to produce a fermented corn (step 1); And

2) 상기 옥수수 발효물을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와 혼합하는 단계(단계 2).
2) mixing the fermented corn with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step 2).

상기 단계 1은, 증자한 옥수수에 발효 균주로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균주를 접종하여 발효시켜 옥수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The above step 1 is a step for cultivating the corn added with Bacillus subtilis subtilis ) or Aspergillus niger niger ) is inoculated and fermented to produce a fermented corn.

상기 단계 1)에서 옥수수의 증자 조건, 균주 접종량, 발효 조건 등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The condition for growing corn, the amount of strain inoculated, the fermentation conditions and the like in step 1)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eed composition.

발효 조건의 경우, 다시 언급하면, 상기 단계 1)에서 발효는 20 내지 40℃에서 24 내지 72 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case of the fermentation con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ermentation is carried out at 20 to 40 ° C for 24 to 72 hours in the above step 1).

상기 단계 2는, 상기 옥수수 발효물을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와 혼합하여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얻는 단계이다.
Step 2 is a step of mixing the fermented corn with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to obtain a breeding stock composition.

상기 단계 2)에서, 옥수수 발효물,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 이외에, 추가적으로 밀, 당밀, 우지, 인산칼슘, 및 소금을 더 혼합할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fermented corn,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the wheat, molasses, wax, calcium phosphate, and salt may be further mixed in step 2).

상기 단계 2)에서,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각 성분 혼합 비율 등은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In the above step 2), the mixing ratios of the components of the breed feed composition are the same as those described in the feed composition.

각 성분 혼합 비율을 다시 언급하면,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에서 옥수수 발효물,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의 혼합 비율은 5 내지 30 중량부: 30 내지 55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2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The mixture ratio of the corn fermented product,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is 5 to 30 parts by weight: 30 to 55 parts by weight: 10 To 40 parts by weight: 1 to 5 parts by weight: 0.5 to 2 parts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또한, 추가적으로 밀, 당밀, 우지, 인산칼슘, 및 소금을 더 혼합하는 경우,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에서 옥수수 발효물, 옥수수, 대두박, 밀, 소맥피, 당밀, 우지, 인산칼슘, 석회석, 소금,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의 혼합 비율은 5 내지 30 중량부: 30 내지 55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3 내지 15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2 중량부: 0.5 내지 2 중량부: 0.1 내지 1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In the case of further mixing wheat, molasses, wax, calcium phosphate and salt, the fermented corn, corn, soybean meal, wheat, wheat bran, molasses, wax, calcium phosphate, limestone, salt, vitamins The mixing ratio of the premix and the mineral premix is 5 to 30 parts by weight: 30 to 55 parts by weight: 10 to 40 parts by weight: 1 to 5 parts by weight: 1 to 5 parts by weight: 3 to 15 parts by weight: 1 to 5 parts by weight 0.5 to 2 parts by weight: 0.5 to 2 parts by weight: 0.1 to 1 part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육성돈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사육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for raising pigs comprising feeding the breeding stock feed composition to breeding pigs.

본 발명의 사육 방법은 본 발명의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육성돈에게 급여함으로써 육성돈의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The breed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nergy digestibility of breeding pigs by feeding the breeding stock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breeding pigments and reduce the generation amount of hydrogen sulfide in the excremen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돼지에서 유래하는 돈육을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pork derived from pigs raised by the breeding method.

본 발명은 옥수수를 함유하는 사료 조성물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대신에 발효된 옥수수로 대체함으로써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육성돈에게 급여하여 돼지를 사육함으로써 육성돈의 에너지 소화율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배설물의 황화수소의 발생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사료 효율을 개선시키고 사육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ed composition capable of improving the digestibility of energy by replacing fermented maize instead of fermented corn, which is generally used in feed compositions containing corn, and reducing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generated in the excrement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energy digestibility of breeding pigs by feeding the breeding pig feed composition to breeding pigs and breeding pig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feed efficiency and the breeding environment by reducing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 generated in excrement .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way of exampl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se example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실시예Example 1: 발효 곡물의 제조 1: Manufacture of fermented grain

발효된 곡물들은 제네바이오테크사(Genebiotech Co., Ltd., 대한민국, 서울)에서 제공받았다. The fermented grains were obtained from Geneva Bio Tech Co., Ltd., Seoul, Korea.

