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479B1 -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 Google Patents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479B1
KR101576479B1 KR1020107025415A KR20107025415A KR101576479B1 KR 101576479 B1 KR101576479 B1 KR 101576479B1 KR 1020107025415 A KR1020107025415 A KR 1020107025415A KR 20107025415 A KR20107025415 A KR 20107025415A KR 101576479 B1 KR101576479 B1 KR 101576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ixed
pair
box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2549A (ko
Inventor
장 로벵스
Original Assignee
인덕터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덕터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덕터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32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2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01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 H05B6/103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multiple metal pieces successively being moved close to the inductor
    • H05B6/104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local heating of metal pieces multiple metal pieces successively being moved close to the inductor metal pieces being elongated like wires or b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362Coil arrangements with flat coil condu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0Establishing desired heat distribution, e.g. to heat particular parts of workpie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60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with indu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6/00Aspects relating to 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covered by group H05B6/00
    • H05B2206/02Induction heating
    • H05B2206/022Special supports for th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Abstract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인덕터는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연관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 패시브 코일부를 갖고 있고, 이러한 이동가능 패시브 코일부는 상기 고정 전력 코일부를 통해 흐르는 전류에 의해 생성된 자속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한다. 이러한 이동가능 패시브 코일부는 상이한 폭을 갖는 가공물의 유도 가열을 수용하거나 가공물의 이동을 추적하기 위해 가공물을 가로질러 횡방향 이동될 수 있다. 대안으로, 이러한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연관된 이동가능 코일부는 가요성 커넥션, 슬라이딩 콘택트 또는 클램프와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어서, 전기 접속은 임의의 상대적 위치에서 양측 사이에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VARIABLE WIDTH TRANSVERSE FLUX ELECTRIC INDUCTION COILS}
본 발명은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고정 또는 이동 평면 방위를 갖는 전기 도전성 가공물을 가열하는데 사용될 때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6,570,141 B2는 전원에 접속된 코일의 이동가능부를 포함하는 가변폭 횡방향 자속 코일을 개시한다. 이러한 구성은 이동가능부와 전원 사이에 가요성의 전력 커넥션을 필요로 하고, 큰 이동가능한 어셈블리를 필요로 하는데, 그 이유는 이들의 길이가 가열될 스트립의 최대폭과 직접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고, 결과적으로, 특히 이동가능한 어셈블리가 자속 집중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무겁다.
본 발명의 간략한 설명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고정 전력 코일부와, 유도 가열될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폭에 대한 코일의 폭을 조정하기 위한 편의 수단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정 전력 코일부와, 유도 가열되는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위치가 가열 공정 동안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코일의 횡방향부를 조정하기 위한 편의 수단을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폭 보다 실질상 짧을 수 있다. 그 결과, 경량이고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어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양 에지의 순시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하나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연속 또는 이산 시트 또는 스트립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평면 방위를 갖는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가열을 위한 장치 및 방법이다.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은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이러한 고정 전력 코일부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이러한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술된 고정부로의 이동가능한 직접적인 전기 접속을 가질 수 있다. 전기 도전성 가공물은 보통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 사이에 위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AC 전원이 고정 전력 코일부에 적합하게 접속되어 단상 AC 전력을 이러한 코일에 공급한다. 이러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상이한 가공물 폭; 상이한 가열 프로파일; 또는 이러한 코일 사이의 그 의도된 이동의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공물의 이동을 수용하기 위해 전기 도전성 가공물을 가로질러 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에 의한 횡방향 자속 유도 가열 장치 및 방법이다. 이러한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은 서로 동평면에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횡방향부로부터 형성된 고정 평면 코일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한 쌍의 횡방향부는 적어도 하나의 턴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브리지부에 의해 각각의 인접 반대 단부에 근방에서 함께 결합된다. 교류원이 고정 평면 코일부 둘레의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고정 평면 코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전기적으로 이격되고 적어도 브리지 주위에서 자기장과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일단부에 기계적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자기 코어는 브리지부와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섹션 사이의 자속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라이저부가 상술된 횡방향부 쌍의 각각과 브리지부 사이에 접속될 수 있어 횡방향부와 브리지부 사이의 중간부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이러한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현재 바람직한 형태를 도면에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발명은 도시된 배열 및 특성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및 가공물과 관련하여 도시된 본 발명의 고정 전력 코일부의 하나의 예의 등각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하나의 예의 등각도,
