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867B1 - 수력 발전 장치 - Google Patents

수력 발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867B1
KR101576867B1 KR1020130157109A KR20130157109A KR101576867B1 KR 101576867 B1 KR101576867 B1 KR 101576867B1 KR 1020130157109 A KR1020130157109 A KR 1020130157109A KR 20130157109 A KR20130157109 A KR 20130157109A KR 101576867 B1 KR101576867 B1 KR 101576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member
conduit
power generation
pow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0642A (ko
Inventor
박유진
박덕풍
박민철
박기철
Original Assignee
박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유진 filed Critical 박유진
Priority to KR102013015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8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3/00Machines or engines of reaction type; Parts or details peculiar thereto
    • F03B3/12Blades; Blade-carrying r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류가 진행하는 관
내부에 수류가 통과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 상기 관로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권선된 코일을 구비하는 축 부재, 상기 관로부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축부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권선된 코일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 그리고 상기 권선된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어 외부로 제공되는 전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전력 수요가 있는 지역에 인접하여 대규모의 시공 없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유지보수 및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력 발전 장치 {HYDRAULIC GENER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수류가 진행하는 관로 상에 설치되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력 발전이라 함은 유수의 낙차에 따른 위치 에너지 또는 유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 장치를 구동하여 전기 에너지를 발전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수력 발전 장치는 강이나 하천 가운데 지형적으로 큰 낙차를 형성하는 위치에 발전소를 건설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일반적이었고, 최근에는 파력이나 물에서의 부력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최근 원자력 발전소 및 화력 발전소로 인한 환경 오염의 위험이 크게 대두됨에 따라, 환경 오염의 우려가 없는 수력 발전 방식에 대해 보다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종래의 수력 발전은 주로 지형적인 조건을 이용하는 방식이거나 대규모 공사를 수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전력 수요가 많은 도심으로부터 원거리에 위치하여 발전을 수행하므로 전력 손실이 야기될 수 밖에 없었고, 대규모 공사를 통한 대규모 발전 방식이었기 때문에 민간 차원에서 발전 설비를 구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로를 따라 이동하는 수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에 수류가 통과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 상기 관로부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권선된 코일을 구비하는 축 부재, 상기 관로부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축부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권선된 코일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영구 자석이 구비되는 회전 부재, 그리고 상기 권선된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어 외부로 제공되는 전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수력 발전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는 내부에 상기 축 부재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된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면을 따라 나선 형태로 설치되는 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축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날개부의 외경까지의 거리는 상기 관로부의 0.75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로부의 양측에는 상기 관로부의 내부 관로에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축 부재의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내측 개구부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축 부재가 끼움 설치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발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로부는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관로부가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축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축 부재의 외면에 권선되는 코일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영구 자석은 방수성 재질로 코팅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코일은 상기 축 부재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권선되거나,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회전 부재의 중공 내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재의 양 측 단부에는 내부의 중공으로 수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축 부재 또는 상기 지지 프레임과 인접한 위치에 수밀 패킹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배수관, 급수관 등의 관로를 이용하거나 강이나 산, 계곡, 하천 등과 인접한 지역에 관로를 매설하여 수력 발전을 진행할 수 있어, 대규모의 시공 없이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력 수요가 많은 도심 지역에서도 수력 발전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관로 내부에 구비되는 회전 부재에 의해 발전이 진행됨과 동시에 관로 내부에 침전물이 형성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관로 내부에 이상 발생시 해당 위치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유지 