구체적으로, 건조된 원료 곡물을 증류수(귀리와 옥수수의 경우 50% 수분 함량, 밀의 경우 45% 수분 함량)에 1시간 동안 침지하였다. 그 다음, 수분이 함유된 곡물을 60-70℃에서 1시간 동안 증기탱크에서 증자시켰다. 그 이후에 증자된 곡물을 25℃까지 냉각시키고, 각각 1×103 또는 1×104 cfu/g의 초기 개수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2-19x (귀리 및 옥수수)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GB-124 (밀)의 접종물과 함께 혼합하였다. 25℃에서 귀리와 밀의 경우 36 시간 동안, 옥수수의 경우 42 시간 동안 발효시킨 후, 미생물의 최종 개수는 1×109 cfu/g의 농도로 확인되었다. 상기 시료를 해머 밀로 분쇄하고 실험 사료와 혼합하기 전까지 냉장(4℃) 보관하였다.
Specifically, the dried raw grain was immersed in distilled water (50% moisture content for oats and corn, 45% moisture content for wheat) for 1 hour. The moisture-containing grains were then grown in a steam tank at 60-70 ° C for 1 hour. Thereafter, the roasted grains were cooled to 25 ° C and seeded with an initial number of 1 × 10 3 or 1 × 10 4 cfu / g, respectively, of Bacillus subtilis subtilis ) 2-19x (oats and corn) or Aspergillus niger niger ) GB-124 (wheat). After fermentation for 36 hours in oat and wheat and 42 hours in corn at 25 ° C, the final number of microorganisms was found to be 1 × 10 9 cfu / g. The samples were crushed with a hammer mill and stored in a refrigerator (4 ° C) until they were mixed with the experimental feed.

실시예Example 2: 실험 설계 및 동물 사육 2: Experimental design and animal breeding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험 프로토콜은 단국대학교의 동물실험관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The experimental protocol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ere approved by the Animal Experiment Management Committee of Dankook University.

실험 1에서, 초기체중 20.5±0.82kg을 가지는 총 125두의 잡종 육성돈[(요크셔×랜드레이스)×두록(Duroc), 52±2일령]을 2주 동안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발효되지 않은 귀리 (UFO)의 20 중량%를 포함한 대조군 사료 (FO0)와, UFO의 25 중량% (FO25), 50 중량% (FO50), 75 중량% (FO75), 및 100 중량% (FO100)를 발효된 귀리로 대체한 사료를 돼지에 급여하였다. 돼지들은 돼지들의 초기 체중과 성별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5개의 처리군으로 나뉘어졌다. 처리군당 5개의 반복실험군 우리(pen)가 있고 각각의 반복실험군 우리당 5마리의 돼지들(3 마리의 수퇘지와 2 마리의 암퇘지)을 분배하였다.In Experiment 1, a total of 125 hybrid piglets (Yorkshire × Landrace × Duroc, 52 ± 2 days old)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20.5 ± 0.82 kg were used in the experiment for 2 weeks. (FO0), 25 weight% (FO25), 50 weight% (FO50), 75 weight% (FO75), and 100 weight% (FO100) of UFO, and a control feed (FO0) containing 20 weight% of non- fermented oats Was replaced with fermented oats to feed pigs. The pig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the initial weight and sex of the pigs. There were 5 repetitive experimental groups per treatment group and 5 reproductive groups (3 birds and 2 sows) per serving.

실험 2에서, 초기체중 24.4±1.06kg을 가지는 총 96두의 돼지[(요크셔×랜드레이스)×두록, 60±3일령]를 초기체중과 성별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4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었다. 상기 처리군은 57.05 중량%의 발효되지 않은 옥수수 (UFC)를 포함하는 대조군(FC0)과, UFC의 10 중량% (FC10), 20 중량% (FC20), 및 30 중량% (FC30)를 발효된 옥수수 (FC)로 대체한 실험 사료를 급여한 군으로 이루어졌으며, 상기 각각의 처리군당 6개의 반복실험군 우리가 있고, 각각의 반복실험군 우리당 4 마리의 돼지(2 마리의 수퇘지와 2 마리의 암퇘지)을 6주 동안 실험에 사용하였다.In experiment 2, a total of 96 pigs (Yorkshire × land race) × crab, 60 ± 3 days old)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24.4 ± 1.06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initial weight and sex. The treatment group consisted of a control (FC0) containing 57.05% by weight of unfermented corn (UFC), 10% by weight (FC10), 20% by weight (FC20) and 30% by weight (FC30) (FC), and there were 6 repeating experimental groups per each treatment group. In each of the repeating experimental groups, 4 pigs (2 birds and 2 sows)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for 6 weeks.

실험 3에서, 초기체중 29.6±1.92kg을 가지는 총 120두의 돼지[(요크셔×랜드레이스)×두록, 66±2일령]를 초기체중과 성별에 따라 무작위적으로 5개의 처리군으로 나누어 6주 동안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처리군은 6개의 반복실험군 우리가 있고, 각각의 반복실험군 우리당 4 마리의 돼지(2 마리의 수퇘지와 2 마리의 암퇘지)를 포함하였다. 돼지들은 20 중량%의 발효되지 않은 밀 (UFW)을 포함하는 대조군(FW0)과, UFW의 25 중량% (FW25), 50 중량% (FW50), 75 중량% (FW75), 및 100 중량% (FW100)를 발효된 밀 (FW)로 대체한 사료를 급여하였다.In Experiment 3, a total of 120 pigs (Yorkshire × land race) × crab, 66 ± 2 days old) with an initial body weight of 29.6 ± 1.92 kg were randomly divided into 5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initial weight and sex, . Each treatment group had 6 replicates and we included 4 pigs (2 birds and 2 sows) per each repetition group. The pigs were fed with a control (FW0) containing 20% by weight of non fermented wheat (UFW) and 25% by weight (FW25), 50% by weight (FW50), 75% by weight (FW75) FW100) were replaced with fermented wheat (FW).