도 3은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하나의 예의 단면 정면도,
도 4는 상하 유도 코일 사이에 정적 위치되거나 이동하는 가공물 상하에 위치된 연관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및 고정 전력 코일부내의 전류 패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인접 표면 둘레의 한 쌍의 고정 자기 코어의 등각도,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사용되는 대안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등각도,
도 7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가 도면에 도시된 패시브 코일부 아래에 이동하는 가공물의 횡 에지를 추적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 롤의 하나의 예의 단순화된 부분 등각도,
도 8은 코일부가 3개의 턴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정 전력 코일부의 하나의 예의 등각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정 전력 코일부의 또 다른 예의 등각도,
도 10은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하는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고정 전력 코일부와 함께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하나의 예의 등각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고정 전력 코일부와 함께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또 다른 예의 등각도,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4(a) 내지 도 14(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6(a) 내지 도 16(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19(a) 내지 도 19(d)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의 부분 등각도,
도 20은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이 기밀 엔클로저의 외부에 위치된 기밀 엔클로저를 통과하는 가공물을 유도가열하는데 사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하나의 예를 도시한 도면, 및
도 21은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 사이에 위치된 가공물 및 개방된 위치에 도시된 상기 한 쌍의 코일과 함께 힌지가능하도록 장착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의 배열을 도시한 도면.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 "가공물"은 연속적인 스트립 또는 시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거나, 이산 길이를 갖는 스트립 또는 시트로 구성될 수 있는 평면 방위의 전기 도전성 재료를 가리킨다. 이러한 가공물은 가공물의 표면상에 배치된 액체 본딩 재료를 건조하는 공정과 같은(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딩 공정을 달성하기 위해 또는 가공물의 금속야금학적 특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유도 가열될 수 있다. 또한, 가공물은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상하 또는 사이에 이동할 수 있거나, 가공물의 유도 가열 동안 하나 이상의 코일의 상하 또는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래 예는 가공물의 양측에 위치된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을 일반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오직 하나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은 가공물의 일측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동일한 부재번호가 동일한 요소를 가리키는 도면에서,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의 하나의 예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비제한의 예에서, Y 방향으로 정의된 가공물의 폭 또는 횡방향을 갖는 화살표의 방향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포지티브 X방향으로 상하 유도 코일(도 3) 사이에서 이동하는 가공물(90)의 평면을 정의하는 X-Y 평면으로 오소고날 레퍼런스 스페이스가 달성된다. 포지티브 Z방향은 가공물의 상부표면에 수직인 방향을 가리킨다. 상하 유도 코일은 아래에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전력 코일부 및 2개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고정 전력 코일부의 하나의 비제한 예를 도시한다. 도 1에서, 고정 전력 코일부가 가공물(90)의 위치에 관련하여 상부 유도 코일에서 사용된다. 오직 하나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가 고정 전력 코일부에 대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위치지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가 고정 코일부의 각 반대 단부에 사용되지만, 일부 경우에, 이러한 배열은 고정 코일부의 오직 하나의 단부에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가져 비대칭이 될 수 있다. 고정 전력 코일부(12)는 "가공물 방향"으로 라벨링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바와 같이, 코일부(12) 아래를 지하는 가공물의 방향(X 방향)에 실질상 수직인 방위의 (Y방향으로) 길이 L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고정 전력 코일부의 길이는 가공물의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부터 기울어질 수 있다. 고정 전력 코일부(12)는 그 양단부에서 브리지부(12a)를 구비한다. 이러한 브리지부는 라이저부(12c)에 의해 레그부(12b)에 접속되어 있다. 레그부(12b)는 가공물(90)의 표면으로부터 멀리 뻗는 상호접속 라이저부(12c)에 의해 브리지부(12a)와 각각의 인접한 양 단부(12b', 12b")에 가깝게 함께 결합되고 서로로부터 동평면에서 이격된 한 쌍의 횡방향부이다. 도 1에서, 브리지부(12a)의 하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교류(AC) 전원에 코일부(12)를 접속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전원으로의 전기 접속이 전기 절연(92)에 의해 분리된 브리지부 세그먼트(12a', 12a")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 전력 코일부는 예를 들어, 시트, 튜브 또는 돌출부로서 형성된 구리 합금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전기 도전성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부의 냉각이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냉각 통로가 예를 들어, 냉각 통로를 제공하는 튜브형 재료로 코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코일부 외부에 또는 코일부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물과 같은 냉각 매체가 냉각 통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 전력 코일부는 단일 권선 코일로서, 또는 다중 권선 코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고정 전력 코일부(12')는 상부 유도 코일에서 사용되기 위한 공간 방위로 도시된 3중 권선 코일을 포함한다. 3개의 코일 권선(12'1, 12'2, 12'3)의 각각은 자체 브리지(12a1, 12a2, 12a3), 레그(12b1, 12b2, 12b3) 및 라이저(12c1, 12c2, 12c3) 섹션을 갖고 있고, 이러한 섹션은 각각의 코일 권선에서 전기적으로 서로 전기 절연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코일 권선의 조합의 양 단부(12d, 12e)는 AC 전원에 적합하게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 전력 코일부는 단일 루프 코일로서, 또는 다중 루프 코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고정 전력 코일부(12")는 상부 유도 코일에서 사용되기 위한 공간 방위로 도시된 더블 루프 코일을 포함한다. 순시 AC 전류가 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흐를 수 있다. 즉, 전류는 단자(12"e)에 접속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AC 전원으로부터 외부 레그부(12"b)에 접속된 브리지부(12"a)로 흐른 후, AC 전원으로 리턴 커넥션(12"f)에서 종료하는 공통 리턴 미들 레그부(12"d)에 각 외부 레그부를 접속하는 브리지부(12"c)를 통해 흐른다.
