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861B1 -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861B1
KR101575861B1 KR1020140016871A KR20140016871A KR101575861B1 KR 101575861 B1 KR101575861 B1 KR 101575861B1 KR 1020140016871 A KR1020140016871 A KR 1020140016871A KR 20140016871 A KR20140016871 A KR 20140016871A KR 101575861 B1 KR101575861 B1 KR 101575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oxide
formula
magnetic
tempera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5482A (ko
Inventor
유성초
김경섭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16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861B1/ko
Publication of KR20150095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5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8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9/00Compounds of iron
    • C01G49/009Compounds containing, besides iron,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11/00Compounds of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9/00Compounds of molybdenum
    • C01G39/006Compounds containing, besides molybdenum, two or more other elements, with the exception of oxygen or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30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 C01P2004/38Particle morphology extending in three dimensions cube-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32Thermal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AxByC11[DO]36
상기 식에서, A는 알칼리 토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x는 상기 A의 원소 비율로서 45~55를 만족하며, B는 란탄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y는 상기 B의 원소 비율로서 0~10을 만족하며, C는 Fe이고, D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각 원소의 함량을 최적화시켜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자기열량효과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말 원료들을 혼합하고 소성 온도를 최적화시키고, 상기 소성 온도 범위 내에서 소성 온도만을 변화시키는 간단한 방법을 통하여 자기엔트로피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는 금속 산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은 상온영역의 자기 냉매 재료 및 자기냉동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Magnetocaloric metal compound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자기열량 효과를 나타내는 금속 산화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성재료에 자기장을 가해주면 가열되고 자기장을 제거하게 되면 온도가 내려가는 특성이 있는데 이를 자기열량효과(Magnetocaloric effect, 이하 'MCE'라 함)라 한다.
자기열량효과는 자성 재료가 가진 고유의 특성이지만, 자기장에 따른 자기 서브-격자(sub-lattice)의 커플링에 의해 유도되기도 하며, 상기 자기장은 자기장에서의 상응하는 변화로 인한 총 엔트로피 중 자기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외부 자기장이 증가할 때 자성체 내의 자기모멘트들은 자기장 방향으로 정렬하게 되어 엔트로피는 감소하게 되는데, 단열 조건에서 총 트로피를 변화시키지 않으려면 자성체의 온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단열 조건이 아닌 등온 조건이면 온도는 변화하지 않고 자성체의 엔트로피(ΔSm)만 변화하게 된다. 자기열량효과는 이 엔트로피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는데 엔트로피와 외부자기장에 따른 비열의 변화를 측정하여 계산식을 이용하면 단열온도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자성체의 엔트로피 변화와 단열온도 변화는 강자성에서 상자성으로 변하는 큐리 온도 부근 영역에서 가장 큰 값을 갖게 된다. 이러한 자기열량효과는 단열 온도 변화(ΔT ad , T, ΔH) 또는 등온 자기 엔트로피 변화(ΔS M , T, ΔH)로서 측정되거나 계산될 수 있다.
1926년과 1927년에 Debye와 Giauque가 각각 이러한 효과를 이용하여 극저온 재료를 얻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1933년에 Giauque와 MacDougall에 의해 최초로 실증되었다. 그들은 Gd2(SO4)3··8H2O 시료에 대해서 자기장을 8 kOe에서 0 Oe로 줄임으로써 3.4 K에서 0.53 K까지 냉각시켰다. 이들이 사용한 방법은 단열비자화법(adiabatic demagnetization)이며 이것은 극저온 냉각방법에 사용되고 있다. 이후에도 극저온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실행되었다.