대조군 사료의 조성은 하기 표 1에 요약하였다. 사료는 매시트(mashed) 형태로 제공되어 졌으며, 모든 영양소에 대해 National Research Council(1998)의 권고량을 충족하거나 이를 초과하는 양으로 배합하였다. 각각의 우리는 일 측면에 스테인레스 스틸로 된 자동 급여기(self-feeder)와 니플형 급수기(nipple drinker)가 설치되었고 실험기간 내내 사료와 물에 임의대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돼지들은 24℃의 평균온도를 가진 환경적으로 조절되는 공간에서 사육되었다.The composition of the control feeds is summarized in Table 1 below. Feeds were provided in mashed form and were formulated in amounts that met or exceeded the recommendations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8) for all nutrients. Each of us has a stainless steel self-feeder and a nipple drinker on one side and has access to feed and water at will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pigs were housed in an environmentally controlled space with an average temperature of 24 ° C.

항목Item 실험 1을 위한
대조군 사료
For experiment 1
Control feed
실험 2를 위한
대조군 사료
For experiment 2
Control feed
실험 3을 위한
대조군 사료
For experiment 3
Control feed
성분, %ingredient, % 옥수수corn 46.6646.66 57.0557.05 47.5647.56 대두박Soybean meal 22.6522.65 27.9227.92 24.2624.26 wheat 00 3.003.00 20.0020.00 귀리oat 20.0020.00 00 00 소맥피Wheat flour 00 2.832.83 00 당밀molasses 00 3.503.50 00 채종박Seed 00 00 2.802.80 우지Uji 3.463.46 3.313.31 3.003.00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 4.344.34 0.810.81 0.760.76 석회석Limestone 1.001.00 0.720.72 0.790.79 소금Salt 0.600.60 0.500.50 0.430.43 염화콜린Choline chloride 0.300.30 0.060.06 00 L-라이신, 98%L-lysine, 98% 0.470.47 0.100.10 0.100.10 DL-메티오닌, 98%DL-methionine, 98% 0.120.12 00 00 비타민 프리믹스a Vitamin premix a 0.100.10 0.100.10 0.100.10 미네랄 프리믹스b Mineral premix b 0.100.10 0.200.20 0.200.20 계산된 조성Calculated composition ME, Mcal/kgME, Mcal / kg 3.403.40 3.403.40 3.403.40 화학적 조성, %Chemical composition,% 조단백Crude protein 19.0019.00 18.0018.00 18.0018.00 총 라이신Total lysine 1.401.40 1.001.00 1.001.00 메티오닌Methionine 0.470.47 0.300.30 0.300.30 칼슘calcium 0.700.70 0.600.60 0.600.60 sign 0.600.60 0.500.50 0.500.50 [주] a) 전체 사료 1kg 당 제공량: 비타민 A, 10,000 IU; 비타민 D3, 2000 IU; 비타민 E, 42 IU; 비타민 K, 5 mg; 리보플라빈, 2400 mg; 비타민 B2, 9.6 mg; 비타민 B6, 2.45 mg; 비타민 B12, 40 μg; 나이아신, 49 mg; 판토텐산, 27 mg; 비오틴, 0.05 mg.
b) 전체 사료 1kg 당 제공량: Cu, 140 mg; Fe, 145 mg; Zn, 179 mg; Mn, 12.5 mg; I, 0.5 mg; Co, 0.25 mg; Se, 0.4 mg.
[Note] a) Amount given per kg of whole feed: Vitamin A, 10,000 IU; Vitamin D3, 2000 IU; Vitamin E, 42 IU; Vitamin K, 5 mg; Riboflavin, 2400 mg; Vitamin B2, 9.6 mg; Vitamin B6, 2.45 mg; Vitamin B12, 40 μg; Niacin, 49 mg; Pantothenic acid, 27 mg; Biotin, 0.05 mg.
b) Feed per kg of whole feed: Cu, 140 mg; Fe, 145 mg; Zn, 179 mg; Mn, 12.5 mg; I, 0.5 mg; Co, 0.25 mg; Se, 0.4 mg.

실시예Example 3: 샘플링 및 측정 3: Sampling and measurement

각각의 돼지의 체중은 실험기간의 개시 시점 및 종료 시점(실험 1에서 14일째, 실험 2 및 3에서 42일째)에 기록되었다. 사료소비는 평균일당체중증가량(average daily gain, ADG), 평균일당사료섭취량(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및 사료효율(gain/feed, G/F)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기간 동안에 우리 기준으로 기록하였다.The weight of each pig was record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Day 14 in Experiment 1, Day 42 in Experiments 2 and 3). Feed consumption was calculated as the mean daily gain (ADG), average daily feed intake (ADFI), and feed / feed (G / F) .