보수를 진행하거나 교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축 부재 및 회전 부재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관로부가 연결 설치되는 일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관로부가 연결 설치되는 다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 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 또는 생략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구성요소는 도면에 도시된 크기 및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각 구성요소의 크기를 대형화 또는 소형화시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며, 형상 또한 다양하게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는 수류가 통과하는 관로(101)를 형성하는 관로부(100), 관로부 내부에 설치되는 축 부재(110) 및 회전 부재(120), 그리고, 관로부(100)의 양측에 설치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관로부(100)는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며, 내부를 따라 수류가 통과하는 관로(101)를 형성한다. 그리고 관로부(100)의 양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130)가 형성되며, 플랜지(130)를 통해 후술할 연결부(2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관로부(100)는 급수원으로부터 각 시설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관을 형성할 수도 있고, 각 시설물로부터 배수된 하수를 하수처리장으로 전달하는 배수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는 바다나 하천과 인접한 지역에서 바다나 하천의 물을 이용하여 수력 발전을 진행하기 위해 증축된 수류관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관로부는 지하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도 있고, 지상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관로부(100)의 직경 및 길이는 설계시 다양하게 결정할 수 있으며, 기존에 구비되어 있는 급수관 또는 배수관을 이용할 경우 기존의 급수관 또는 배수관에 대응되는 직경 및 길이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축 부재(110) 및 회전 부재(120)는 관로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관로부(100)를 통과하는 수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110) 및 회전 부재(120)는 관로부(100) 중 수류가 통과하는 구간에 배치되며, 축 부재(110)는 관로부(100)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 부재(120)는 관로부(100)를 통과하는 수류의 운동 에너지에 의해 축 부재(110)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회전 부재(120)는 몸체부(121) 및 몸체부(121)의 외측을 따라 설치되는 날개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부(121)는 회전 부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 형성되는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축 부재(11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여 축 부재(110)를 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회전 부재(120)의 몸체부(121)의 내면 및 축 부재(110)의 외면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141)이 형성되어, 회전시 발생되는 마찰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그리고, 날개부(122)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몸체부(121)의 외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기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날개부(122)는 수류가 몸체부(121)의 길이 방향과 직각 방향을 기준으로 40도 이상의 경사를 갖는 나선 형태로 배치되며, 수류가 진행함에 따라 최대의 회전을 얻을 수 있도록 유선형 곡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날개부(122)는 몸체부(12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날개부(122)의 단부는 몸체부(121)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한 반경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수류가 진행함에 따라 최대의 회전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날개부(122)는 축 부재의 중심(몸체부의 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길이가, 관로부의 내부 반경의 0.75배 이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실험 결과 0.85 내지 0.95배에 해당하는 경우 최대의 회전 운동을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날개부(122)가 관로 반경과 인접한 부분까지 연장 설치되는 경우, 관로를 통과하는 수류가 적은 경우에도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관로 내부에 이물질 등이 침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축 부재(110)는 회전 부재(120)의 몸체부(121)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양단은 후술할 연결부의 지지 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 부재(120)가 수류 진행시 회전함에 따라 회전 부재(120)와 상대적인 회전 운동이 가능하며, 이러한 상대 회전 운동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서 축 부재(110) 및 회전 부재(120)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로부의 수류가 통과하는 구간에 배치되는 축 부재(110)에는 제 1발전부재인 권선된 코일(111)이 구비되고, 회전 부재(120)에는 제 2발전부재인 영구 자석(123)이 회전부의 회전축인 축 부재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발전부재 외측의 날개부를 따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제1 발전 부재를 축으로 회전 부재(120)가 회전하면 영구 자석(123)과 권선된 코일(111)이 상대적으로 이동하면서 자기장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권선된 코일(111)상에 전류가 흐르면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축 부재(110)에 코일이 권선되고, 회전 부재(120)에 영구 자석(123)이 구비되는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다른 예로서 축 부재에 영구자석이 구비되고 회전 부재에 코일이 권선되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부재(110)에 구비되는 코일은 축 부재(110)의 외측을 따라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수류 발전시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수류를 고려하여, 권선된 코일은 방수성 재질(142)로 코팅처리 될 수 있다.
