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8700B1 -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 Google Patents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8700B1
KR101578700B1 KR1020140018623A KR20140018623A KR101578700B1 KR 101578700 B1 KR101578700 B1 KR 101578700B1 KR 1020140018623 A KR1020140018623 A KR 1020140018623A KR 20140018623 A KR20140018623 A KR 20140018623A KR 101578700 B1 KR101578700 B1 KR 1015787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coil
auxiliary
circuit breaker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289A (ko
Inventor
양홍익
손종만
양승필
안길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87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8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8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4Contacts
    • H01H73/045Bridging contact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립 장치를 구동시키는 보조트립장치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써, 코일권선부에 권선되고, 전원 인가시 기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립코일가동자를 포함하는 트립코일부;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트립코일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트립코일가동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되,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가압됨에 따라 회전가능한 샤프트부로 구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로차단기 내부에 위치한 트립장치를 가압하는 보조트립레버;를 포함하는 보조트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AUXILIARY TRIP MECHANISM AND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로 차단기의 트립 장치를 구동시키는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차단기는, 건물, 공장, 선박 등에 설치되어, 단락전류 또는 과전류와 같은 회로상에 비정상 전류가 통전시, 이를 검출하여 자동으로 전원측으로부터 부하측으로의 전력 공급 회로를 차단함으로써, 부하 기기 및 선로와 사람을 보호하는 보호기능과 회로의 개폐기능을 갖는 배전기기이다.
회로차단기는 차단기 내부의 부품 교체나 필요에 의해서 수동으로 회로를 차단하거나 사고전류 발생시 회로를 자동으로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단락사고를 방지한다.
이때, 회로 상의 이상 전류를 차단하는 자동 트립의 경우에는, 개폐 기구 외부에 설치된 과전류 트립 계전기가 회로 상의 이상 전류를 감지하여 트립 제어 신호를 보내고, 상기 신호가 트립장치를 회전시켜 차단 동작을 시작한다.
그런데, 상기 트립장치는 트립코일에 전류가 인가되고, 상기 전류가 인가된 트립코일이 이동하여, 트립래치를 회전시키는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트립코일이 손상되거나 또는 상기 트립코일에 인가되어야 하는 전원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 상기 트립장치는 정상적으로 작동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보다 향상된 회로차단기의 트립의 정확성과 확실성을 높일 수 있는 트립장치 및 회로차단기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트립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트립 메커니즘을 구비한 트립장치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회로차단기의 트립 동작에 있어서, 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트립 메커니즘을 구비한 회로차단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조트립장치는 코일권선부에 권선되고, 전원 인가시 기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립코일가동자를 포함하는 트립코일부,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트립코일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트립코일가동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로차단기 내부에 위치한 트립장치를 가압하는 보조트립레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트립장치는 회전함으로써 상기 회로차단기가 트립 될 수 있는 트립래치, 상기 트립래치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고 있는 트립레버 및 상기 트립레버에서 돌출되어 회전하는 축을 이루는 트립레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트립레버는 상기 트립레버 또는 트립레버돌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부는 상기 트립코일부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플레이트 및 상기 가압플레이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가압됨에 따라 회전하는 샤프트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트립코일부에 의해 가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트립장치는 상기 트립코일부를 지지하고,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트립코일부가 이동되는 방향에 맞추어, 상기 트립코일부과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트립코일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트립코일부는 전원이 인가되는 트립코일, 상기 트립코일 단부측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를 가압하는 트립코일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트립장치는, 일측은 상기 트립코일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며, 상기 회로차단기에 보조트립장치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구비한 