상온에 대해서는 1976년 Brown에 의해서 보고되었는데 Gd 를 자기냉매로 사용하여 상온에서도 자기냉동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그 이후 순수 Gd 뿐만 아니라 Gd 합금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N. Chau, D. T. Hanh, B. C. Tinh, N. H. Luong, N. D. Tho and N. H. Hai, J. Korean Phys. Soc. 52, 1431 (2008).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지며, 이 온도 부근에서 가장 큰 엔트로피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자기열량효과 및 냉매 재료로 사용될 수 있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가지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식 1
AxByC11[DO]36
상기 식에서, A는 알칼리 토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x는 상기 A의 원소 비율로서 45~55를 만족하며, B는 란탄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y는 상기 B의 원소 비율로서 0~10을 만족하며, C는 Fe이고, D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은 Fm3m 공간군의 등축정계 대칭(cubic crystal symmetry)의 다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A는 Be, Mg, Ca, Sr, Ba 및 Ra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B는 Sc,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D는 Mo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다음 식 (4)에 따라 계산된 △SM 이 0.9~2.0 J/kg·K 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식 (4)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1
상기 식 (4)에서, ΔH는 외부 자기장으로서 0~15 kOe이고, Ti는 소성 온도로서 1200~1500K 범위이고, M은 Magnetization 값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300~350K에서 큐리 온도를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Ba53Fe11[MoO]36, Ba50La3Fe11[MoO]36, 및 Ba47La6Fe11[MoO]36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 분말 원료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수소/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소결시키는 단계를 거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결은 1200~1500K 범위에서 1~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각 원소의 함량을 최적화시켜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짐으로써, 우수한 자기열량효과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분말 원료들을 혼합하고 소성 온도를 최적화시키고, 상기 소성 온도 범위 내에서 소성 온도만을 변화시키는 간단한 방법을 통하여 자기엔트로피 변화값을 조절할 수 있는 금속 산화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은 상온의 자기 냉매 재료 및 자기냉동 재료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금속 산화물의 XRD 측정 결과 그래프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금속 산화물의 자화값 변화의 온도의존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실시예 1에 따라 1273K에서 소성시켜 제조된 Ba53Fe11[MoO]36 화합물의 큐리 온도 근처에서의 등온 자화값 그래프(M-H curve)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Ba53Fe11[MoO]36 화합물의 M-H 그래프에서 계산된 H/M과 M2의 그래프이고,
도 5는 실시예 2에 따라 1373K에서 소성시켜 제조된 Ba50La3Fe11[MoO]36 화합물의 큐리 온도 근처에서의 등온 자화값 그래프(M-H curve)이고,
도 6는 상기 도 5의 Ba50La3Fe11[MoO]36 화합물의 M-H 그래프에서 계산된 H/M과 M2의 그래프이고,
도 7은 실시예 3에 따라 1473K에서 소성시켜 제조된 Ba47La6Fe11[MoO]36 화합물의 큐리 온도 근처에서의 등온 자화값 그래프(M-H curve)이고,
도 8은 상기 도 7의 Ba47La6Fe11[MoO]36 화합물의 M-H 그래프에서 계산된 H/M과 M2의 그래프이고,
도 9는 상기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들의 자기 엔트로피 변화량의 온도 의존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과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AxByC11[DO]36
상기 식에서, A는 알칼리 토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x는 상기 A의 원소 비율로서 45~55를 만족하며, B는 란탄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로서, y는 상기 B의 원소 비율로서 0~10을 만족하며, C는 Fe이고, D는 전이금속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원소이다.
자기열량효과는 엔트로피 변화를 통하여 간접적인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는데, 자기 엔트로피 변화와 온도 변화는 일반적으로 온도에 대해 자화값이 크게 변할 때 큰 값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열온도변화와 자기엔트로피 변화는 온도(T), 자기장의 세기(H), 자기화(M)의 관계로 다음 식 (1)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2
                             (1)
또한, 맥스웰(Maxwell)의 열역학 관계를 이용하면 다음 식 (2)로 나타낼 수 있으며,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3
                              (2)
상기 식 (2)를 이용하면, 자기 엔트로피 변화는 다음 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4
                           (3)
본 발명에서는 자기엔트로피 변화(△SM)를 계산하기 위하여 상기 식 (3)을 다음 식 (4)와 같이 변환하여 계산을 하였다.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5
(4)
상기 식 (4)에서, H는 자화도 값이고, M은 외부 자기장의 세기, T는 소성 온도를 나타낸다.
