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954B1 -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 Google Patents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954B1
KR101576954B1 KR1020130133316A KR20130133316A KR101576954B1 KR 101576954 B1 KR101576954 B1 KR 101576954B1 KR 1020130133316 A KR1020130133316 A KR 1020130133316A KR 20130133316 A KR20130133316 A KR 20130133316A KR 101576954 B1 KR101576954 B1 KR 1015769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board
soft ground
insertion hole
connec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2426A (ko
Inventor
장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테크 창신
(주) 금강지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테크 창신, (주) 금강지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테크 창신
Priority to KR1020130133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9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52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02D2450/10Membranes
    • E02D2450/101Membranes permeable
    • E02D2450/102Membranes permeable for liqu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약지반 안정처리 목적의 토지개량 공법 중, 연직배수 공법에 의해 연약지층에 함유된 수분 탈수촉진 공법에 사용되는 드레인보드 타입의 배수재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의 하부에 직경이 확대되는 확장부를 구성하여 그 내면의 삽입구멍과 드레인보드의 외면 사이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밀폐링을 삽입하며, 확장부의 일측면 하단은 전면 쪽만 일부를 제거하여 ㄱ형의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드레인보드의 결합을 편리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Water supply connectors for soft ground improvement}
본 발명은 연약지반 안정처리 목적의 토지개량 공법 중, 연직배수 공법에 의해 연약지층에 함유된 수분 탈수촉진 공법에 사용되는 드레인보드 타입의 배수재를 연결하는 연결구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연약지반 안정처리는 토지개량 공법 중 하나로서, 연약지층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여 지반안정을 목적으로 시공되는 공법이다.
종래에는 연약지반 안정처리를 위하여 연약지반의 상부에 모래 등으로 구성된 압밀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압밀로 발생하는 토압에 의한 지반 침하시 생성되는 수분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로에 의하여 지상으로 배출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나, 상기한 방법은 장기간의 배수 기간이 필요하며, 모래 등의 토사가 다량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현재는 상기한 종래 방식을 개선한 방식으로, 연약지반 내부에 비대칭 나선형관 또는 드레인보드 등과 같은 배수재를 상호 밀폐 연결하여 진공펌프의 흡착에 의해 연약지반 내부의 수분을 지상으로 배출하여 단기간에 지반을 안정 개량시키는 공법이 사용되고 있는바, 드레인보드 타입의 배수재인 경우 상단의 연결구와 결합하는 과정이 어렵고, 밀폐성이 부족하여 토사의 유입으로 관로가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종래 배수제의 문제점을 좀 더 상세히 살펴보면, 드레인보드는 복수의 통수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코어 및 이 코어를 감싸는 필터재로 구성되고, 필터재는 수분만을 통과시키도록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드레인보드의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구는 하부에 드레인보드가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납작한 형태의 관체형으로 구성되고 상부에는 흡입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관이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드레인보드를 연결구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부직포 재질로 된 필터는 코어와 고정되지 않고 코어를 단순히 감싸는 형태로 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코어에 부직포가 감싸져 있는 상태에서 크기 여유가 거의 없이 납작한 구멍으로 된 연결부에 삽입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연결구에 드레인보드가 힘들게 삽입되더라도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이러한 틈새로 여과되지 않는 물과 이물질이 빨려들어가면서 배수라인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의해 배수 작업에 시간이 매우 많이 걸리고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으로 이어지는 것이었다.
실용신안등록 제20-0430843(공고: 2006년11월13일)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연결구에 부직포를 씌운 드레인보드를 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을 개선하고, 연결구에서 드레인보드와 연결구 내벽의 사이에서 여과되지 않은 물과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결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구의 하부에 직경이 확대되는 확장부를 구성하여 그 내면의 삽입구멍과 드레인보드의 외면 사이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밀폐링을 삽입하며, 확장부의 일측면 하단은 전면 쪽만 일부를 제거하여 ㄱ형의 개방부를 형성함으로써 드레인보드의 결합을 편리하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원발명의 연결구에 의하면 드레인보드의 일측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개방부를 통해 내면에 밀착시키면서 삽입구멍으로 밀어 넣어 일부분이 먼저 삽입되도록 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삽입구멍으로 밀어 넣어 삽입을 완료하는 것으로서, 드레인보드를 결합이 편리하고 신속하며, 드레인보드의 결합불량에 의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배수능률 향상도 이룩하게 된다.