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구성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납되거나 외부에 설치되고, 통전을 위한 단자 중 하나인 가동부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고정부와 서로 접촉되거나 분리되어 전원이 통전되거나 차단되는 주회로부, 상기 주회로부와 연결되는 기구부 구동 샤프트가 구비되고, 기구부 구동링크에 의해 수동 또는 전동 조작으로 구동되는 기구부, 상기 기구부 내에 배치되고, 기결정된 전류량 이상의 전류가 통전될 시 차단기 트립을 위해 회전하는 트립부와 상기 트립부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시 차단기 트립이 완료되는 트립래치를 포함하는 트립장치 및 상기 어느 하나에 따르는 보조트립장치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트립부는 트립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충전되며 이동되는 코일, 상기 코일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코일이 이동함에 따라 가압되며 회전하는 트립레버, 상기 트립레버와 맞물려 배치되고, 트립이 일어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트립레버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며, 트립이 일어나는 경우 상기 트립레버의 회전에 의해 트립되는 트립래치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회로차단기의 주 트립장치가 트립코일의 손상이나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제대로 된 트립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보조트립장치를 통해 트립을 일으킬 수 있는 회로차단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 트립장치 뿐만 아니라 보조트립장치에 의해서도 트립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회로차단기에서 트립은 짧은 시간에 일어나야 하므로, 주 트립장치가 늦게 트립 되는 경우에 보조트립장치에 의해서도 트립을 일으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보조트립장치를 고객이 원하는 수량으로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어, 사고전류 발생시 트립동작의 신뢰성을 높은 수준으로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오픈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차지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투입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의 투입상태에서 가동부 및 기구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 기구부의 트립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 트립코일 및 기구부의 트립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의 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트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의 트립코일 및 회전부를 나타낸 개념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트립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보조트립장치와 트립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트립이 일어나기 전의 상세도.
도 13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와 트립장치의 트립 동작을 나타낸 상세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10)의 오픈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회로차단기(10)는 크게 주회로부(20)와 기구부(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주회로부(20)와 기구부(30)는 주회로부 구동링크(26) 및 기구부 구동링크(31)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구부(30)에는 이상전류시 회로를 폐로시키기 위한 트립부가 구비되며, 트립부가 정상작동이 되지 않을 경우 작동하는 보조트립장치(100)가 구비된다. 또한, 회로차단기(10)를 지지하는 프레임(50)이 구비된다.
기구부(30)는 복수개의 샤프트 축과 링크들, 코일(41,42)로 구성되어 있다. 기구부(30)는 차단기의 오픈상태에서 수동 또는 전동 조작에 의하여 투입 스프링이 차지가 되고, 차지된 투입 스프링에 의하여 구동된다. 샤프트 축은 오픈 상태와 투입 상태, 차지 상태에서 각각 그 축을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 축에 연결된 링크들을 회전시킨다. 상기 링크들은 각각 이동가능한 범위내에서 회전하며, 오픈 상태, 투입 상태, 트립 상태에서, 서로 걸려서 이동이 제한되거나 이동시킨다. 코일은 차단기 투입시, 기구부(30) 작동을 위해 차지(Charge)되는 투입코일(42)과, 차단기에 사고전류 등이 발생한 경우, 전원이 인가되며 트립을 위한 이동을 하는 트립코일(41)이 구비된다.
또한, 기구부(30) 구동 샤프트는 기구부(30)와 주회로 가동부(22)를 연결하고 있으며, 회로 차단기 투입시 가동부(22)가 이동하여 고정부(21)와 접촉하게 된다.
주회로부(20)는 주전원이 통전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써, 주회로 고정부(21)와 주회로 가동부(22) 및 주회로 접압스프링(24)을 포함한다. 주회로 고정부(21)는 주전원이 통전되는 경로이며, 이동하지 않고, 가동부(22)와 접촉시 주회로에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주회로 가동부(22)는 상부쪽이 이동하여 상기 고정부(21)와 접촉과 분리가 가능하게 배치되며, 하부쪽에는 상기 기구부(30)와 연결되는 링크와의 사이에 접압스프링(24)이 배치된다. 접압스프링(24)은 상기 가동부(22) 하부측에 위치하며, 회로차단기(10)가 투입시, 하부쪽으로 배치된 주회로부 구동링크(26)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주회로부 구동링크(26)는 오픈상태에서는 상기 기구부(30)쪽이 낮은 상태이나, 투입된 상태에서는 주회로부 구동링크(26)의 일측이 가압되어 눌러져서 기구부(30)측이 더 높아 지게 된다. 상기 주회로부 구동링크(26)와 연결된 기구부 구동링크(31)는 상기 주회로부 구동링크(26)가 이동함에 따라 연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트립부는 상기 기구부(30) 상부에 위치한다. 트립부는 이상전류시 이를 감지하여 트립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보조트립장치(100)는 상기 트립부의 대각선 상부측에 위치한다. 보조트립장치(100)는 상기 트립부가 제대로된 트립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때를 대비하여 구비된다. 물론 상기 트립부가 제대로된 기능을 수행하여도 보조트립장치(100)에 의하여 트립이 될 수도 있다.