상기 식 (3)에서 볼 수 있듯이 엔트로피 변화와 온도 변화는 온도에 대해 자기모멘트가 크게 변할 때 큰 값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기모멘트가 가장 크게 변화할 때는 자성체의 상태가 강자성에서 상자성으로 변할 때와 같은 상이 변할 때이며 또한 가해주는 자기장의 크기와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자기냉동기에 사용될 자성체는 큰 자기모멘트를 갖고 있어야 하며 큐리온도가 사용하고자 하는 온도 영역, 즉 상온(room temperature) 근처인 재료가 가장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큐리 온도가 상온 근처인 화합물을 제조하고자 하였고, 상기 화학식 1과 같은 금속 산화물을 얻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AxByC11[DO]36 금속 산화물은 C와 DO 부분은 고정된 값을 가지며, A와 B의 함량을 변화시키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A는 Be, Mg, Ca, Sr, Ba 및 Ra 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토금속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중에서 Ba가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함량은 전체 금속 산화물 중 원소 비율로서 45~55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높은 자기엔트로피 변화(△SM)를 가지는데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B는 Sc, Y, L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란탄족 원소로서, 이 중에서 La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 함량은 전체 금속 산화물 중 원소 비율로서 0~10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란탄족 원소의 함량이 10을 초과하는 경우 자기엔트로피 변화(△SM)가 너무 작아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화학식 1에서 C는 Fe로서 전체 금속 산화물 중 원소 비율로 11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자화값을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D는 다양한 전이금속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으로, Mo가 가장 바람직하며, 전체 금속 산화물 중 산소와 결합된 산화물 형태로 36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자기엔트로피 값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금속 산화물은 X-선 회절법을 통한 구조 확인시, Fm3m 공간군의 등축정계 대칭(cubic crystal symmetry)의 다결정 구조를 가지며, 불순물을 포함하지 않는 단일 상(single phase) 구조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금속 산화물은 식 (4)에 따라 계산된 △SM 이 0.9~2.0 J/kg·K의 범위를 가지고 있다.
(식 4)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6
상기 식 (4)에서, ΔH는 외부 자기장으로서 0~15 kOe이고, Ti는 소성 온도로서 1200~1500K 범위이고, M은 자화값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상기 금속 산화물은 300~350K의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산화물은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내는 물질로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자기열량효과는 엔트로피 변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트로피 변화는 온도에 대해 자기모멘트가 크게 변할 때 큰 값을 가지며, 상기 자기모멘트가 가장 크게 변화할 때는 큐리 온도가 상온 근처일 때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산화물이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짐으로써,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내는 효과적인 재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통상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A2BB’O6)를 가지는 산화물들이 상온인 큐리 온도 320~340 근처에서 자성저항성 및 페리마그네틱 상전이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도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의 구체 예를 들면, Ba53Fe11[MoO]36, Ba50La3Fe11[MoO]36, 및 Ba47La6Fe11[MoO]36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금속 산화물 분말 원료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수소/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소결시키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온 근처에서 큐리 온도를 가지고, 자기열량효과를 잘 나타낼 수 있는 구조의 금속 산화물 제조를 위해, 금속 산화물 내에서 각 원소들의 함량을 최적화시킴과 동시에, 반복되는 실험을 통하여 소결 온도를 최적화시켰다.
먼저, 첫 번째 단계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각 분말 원료를 각 함량비대로 혼합시킨다.
즉, AxByC11[DO]36에서 C를 구성하는 Fe과 DO를 구성하는 전이금속의 함량은 각각 11과 36으로 고정시키고, A인 알칼리 토금속과 B인 란탄족 원소의 함량을 각각 45~55와 0~10으로 변화시켜 전체 함량이 100중량%가 되도록 한다.
