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640B1 -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 Google Patents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640B1
KR101577640B1 KR1020150055035A KR20150055035A KR101577640B1 KR 101577640 B1 KR101577640 B1 KR 101577640B1 KR 1020150055035 A KR1020150055035 A KR 1020150055035A KR 20150055035 A KR20150055035 A KR 20150055035A KR 101577640 B1 KR101577640 B1 KR 101577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tension
spring
valve body
tension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로권
박정원
이송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우정공
주식회사 티에스오토모티브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우정공, 주식회사 티에스오토모티브, 박정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우정공
Priority to KR1020150055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25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the valve being loaded by a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10Spot welding; Stitch welding
    • B23K11/11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03Coo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treamlined valve member around which the fluid flows when the valve is op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밸브 리테이너; 및 타단에 결합되는 장력 조절관;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위치하되, 장력 조절관에 니플이 노출되도록 상기 장력 조절관의 걸림턱에 걸려서 형성되는 밸브체 가이드; 상기 밸브체 가이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체의 지지구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장력 조절관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절관의 결합 정도에 따라 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장력을 외부에서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 압력에 맞게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수압이 다른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더러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한 경우 밸브의 분해 또는 교체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밸브의 개폐구를 판형이 아닌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의 차단속도 향상과 함께 유체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Tension controling valve for cooling water leakage}
본 발명은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의 장력을 외부에서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 압력에 맞게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수압이 다른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더러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한 경우 밸브의 분해 또는 교체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밸브의 개폐구를 판형이 아닌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의 차단속도 향상과 함께 유체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폿 용접건에는 용접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수 공급시스템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냉각수 공급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일정압력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호스를 통하여 로봇 본체에 설치된 공급호스로 공급되어 상기 용접건을 냉각시키고, 배출호스을 따라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냉각수 공급시스템에는 상기 용접건의 용접팁(10)이 이탈되는 경우 냉각수의 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냉각수 차단장치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냉각수 차단장치는 상기 로봇 아암의 일측에서 상기 냉각수의 배출유량을 검출하여 그 신호를 제어기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팔로우 스위치(20)와, 상기 공급호스의 일측에 구성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냉각수 공급를 차단하는 냉각수 차단밸브(30)와, 냉각수 순환로 상에 배치되는 체크밸브로 구성되어 용접건의 용접팁이 작업중 이탈하는 경우, 냉각수의 수량변화를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전기적인 제어방식으로 냉각수를 차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냉각수 차단장치에 사용되는 차단밸브 또는 체크밸브의 개폐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타입의 원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냉각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될 뿐더러 냉각수의 차단속도가 느리고, 용접팁의 이탈시 냉각수의 지속적인 누수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 또는 체크밸브의 스프링의 장력은 규격화된 구조여서 상기 스프링의 장력손실이 발생하는 경우 밸브를 분해하거나 새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스프링의 장력을 외부에서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 압력에 맞게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수압이 다른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더러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한 경우 밸브의 분해 또는 교체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밸브의 개폐구를 판형이 아닌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의 차단속도 향상과 함께 유체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는, 밸브 하우징; 상기 밸브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되는 밸브 리테테이너; 및 타단에 결합되는 장력 조절관; 상기 밸브 하우징 내에 위치하되, 장력 조절관에 니플이 노출되도록 상기 장력 조절관의 걸림턱에 걸려서 형성되는 밸브체 가이드; 상기 밸브체 가이드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체의 지지구에 고정되는 스프링; 상기 스프링의 장력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밸브 하우징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에 장력 조절관이 나사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절관의 결합 정도에 따라 스프링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밸브체의 개폐구는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스프링의 장력을 외부에서 조절가능토록 함으로써 사용 압력에 맞게 스프링의 장력조절이 용이하며, 이로 인해 수압이 다른 여러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더러 스프링의 장력이 감소한 경우 밸브의 분해 또는 교체없이 현장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밸브의 개폐구를 판형이 아닌 원추형으로 형성함으로써 밸브의 차단속도 향상과 함께 유체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 - 종래의 용접건의 냉각수 차단장치를 도시한 구조도.
도 2 - 종래의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참고도.
도 3 - 본 발명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 - 도 3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 - 도 4의 단면도.
도 6 - 본 발명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의 사용상태 참고도.
상기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하우징(110); 밸브 리테이너(120); 장력 조절관(130); 밸브체 가이드(140); 스프링(150); 밸브체(160); 스페이서(170);로 구성된다.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의 내주면에는 밸브 리테이너(12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장력 조절관(130)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11)이 일정길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 리테이너(120)는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배관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공지의 구성에 해당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장력 조절관(130)은 밸브 하우징(110)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구성으로, 상기 나사 결합의 정도에 따라 스프링(15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즉 상기 장력 조절관(130)의 끝단에는 걸림턱(131)이 형성되는데, 아때 상기 걸림턱(131)에는 밸브체 가이드(140)의 일단부에 형성된 단턱(141)이 걸리게 되므로 장력 조절관(130)의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밸브체 가이드(140)는 좌우(또는 전후)로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밸브체 가이드(140)의 타단에 지지되는 스프링(150)의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밸브체 가이드(140)의 일단에는 니플(140a)이 형성되어 배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안착홈(142)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142)에는 스프링(150)의 일단이 안착·고정된다.
상기 스프링(150)은 밸브체(160)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은 밸브체 가이드(140)에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체(160), 즉 상기 밸브체(160)가 결합된 스페이서(170)에 고정된다.
상기 밸브체(160)는 스프링(150)의 장력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일단에는 스프링을 지지 및 고정하기 위한 지지구(16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밸브 리테이너(120)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1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구(162)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기존의 밸브체가 원판형의 디스크 타입으로 형성되어 차단속도가 느리고 냉각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가 되는 반면(도 2 참조), 상기 원추형으로 형성된 개폐구(162)는 냉각수가 원추 형상에 따라 방사구조로 흐르게 되므로 냉각수의 차단속도가 빠를 뿐더러 상기 냉각수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하고, 나아가 냉각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냉각수 차단모듈(100)을 용접건의 일측에 설치하고 수회 반복실험을 수행한 결과, 기존의 압력게이지와 차단밸브가 분리된 구조의 냉각수 차단장치는 누수량이 최소 200㎖ 이상이였으나, 상기 압력게이지와 차단밸브가 일체로 구성된 냉각수 차단모듈은 누수량이 최대 17㎖ 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 발명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110: 밸브 하우징 111: 나사산
120: 밸브 리테이너 130: 장력 조절관
131: 걸림턱 140: 밸브체 가이드
141: 단턱 142: 안착홈
150: 스프링 160: 밸브체
161: 지지구 162: 개폐구
170: 스페이서