프레임(50)은 바디(51), 서포터(52), 바닥판(53), 휠(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51)는 회로차단기(10)의 전체적인 골격을 이루는 부분으로써, 상기 기구부(30)를 감싸고 있다. 상기 서포터(52)는 상기 바디(51) 내부에 기구부(30)와 연결되어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보조트립장치(100)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53)은 상기 주회로부(20)와 바디(51), 기구부(30)를 지지한다. 휠(54)은 상기 바닥판(53) 하부에는 상기 회로차단기(10)의 이동을 위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휠(54)은 이동가능한 수단으로써, 캐스터 등 일 수 있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10)의 차지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이를 참조하면, 상기 기구부(30)쪽에 복수개의 래치와 내부 기구들이 회전하여 상기 투입코일(42)이 충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차지상태는 투입스프링이 압축되어서, 투입을 하기 위한 에너지가 충전되는 상태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10)의 투입상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차단기의 수동 또는 전동으로 투입작동시, 상기 가동부(22)가 이동하여 고정부(21)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회로 차단기의 투입이 유지되며, 주전원의 통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로차단기(10)가 투입상태가 되면, 상기 접압스프링(24)이 압축되어, 하부방향으로 트립하중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회로 차단기는 사고 전류가 발생되거나 인위적으로 기구부(30)를 동작시키지 않으면, 상기 트립하중이 기구부(30)에 전달되어 트립동작이 일어나지는 않는다. 따라서 상기 트립하중은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차단기의 투입상태의 유지는 후술할 기구부(30)의 트립래치(40)가 동작되지 않는 조건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10)의 투입상태에서 가동부(22) 및 기구부(3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회로차단기(10)가 투입되면서, 접압스프링(24)이 압축되고 하부로 트립하중(24a)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회로부 구동링크(26)가 그 힘을 받아, 기구부(30)쪽이 상승하게 되고, 이어서 기구부 구동링크(31)가 회전하며 상승한다. 상기 기구부 구동링크(31)에 연결된 기구부 구동샤프트부(33)는 제1축(3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때, 트립래치(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차단기의 트립동작이 시작 될 수 있다.
도면에서 트립동작이 시작되기 전에 하중은 접압스프링 쪽에서도 하부방향으로 하중을 받고, 기구부 구동링크(31)에서도 상기 접압스프링이 하부로 하중을 받으므로 같이 하부방향(31a) 하중을 받게 된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회로차단기(10) 기구부(30)의 트립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트립이 시작되면, 접압스프링(24)의 하중에 의하여 트립 동작이 진행되고, 트립하중은 하부방향으로(31a, 도 4 참조) 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링크부(32)는 반시계 방향(34a)으로 구동하게 된다.
또한, 링크부(32)는 기구부(30) 내의 구성링크로써, 기구부 구동샤프트부(3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32)가 회전하면서, 상기 링크부(32)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링크(35), 제2링크(36), 제3링크(37)가 회동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트립래치(40)가 시계방향(40a)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회로차단기의 트립 동작이 진행된다.
도 6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회로차단기(10) 트립코일(41) 및 기구부(30)의 트립 동작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6은 사고전류 발생시 전기적으로 기구부(30)가 구동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사고전류의 발생시 회로 차단기에 트립 신호가 적용되면, 트립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트립코일(41)에 전원이 인가되면, 트립코일(41)의 하부에 배치된 코일핀(43)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부로 이동한 코일핀(43)은 상기 트립코일(41) 하부에 이격배치된 트립커플링(44)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트립커플링(44)은 트립 커플링 축(44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트립레버(4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트립레버(45)의 회전으로 트립래치(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을 통하여 트립동작이 완료되게 된다.
