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7216B1 -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7216B1
KR101577216B1 KR1020140023178A KR20140023178A KR101577216B1 KR 101577216 B1 KR101577216 B1 KR 101577216B1 KR 1020140023178 A KR1020140023178 A KR 1020140023178A KR 20140023178 A KR20140023178 A KR 20140023178A KR 101577216 B1 KR101577216 B1 KR 10157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providing apparatus
based content
distance
content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3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1636A (ko
Inventor
김진석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23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7216B1/ko
Publication of KR20150101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1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8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with gaze detection, i.e. detecting the lines of sight of the viewer's ey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공간 정보 수신부, 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APPARATUS AND METHOD OF PROVIDING LOCATION BASED CONTENT, WEARBLE DEVICE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위치 기반 서비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한 위치와 관련된 경로안내, 관심 지점(Point Of Interest) 정보 등의 위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최근 들어, 위치 기반 서비스는 증강 현실 기술을 위치 정보에 접목시켜 보다 향상된 위치 정보를 모바일 디바이스에게 제공해왔다. 이러한, 증강 현실 기술은 모바일 디바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영상 위에 가상 정보(예를 들어, 이미지)를 중첩 및/또는 합성시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공간 정보 수신부, 상기 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은,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거리 측정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위치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리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및 컨텐츠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1과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 표시되는 정보는 사물의 3차원 가상 영상으로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착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가상 영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모바일 장치(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 글라스 등)에 탑재되어, 해당 모바일 장치에게 모바일 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거리 측정 센서는 예를 들어,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x축, y축 및 z축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으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고정된 지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포함된 인접 벽면, 천장, 및 바닥 간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각도 측정 센서가 탑재되어 있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짐을 인식할 수 있고,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짐에 대응하는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각도에 따라, 거리측정센서에서 측정된 거리값을 보정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 또는 공간 정보 제공 서버(미도시)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정보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객체(가구, 기둥 등)의 배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된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3차원 공간 정보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일 수 있으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내부에 설치된 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베이스(DB)에 기저장된 정보일 수도 있다.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거리 측정 센서 및 각도 측정 센서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예를 들어, 스마트 글라스 등)로서, 거리 측정 센서, 디스플레이 및 프로세싱 유닛(거리 측정 센서 및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싱을 하도록 구성된 유닛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유닛은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정보임)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은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싱 유닛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로서, 위치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고 있는 정보임)를 수신하고, 측정된 거리 및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컴퓨팅 장치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 및 스마트 글라스 등의 모든 종류의 HMD(Head Mount Display) 디바이스가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형태 또는 앞서 예시된 것들로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컨텐츠 서버(2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게 3차원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서버(2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대한 정보를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2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에게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된 3차원 공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1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들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다. 네트워크(30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례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거리 측정부(110), 공간 정보 수신부(120), 각도 측정부(130), 시선 감지부(140), 위치 계산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DB(17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버튼, 접촉 센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거리 측정부(110)는 거리측정센서를 이용하여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거리측정센서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부(110)는 적외선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반사되어 돌아오는 적외선의 양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포함된 인접 벽면 및 천장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측정부(110)는 x축, y축 및 z축의 양의 방향과 음의 방향으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경계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10)는 각도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측정된 거리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리 측정부(11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기울어져 있을 경우, 3축 이상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축의 방향으로
Figure 112014019384127-pat00001
측정된 거리와,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수직 거리(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경계면까지의 수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측정부(11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천장(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천장을 의미함) 간에 측정된 거리 및,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천장의 수직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공간 정보 수신부(12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공간 정보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차원 공간 정보는 해당 공간에 존재하는 객체(예를 들어, 가구, 전자 제품 등)의 배치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간 정보 수신부(120)는 기설정된 시간 주기로 업데이트된 3차원 공간 정보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각도 측정부(13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도 측정부(130)는 각도 측정 센서(예를 들어, 자이로센서, 가속도 센서 등)를 이용하여, 기준 축(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기설정된 기준이 되는 축)으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각도 측정부(13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해당 움직임에 대응하여 달라지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회전 각도와 대응함)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거리 및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 측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수행되는 거리 측정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3축(301 내지 303) 방향으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로부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300)의 경계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기울어져 있을 경우, 각도 측정 센서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305)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3축 이상의 방향 중 어느 하나의 축의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공간(300)의 복수의 경계면 중 어느 하나의 경계면 간에 거리)와 측정된 각도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해당 경계면의 수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공간(300)의 천장 간에 거리(304)를 AP,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305)를
Figure 112014019384127-pat00002
라 할 경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공간(300)의 천장 간의 수직 거리(306)는 cos(
Figure 112014019384127-pat00003
) * AP로 계산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시선 감지부(14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선 감지부(140)는 시선 방향 추적 센서를 이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시선 감지부(140)는 눈동자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할 수 있다.
위치 계산부(150)는 거리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거리, 각도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각도 및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공간(300)내에서의 정확한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디스플레이(패널) 위에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는 투명하기 때문에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스마트 글라스인 경우라도,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외부를 볼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가 투명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는 불투명 하여 사용자가 직접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외부를 볼 수 없다고 하더라도,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외부에 부착된 이미지 센서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외부의 이미지를 획득하여, 불투명한 디스플레이 위에 획득된 외부의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외부를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60)는 계산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는 3차원 가상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업데이트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6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이동 위치에 따라, 3차원 가상 물체의 전면, 측면, 후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0)는 시선 감지부(140)에 의해 감지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60)는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3차원 가상 물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DB(17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DB(170)는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3차원 공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170)는 거리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170)는 각도 측정부(130)에 의해 측정된 각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70)의 일 예에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한편, 당업자라면, 거리 측정부(110), 공간 정보 수신부(120), 각도 측정부(130), 시선 감지부(140), 위치 계산부(150), 디스플레이부(160) 및 DB(17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및 컨텐츠 서버(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3b의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 및 컨텐츠 서버(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01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와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경계면 간의 수직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단계 S403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컨텐츠 서버(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3차원 공간 정보는 해당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405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 S401에서 측정된 거리 및 단계 S403에서 수신한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407에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 S405에서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100)는 단계 S405에서 감지된 사용자의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401 내지 S4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200: 컨텐츠 서버