건조물(DM), 질소(N) 및 총에너지의 외관전장소화율(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은 불소화 지표로서 산화크롬(0.2%)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enton et al., Can. J. Anim. Sci., 1979, 59, 631-634). 실험 1의 경우 7-14일에 산화크롬을 혼합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였고, 실험 2 및 3의 경우 35-42일에 산화크롬을 혼합한 사료를 돼지에게 급여하였다. 신선한 배설물 시료를 우리당 적어도 2 마리의 돼지들로부터 직장마사지를 통해 수집하였다(실험 1은 14일째; 실험 2 및 3은 42일째). 모든 배설물 시료들을 혼합하고 모아서 대표 시료를 분석시까지 -20℃의 냉동고에서 저장하였다. 화학적 분석 전에 배설물 시료를 해동시키고 70℃에서 72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1 ㎜ 체를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미세하게 분쇄하였다. 모든 사료 시료들을 매주 초에 수집하였으며, 분석된 조성의 평균값을 사료 조성을 나타내고 소화율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모든 사료 및 배설물의 시료에 대하여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에서 언급한 과정에 따라 DM 및 N, 칼슘, 인, 리신, 및 메티오닌을 분석하였다. 총에너지는 Parr 6100 oxygen bomb calorimeter (Parr Instrument Co., Moline, IL,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N은 Kjeltec 2300 analyzer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크롬은 윌리암스 등의 방법(Williams et al., J. Agric. Sci., 1962, 59, 381-385)에 따라 UV 흡수 분광광도계(Shimadzu UV-1201, Shimadzu, Tokyo, Japan)를 통해 분석하였다.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the dried matter (DM), nitrogen (N) and total energy was measured using chromium oxide (0.2%) as a fluoridation index (Fenton et al., Can. In Experiment 1, pigs mixed with chromium oxide were fed to pigs in 7-14 days. In Experiments 2 and 3, chromium oxide was mixed in 35-42 days Fresh fee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t least two pigs per day through rectal massage (Experiment 1 on Day 14 and Experiments 2 and 3 on Day 42.) All of the fecal samples were mixed and collected Samples were stored in a freezer at -20 ° C until analysis. The fecal samples were thawed and dried at 70 ° C for 72 hours, and then finely ground to a size sufficient to pass through a 1 mm sieve. Fodder samples were collected at the beginning of each week, The DM and N, calcium, phosphorus, lysine, and methionine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described in the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995) for all feed and excrement samples, Total energy was measured using a Parr 6100 oxygen bomb calorimeter (Parr Instrument Co., Moline, IL, USA) and N was measured using a Kjeltec 2300 analyzer (Foss Tecator AB, Hoeganaes, Sweden). Chromium was analyzed via a UV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201, Shimadzu, Tokyo, Japan) according to the method of Williams et al., J. Agric. Sci., 1962, 59, 381-385.

혈청 프로파일의 측정을 위하여, 각각의 우리로부터 2 마리의 돼지(1 마리의 암퇘지와 1 마리의 수퇘지)를 무작위적으로 선택하고, 실험 1의 경우 14일째에, 실험 2 및 3의 경우 42일째에 전대정맥 채취를 통해 5 ㎖ 혈액 시료를 수집하였다. 수집 시, 혈액 시료는 K3EDTA를 포함하는 비헤파린관(nonheparinized tube) 및 진공관(vacuum tube)(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USA)에 수집하고, 즉시 얼음 상에 배치하였다. 수집 후, 혈청 시료를 4℃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였고(2000×g), 혈청은 이후의 자동생화학분석기(Hitachi 7020, Hitachi High Technologies, Inc., Ibaraki, Japan)에 의한 포도당 분석을 위해 -20℃에서 저장하였다. 전체 혈액 중의 백혈구(WBC), 적혈구(RBC) 및 림프구 수준을 자동혈액분석기(ADVIA 120, Bayer, NY,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For the measurement of the serum profile, two pigs (one sow and one bird) were randomly selected from each of us, and on day 14 in experiment 1 and on day 42 in experiments 2 and 3 5 ㎖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whole vein collection. At the time of collection,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a nonheparinized tube and a vacuum tube (Becton Dickinson Vacutainer Systems, Franklin Lakes, NJ, USA) containing K 3 EDTA and immediately placed on ice. After collection, the serum samples were centrifuged (2000 × g) at 4 ° C. for 15 minutes and the serum was analyzed for glucose analysis by a subsequent automated biochemical analyzer (Hitachi 7020, Hitachi High Technologies, Inc., Ibaraki, Japan) And stored at 20 ° C. WBC, RBC and lymphocyte levels in whole blood were measured using an automated blood analyzer (ADVIA 120, Bayer, NY, USA).