상기 각 원료들은 산화물 형태로 혼합되며, 분말 상태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분말 원료들을 잘 혼합시킨 다음, 상기 혼합 분말을 Al2O3 재질의 도가니에 넣는다. 그 다음, 상기 도가니에 수소/불활성 가스의 혼합 가스를 주입하면서, 상기 혼합 분말을 소성시킨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질소, 아르곤 등이 있으며, 아르곤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혼합 분말의 소성을 1200~1500K 범위에서 수행시킴으로써,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최적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소성 온도가 1200K 미만에서는 시료에서 스핀궤도 결합이 작아져 큐리온도가 낮아지며 또한, 1500K를 초과하는 경우 시료의 스핀-궤도 결합이 너무 강해지어 큐리온도가 높아지며 자기엔트로피 값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 소성 시간은 상기 온도 조건에서 1~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산화물은 금속 산화물을 구성하는 원소들의 함량비를 적절하게 조절하고, 소성 조건을 최적화시켜, 자기엔트로피 값과 큐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자기열량효과를 나타내는 자기냉동기의 냉매 재료, 자기 냉각 소재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특정 화합물을 이용하여 예시하였으나, 이들의 균등물을 사용한 경우에 있어서도 동등 유사한 정도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실시예 1 : Ba 53 Fe 11 [ MoO ] 36 제조예
순도 99.99%의 Fe2O3 11중량%, 순도 99.999%의 BaO3 분말53중량%, 및 순도 99.999%의 MoO3 분말36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Al2O3 도가니에 넣고 1170K온도의 전기 퍼니스에서 소성시켰다. 상기 소성 반응은 5% 수소/아르곤 혼합 가스 조건에서 4시간 30분 동안 진행하여, 다결정 Ba53Fe11[MoO]36 금속 산화물을 얻었다.
실시예 2 : Ba 50 La 3 Fe 11 [ MoO ] 36 제조예
순도 99.99%의 Fe2O3 11중량%, 순도 99.999%의 BaO3 분말50중량%, 순도 99.999%의 La2O3 분말3중량%, 및 순도 99.999%의 MoO3 분말36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1270K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다결정 Ba50La3Fe11[MoO]36 금속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Ba 47 La 6 Fe 11 [ MoO ] 36 제조예
순도 99.99%의 Fe2O3 11중량%, 순도 99.999%의 BaO3 분말47중량%, 순도 99.999%의 La2O3 분말6중량%, 및 순도 99.999%의 MoO3 분말36중량%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분말을 1370K의 온도에서 소성시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과정으로 다결정 Ba47La6Fe11[MoO]36 금속 산화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X-선 회절을 통한 금속 산화물의 구조 확인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Ba53Fe11[MoO]36 금속 산화물의 구조를 X-선 회절법(Phillips diffractometer using Cu radiation)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1에 나타내었다.
다음 도 1을 참조하면, Fm3m 공간군의 등축정계 대칭(cubic crystal symmetry)의 다결정 구조를 가지며, 불순물이 전혀 없는 단일 상(single phase)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2~3에 따라 제조된 Ba50La3Fe11[MoO]36, 및 Ba47La6Fe11[MoO]36에서도 등축정계 대칭(cubic crystal symmetry)의 다결정 구조와 단일 상의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2 : 자화값의 온도의존성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각 금속 산화물의 자화값 변화에 따른 온도의존성을 300K~400K까지 온도를 변화시키면서(자기장은 100 Oe의 조건임) 자기적 특성은 시료진동 자력계 (VSM) 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2에 나타내었다.
자기 전이 온도(magnetic transition temperature, Tc)는 온도(T)와 자기화의 변화율 dM/dT가 최소인 온도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 그래프에서 자화값의 급격하게 감소되는 것은 자기 배열(magnetic ordering)이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산화물의 큐리 온도는 약 320~330K근처에서 확인되었다. 통상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A2BB’O6)를 가지는 산화물들이 상온인 큐리 온도 320~340 근처에서 자성저항성 및 강자성 상전이 온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는데,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Ba53Fe11[MoO]36 금속 산화물도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Ba53Fe11[MoO]36 금속 산화물의 이중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는 입방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인 ABO3의 B 사이트에 Fe와 Mo 이온이 선택적으로 치환되어 형성된 규칙적인 배열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Fe3 + 이온의 S=5/2 스핀과 Mo5 + 이온의 1/2 스핀 간의 거대한 반강자성(antiferromagnetic) 상호작용에 의해 일정한 단위(f.u.)당 4u B 의 이상적인 자화값을 가지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실험예 3 : 상전이 온도 측정
상기 각 실시예에서 제조된 화합물들의 상전이 형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각 화합물들의 등온 M-H 그래프로부터 측정된 데이터를 H/M 과 M2 그래프로 치환하여 측정하였다.