또한, 밀폐링에 의하여 배수되는 땅속의 물이 여과되지 않고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배수장치의 성능과 수명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 배수작업의 효율성과 유지관리의 효율성도 배가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결합상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연결구(10)는 공지된 것과 같이 상단에 호스(1)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를 구성하였으며, 연결부(11)의 하부에는 코어(21)와 부직포(22)로 구성된 드레인보드(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의 삽입부(12)를 구성한다.
특히 본 고안의 연결구(10)는 하부에 직경이 확대되는 확장부(13)를 구성한 다음, 확장부(13)의 내면의 삽입구멍(14)과 드레인보드(20)의 외면 사이에 꼭 맞게 삽입될 수 있는 밀폐링(15)을 삽입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밀폐링(15)은 드레인보드(20)의 부직포(22)를 통과하지 않아 여과되지 않은 상태의 물과 이물질이 연결구(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확장부(13)의 일측면 하단은 전면 쪽만 일부를 제거하여 ㄱ형의 개방부(16)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드레인보드(20)를 삽입구멍(14)으로 삽입할 때 개방부(16)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연결구(10)는 연결부(11)의 상부에 표면에 요철부를 갖는 호스(1)를 연결하되, 연결부(11)의 상부에 나사(3)를 형성하고 나사(3)가 형성된 연결부(1)의 내부에 내부관(4)을 형성하여 내부관(4)과 연결관(3)의 사이로 오링(2)과 호스(1)를 삽입토록 하고, 연결관(3)의 나사에 결합되는 캡(5)에는 호스(2)의 요철부에 결합되는 걸림날(6)을 형성하여 호스(1)가 아래 방향으로 진입할 때는 걸림날(6)이 젖혀지면서 통과하고 반대방향으로는 걸림날(6)에 걸려 호스(1)가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본다.
본 발명의 연결구(10)는 통상의 배수작업에서와 같이 하부에 드레인보드(20)를 결합한 다음 땅속에 삽입을 하고 상부의 연결구(10)가 땅위로 노출된 상태에서 연결부(11)에 흡입관이 연결되어 배수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배수작업을 위해서는 연결구(10)에 먼저 드레인보드(20)를 결합하는데, 드레인보드(20)를 삽입구멍(14)에 삽입하기에 앞서 밀폐링(15)을 드레인보드(20) 외면에 감싸는 형태로 결합하고 일정 구간 아래로 밀어 내린 다음 결합을 한다.