도 2는 예를 들어, 도 1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코일 어셈블리에서 사용되기 위한 공간 방위로 도시된 본 발명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비제한된 예를 도시한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는 박스형상, 즉, 3측부와 개방된 단부의 박스, 또는 브리지부(14b)에 의해 결합된 양 사이드부(14a)를 갖고 있는 "서랍" 구조를 갖고 있다. 양 사이드부(14a)를 접속하는 슬랫부(14c)는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사이드부 둘레의 폐쇄 전기 통로 및 박스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브레이스 서포트를 제공한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연속 피스의 재료 또는 적합하게 결합된 섹션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코일부의 냉각이 필요하다면, 하나 이상의 냉각 통로가 예를 들어, 냉각 통로를 제공하는 튜브형 재료로 코일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쌈으로써 코일부의 외부 또는 코일부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물과 같은 냉각 매체가 냉각 통로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도 2에 도시된 단일 권선 코일로서, 또는 단일 또는 다중 권선 고정 전력 코일부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다중 권선 코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각각 상하 유도 코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16a, 16b)의 비제한되는 배열을 도시하고 있다. 각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은 고정 전력 코일부(12) 및 한 쌍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를 포함한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는 코일 브리지부(12a)의 가공물의 대면 및 라이저부(12c)의 내표면에 의해 경계지어진 공간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시브 코일부의 가공물 대면 브리지부(14b)는 이동가능한 섹션의 가공물 대면 브리지부에 인접한 레그부(12b)와 동일한 수평면에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 가공물 대면 브리지부(14b)는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상하의 가공물의 에지에서 요구되는 유도 가열온도 프로필에 종속되는 가공물 표면에 보다 가깝거나 보다 멀리 떨어진 영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기 절연이 적어도 고정 전력 코일부(12)의 인터페이싱 표면과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 사이에 제공된다. 전기 절연이 고정 또는 이동가능한 (또는 양쪽) 코일부의 적합한 섹션 어느 하나에 적용된 절연 코일 또는 별개의 절연 재료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열로, 코일부(14)는 상이한 폭의 가공물을 수용하기 위하거나, 가공물의 에지 가열 패턴을 변경하거나, 상하 유도 코일 사이의 가공물의 이동에 수직 (Y 방향으로 누비고 지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가공물의 에지를 상하 코일 어셈블리의 폭이 추적하도록 하기 위해 가공물의 에지의 횡방향(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미끄러질 수 있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이동은 서랍이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이고 라이저(12c) 및 브리지(12a)의 내부에 의해 정의된 볼륨이 엔클로저인 엔클로저내의 서랍의 것과 유사하다.
각 고정 전력 코일부 및 연관된 쌍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하나의 1차 (고정부)와 2개의 2차 (이동가능부)를 가진 변압기로서 전기적으로 기능한다. 즉, 고정 전력 코일부에 공급된 전류는 고정 전력 코일부를 통해 흐르고 연관된 패시브 코일부에 전류가 흐르도록 유도하기 위해, 연관된 쌍의 패시브 코일부와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전자속을 생성한다. 패시브 코일부내의 전류는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가공물과 결합되는 2차 전자속을 생성한다. 도 4는 고정 전력 코일부(12)내의 (화상표에 표시된 방향의) AC 전류 패턴(Ic로 표시된 전류) 및 연관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섹션(14)내의 AC 전류 패턴(Id로 표시된 전류)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전력 코일부의 브리지(12a) 및 라이저(12c) 그리고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인접 사이드부(14a) 및 슬랫부(14c)를 흐르는 반대 전류에 의해 자속이 상쇄된다. 가공물(90)과 마주하는 브리지부(14b)내의 순시 전류(Id로 표시됨) 및, 도면의 평면내로 흐르는 전류에 대한 원형 크로스에 의해, 그리고 도면의 평면의 밖으로 흐르는 전류에 대한 원형 도트에 의해 심볼로 표시된 레그부(12c; Ic로 표시됨)내의 순시 전류(Ic로 표시됨)는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는 자속을 생성한다.
패시브 코일부의 최대 내측 및 외측 허용가능한 이동(Y 방향)은 특정 적용에 대해 지속가능한 최소 자속 결합에 의해 정의된다. 고정 전력 코일부에 대한 이동가능부의 위치에 실질상 독립적인 최소 자속 결합을 유지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이동가능부의 슬랫(14c)을 고정부의 브리지(12a)보다 (Y 방향으로) 실질상 좁게 만드는 것이다. 대안으로, 아래의 본 발명의 일부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13a 내지 도 13e) 상대적으로 넓은 이동가능한 슬릿(34c)은 실질상 보다 좁은 고정 브리지(32a)와 결합된다.