배설물의 NH3, H2S 및 아세트산 방출을 측정하기 위해 실험 1의 경우 14일째에, 실험 2 및 3의 경우 42일째에 배설물은 직장마사지로 수집하였고, 소변은 케이지 아래에 있는 강판을 이용하여 우리 기준으로 수집하였다. 150g의 신선한 배설물과 150g의 소변 혼합물 시료를 얀 등의 방법(Yan et al., J. Anim. Sci., 2012, 25, 1742-1747)에 따라 반복실험을 위해 2.6L 플라스틱 박스에 저장하였다. 상기 시료를 상온(28℃)에서 7일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 기간 동안, 가스 샘플링 펌프(Gastec, GV-100, Japan)를 이용하여 1, 3, 5 및 7일에 가스 검출을 하였다. 접착 플라스터(adhesive plaster)를 펀칭하여 100㎖의 헤드스페이스 공기를 1분 동안에 배설물 표면 위의 대략 2.0㎝에서 샘플링하였다.To measure the release of NH 3 , H 2 S and acetic acid in feces, feces were collected by rectal massage on Day 14 in Experiment 1 and on Day 42 in Experiments 2 and 3, and urine was collected using a steel plate under the cage We collected them on our standard. 150 grams of fresh feces and 150 grams of urine mixture samples were stored in a 2.6 liter plastic box for repeat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method of Yan et al., J. Anim. Sci., 2012, 25, 1742-1747. The sample was fermented at room temperature (28 ° C) for 7 days. During fermentation, gas detection was performed on days 1, 3, 5 and 7 using a gas sampling pump (Gastec, GV-100, Japan). An adhesive plaster was punched to sample 100 ml of headspace air at approximately 2.0 cm above the feces surface for 1 minute.

세 번의 실험 동안, 모든 데이터는 SAS의 GLM 절차(SAS Institute, 1996)를 이용하여 랜덤화 완비블록설계(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로서 통계분석하였고, 우리(pen)를 실험 단위로서 사용하였다. P<0.05를 가지는 던컨의 다중검정은 처리 평균 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During three experiments,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a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using SAS 'GLM procedure (SAS Institute, 1996) and pen was used as the experimental unit. Duncan's multiple test with P < 0.05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reatment averages.

실시예Example 4: 결과 분석 4: Analysis of results

상기 실시예 2 및 3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수행한 실험 결과를 하기 표 2 내지 표 7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of the experiments performed as described in Examples 2 and 3 are shown in Tables 2 to 7 below.

구체적으로, 먼저 육성돈에서 원료 귀리 대체물로서 발효된 귀리를 사용한 경우의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Specifically,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growth rat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 of oats used as raw oats substitute in breeding stocks are shown in Table 2 below.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1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1

상기 표 2에서, a 및 b는 동일한 컬럼 상의 상이한 첨자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P<0.05)으며, d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2, a and b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 different subscripts o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nd d mean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또한, 육성돈에서 원료 귀리 대체물로서 발효된 귀리를 사용한 경우의 배설물의 유해 가스 방출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Table 3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ffect of the excreta on the emission of harmful gas when the fermented oats were used as raw oats substitute in the breeding pigs.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2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2

상기 표 3에서, a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3, a represent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상기 표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1의 경우, 실험기간 동안에 ADG, ADFI 및 G/F에 대해 각각의 처리의 어떤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14일째에 50 중량%, 75 중량% 및 100 중량% 발효된 귀리로 대체된 사료를 급여한 돼지에서 건조물 및 에너지의 ATTD가 FO0 및 FO25 사료를 먹이 돼지보다 더욱 컸다(P<0.05). N의 ATTD에 대한 사료 처리의 어떤 효과도 없었다. 14일째, 처리군 간의 포도당, RBC, WBC 농도, 및 림프구 비율에 대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상기 표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설물의 NH3, H2S 및 아세트산 함량은 사료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2, in Experiment 1, no effect of each treatment was observed for ADG, ADFI and G / F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TTD of the dry matter and energy of pigs fed diets substituted with 50%, 75% and 100% by weight fermented oats on day 14 was greater (P < 0.05) than FO0 and FO25 feeds. There was no effect of feed treatment on N ATTD. On day 14, there was no difference in glucose, RBC, WBC concentration, and lymphocyte ratio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able 3, the NH 3 , H 2 S and acetic acid contents of feces were not affected by the feed treatment.

