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612B1 -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 Google Patents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612B1
KR101577612B1 KR1020150033090A KR20150033090A KR101577612B1 KR 101577612 B1 KR101577612 B1 KR 101577612B1 KR 1020150033090 A KR1020150033090 A KR 1020150033090A KR 20150033090 A KR20150033090 A KR 20150033090A KR 101577612 B1 KR101577612 B1 KR 10157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ylinder
ice plant
cylinder
blaster
ju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우
강동구
강영록
Original Assignee
강병우
주식회사 삼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우, 주식회사 삼봉 filed Critical 강병우
Priority to KR10201500330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6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19/00Household machines for straining foodstuffs; Household implements for mashing or straining foodstuffs
    • A47J19/06Juice presses for veget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스플랜트 블래터를 분리하여 착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장치에 의해 얻어진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착즙액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는, 원통형 외부통; 상기 외부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의 내주면 및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며 그 원주면 및 하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 1 내부통; 상기 제 1 내부통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 1 내부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내부통; 및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내부통의 원주면 및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 블래터가 분리되어 착즙된다.

Description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CRUSHING ICEPLANT BLADDEER AND SQUEEZED JUICE OF ICEPLANT}
본 발명은 아이스플랜트 블래터를 분리하여 착즙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고, 또한 이러한 장치에 의해 얻어진 아이스플랜트 착즙액에 관한 것이다.
아이스플랜트(iceplant)는, 석죽목의 석류풀과에 속하는 염생/다육식물로 온도 및 기타 외부환경요인에 의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줄기와 잎에 에피더멀 블래터 셀(Epidermal Bladder cells)이 많이 형성되며, 이 부분에 NaCl 및 각종 영양성분들을 저장할 수 있다. 하지만 아이스플랜트는 지나치게 많은 스트레스를 가하면 CAM(Crassulacean Acid Metabolism)을 일으켜 성장을 멈추게 하며, 개화를 유도하는 독특한 생리를 가진 식물이다.
아이스플랜트는 유럽과 아프리카에 분포하고 있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남쪽대륙 뿐만 아니라 북쪽으로 엑스마우스(Exmouth), 서쪽으로 오스트레일리안 해안까지 분포되어 있다. 이 식물은 독특한 생리와 소금을 축적하는 능력으로 인해 염분을 함유하고 있는 지역의 염분을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되어 왔다.
아이스플랜트는 기타 식물과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이스플랜트는 생장 과정에서 줄기나 떡잎에 투명한 물방울의 블래터를 형성하여 영양분을 여기에 저장한다. 그러나, 이러한 블래터는 물로 씻을 경우 모두 씻겨져 나감으로써 영양분을 가진 블래터를 섭취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에 의해 영양분이 아이스플랜트의 새순, 줄기 및 떡잎, 뿌리 모두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블래터가 세척 과정에서 씻겨져 나가므로 새순만을 따서 이용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모두 버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특개 2005-095126호 (2005. 04. 14) 대한민국 공개 특허 공보 제10-2007-0067171호 (2007. 06. 27)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서 언급한 것처럼, 기존에 세척 과정 등에서 버려지고 있는 아이스플랜트의 블래터를 획득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아이스플랜트 블래터를 물리적으로 분리하고 이를 착즙한 착즙액을 얻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는, 원통형 외부통; 상기 외부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의 내주면 및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며 그 원주면 및 하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 1 내부통; 상기 제 1 내부통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 1 내부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내부통; 및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내부통의 원주면 및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 블래터가 분리되어 착즙된다.
상기 외부통의 원주면 또는 하면에는 착즙액을 추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개구의 크기는 지름이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는,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아이스플랜트의 남아 있는 잎과 줄기를 추가로 착즙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장치를 이용하여 아이스플랜트로부터 영양분이 많이 들어 있는 블래터 착즙액을 손쉽게 분리하여 얻을 수 있다.
또한, 블래터 뿐만 아니라 잎과 줄기도 추가적으로 착즙이 가능하므로 이를 압착하여 얻은 녹즙액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외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제 1 내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제 2 내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이 이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며, 전체 도면에서 걸쳐 유사한 도면번호는 유사한 엘리먼트를 나타내기 위해서 사용된다.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 다양한 설명들이 본 발명의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특정 설명 없이도 실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다른 예들에서, 공지된 구조 및 장치들은 실시예들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블록 다이아그램 형태로 제시된다.