Claims (2)

  1. 밸브 하우징(110);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일단에 결합되는 밸브 리테테이너(120); 및 타단에 결합되는 장력 조절관(130); 상기 밸브 하우징 내(110)에 위치하되, 장력 조절관(130)에 니플(140a)이 노출되도록 상기 장력 조절관(130)의 걸림턱(131)에 걸려서 형성되는 밸브체 가이드(140); 상기 밸브체 가이드(14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밸브체(160)가 결합된 스페이서(170)의 내면에 고정되는 스프링(150); 상기 스프링(150)의 장력에 의해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체(160);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밸브체(160)의 일단에는 스프링(16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6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밸브 리테이너(120)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구(162)가 형성되며, 상기 밸브 하우징(110)의 타단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나사산(111)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산(111)에 장력 조절관(130)이 나사 결합되며, 상기 장력 조절관(130)의 결합 정도에 따라 스프링(150)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160)의 개폐구(162)는 원추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KR1020150055035A 2015-04-20 2015-04-20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KR101577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35A KR101577640B1 (ko) 2015-04-20 2015-04-20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5035A KR101577640B1 (ko) 2015-04-20 2015-04-20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40B1 true KR101577640B1 (ko) 2015-12-18

Family

ID=5508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35A KR101577640B1 (ko) 2015-04-20 2015-04-20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4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2756B2 (en) Gas flow monitoring device
JP6396910B2 (ja) 内部登録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超過圧力防護デバイスのための動的圧力登録デバイス
US10962162B2 (en) Fluid-regulator with field convertible slam-shut device
JP5555158B2 (ja) 流体調節装置およびバルブポート
JP2007532298A (ja) 液体吐出バルブ、改良ストローク長較正方法、及び流体取付具
RU2635339C2 (ru) Разгруженный клапанный канал для регулятора жидкости
MX2015004049A (es) Montaje de alivio de presion fijo y ajustable y regulador que lo comprende.
BRPI0807101A2 (pt) Válvula, e, dispositivo de ajuste de fluxo da válvula
US3079946A (en) Excess pressure valve
CN204628789U (zh) 适于密封接合阀座的阀塞和控制装置
CN112128432B (zh) 一种用于有毒气体管道的泄压电磁阀
US10310519B2 (en) Flowrate control device for a fluid
US20170108881A1 (en) Pressure Regulating Device Having A Variable Travel Stop
JP5232851B2 (ja) 供給流量調節器の通気口
US9244467B2 (en) Automated water temperature control system
KR101577640B1 (ko) 누수 차단용 장력조절 밸브
KR20110134236A (ko) 자동온도 유량조절밸브
US20120125455A1 (en) Gas flow monitor
US9671299B2 (en) Fluid regulator having a retractable sense tube
KR20170002467A (ko) 밸브 배열체
JP5648179B2 (ja) 流量調節弁装置
JP6013716B2 (ja) 湯水混合水栓
JP5485182B2 (ja) ガス流れ監視装置
EP2966531B1 (en) Fluid flow control devices and systems
WO2016207818A1 (en) Pressure regulator with shutoff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