도 5는 자기 코어(20)에 의해 둘러싸인 고정 전력부와 연관된 이동가능한 패시브부 사이의 전자기 결합을 확대하기 위해 자기 코어의 사용을 도시하고 있다. 2개의 코어가 도 5에 도시되어 있지만, 임의의 수의 코어가 특정 적용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고정 전력 코일부의 브리지(12a) 보다 (Y 방향으로) 좁은 엔클로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슬랫(14c)을 만듬으로써, 엔클로징된 이동가능부는 고정 전력 코일부에 대해 Y 방향으로 이동(슬라이드)할 수 있어 상이한 폭의 가공물, 또는 상술된 바와 같은 가공물 이동의 가공물을 수용할 수 있다. 자기 코어가 도 5에 폐쇄 자기 코어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자기 코어의 배열이 고정 평면 코일부와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 사이의 교류 자속을 증가시키기만 한다면 사용에 있어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자기 코어는 높은 투자율을 가진 임의의 적합한 자기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도 6(a), 도 6(b), 도 6(c) 및 도 6(d)는 유도 가열되는 가공물내의 요구되는 단면 온도 프로필을 달성하기 위해 패시브부 아래 및/또는 위를 지나는 가공물과의 자속 격합의 면적을 제어하기 위한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제한되지 않는 4개의 대안의 예를 도시한다. 도 6(a)에 도시된 이러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1)에서, 브리지부(14b1)는 유도 가열 자속 결합을 사이드부(14a1)에 인접한 브리지부(14b1)의 단부쪽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돕는, Y 방향으로 단부중 하나에 인접한 반원 컷아웃(SCO)을 갖고 있다. 도 6(b)에 도시된 이러한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2)에서, 브리지부(14b2)는 사이브부(14a2)에 인접한 브리지부 영역으로부터 떨어져 브리지부(14b2)의 중심쪽으로 유도 가열 자속 결합을 지향시키는 것을 돕는, Y방향으로 단부중 하나에 인접한 컷아웃(CO)을 갖고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3)에서, 하나 (또는 보다 많은) 슬롯(S)은 브리지부의 슬롯팅된 영역 사이의 유도 가열 자속 결합을 강화시키는 브리지부(14b3)의 컷아웃이다. 본 발명의 일부 예에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144)를 포함하는 별개의 이동가능한 박스형상의 코일(14a, 14a')을 갖는 2개 이상의 별개로 이동가능한 박스형상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코일은 서로 전기 절연될 수 있고 고정 평면 코일부의 단부로의 기계 결합에 의해 독립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될 수 있다.
이동가능한 패시부 코일부가 가공물의 에지의 순시 위치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그 예로 감지 수단의 출력에 응답하여 패시브 코일부를 이동시키는 패시브 코일부 기동기와 결합하여 가공물의 에지의 순시 위치 또는 온도 프로필을 감지하는 감지수단이 있다. 예를 들어, 에지의 순시 위치를 감지하는 레이저 빔 센서는 컴퓨터 처리 회로에 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컴퓨터 처리 회로는 이에 따라 유압 기동기가 패시브 코일부를 이동시키도록 신호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선형 가이드 또는 롤(50)(모터라이징되거나 안됨)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오직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4"; 도 6(b))만이 도시되어 있고 가공물(90)의 횡방향을 가로지르는 연관된 고정 전력 코일부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가공물의 표면에 수직인 방향(Z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조정가능하도록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변 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가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데, 고정 전력 코일부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사이의 자기 결합은 이동가능한 코일부가 고정 코일부에 대하여 이동됨에 따라 고정 코일부와 이동가능한 코일부 사이의 하나 이상의 전기 도전성 경로로 교체되어 있다. 고정 전력 코일부는 도 1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리지(15b)에 의해 결합된 양 사이드부(15a)를 포함하는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5)를 가진 라이저부(13a) 및 레그부(13b)를 포함한다. 각각의 가요성 전기 접속이 접혀진 가요성 전기 도전성 스트립(60)으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고 인접한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사이드부(15a) 및 고정 코일부의 라이저부로 각각 적합한 파스너(94a, 94b)에 의해 양단부에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15)는 각 가요성 전기 도전성 스트립(60)이 고정 코일부와 연관된 이동가능한 코일부 사이의 전기 도전 통로를 유지하는 동안 Y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기를 포함하는, 임의의 타입의 전기 인설레이션(92)이 양측 코일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 코일부와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마주하는 표면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고정 코일 브리지부 및 이동가능한 코일 슬랫부가 필요하지 않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부(15a') 와 브리지부(15b')를 포함하는 대안의 이동가능한 코일부(15')가 도시되어 있는데, 가요성 전기 도전성 스트립은 이동가능한 코일부에 접속된 스프링 전기 콘택트(60')로 교체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전기 콘택트는 이동가능한 코일부(15')가 라이저 사이에 삽입되어 있을 때 고정 코일의 라이저부의 양면과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이동가능한 코일부가 Y방향으로 이동될 때 인접한 고정 코일부와 이동가능한 코일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유지시킨다. 가요성 전기 도전성 스트립은 고정 전력 코일부와 인접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사이의 전기 접속을 유지하는 방법의 2개의 예에 불과하다.