한편, 육성돈에서 원료 옥수수 대체물로서 발효된 옥수수를 사용한 경우의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Table 4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growth rat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 of corn fermented as a raw material corn substitute in the breeding pigs.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3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3

상기 표 4에서, a 및 b는 동일한 컬럼 상의 상이한 첨자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P<0.05)으며, d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4, a and b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 different subscripts o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nd d mean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육성돈에서 원료 옥수수 대체물로서 발효된 옥수수를 사용한 경우의 배설물의 유해 가스 방출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Table 5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ffect of the excreta on the release of noxious gas when corn fermented as a raw material corn substitute in the breeding pigs was used.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4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4

상기 표 5에서, a 및 b는 동일한 컬럼 상의 상이한 첨자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P<0.05)으며, c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5, a and b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 different subscripts o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 < 0.05), and c mean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상기 표 4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2의 경우, 실험 기간 동안 ADG, ADFI, 또는 G/F에 대한 사료 처리의 어떤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의 종료 시점에, 처리군 간에 N의 ATTD의 어떤 차이도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DM 및 에너지의 ATTD는 다른 처리군과 비교하여 FC20 처리군에서 증가하였다(P<0.05). FC0 및 FC20 처리군의 혈장 포도당 농도는 FC10 처리군과 비교하여 증가하였다(P<0.05). 처리군 간에 WBC, RBC 농도, 및 림프구 비율은 어떤 차이도 없었다.As can be seen from Table 4 above, in Experiment 2, no effect of feed treatment on ADG, ADFI, or G / F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was observ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no difference in ATTD of N was observed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However, DM and ATTD of energy were increased in the FC20 treated group (P <0.05)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 groups. Plasma glucose concentrations in the FC0 and FC20 treated groups were increased compared to the FC10 treated group (P <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WBC, RBC concentration, and lymphocyte ratio among the treatment groups.

또한,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설물의 H2S 방출은 5일과 7일째에 FC0 처리군과 비교하여 FC20 및 FC30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다(P<0.05). FC20 처리군에서 배설물의 아세트산 함량은 7일째에 처리군 중에서 가장 낮았다(P<0.05). 아세트산 방출도 FC0 처리군과 비교하여 FC30 처리군에서 감소하였다(P<0.05). 배설물의 NH3 방출은 사료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In addition,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5, the H 2 S release of feces decreased in the FC20 and FC30 treated groups (P &lt; 0.05) compared with the FC0 treated group on the 5th and 7th days. The acetic acid content of feces in the FC20 treated group was the lowest among the treated group on the 7th day (P <0.05). Acetic acid release also decreased in the FC30 treated group compared to the FC0 treated group (P &lt; 0.05). NH 3 release of feces was not affected by feed treatment.

또한, 육성돈에서 원료 밀 대체물로서 발효된 밀을 사용한 경우의 성장률, 영양소 소화율, 및 혈액 프로파일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The results of measuring the growth rat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rofile of the wheat fermented wheat substitute in the breeding stock are shown in Table 6 below.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5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5

상기 표 6에서, a 및 b는 동일한 컬럼 상의 상이한 첨자가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었다(P<0.05)으며, d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6, a and b are us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subscripts on the same column (P &lt; 0.05), and d mean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육성돈에서 원료 밀 대체물로서 발효된 밀을 사용한 경우의 배설물의 유해 가스 방출에 대한 영향을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Table 7 shows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effect of the excreta on the emission of harmful gas when wheat fermented as a raw wheat substitute in the breeding stock was used.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6
Figure 112013121174936-pat00006

상기 표 7에서, a는 평균값의 표준 오차를 의미한다.
In Table 7, a represents the standard error of the mean value.

상기 표 6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험 3의 경우, 실험기간 동안 FW75 사료를 급여한 돼지가 FW0 및 FW25 사료를 급여한 돼지보다 더욱 높은 ADG를 가졌다(P<0.05). ADFI 또는 G/F에 대한 사료 처리의 어떤 효과도 실험의 종료 시점에 관찰되지 않았다. DM 및 N의 ATTD는 FW0 처리군과 비교하여 FC50, FC75 및 FC100 처리군에서 증가하였다(P<0.05). 그러나, 에너지의 ATTD에서는 어떤 차이도 사료 처리군 간에 관찰되지 않았다. 42일째에, 처리군 간에 포도당, RBC, WBC 농도, 및 림프구 비율의 어떤 차이도 기록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표 7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설물의 NH3, H2S, 및 아세트산 함량은 사료 처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As shown in Table 6, in Experiment 3, pigs fed FW75 diet had higher ADG (P &lt; 0.05) than pigs fed FW0 and FW25 feeds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No effect of feed treatment on ADFI or G / F was observ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The ATTD of DM and N was increased in the FC50, FC75 and FC100 treated groups compared to the FW0 treated group (P <0.05). However,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ATTD of energy among the feed treatment groups. At day 42, no difference in glucose, RBC, WBC concentration, and lymphocyte ratio between the treatment groups was recorded. Also, as can be seen from Table 7, the NH 3 , H 2 S, and acetic acid contents of feces were not affected by the feed treatment.