드레인보드(20)는 코어(21)에 부직포(22)를 씌운 상태이므로 삽입구멍에 끼워 넣는 과정에서 부직포(22)가 밀리거나 접히게 되므로 틈이 넓지 않은 연결구(10)의 삽입구멍(14)에 삽입하는 것이 어려운바, 본원발명의 연결구(10)에 의하면 전면부에 ㄱ형의 개방부(16)를 형성하였으므로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드레인보드(20)의 일측 선단부를 비스듬하게 개방부(16)를 통해 내면에 밀착시키면서 삽입구멍(14)으로 밀어 넣어 일부분이 먼저 삽입되도록 한 다음 나머지 부분을 삽입구멍(14)으로 비틀면서 밀어 넣어 삽입을 완료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결합 동작에 의해 연결구(10)와 드레인보드(20)를 결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고 신속하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게 되며, 항상 드레인보드(20)가 정확한 상태로 결합되므로 결합 불량에 의한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하면서 배수능률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드레인보드(20)를 연결구(10)에 결합한 다음에는 드레인보드(20) 외면에 끼워 두었던 밀폐링(15)을 밀어 올려 드레인보드(20)와 확장부(13) 내부의 삽입구멍(14) 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러한 밀폐링(15)에 의하여 배수되는 땅속의 물이 부직포(22)를 통하여 여과되지 않고 연결구(10)를 통해 배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 연결구
11: 연결부
12: 삽입부
13: 확장부
14: 삽입구멍
15: 밀폐링
16: 개방부
20: 드레인보드
22: 코어
22: 부직포

Claims (1)

  1. 상단에 흡입관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1)를 구성하였으며, 연결부(11)의 하부에는 코어(21)와 부직포(22)로 구성된 드레인보드(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납작한 형태의 삽입부(12)를 구성한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에 있어서,
    연결구(10)의 하부에는 직경이 확대되어 드레인보드와의 사이에 밀폐링을 삽입할 수 있도록 확장부(13)를 구성하여 드레인보드를 확장부(13)의 내면의 삽입구멍(14)과 삽입부까지 삽입한 다음, 삽입구멍의 내면과 드레인보드의 외면 사이에 꼭 맞게 밀폐링(15)을 삽입함으로써 물이 드레인보드의 부직포를 거치지 않고 연결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확장부(13)의 일측면 하단의 전면 쪽만 일부를 제거한 ㄱ형의 개방부(16)를 형성하여 드레인보드를 삽입할 때 개방부를 통하여 드레인보드 일측을 삽입구멍의 내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반대쪽을 비틀면서 나머지 부분을 삽입구멍에 삽입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KR1020130133316A 2013-11-05 2013-11-05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KR10157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16A KR101576954B1 (ko) 2013-11-05 2013-11-05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316A KR101576954B1 (ko) 2013-11-05 2013-11-05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6A KR20150052426A (ko) 2015-05-14
KR101576954B1 true KR101576954B1 (ko) 2015-12-14

Family

ID=5338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316A KR101576954B1 (ko) 2013-11-05 2013-11-05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03009A (zh) * 2017-01-05 2017-05-24 天津大学 一种真空预压排水组件
CN111074877A (zh) * 2019-12-10 2020-04-28 浙江工业大学 一种可重复利用的具有多排水路径的拉链式土工管袋及其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426A (ko)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219648U (zh) 一种农田灌溉装置
TWM470701U (zh) 濾芯結構改良
KR101576954B1 (ko) 연약지반 개량용 배수재 연결구
KR200430843Y1 (ko) 진공 펌핑에 의한 연약지반 급속 배수장치
CN104455880A (zh) 一种防堵塞的弯形连接管
CN209017411U (zh) 盐碱地改造系统
CN208501640U (zh) 一种树穴积水处理装置
KR100714647B1 (ko) 진공 펌핑에 의한 연약지반 급속 배수장치
CN205320792U (zh) 一种节水灌溉器
CN206768453U (zh) 一种洗衣机放水管过滤器
CN204436296U (zh) 一种钻井液过滤装置
CN208748742U (zh) 一种组合式雨水渗透渠
CN207462822U (zh) 一种灌溉过滤滴管
CN203052199U (zh) 改进的自动过滤排水装置
CN205557780U (zh) 一种截污雨水口
CN204185693U (zh) 一种带有进水杂质收集器的洗衣机
CN207659940U (zh) 一种基于倒虹吸管引水技术的引调水装置
JP5391256B2 (ja) 井戸の構築方法
CN207660070U (zh) 园林排水管道
CN204185915U (zh) 一种管道漂浮物及粘稠物分离器
CN205357500U (zh) 一种利用无纺土工布抗负压堵塞的农作物根区灌溉器
CN207221476U (zh) 一种波纹滤管
CN103982717B (zh) 管连接组件
CN218512106U (zh) 一种具有伸缩抽样功能的地下水采样器
CN219060181U (zh) 一种水循环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