도 13(a) 내지 도 13(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3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의 부분도만이 코일의 일단부에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에 대하여 전형적인 고정 전력 코일부(32)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어셈블리 아래에 위치된 가공물과 함께 상부 유도 코일로서 사용되기 위해 공간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고정 코일부(32)의 각 라이저부(32c)는 횡방향 레그부(32b)의 전체 길이, L에 대해 선택적으로 뻗어 있고,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는 양 사이드부(34a)를 접속시키는 슬랫 브리지부(34b, 34c)에 의해 결합된 양 사이드부(34a)를 포함한다.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는 고정 코일부(32)에 전기 절연되어 (기계적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브리지부(32a) 및 라이저부(32c)에 의해 형성된 볼륨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슬랫 브리지부(34b) 둘레에 생성된 자속은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가공물과 결합한다. 도 13(a)는 고정 코일부내로 온전히 수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를 도시하고, 도 13(b)는 고정 코일부로부터 온전히 뻗은 이동가능한 패시부 코일부를 도시한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는 또한 이전에 설명된 바와 같이, 임의의 고정 전력 코일부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30')의 또 다른 대안의 예는 도 14(a) 내지 도 14(e)내의 부분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라이저부(32')가 레그부(32b')와의 예각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Z축)으로부터 각도 벗어난 것을 제외하고 도 13(a) 내지 도 13(e)의 예와 유사하다. 이러한 예에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는다.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는 고정 코일부(3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기계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고 브리지부(32a') 및 라이저부(32c')에 의해 형성된 볼륨내에 끼워맞추어져 있다. 도 14(a)는 고정 코일부내로 온전히 수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34')를 도시하고, 도 14(b)는 고정 코일부로부터 온전히 뻗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배열에서, 슬랫 브리지부(34b') 둘레에 생성된 자속은 가공물과 결합하여 가공물을 유도 가열한다.
도 15(a) 내지 도 15(e)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4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코일의 부분도만이 도시되어 코일의 일단부에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44)에 대한 전형적인 고정 전력 코일부(42)를 도시한다.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어셈블리 아래에 위치된 가공물과 함께 상부 유도 코일로서 사용되기 위해 공간 방위지정된다. 이러한 예에서, 고정 코일부(42)의 각 라이저부(42c)는 고정 코일부의 라이저부(12c)가 또 다른 레그부쪽으로 향하는 레그의 사이드상의 레그부(12b)의 에지(12f)에 접속된 도 1에 도시된 예와 반대로, 그리고 고정 코일부의 라이저부(32c)가 또 다른 레그부족으로 향하는 레그의 사이드상의 레그부(32b)의 에지(32f)에 접속된 도 13(c)과 유사하게, 또 다른 레그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향하는 각 레그부의 사이드상의 레그부(42c)의 반대 에지(42e)에 접속되어 있다.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44)는 고정 코일부(4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기계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면서 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브리지부(42a) 및 라이저부(42c)에 의해 형성된 볼륨내에 끼워맞추어져 있고, 브리지부(44b)는 실질상 레그부(42b)와 동일한 평면에 안착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패시브부의 브리지부(44b)는 또한 레그부(42b)의 단부상에 위치지정된 섹션(44b1, 44b2)을 포함한다. 도 15(a)는 고정 코일부내에 온전히 수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44)를 도시하고 도 15(b)는 고정 코일부로부터 온전히 뻗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브리지부(44b) 둘레에 생성된 자속은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가공물과 결합한다.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40')의 또 다른 대안의 예가 도 16(a) 내지 도 16(e)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44')가 고정 코일부(42c')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기계 수단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부착되고 브리지부(42a'), 라이저부(42c') 및 레그부(42b')에 의해 형성된 볼륨 위 그리고 둘레에 끼워맞추어진 것을 제외하곤 도 15(a) 내지도 15(e)의 예와 동일하다. 도 16(a)는 고정 코일부내에 온전히 수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44')를 도시하고 도 16(b)는 고정 코일부로부터 온전히 뻗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도시한다. 이러한 배열에서, "U" 형상의 브리지부(44b') 둘레에 생성된 자속은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가공물과 결합한다.
도 17(a) 내지 도 17(d)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5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코일의 부분도만이 도시되어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의 일단부에서 이러한 코일에 대한 전형적인 고정 전력 코일부(52)를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어셈블리 아래에 위치된 가공물과 함께 상부 유도 코일로서 사용되기 위해 공간적으로 방위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예에서, 브리지부(52a)는 레그부(52b)의 쌍의 양측 인접 단부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양측 레그부의 쌍과 실질상 동평면을 갖고 있다.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는 레그부(52b)과 실질상 동일한 평면내에 안착된 슬랫 브리지부(54b)를 가지고 대략 플랫 형상을 갖고 있고 옵션으로 슬랫 S를 포함한다. 형상에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는 박스형상을 나타내고, 이러한 박스의 높이(Z축)는 도 17(d)에 도시된 플랫 형상으로 축소되어 있다. 패시브 코일부(54)는 고정 코일부(52)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기계 수단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면서 그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고정 코일부를 포함하는 브리지 및 레그부 상에 슬라이딩한다. 도 17(a)는 고정 코일부(52)내로 온전히 수축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를 도시하고 있고 도 17(b)는 고정 코일부로부터 온전히 뻗은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도시한다.