다음 도 3, 5, 7은 각각 실시예 1~3에 따라 제조된 Ba53Fe11[MoO]36, Ba50La3Fe11[MoO]36, Ba47La6Fe11[MoO]36 화합물의 큐리 온도 근처의 각 소성 온도에 따른 등온 M-H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고, 다음 도 4, 6, 8은 각 실시예들의 H/M 과 M2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Banerjee의 연구에 의하면, H/M과 M2 그래프에서 그 기울기가 마이너스인 경우, 강자성(ferromagnetic, FM)에서 상자성(paramagnetic, PM)으로의 1차 상전이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 도 4, 6,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각 실시예의 모든 화합물들이 M2 영역보다 더 낮은 온도인 340K 부근에서 마이너스 기울기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화합물들은 1차 전이를 나타내는 물질에 속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실험예 4 : 엔트로피 변화 측정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각 화합물들의 자기 엔트로피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도 9에 나타내었다. 외부 자기장은 15 kOe로 설정하였으며, 소성 온도에 따른 엔트로피 변화를 측정하였다.
다음 도 9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자기장을 0에서 15kOe로 변화시켰을 때, 엔트로피 변화량(△SM)은 각각 소성 온도에 따라 0.98J/kg·K, 1.56 J/kg·K, and 1.93 J/kg·K로 측정되었다. 특별히 소성 온도가 1270K에서 1470K로 증가함에 따라 엔트로피 변화량은 2배 가량 증가되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재료들이 가지는 적절한 소성 온도와 낮은 가공비와 같은 우수한 특성들은 상온 영역의 자기 냉매 재료로서 우수한 후보군이 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8)

  1.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화학식 1
    AxByC11[DO]36
    상기 식에서, A는 Ba이고, x는 상기 A의 원소 비율로서 45~55를 만족하며,
    B는 La이고, y는 상기 B의 원소 비율로서 0~10을 만족하며,
    C는 Fe이고,
    D는 Mo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은 Fm3m 공간군의 등축정계 대칭(cubic crystal symmetry)의 다결정 구조를 가지는 것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다음 식 (4)에 따라 계산된 △SM 이 0.9~2.0 J/kg·K인 것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식 (4)
    Figure 112014014379991-pat00007

    상기 식 (4)에서, ΔH는 외부 자기장으로서 0~15 kOe이고, Ti는 소성 온도로서 1200~1500K 범위이고, M은 Magnetization 값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300~350K에서 큐리 온도를 가지는 것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금속 산화물은 Ba53Fe11[MoO]36, Ba50La3Fe11[MoO]36, 및 Ba47La6Fe11[MoO]36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7. 금속 산화물 분말 원료를 혼합시키는 단계,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수소/불활성 가스 분위기에서 소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음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의 제조방법:
    화학식 1
    AxByC11[DO]36
    상기 식에서, A는 Ba이고, x는 상기 A의 원소 비율로서 45~55를 만족하며,
    B는 La이고, y는 상기 B의 원소 비율로서 0~10을 만족하며,
    C는 Fe이고,
    D는 Mo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결은 1200~1500K 범위에서 1~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의 제조방법.