도 7은 트립코일(41)과 트립커플링(44), 트립레버(45)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코일핀(43)이 하부로 이동하게 되고, 하부로 이동한 코일핀(43)이 상기 트립코일(41) 하부에 배치한 트립커플링(44)을 가압하게 된다. 가압된 트립커플링(44)은 회전하면서, 상기 트립커플링(44) 일단부에 배치된 트립레버(45)를 가압한다. 따라서, 트립레버(45)가 회전하게 되며, 트립레버(45)의 회전으로 트립래치(40)가 회전하여 트립동작이 완료된다.
여기서, 상기 트립레버(45)는 일측으로 돌출된 트립레버돌기(4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립레버돌기(45b)는 후술할 보조트립장치(100)에 의하여 가압되어 상기 트립레버(45)의 회전을 일으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트립장치(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조트립장치(100)는 트립코일부(110), 회전부(120), 보조트립레버(130)를 포함한다.
트립코일부(110)는 코일이 원통형으로 권선되어 있는 부분이다. 상기 트립코일부(110)는 이상전류가 감지되어 트립동작이 시작되는 경우, 전류가 인가되어 하부쪽으로 이동한다. 트립코일가동자(114, 도 10 참조)은 상기 트립코일부(11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트립코일부(110)가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회전부(120)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상기 트립코일부(110)에 코일이 권선되는 모양은 원통형이 아닌, 여러가지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핀은 트립코일가동자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회전부(120)는 회전축을 포함하여, 상기 트립코일부(110)가 가압시 회전된다. 상기 회전부(120)는 가압플레이트(121)와 샤프트부(122)를 포함한다. 가압플레이트(121)는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로, 상기 트립코일부(11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트립코일부(110)가 하부로 이동시 가압된다. 샤프트부(122)는 긴 봉형으로 상기 가압플레이트(121)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플레이트(121)가 가압시 회전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샤프트부(122)는 가압플레이트(121)와의 연결, 보조트립레버(130)와의 연결을 위해, 단면이 각진 형태일 수 있다.
보조트립레버(130)는 상기 샤프트부(122)의 트립장치측 일단부에 배치된다. 상기 보조트립레버(130)는 샤프트부(122)에 끼워져, 샤프트부(122)가 회전시 연동하여 회전된다. 보조트립레버(130)는 원형의 형상에 직선으로 뻗어나온 회전가압부(130a)를 구비한다. 상기 회전가압부(121a)는 상기 샤프트부(122)가 회전시 연동하여 같이 회전하며, 하부에 배치될 트립레버(45) 또는 트립레버돌기(45b)를 가압한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100)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트립코일부(110)를 감싸면서 지지하고 있는 트립코일지지부(112)가 구비된다. 트립코일지지부(112)는 상기 트립코일부(110)를 일방향에서 상부와 하부를 둘러싸는 부재로써, 상기 코일트립부에 인가되는 전류가 흐르는 통로의 역할도 한다. 또한, 트립코일지지부(112)에는 상기 보조트립장치(100) 전체를 지지하고 있는 브라켓(150)과의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홀이 구비된다.
브라켓(150)은 상기 트립코일부(110), 트립코일지지부(112) 및 상기 회전부(120)를 지지, 고정시킨다. 브라켓(150)은 상기 보조트립장치(100)를 상기 바디(51)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브라켓(150)은 상기 트립코일지지부(112)를 지지, 고정시키는 지지판(152)이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150)을 상기 서포터(52)에 고정시킬수 있는 제1고정판(151), 상기 트립코일지지부(112)를 상기 브라켓(150)에 지지할 수 있는 제2고정판(153)이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고정판에는 고정을 위한 볼트 등을 삽입할 수 있는 홀(151a, 152a, 153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152)에는 상기 트립코일(41)이 전원을 인가받아 하부로 이동시 트립코일가동자(114)이 상기 회전부(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통과되는 제4홀(152a)이 구비되어 있다.