Claims (20)

  1.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에 있어서,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공간 정보 수신부;
    상기 거리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위치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시선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각도 측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는 상기 공간에 존재하는 객체의 배치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정보 수신부는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
  7.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위치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는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장치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상기 거리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것인, 위치 기반 컨텐츠 제공 방법.
  10. 삭제
  11.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있어서,
    거리 측정 센서,
    디스플레이, 및
    상기 거리 측정 센서 및 상기 디스플레이와 인터페이싱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싱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거리 측정 센서를 통해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3. 삭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16. 위치 기반 콘텐츠를 제공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에 장착된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3축 이상의 방향으로 거리를 측정하고,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측정된 거리 및 상기 3차원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위치를 계산하고,
    상기 계산된 위치에 대응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 위에 표시하도록 하고,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의 시선 방향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시선 방향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울어진 각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도를 이용하여 상기 거리를 측정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18. 삭제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위치하고 있는 공간의 가로 길이, 세로 길이 및 높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컴퓨팅 장치가 컨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3차원 공간 정보를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어들의 시퀀스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0140023178A 2014-02-27 2014-02-27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KR10157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78A KR101577216B1 (ko) 2014-02-27 2014-02-27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3178A KR101577216B1 (ko) 2014-02-27 2014-02-27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36A KR20150101636A (ko) 2015-09-04
KR101577216B1 true KR101577216B1 (ko) 2015-12-14

Family

ID=54242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3178A KR101577216B1 (ko) 2014-02-27 2014-02-27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7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51B1 (ko) 2016-01-28 2017-03-14 모젼스랩(주) 가상화 클라우드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위치에 따른 컨텐츠 인터렉션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532A (ja) 1999-11-12 2001-05-25 Nippon Signal Co Ltd:The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JP2010231273A (ja) * 2009-03-25 2010-10-14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情報提供サーバ
KR101208245B1 (ko) * 2011-04-12 2012-12-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2532A (ja) 1999-11-12 2001-05-25 Nippon Signal Co Ltd:The 移動体の位置検出装置
JP2010231273A (ja) * 2009-03-25 2010-10-14 Victor Co Of Japan Ltd 情報表示方法、情報表示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情報提供サーバ
KR101208245B1 (ko) * 2011-04-12 2012-12-04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위치 인식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651B1 (ko) 2016-01-28 2017-03-14 모젼스랩(주) 가상화 클라우드를 이용한 다중 사용자 위치에 따른 컨텐츠 인터렉션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1636A (ko) 2015-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0038B2 (en) Dynamic location based digital element
TWI485365B (zh) 用於估計一真實世界距離之方法及系統及電腦可讀媒體
KR101879586B1 (ko) 증강 현실 구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US9074899B2 (en) Object guiding method, mobile viewing system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EP3090407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estimation of motion of a device
EP3188132B1 (e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program
EP30950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ization of geo-located media contents in 3d rendering applications
US20190022462A1 (en) Facilitating dynamic monitoring of body dimensions over periods of time based on three-dimensional depth and disparity
US9182229B2 (en) Enhanced position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US20120026088A1 (en) Handheld device with projected user interface and interactive image
US20140379248A1 (en) Non-map-based mobile interface
ES2800624T3 (es) Sugerencia de ruta en tiempo real para un dispositivo móvil con localización habilitada
US20170061683A1 (en) Facilitating body measurements through loose clothing and/or other obscurities using three-dimensional scans and smart calculations
US11353891B2 (en) Target track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50350846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osition estimation
RU2652535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измерения расстояния до уда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KR102120786B1 (ko) 제약없는 시공간 위치 기반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4014244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3차원 모델링을 위한 촬영방법
JP2014182479A (ja) 姿勢によって拡張現実感の表示を制御する情報端末、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Shoushtari et al. Many ways lead to the goal—Possibilities of autonomous and infrastructure-based indoor positioning
KR101577216B1 (ko) 위치 기반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기록 매체
US883837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object guiding function and an object guiding method thereof
US20150292883A1 (en) Target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KR101601726B1 (ko) 복수의 영상 획득 장치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 및 자세 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104505B1 (ko)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