도 18(a) 내지 도 18(d)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5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코일의 부분도만이 도시되어 이러한 코일의 일단부에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에 대한 전형적인 고정 전력 코일부(52')를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는 코일 어셈블리 아래에 위치된 가공물과 함께 상부 유도 코일로서 사용되기 위해 공간적으로 방위지정되어 있다. 이러한 에에서, 고정된 코일부(52')는 라이저부(52c')와 "U" 형상의 브리지부(52a')과 조합되어 도 18(c)내의 고정 코일부(52')를 포함한다. 도 18(d)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는 도 17(d)에 도시된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54)와 유사하다.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어셈블리(50")의 또 다른 대안의 예가 도 19(a) 내지 도 19(d)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예는 이동가능한 코일부(54")가 추가 특징, 즉, 슬랫 브리지부(54b")의 내측 단부에 부착되어 있고 고정 전력 코일부(52")의 레그(52b")로부터 임의의 각도로 방위지정된 실드 또는 플랫부(54e")을 가진 것을 제외하곤 도 18(a) 내지 도 18(d)의 예와 동일하다. 플랫부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의 어느 하나와 조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횡방향 자속 코일 모두는 이러한 코일 아래에 위치지정된 가공물에 대해 상부 유도 코일을 나태내고 있다.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이러한 코일 어셈블리의 일단부에 도시되어 있고, 레그부의 길이는 이러한 코일이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상 비대칭이 아니라면 코일의 일단부에서 디테일을 도시하기 위해 단지 부분적 길이로 도시되어 있다.
비교해 말하면 도면 15 내지 1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대안의 예는 레그부로부터 방출되는 자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얇은 레그부로, 릴럭턴스는 도면 그룹 13 및 14에 도시된 배열에서 보다 적다. 그 결과, 레그부내의 전류의 동일한 크기는 도면 그룹 15 내지 19에서의 배열에 의해 가공물에 대한 보다 높은 가열 온도를 얻을 것이다. 도면 그룹 13 내지 16에 도시된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에 의해, 가공물에 인접한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가공물의 단면 가열 프로필을 보다 크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0은 기밀 유도 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연장된 전기 도전성 가공물(90)은 실질상 기밀한 엔클로저(70)을 통과할 수 있다. 코일(16a, 16b)과 같은 (하지만,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쌍은 가공물의 평면과 평행한 엔클로저의 양측 외부 사이드상에 횡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밀 엔클로저는 적어도, 교류 자속 필드가 엔클로저를 뚫을 수 있고 가공물과 결합되어 가공물을 유도 가열할 수 있는 영역에서 전자기 투과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도 21은 본 발명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각각은 가공물의 이동에 평행한 축 둘레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을 회전시키기 위해 하나의 횡방향 단부에서 회전 장치(72a 또는 72b)에 부착되어 있다. 이러한 배열은 이러한 코일의 (가공물(90)을 향하는) 내측의 클리닝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예에서, 가공물 및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이 대략 수평적인 방위를 갖지만, 이것은 본 발명의 특징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가공물과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은 가공물의 증발식 코팅이 달성되도록 가공물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한 쌍의 자속 유도 코일 사이에 수직으로 통과하는 가공물 코팅 프로세스에 수직으로 방위지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에서, 각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은 고정 전력 코일부와 한 쌍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를 포함한다. 일부 적용예에서,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은 고정 전력 코일부의 오직 하나의 단부에서 고정부의 브리지 아래에 위치된 하나의 이동가능한 패시브 코일부 및 고정 전력 코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예는 단지 설명을 위해 제공되었고,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다양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되었지만, 여기에 사용된 단어는 제한 보다는 설명 및 서술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특정 수단, 재료 및 실시에에 대해 여기에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모든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조, 방법 및 사용에 까지 확장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의 이득을 보는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을 만들 수 있고, 변화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다.

Claims (20)

  1.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로서,
    서로로부터 동평면으로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로부터 형성된 고정 평면 코일부로서,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는 적어도 하나의 턴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브리지부에 의해 각각의 인접한 반대 단부 근방에 함께 결합되어 있고,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는 교류 전원에 접속되어 있어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 둘레에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는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 및
    적어도 상기 고정 브리지부 주위에서 교류 자기장과 근접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전기 절연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 사이의 교류 자속 필드 결합을 증가시키기 위해 위치지정된 적어도 하나의 자기 코어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브리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 또는 컷아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적어도 2개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의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브리지부 주위에서 교류 자기장과 근접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독립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결합하는 고정 브리지부 및 상기 한 쌍의 횡방향부의 단부 영역상에 기계적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평면적으로 배향된 코일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 상방 또는 하방을 통과하는 가공물의 횡방향 위치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이동가능한 코일부 위치지정 장치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는 고정 브리지부와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각 단부 근방의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 사이에 접속된 별개의 라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각 라이저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멀리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고정 횡방향부의 쌍 사이에 뻗은 플랩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 상방 또는 하방을 통과하는 가공물의 이동에 평행한 축 둘레로 상기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을 회전시키는 회전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0.