회전부판(154)은 상기 샤프트부(122)가 끼워지는 판이다. 상기 회전부판(154)은 상기 지지판 하부쪽으로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판(154)에는 상기 샤프트부(122)가 끼워질 수 있는 제5홀(154a)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가압플레이트(121)와 샤프트부(122)를 포함한다. 가압플레이트(121)는 상기 트립코일가동자(114)에 의해 가압되는 판이다. 상기 가압플레이트(121)는 상기 트립코일부(110)에 의해 가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가압부(121a)와, 일단부 양측에는 상기 샤프트부(122)를 수용할 수 있는 홀이 구비된 연결부(121b)가 있다.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100)의 트립코일(41) 및 회전부(120)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트립신호 발생시 보조트립장치(100)가 작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회로차단기(10)에 트립신호가 발생하면, 보조트립장치(100)인 상기 트립코일부(110)에 전류가 인가되고, 전류가 인가된 트립코일부(110)의 하부에 배치된 트립코일가동자(114)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하부로 이동하는 상기 트립코일가동자(114)은 상기 가압판(121a)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판 일측에 연결된 샤프트부(122)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부(122) 일측 단부에 구비된 보조트립레버(130)가 회전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조트립장치(100)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 보조트립장치(100)는 상기 회로차단기(10)의 주 트립장치의 일측 상부쪽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보조트립장치(100)는 궁극적으로 회로차단기(10)를 트립시키기 위한 것이며, 상기 보조트립레버(130)가 회전하며, 주 트립장치의 트립레버돌기(45b)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일측 상부쪽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트립신호 발생시, 상기 접압스프링(24)에 의해 트립하중을 받는 주회로부 구동링크(26)가 회동하고, 이에 따라 기구부 구동링크(31)가 상부로 이동한다. 또한, 보조트립장치(100)에서 상기한 바와같은 구동을 통해 보조트립레버(130)가 회전함으로써, 트립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주 트립장치에서 코일의 손상이나 전원이 인가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올바른 트립이 일어나지 않을 때 트립을 일으킬 수 있는 보조수단이 된다. 아울러, 주 트립장치가 제대로 작동할 때에도 보조트립장치 역시 작동하므로 서로 경쟁적으로 트립을 유도할 수 있으며, 이는 트립의 신뢰성과 속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상기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에 보조트립장치(100)와 트립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트립이 일어나기 전의 상세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트립레버돌기(45b) 부분은 상기 보조트립레버(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보조트립레버(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트립레버(13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트립레버돌기(45b)를 누르게 되어 주 트립장치에서 트립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서, 특히 상기 트립레버돌기(45b)는 상기 보조트립레버(130)의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보조트립레버가 회전하면서 상기 트립레버돌기(45b)를 가압하여, 트립래치(4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던 트립레버(45)를 구속해제하게 된다.
도 13은 상기 도 12에 도시된 보조트립장치와 트립장치의 트립 동작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트립신호가 발생하여 상기 트립코일부(110)에 전류가 인가되고, 트립코일가동자(114, 도 10 참조)이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된 트립코일가동자(114)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플레이트(121)는 샤프트부(122)의 회전을 일으킨다. 상기 샤프트부(122)가 회전하면서 샤프트부(122) 일단부에 배치된 보조트립레버(130)가 회전하여 상기 트립레버돌기(45b)를 가압하게 된다.
이어서, 가압된 트립레버돌기(45b)는 트립레버(45)를 회전시키고, 트립레버(4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트립레버(45)가 구속하고 있던 트립래치(40)의 구속이 풀어져, 상기 트립하중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회로차단기의 전체적인 트립이 일어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7)

  1. 코일 권선부에 권선되고, 전원 인가시 기결정된 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립코일가동자를 포함하는 트립 코일부;
    상기 트립 코일가동자의 이동방향으로 상기 트립코일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트립코일가동자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되, 수평방향으로 위치하여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는 가압플레이트와, 상기 가압플레이트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가압플레이트가 가압됨에 따라 회전가능한 샤프트부로 구성된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의 트립장치측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부가 회전함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며, 회로차단기 내부에 위치한 트립장치를 가압하는 보조트립레버;
    를 포함하고,
    상기 트립장치는,
    회전에 의해 상기 회로차단기를 트립 가능한 트립래치;
    상기 트립래치가 회전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트립레버; 및
    상기 트립레버에서 상기 보조트립레버측으로 돌출되어 회전하는 축을 이루는 트립레버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트립레버는 상기 트립래치를 구속하는 상기 트립레버를 해제하도록 상기 트립레버 또는 트립레버돌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트립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플레이트는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에 의해 가압되는 플레이트 형태의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부를 수용가능한 개구부를 구비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트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트립장치는,
    상기 트립코일부를 지지하고, 상기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트립코일가동자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상기 트립코일가동자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트립코일부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트립장치.