회전 부재(120)에 구비되는 영구 자석(123)은 회전 부재(120)의 몸체부(121) 내면을 따라 배치되며, 몸체부(121)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는 수류를 고려하여, 영구 자석(123)이 노출되는 부분은 방수성 재질(142)로 코팅처리 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구조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일 예이며, 이 이외에도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11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축 부재(110)의 내측에 권선되도록 구성하고, 영구 자석(123) 또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회전 부재의 몸체부(121) 내부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축 부재(110)가 수용되는 회전 부재(120)의 중공부로 수류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도록, 회전 부재(120)의 양측 단부에는 축 부재(110) 또는 지지 프레임(210)과 사이의 공간을 수밀 패킹처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서 연결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200)는 관로부(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구성이다. 연결부(200)는 관로부(100)의 양단 플랜지(13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블록 형태로 구성되며, 관로부(100)의 플랜지(130)와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200)의 내측에는 관로부(100)의 관로에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며, 관로부(100)의 관로와 함께 수류가 진행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관로부(100)는 개구부(201) 내측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지지 프레임(210)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프레임(210)은 축 부재(110)가 고정 설치되는 체결부(211) 및 체결부(211)를 지지하는 지지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211)는 축 부재(11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길이를 갖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로 구성되며, 축 부재(110)의 단부는 체결부(211)에 삽입 설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212)는 개구부(201)의 내벽면으로부터 체결부(211)의 외측까지 연장 형성되어 체결부(211)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체결부(211)는 축 부재(110)의 단부가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축 부재(110)의 코일(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코일(111)로부터 발생된 전기 에너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처럼 체결부(211)에 전달된 전기 에너지는 체결부(211) 및 지지부(212)에 형성된 전기 선로를 따라 외부에 구비되는 전력 전달부(300)로 전달된다. 따라서, 수류가 진행함에 따라 생산된 전기 에너지는 전력 전달부(300)를 통해 외부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일 예를 단순화하여 도시하고 있으나, 연결부(200)는 전술한 구조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연결부는 하나의 블록 형태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부 구조 및 하부 구조가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3에서는 하나의 연결부에 하나의 지지 프레임이 구비되어 양측에 배치된 각 관로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축 부재가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하였으나, 이 이외에도 양측에 배치되는 관로부의 축 부재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해 두 개의 지지 프레임을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체결부 및 지지부의 형상은 축 부재 및 수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관로부가 연결 설치되는 일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관로부가 연결 설치되는 다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200)의 양단은 각각 인접한 관로부(100)와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복수개의 관로부(100)는 연결부(200)를 매개로하여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관로부(100)와 복수개의 연결부(200)가 교대로 배치되어, 수류가 진행하는 유로를 형성하면서, 유로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200)는 직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유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직선형 블록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도 4 참조), 절곡되는 유로를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절곡된 형태의 개구를 갖는 연결부를 이용하여 각각의 관로부를 연결할 수 있는 것도 가능하다(도 5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관로부(100)의 플랜지(130)와 연결부(200)는 각각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할 뿐 아니라, 설계된 유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관로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특정 위치에서 이상이 발생한 경우, 해당 위치의 관로 및 연결부를 분리하여,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거나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력 발전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력 발전 장치는 지표면으로부터 소정 깊이에 매립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력 발전 장치의 관로부(100)는 외면을 따라 작은 크기의 중공(1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중공(102)의 크기는 흙과 같은 이물질은 통과하지 못하고, 물은 통과할 수 있을 정도로 적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표면을 통해 유입되는 빗물 또는 지하에 존재하는 지하수들이 관로부(1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수력 발전에 이용될 수 있다. 이때, 관로 내부를 통과하는 수류가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중공(102)은 관로부(100)의 상측에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할 경우, 관로를 통과하는 수류의 양이 적은 지역에서도 지하에 존재하는 물이 유입되어 수력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관로 내부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이용하여 수력 발전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부(100)는 수평면(동일한 위치에너지를 갖는 면)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 형태로 관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로 내부의 물이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가속되므로 수력발전의 효율이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시적으로 물이 흐르지 않는 관로라 하더라도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류가 위치 에너지에 의해 경사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력 발전 장치 내부의 회전 