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는 상기 고정 브리지부 및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각 단부 근방의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마주하는 에지 사이에 접속된 라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각 라이저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멀리 뻗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라이저부 및 상기 고정 브리지에 의해 형성된 내측 볼륨내의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적어도 광폭의(wide) 이동가능한 슬랫부보다 실질상 좁은 고정 브리지부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광폭의 이동가능한 슬랫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의 브리지부에 적어도 하나의 슬롯 또는 컷아웃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적어도 2개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의 각각은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고정 브리지부 주위에서 교류 자기장과 근접하여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독립적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4. 제1항 내지 제6항 또는 제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는 상기 고정 브리지부 및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각 단부 근방의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반대 에지 사이에 접속된 라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각 라이저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멀리 뻗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고정 브리지 및 라이저부에 의해 형성된 내측 볼륨내의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적어도 상기 고정 브리지부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된 광폭의 이동가능한 슬랫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브리지부는 상기 광폭의 이동가능한 슬랫부보다 실질상 보다 좁고, 상기 광폭의 이동가능한 슬랫부 반대의 이동가능한 브리지부의 부분은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 사이에 배치된 서브섹션에 의해 함께 접속된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단부상에 배치된 횡방향 서브섹션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고정 브리지부와 라이저부 사이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평면으로 배향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평면으로 배향된 코일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 사이에 배치된 이동가능한 브리지부를 갖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는 결합된 고정 브리지부 및 라이저부 상에 배치된 "U" 형상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브리지부의 내측 단부에 부착된 플랫부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는 고정 브리지부 및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각 단부 근방의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의 각각의 반대 에지 사이에 접속된 라이저부를 더 포함하고, 각 라이저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에 의해 형성된 평면으로부터 멀리 뻗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는 상기 라이저부 및 상기 고정 브리지의 외측 주위의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19.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로로서,
    긴 전기 도전성 가공물이 통과할 수 있는 실질상 기밀한 엔클로저;
    상기 긴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평면에 평행한 실질상 기밀한 엔클로저의 반대 외측에 횡방향으로 위치된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로서, 각각,
    서로 동평면에 이격된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가 적어도 하나의 턴 코일을 형성하기 위해, 고정 브리지부에 의해 각 인접한 반대 단부 근방에 함께 결합되고, 고정 평면 코일부 둘레에 교류 자기장을 생성하기 위해 교류 전원에 접속된, 고정 평면 코일부; 및
    적어도 상기 고정 브리지부 주위에서 교류 자기장과 근접하여 자기 결합된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단부에 기계 접속에 의해 슬라이드가능하게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박스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를 포함하는 상기 한 쌍의 횡방향 자속 유도 코일; 및
    적어도 상기 교류 자기장이 상기 엔클로저를 관통할 수 있고 상기 긴 전기 도전성 가공물과 결합할 수 있는 영역에서 전자기적 투과 재료로부터 형성된 기밀 엔클로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로.
  20. 편평한 전기 도전성의 가공물의 적어도 하나의 사이드의 유도 가열 방법으로서,
    상기 편평한 전기 도전성 가공물의 표면을 제1항의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의 한 쌍의 고정 횡방향부 근방에 놓는 단계;
    교류 전원을 위한 출력 주파수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가공물의 횡방향 영역을 유도 가열하기 위해 상기 고정 평면 코일부에 대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박스 형상의 이동가능한 코일부를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방법.
KR1020107025415A 2008-04-14 2009-04-14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KR1015764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454508P 2008-04-14 2008-04-14
US61/044,545 2008-04-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2549A KR20100132549A (ko) 2010-12-17
KR101576479B1 true KR101576479B1 (ko) 2015-12-10

Family

ID=41163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415A KR101576479B1 (ko) 2008-04-14 2009-04-14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9445460B2 (ko)
EP (2) EP2283496B1 (ko)
JP (1) JP5352664B2 (ko)
KR (1) KR101576479B1 (ko)
CN (1) CN102067254B (ko)
WO (1) WO20091292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73446B2 (en) * 2007-05-09 2011-07-05 Motor Excellence, Llc Electrical devices having tape wound core laminate rotor or stator elements
KR101576479B1 (ko) * 2008-04-14 2015-12-10 인덕터썸코포레이션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US7923886B2 (en) 2008-11-03 2011-04-12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 rotor concepts
EP2538749B1 (en) * 2010-02-19 2018-04-0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EP2548288A1 (en) 2010-03-15 2013-01-23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s configured to provide reduced flux leakage, hysteresis loss reduction, and phase matching