KR1020140016871A 2014-02-13 2014-02-13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5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871A KR101575861B1 (ko) 2014-02-13 2014-02-13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871A KR101575861B1 (ko) 2014-02-13 2014-02-13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82A KR20150095482A (ko) 2015-08-21
KR101575861B1 true KR101575861B1 (ko) 2015-12-10

Family

ID=5405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871A KR101575861B1 (ko) 2014-02-13 2014-02-13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8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9005A1 (en) * 2017-06-15 2018-12-20 Rhodia Operations Cerium based particl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1910A (ja) 2009-08-10 2013-01-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積層状の磁気熱量材料からなる熱交換器床
JP2013527308A (ja) 2010-03-11 2013-06-2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磁気熱量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01910A (ja) 2009-08-10 2013-01-1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積層状の磁気熱量材料からなる熱交換器床
JP2013527308A (ja) 2010-03-11 2013-06-27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磁気熱量材料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RARE EARTHS, Vol. 29, No. 7, Jul. 2011, P. 673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 57, No. 6, December 2010, pp. 1897~19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5482A (ko) 201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han et al. Excellent magnetocaloric properties of La0. 7Ca0. 3− xSrxMnO3 (0.05⩽ x⩽ 0.25) single crystals
M’nassri et al. Impact of sintering temperature on the magnetic and magnetocaloric properties in Pr0. 5Eu0. 1Sr0. 4MnO3 manganites
EP2107575B1 (en) New intermetallic compounds, their use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Wali et al. A giant magnetocaloric effect with a tunable temperature transition close to room temperature in Na-deficient La 0.8 Na 0.2− x□ x MnO 3 manganites
Wang et al. Large magnetic entropy change in TbAl 2 and (Tb 0.4 Gd 0.6) Al 2
US20130200293A1 (en) La(fe,si)13-based multi-interstitial atom hydride magnetic refrigeration material with high temperature stability and large magnetic entropy chang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war et al. Impact of Co3O4 phase on the magnetocaloric effect and magnetoresistance in La0. 7Sr0. 3MnO3/Co3O4 and La0. 7Ca0. 3MnO3/Co3O4 ceramic composites
Anwar et al. Reversible magnetocaloric response in Sr2FeMoO6 double pervoskite
Provino et al. Gd 3 Ni 2 and Gd 3 Co x Ni 2− x: magnetism and unexpected Co/Ni crystallographic ordering
CN101105996A (zh) 一种高温低磁场大磁熵材料化合物及其制备方法
Ezaami et al. Improvement of magnetocaloric properties over a large temperature range in 0.5 La0. 7Ca0. 2Sr0. 1MnO3/0.5 La0. 7Ca0. 15Sr0. 15MnO3 composite
KR101575861B1 (ko) 자기 열량 금속 산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Yue et al. Structural and magnetocaloric properties of MnFeP 1− x Si x compounds prepared by spark plasma sintering
Guo et al. Influence of minor addition of Cr on the magnetocaloric effect in Fe-based metallic ribbons
Lijuan et al. Influence of partial substitution of cerium for lanthanum on magnetocaloric properties of La1–xCexFe11. 44Si1. 56 and their hydrides
Lemoine et al. Magnetocaloric properties of Gd6 (Mn1− xFex) 23 alloys (x≤ 0.2)
Balli et al. Effect of Ni substitution on the magnetic and magnetocaloric properties of the Dy (Co1− xNix) 2 Laves phase
Jesla et al. Magnetic properties of a multicomponent intermetallic compound Tb $ _ {0.25} $ Dy $ _ {0.25} $ Ho $ _ {0.25} $ Er $ _ {0.25} $ Al $ _2$
CN105112025B (zh) 一种固体磁制冷材料、制备方法及磁制冷器
JP2014228166A (ja) 磁気冷凍装置用磁気作業物質および磁気冷凍装置
Regaieg et al. Rapid synthesis of La0. 85Na0. 15MnO3 by spark plasma sintering: Magnetic behavior and magnetocaloric properties
Chen et al. The studies of phase relation, microstructure, magnetic transition, magnetocaloric effect in (Gd1− xErx) 5Si1. 7Ge2. 3 compounds
JP6205839B2 (ja) 磁気冷凍装置用磁気作業物質および磁気冷凍装置
US20220238262A1 (en) Modified La-Fe-Si magnetocaloric alloys
CN102087899A (zh) La(Fe,Al)13基氢化物磁制冷材料及制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