하기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간략화된 설명을 제공한다. 본 섹션은 모든 가능한 실시예들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는 아니며, 모든 엘리먼트들 중 핵심 엘리먼트를 식별하거나, 모든 실시예의 범위를 커버하고자 할 의도도 아니다. 그 유일한 목적은 후에 제시되는 상세한 설명에 대한 도입부로서 간략화된 형태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개념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는, 원통형 외부통(10); 상기 외부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의 내주면 및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며 그 원주면 및 하면에 일정 크기의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 1 내부통(20); 상기 제 1 내부통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 1 내부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내부통(30); 및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40)를 포함한다.
원통형 외부통(10)은 본 발명의 장치의 본체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회전 가능한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이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외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원통형 외부통은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상부에 별도의 뚜껑(50)을 포함할 수 있고, 블래터를 분리 착즙하기 위해 모터를 구동할 때 뚜껑(50)을 닫고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뚜껑을 닫지 않으면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이 회전하여 아이스플랜트의 블래터가 착즙되는 과정에서 착즙액이 외부로 배출될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외부통(10)의 원주면 또는 하면에는 착즙액을 추출하기 위한 배출구(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15)는 개폐형 문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구를 통해서 아이스플랜트의 블래터 착즙액을 사용자가 얻어서 이용할 수 있다.
제 1 내부통(20)은 원통형 형상으로 도 1에서 보는 것처럼 외부통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통의 내주면 및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된다. 한편, 제 1 내부통의 원주면 및 하면에는 일정 크기의 개구(25)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제 1 내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개구(25)를 통해 아이스플랜트의 블래터의 액이 착즙되어 제 1 내부통 및 외부통 사이의 간격으로 배출되게 된다.
개구(25)의 크기는 지름이 1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 사이의 공간에 아이스플랜트를 집어 넣고 모터의 회전에 의해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이 회전하면서 블래터가 아이스플랜트로부터 분리되어 회전력에 의해 블래터 막이 터지면서 그 내부의 액이 제 1 내부통 외부로 배출되어 제 1 내부통 및 외부통 사이의 공간에 저장된다. 일반적으로 아이스플랜트의 블래터의 크기는 지름이 1.5 내지 2.5mm 정도이다. 따라서, 제 1 내부통의 개구가 지름이 1mm를 넘으면 블래터가 막이 터지지 아니한 채로 직접 외부로 배출될 우려가 있다.
제 2 내부통(30)은 원통형 형상으로 제 1 내부통(20)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제 1 내부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제 2 내부통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제 2 내부통(30)은 제 1 내부통(20)과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모터에 의해 회전이 일어날 때 제 1 내부통과 제 2 내부통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 2 내부통과 제 1 내부통 사이의 간격은 아이스플랜트가 넣어지는 공간이다. 여기에 아이스플랜트가 넣어진 채로 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블래터를 착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 2 내부통과 제 1 내부통 사이의 간격은 20mm 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40)는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에 연결되어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을 회전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제 1 내부통과 제 2 내부통이 함께 연결되어 있어 모터에 의해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모터(40)는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 하부에 배치되어 원통형 내부통의 중심축을 따라 회전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40)는 저속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400rpm/min 이하의 속도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의 속도는 중요한 포인트인데, 왜냐하면 모터의 회전 속도가 저속이 아닌 고속으로 구동하면 블래터와 아이스플랜트가 분리되는 것이 아니고 아이스플랜트(잎과 줄기)와 블래터가 함께 착즙액으로 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아이스플랜트에 매달려 있는 블래터를 아이스플랜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400rpm/min 이하의 속도로 구동되어야 블래터만 분리되어 블래터 착즙액을 추출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구동을 설명하면, 제 1 내부통(20)과 제 2 내부통(30)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가 삽입되고, 모터(40)의 회전에 의해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이 회전하여 제 1 내부통의 원주면 및 하면에 형성된 개구(25)를 통해 제 1 내부통과 외부통(10)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 블래터가 분리되어 착즙된다. 이후 착즙된 착즙액을 배출구(15)를 통해서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의 경우 이미 위의 도 1 내지 5에서 설명한 구성에 대해서는 모두 동일하며, 추가적인 구성으로 피스톤(60)을 포함하고 있다. 나머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고 피스톤(60)에 대해서만 추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블래터를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로부터 분리하여 블래터 막이 터지면서 액상으로 추출되게 되고, 추출 이후 제 1 내부통(20) 및 제 2 내부통(30) 사이의 공간에서는 블래터가 분리되고 사라진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가 남아 있게 된다.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 역시 식용으로 가능한 부분이고 영양분을 갖고 있는 부분이므로 이들 역시 착즙하여 이용할 수 있고, 피스톤은 이러한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 부분을 착즙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6에서 보는 것처럼,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착즙액이 추출된 이후, 남아 있는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는 피스톤(60)에 의해 압축 착즙될 수 있으며, 역시 착즙액은 제 1 내부통(20)의 개구(25)를 통해 제 1 내부통과 외부통 사이의 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러한 피스톤(60)은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을 따라서 왕복 운동이 가능해야 한다. 따라서 그 형상은 고리형태의 피스톤인 것이 바람직하며, 크기는 제 1 내부통 및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을 추가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아이스플랜트 식물을 재배하고 그 잎과 줄기를 채취하였다. 채취한 잎과 줄기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 1 외부통 및 제 2 외부통 사이의 공간에 넣고, 350rpm/min의 속도로 모터를 구동시켰다. 모터의 구동 시간은 3분 동안 구동하였으며, 구동 후 외부통과 제 1 외부통 사이의 공간에는 블래터 액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추출하여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청을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남아 있는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를 피스톤을 이용하여 압착하였다. 압착 결과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의 녹즙액이 추출되었다.