상기 결과를 종합해보면, 성장률 면에서 ADG, ADFI와 G/F 비율은 사료에서 발효된 귀리와 옥수수의 대체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그러나, FW75 사료를 급여한 돼지는 발효된 밀이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한 돼지보다 높은 ADG를 가졌다. 본 발명에서는 DM 및 N 소화율이 FW75 사료를 급여한 돼지에서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FW75 사료를 급여한 돼지에서 대조군 사료를 먹인 돼지와 비교하여 ADG가 향상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aken together, the ADG, ADFI and G / F ratios in growth rates were not affected by the replacement of oats and corn fermented in feed. However, pigs fed FW75 diets had higher ADG than pigs fed diets containing no fermented wheat. In the present invention, DM and N digestion rates were improved in pigs fed FW75 diet, suggesting that ADG could be enhanced in pigs fed FW75 diets compared to pigs fed control diets.

곡물의 발효는 영양소 소화율을 향상시키고 사료에 있어서 항영양소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다(Shekib, Plant Food Hum. Nutr., 1994, 46, 201-205). 본 발명에서는, 발효된 곡물의 사용으로 인해 곡물원에 의존하는 DM, N 및 에너지의 외관전장소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가용성 및 비가용성 비전분 다당류 모두의 소화율을 향상시키는 발효된 사료 내 미생물의 활성으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Grain fermentation can improve nutrient digestibility and reduce antinutrient levels in feed (Shekib, Plant Food Hum. Nutr., 1994, 46, 201-205). In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use of fermented grain can improve digestibility of DM, N and energy depending on the grain source.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activity of the microorganisms in the fermented feed to improve the digestibility of both soluble and non-soluble non-polar polysaccharides.

또한, 발효된 귀리 및 발효된 옥수수를 급여한 경우에 에너지 소화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배설물의 H2S 및 아세트산 함량이 육성돈에 발효된 옥수수를 급여함으로써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It was also found that the energy digestibility was increased when the fermented oats and fermented corn were fed, and that the H 2 S and acetic acid contents of the excrements were decreased by feeding the fermented corn to the growing pigs.

Claims (9)

전체 사료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옥수수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증자한 옥수수를 20 내지 4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것인, 육성돈 사료 조성물.
And 10 to 20 parts by weight of a fermented corn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whole feed composition, wherein the fermented corn is obtained by fermenting cornstarch at 20 to 40 DEG C for 24 to 72 hou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발효물은 증자한 옥수수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균주로 발효시켜 얻은 것인 육성돈 사료 조성물.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rn fermented produc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acillus subtilis subtilis ) or Aspergillus niger niger ).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 옥수수 30 내지 55 중량부, 대두박 10 내지 40 중량부, 소맥피 1 내지 5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2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및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육성돈 사료 조성물.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10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ed corn, 30 to 55 parts by weight of corn, 10 to 40 parts by weight of soybean meal,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0.5 to 2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To 0.5 parts by weight of a mineral premix and 0.01 to 0.5 parts by weight of a mineral premix.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옥수수 발효물 10 내지 20 중량부, 옥수수 30 내지 55 중량부, 대두박 10 내지 40 중량부, 밀 1 내지 5 중량부, 소맥피 1 내지 5 중량부, 당밀 3 내지 15 중량부, 우지 1 내지 5 중량부, 인산칼슘 0.5 내지 2 중량부, 석회석 0.5 내지 2 중량부, 소금 0.1 내지 1 중량부, 비타민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 및 미네랄 프리믹스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육성돈 사료 조성물.
The composition of claim 1, wherein the composition comprises 10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fermented corn, 30 to 55 parts by weight of corn, 10 to 40 parts by weight of soybean meal,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1 to 5 parts by weight of wheat, 1 to 5 parts by weight of tallow, 0.5 to 2 parts by weight of calcium phosphate, 0.5 to 2 parts by weight of limestone, 0.1 to 1 part by weight of salt, 0.01 to 0.5 parts by weight of vitamin premix and 0.01 to 0.5 parts by weight of mineral premix &Lt; / RTI &gt;
증자한 옥수수를 바실러스 서브틸리스(Bacillus subtilis) 또는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균주로 20 내지 40℃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발효시켜 옥수수 발효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옥수수 발효물을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와 혼합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제1항의 육성돈 사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Fermenting the cornstarch to a strain of Bacillus subtilis or Aspergillus niger at 20 to 40 DEG C for 24 to 72 hours to prepare a corn fermentation product (step 1); And
The method of claim 1, comprising mixing the fermented corn with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step 2).
삭제delet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옥수수 발효물, 옥수수, 대두박, 소맥피, 석회석, 비타민 프리믹스, 및 미네랄 프리믹스의 혼합 비율은 10 내지 20 중량부: 30 내지 55 중량부: 10 내지 4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0.5 내지 2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 0.01 내지 0.5 중량부인 제조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mixing ratio of the fermented corn, corn, soybean meal, wheat bran, limestone, vitamin premix, and mineral premix is 10 to 20 parts by weight: 30 to 55 parts by weight: 10 to 40 parts by weight: 5 parts by weight: 0.5 to 2 parts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0.01 to 0.5 parts by weight.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육성돈 사료 조성물을 육성돈에게 급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돼지의 사육 방법.
A method for breeding pigs comprising feeding the breeding stock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to breeding pigs.
제8항의 사육 방법으로 사육된 돼지에서 유래하는 돈육.Pork derived from a pig raised by the breeding method of paragraph 8.
KR1020130168680A 2013-12-31 2013-12-31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KR101578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80A KR101578981B1 (en) 2013-12-31 2013-12-31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680A KR101578981B1 (en) 2013-12-31 2013-12-31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63A KR20150080263A (en) 2015-07-09
KR101578981B1 true KR101578981B1 (en) 2015-12-21