EP2548289B1 (en) 2010-03-15 2019-11-27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s having phase offset
EP2548287A1 (en) 2010-03-15 2013-01-23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 for electric bicycles
WO2012067896A2 (en) 2010-11-17 2012-05-24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s having laminated and powdered metal portions
WO2012067893A2 (en) 2010-11-17 2012-05-24 Motor Excellence, Ll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s having segmented stator laminations
US8854171B2 (en) 2010-11-17 2014-10-07 Electric Torque Machines Inc. Transverse and/or commutated flux system coil concepts
FR3014449B1 (fr) 2013-12-06 2020-12-04 Fives Celes Section de recuit apres galvanisation comportant un appareil de chauffage a inducteur a flux transverse
WO2015094482A1 (en) 2013-12-20 2015-06-25 Ajax Tocco Magnethermic Corporation Transverse flux strip heating dc edge saturation
US10321524B2 (en) 2014-01-17 2019-06-11 Nike, Inc. Conveyance curing system
WO2016035893A1 (ja) * 2014-09-05 2016-03-1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EP3016136B1 (en) * 2014-10-27 2021-07-21 Robert Bosch GmbH Transport system with magnetically driven transport elements and according transportation method
KR101714869B1 (ko) * 2015-04-16 2017-03-10 주식회사 피에스텍 유도 가열 장치용 코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도 가열 장치
EP3314028B1 (en) 2015-06-24 2020-01-29 Novelis Inc. Fast response heaters and associated control sys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metal treatment furnaces
CN107926085B (zh) * 2015-06-30 2021-08-31 丹尼尔和科菲森梅克尼齐有限公司 横向磁通感应加热装置
US10143044B1 (en) * 2015-09-21 2018-11-27 Inductotherm Corp. Electric induction heating of strip or slab material
EP3580996B1 (en) * 2017-02-08 2022-02-16 Inductotherm Corp. Adjustable transverse inductors for inductively heating strips or slabs
CN115094220B (zh) * 2022-07-11 2024-03-26 无锡德泉精密机械有限公司 一种铸件的回火处理装置及其制作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512A1 (en) * 2001-01-03 2002-09-05 Thorpe John C.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2004531028A (ja) * 2001-03-26 2004-10-07 ロス,ニコラス,ヴイ 導体性ストリップの横方向磁束誘導加熱
WO2007115086A2 (en) * 2006-03-29 2007-10-11 Inductotherm Corp.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mpensator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8971A (en) * 1986-05-23 1988-10-18 Kabushiki Kaisha Meidensha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H0349561A (ja) * 1989-07-14 1991-03-04 Mitsubishi Heavy Ind Ltd 合金化用誘導加熱における電源制御装置
JPH04294091A (ja) * 1991-03-22 1992-10-19 Mitsubishi Heavy Ind Ltd 誘導加熱装置
JPH061307A (ja) 1992-06-17 1994-01-11 Mihama Seisakusho:Kk 締付けバンドの締付け機
US5495094A (en) * 1994-04-08 1996-02-27 Inductotherm Corp. Continuous strip material induction heating coil
JPH08165517A (ja) * 1994-12-09 1996-06-25 Fuji Denshi Kogyo Kk 高周波加熱装置
JP2913615B2 (ja) * 1994-12-09 1999-06-28 富士電子工業株式会社 絶縁部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高周波加熱装置
GB9503390D0 (en) * 1995-02-21 1995-04-12 Davy Mckee Poole "Variable-width induction heater
FR2821925B1 (fr) 2001-03-06 2003-05-16 Celes Enceinte d'etancheite au gaz et au vide d'isolation thermique destinee a un dispositif de chauffage par induction
JP2009522816A (ja) * 2006-01-09 2009-06-11 インダクトサーム・コーポレイション 電磁的にシールドした誘導加熱装置
KR101576479B1 (ko) * 2008-04-14 2015-12-10 인덕터썸코포레이션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512A1 (en) * 2001-01-03 2002-09-05 Thorpe John C.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JP2004531028A (ja) * 2001-03-26 2004-10-07 ロス,ニコラス,ヴイ 導体性ストリップの横方向磁束誘導加熱
WO2007115086A2 (en) * 2006-03-29 2007-10-11 Inductotherm Corp.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apparatus and compensa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2664B2 (ja) 2013-11-27
US9445460B2 (en) 2016-09-13
CN102067254B (zh) 2013-09-25
CN102067254A (zh) 2011-05-18
WO2009129239A2 (en) 2009-10-22
US9930730B2 (en) 2018-03-27
EP2283496A4 (en) 2014-10-29
US20090255924A1 (en) 2009-10-15
WO2009129239A3 (en) 2010-01-21
EP2283496B1 (en) 2021-04-07
US20160381737A1 (en) 2016-12-29
EP2283496A2 (en) 2011-02-16
EP3852493A1 (en) 2021-07-21
KR20100132549A (ko) 2010-12-17
JP2011517054A (ja)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479B1 (ko) 가변폭 횡방향 자속 전기 유도 코일
JP5450729B2 (ja) 横断方向フラックス誘導加熱装置及び補償装置
US7525073B2 (en) Transverse flux electric inductors
RU2518187C2 (ru) Устройство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с поперечным потоком
AU3341701A (en) Transverse flux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magnetic circuit of variable width
JP2009531834A5 (ko)
KR20060025561A (ko) 유도 가열 코일용 전자기 실드
JP6970616B2 (ja) 可動電力カップリングおよび可動電力カップリングを備えたロボット
KR101562962B1 (ko)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자구미세화 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방향성 전기강판
JP6331900B2 (ja) 金属帯板の誘導加熱装置
JP6585299B2 (ja) インダクタンス調整装置
KR20230031312A (ko) 평평한 제품을 가열하기 위한 횡플럭스 유도 가열 장치
CN107926085A (zh) 横向磁通感应加热装置
KR20200038518A (ko) 양면 평면 인덕터 조립체
TWM643995U (zh) 橫向磁通感應線圈組配件
EA04381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дукционного нагрева с поперечным потоком для нагрева плоского издел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