한편,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청(착즙액)과 아이스플랜트 잎과 줄기의 녹즙액을 서로 다양한 비율로 혼합한 믹싱액도 제조하였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원통형 외부통;
    상기 외부통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외부통의 내주면 및 하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며 그 원주면 및 하면에 지름이 1mm 이하의 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제 1 내부통;
    상기 제 1 내부통의 중심축과 같은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제 1 내부통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채 배치되는 원통형 제 2 내부통;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을 회전 가능하게 하는 모터; 및
    상기 외부통의 원주면 또는 하면에는 착즙액을 추출하기 위한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가 삽입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이 회전하여 상기 제 1 내부통의 원주면 및 하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상기 제 1 내부통과 상기 외부통 사이의 간격에 아이스플랜트 블래터가 분리되어 착즙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 속도는 400rpm/min 이하의 속도로 구동되는,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통 및 상기 제 2 내부통 사이의 간격으로 왕복 운동 가능한 피스톤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피스톤에 의해 상기 아이스플랜트의 남아 있는 잎과 줄기를 추가로 착즙 가능한,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5. 삭제
KR1020150033090A 2015-03-10 2015-03-10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KR10157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090A KR101577612B1 (ko) 2015-03-10 2015-03-10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090A KR101577612B1 (ko) 2015-03-10 2015-03-10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7612B1 true KR101577612B1 (ko) 2015-12-15

Family

ID=5502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090A KR101577612B1 (ko) 2015-03-10 2015-03-10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6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26Y1 (ko) 2001-11-02 2002-02-19 김희주 과즙 추출장치
JP2005095126A (ja) * 2003-09-24 2005-04-14 Harumori Matayoshi 遠心分離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26Y1 (ko) 2001-11-02 2002-02-19 김희주 과즙 추출장치
JP2005095126A (ja) * 2003-09-24 2005-04-14 Harumori Matayoshi 遠心分離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364791A (zh) 一种内置固态饮料的瓶盖以及采用该瓶盖的饮料瓶
JP5895097B2 (ja) 迅速に抽出できる球状容器
CN109730517B (zh) 一种免去核整核榨汁机
CN108559631A (zh) 一种高效萃取花椒风味物质的方法
CN205258417U (zh) 一种牡丹籽油用除杂装置
CN104056702B (zh) 一种杨桃破碎机
KR101577612B1 (ko) 아이스플랜트 블래터 분리 착즙 장치 및 아이스플랜트 착즙액
CN206371831U (zh) 一种手动单头杨梅榨汁机
CN204429462U (zh) 中草药自动研磨烘烤机
ES2230128T3 (es) Metodo para la produccion de zumo de frutas tales como la granada.
WO2017138804A1 (es) Aparato exprimidor de cítricos
CN109645503A (zh) 一种蓝莓果干与果汁制作装置
CN208878740U (zh) 一种生物制药厂用中草药粉碎装置
CN110811281A (zh) 简易百香果籽汁分离装置
CN216315431U (zh) 一种椰子切缝装置及椰子自动破壳机
KR20160063175A (ko) 수평 유동하는 칼날이 구비된 적과장치
CN101233877A (zh) 罗汉果种仁油的制备方法及专门为该方法设计的制取设备
CN211609119U (zh) 简易百香果籽汁分离装置
CN105289821A (zh) 中草药自动研磨烘烤机
CN109329841A (zh) 一种骨汤粉专用高效提取装置
CN106490950A (zh) 一种手动单头杨梅榨汁机
CN108617250A (zh) 一种电动摘花椒机
CN103756836A (zh) 一种美容养颜葡萄酒的制作方法
US2089501A (en) Method of deseeding fruits of the naturally segmented type
CN107258947A (zh) 一种具有炒制腔和干燥腔的茶叶加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