부재(120)를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수력 발전 장치로부터 생산된 전기 에너지를 외부 시설물에 제공하거나 전기 에너지를 판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관로를 통과하는 수류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수력 발전 장치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수력 발전 장치는 소규모 건축물의 급배수 시설에 적용할 수 있도록 소규모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주요 수로를 연결하는 대형 관로 시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대규모 장치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로서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 설계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청구하는 권리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사항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청구항에 기재된 특징을 실시하는지 여부로 판단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내부에 수류가 통과하는 관로를 형성하는 관로부;
    상기 관로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관로부 내부에 고정설치되며, 제 1발전부재를 포함하는 축 부재;
    상기 축 부재가 수용되는 중공이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측을 따라 나선 형태로 설치되는 날개부 및 상기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 1발전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제 2발전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관로부를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제 2발전부재가 상기 고정 설치된 축 부재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 그리고
    상기 제 1회전부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 1발전부재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에너지가 전달되어 외부로 제공되는 전력 전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발전부재 및 상기 제2 발전부재는 상기 관로부 중 수류가 통과하는 구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발전부재는 상기 날개부의 내측에 상기 날개부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발전부재는 상기 제2 발전부재의 외측으로 통과하는 수류에 의해 상기 제1 발전부재를 축으로 회전하고,
    상기 몸체부의 중공으로 수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단부에는 수밀 패킹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축 부재의 중심으로부터 단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관로부 내경 반경의 0.75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의 양측에는 상기 관로부의 내부 관로에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의 내부에는 상기 축 부재의 양단이 고정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은 내측 개구부의 중심에 구비되어 상기 축 부재가 끼움 설치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축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축 부재는 상기 체결부 및 상기 지지부를 통해 상기 전력 전달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로부는 상기 연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관로부가 상기 연결부를 매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와 상기 회전 부재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 부재의 제 1발전부재 또는 상기 회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 2발전부재는 방수성 재질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발전부재는 상기 축 부재의 외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내부에 구비되거나, 상기 제 2발전부재는 상기 회전 부재의 중공 내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 부재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력 발전 장치.
  10. 삭제
KR1020130157109A 2013-12-17 2013-12-17 수력 발전 장치 KR101576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09A KR101576867B1 (ko) 2013-12-17 2013-12-17 수력 발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7109A KR101576867B1 (ko) 2013-12-17 2013-12-17 수력 발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42A KR20150070642A (ko) 2015-06-25
KR101576867B1 true KR101576867B1 (ko) 2015-12-11

Family

ID=53517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109A KR101576867B1 (ko) 2013-12-17 2013-12-17 수력 발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8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292983U (zh) * 2015-06-11 2019-08-23 追梦农场有限公司 水力发电装置及利用水流的发电设施
WO2017164091A1 (ja) * 2016-03-22 2017-09-28 株式会社ベルシオン 水車、並びにそれに使用する2本の雄ねじ軸の連結構造、および2本の軸の連結構造
KR20240117406A (ko) 2023-01-25 2024-08-01 정민서 흐르는 물을 이용한 동력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2988A (ja) * 2007-01-11 2008-07-24 Shinyo Sangyo Kk 混成発電装置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2988A (ja) * 2007-01-11 2008-07-24 Shinyo Sangyo Kk 混成発電装置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642A (ko) 2015-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74652T3 (es) Sistema de generación de energía hidroeléctrica y turbina montada en tubería
JP4787286B2 (ja) 水力発電装置
KR101576867B1 (ko) 수력 발전 장치
JP2009114937A (ja) 水力発電装置
KR20200006875A (ko) 수상 복합 발전시스템
JP6119041B2 (ja) 水力発電装置
JP2013224592A (ja) 水力発電装置
JP2010031791A (ja) 水力発電装置
US9657711B2 (en) Underground watermill
KR101772017B1 (ko) 무축 배관형 발전기
KR20160046744A (ko) 수력발전장치
JP5345430B2 (ja) 水力発電装置
JP6089314B2 (ja) 水力発電装置
JP2013068196A (ja) 水力発電装置
CN105683560B (zh) 发电装置、流体压力减小装置以及流体泵
KR101341860B1 (ko)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 발전장치
KR101622638B1 (ko) 소수력 발전 패키지 시스템
JP2014152645A (ja) 水流発電装置
KR20130009271A (ko) 양방향 발전이 가능한 친환경 물레식 조력 발전 장치
US20190072066A1 (en) Hydroelectric device and hydroelectric system comprising same
JP2006194121A (ja) 水の落下エネルギーの動力への転換装置とそれを用いた発電装置
KR101384123B1 (ko) 양방향터빈을 구비한 조력발전장치 및 조력발전부력선
KR20030091629A (ko) 관 내부를 흐르는 유체를 이용한 발전장치
JP6556944B2 (ja) 水力発電装置及び水流を利用した発電施設
KR101576868B1 (ko) 수류를 이용한 발전 시설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