  6. 제 1항,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트립장치는,
    일측은 상기 트립코일부를 지지하고 타측은 상기 회전부를 지지하며, 트립시 상기 보조트립장치가 상기 회로차단기를 트립시키도록, 상기 보조트립장치를 상기 회로차단기와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트립장치.
  7. 제1항,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보조트립장치를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
KR1020140018623A 2014-02-18 2014-02-18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15787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23A KR101578700B1 (ko) 2014-02-18 2014-02-18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8623A KR101578700B1 (ko) 2014-02-18 2014-02-18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89A KR20150097289A (ko) 2015-08-26
KR101578700B1 true KR101578700B1 (ko) 2015-12-21

Family

ID=5405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8623A KR101578700B1 (ko) 2014-02-18 2014-02-18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87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982B1 (ko) * 2020-11-06 2023-01-18 엘에스일렉트릭(주) 래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접촉기
KR102510845B1 (ko) * 2020-11-30 2023-03-16 엘에스일렉트릭 (주) 배선용 차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974B2 (ja) * 1988-03-04 1998-07-23 メルラン、ジェラン 補助トリップ装置
KR100493401B1 (ko) 2002-07-04 2005-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용 부속장치의 트립기구 구동장치
KR200401941Y1 (ko) 2005-08-22 2005-1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002B2 (ja) * 1992-03-17 2001-04-25 富士電機株式会社 回路遮断器の操作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8974B2 (ja) * 1988-03-04 1998-07-23 メルラン、ジェラン 補助トリップ装置
KR100493401B1 (ko) 2002-07-04 2005-06-0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용 부속장치의 트립기구 구동장치
KR200401941Y1 (ko) 2005-08-22 2005-11-23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 회로 차단기의 트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289A (ko) 2015-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71651B1 (en) Circuit breaker
KR101087511B1 (ko) 차단기의 인입출 인터록 장치
KR101106899B1 (ko) 포지션 스위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CN102651292B (zh) 断路器
KR101492222B1 (ko) 누전차단기의 순시트립장치
KR101578700B1 (ko) 보조트립장치 및 이를 구비한 회로 차단기
KR102506085B1 (ko)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구비한 진공차단기 및 모니터링 방법
KR100470435B1 (ko)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리턴 장치
KR101804583B1 (ko) 누전 차단기의 트립장치
CN106158528A (zh) 断路器的操作机构的熔焊隔离机构
CN204067263U (zh) 一种断路器用机械式计数器的驱动机构
US8471654B1 (en) Circuit protection device and flux shifter for a circuit protection device
US20160163476A1 (en) Circuit breaker panel including remotely operated circuit breaker
KR20120088428A (ko) 컷 아웃 스위치 차단 장치
CN101562082B (zh) 断路器互锁系统及方法
CN107958822B (zh) 一种具有联锁轴位置信号输出功能的断路器
CN103187215A (zh) 塑壳断路器的欠压跳闸装置
US2961067A (en) Electrically operated stored energy system for circuit breakers
TWI698897B (zh) 小型斷路器之開閉與跳脫顯示結構
TWI651746B (zh) 遮斷器
US2318086A (en) Field discharge circuit breaker
US3736054A (en) Automatic line transfer control
CN205376388U (zh) 一种高压真空断路器联锁结构
CN107004542B (zh) 电气开关设备以及用于其上的杆轴卡持组件
US10361043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remote operation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