Family

ID=5379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680A KR101578981B1 (en) 2013-12-31 2013-12-31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98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999A (en) 2016-05-23 2017-12-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산드레 Pig feed composition including the Acorn, a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pork obtained therefr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9095A (en) * 2017-03-16 2017-08-08 苏州凯茂饲料添加剂有限公司 A kind of porkling special feed
KR102278911B1 (en) * 2020-08-10 2021-07-19 주식회사 잇다 Pig feed method for each breeding stage
KR102556449B1 (en) * 2020-11-06 2023-07-14 김미정 Supplementary feed comprising microorganis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11025C2 (en) 1997-10-03 1999-07-26 Probi Ab Horse feed product comprising Lactobacillus plantarum JI: 1 and Lactobacillus plantarum JI: 1 and use thereof
KR100426967B1 (en) * 2001-09-15 2004-04-30 박현태 Fermented feed using as compos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568689B1 (en) 2005-03-10 2006-04-07 김강민 Functional fermentation feed using houttuynia cordata and manufacuring process of the same and raising method of pig using the same and pork acquired therefore
KR100889397B1 (en) * 2007-03-28 2009-03-19 주식회사 이지바이오시스템 Environmental friendly Feed Composite for A Pi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1999A (en) 2016-05-23 2017-12-01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산드레 Pig feed composition including the Acorn, a breed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pork obtained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263A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do et al. Influence of exogenous enzymes ensiled with orange pulp on digestion and growth performance in lambs
Chanjula et al. Effect of feeding rubber seed kernel and palm kernel cake in combination on nutrient utilizati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populations in goats fed on Briachiaria humidicola hay-based diets
Bostami et al. Growth performance, fecal noxious gas emission and economic efficacy in broilers fed fermented pomegranate byproducts as residue of fruit industry
El-Katcha et al. Effect of Pediococcus spp.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some blood serum biochemical changes of fattening lambs.
KR101578981B1 (en) A feed composition for growing pigs comprising fermented corns, a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a breeding method of pigs using the same
Sonawane et al. Effect of feeding Hedge lucerne (Desmanthus virgatus) on intake, growth performance and body condition score in growing Osmanabadi goats
Aissa et al. Effect of partial dietary substitution of carob (Ceratonia siliqua L.) to barley grains on diet digestibility in growing rabbits.
Abd El-Rahman et al. Effect of biological treatments of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digestion and economical efficiency for growing calves
Oluokun Intake, digestion and nitrogen balance of diets blended with urea treated and untreated cowpea husk by growing rabbit
Abdel-Khalek et al.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coefficients, blood parameters and carcass traits of rabbits fed biologically treated diets
Akinfala et al. Supplemental effects of feed additives on the utilization of whole cassava plant by growing pigs in the tropics
KR102082427B1 (en) A low-protein feed composition for improved feed conversion efficinecy of ruminant
Marwan et al. Influence of basil oil as an essential oil on buffalo calves performance, digestibility, haemobiochemical profile and rumen fermentation indicators
Habeeb et al. Using olive oil by-products in farm animals feeding
Yahya et al. Sago pith meal based diets in sheep containing different sources of nitrogen: Feed preparation, growth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carcass quality
Ettaib et al.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itrogen balanc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rabbits fed diets supplemented with panicum maximum cv. mombaça hay
Zendrato et al. The utilization of cassava by-products into complete ration on performances and feed digestibility of weaning male crossbred Landrace pigs
Tag-El-Din Response of weanling rabbits to diet contained citric acid during growing period
Bakr et al. ROSEMARY, MARJORAM AND GINGER AS A FEED ADDITIVES AND ITS INFLUENCES ON GROWTH PERFORMANCE TRAITS OF NZW RABBITS UNDER SINAI CONDITIONS
Abedo et al. Effect of feeding biologically treated sugar beet pulp on growth performance of sheep
Sayed Effect of processing orange pulp with Saccharomyces cerevisiae yeast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s digestibility and blood parameters of Barki lambs.
KR100877800B1 (en) Feed Composition for Livestock
Galal et al. Using of dry tomato vines hay in growing lambs ration
Khalafalla et al. Biological treatment of broad bean hulls and its evaluation through tilapia fingerlings (Oreochromis niloticus) feeding.
Wiyabot et al. Effects of diet additive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 and cost of grower-finisher production: a case study in Nakhon Sawan Province, Thail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