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446B1 -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446B1
KR101575446B1 KR1020140006801A KR20140006801A KR101575446B1 KR 101575446 B1 KR101575446 B1 KR 101575446B1 KR 1020140006801 A KR1020140006801 A KR 1020140006801A KR 20140006801 A KR20140006801 A KR 20140006801A KR 101575446 B1 KR101575446 B1 KR 101575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eedback
target image
design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7450A (ko
Inventor
옥민재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6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446B1/ko
Publication of KR20150087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피드백을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NABLIING INTERACTIONS REGARDING FASHION DESIGNS}
본 발명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각종 패션 상품에 있어서의 디자인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종래에는 디자이너가 자신의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피드백을 굉장히 적은 수만 그나마도 상당히 구태의연한 방식으로 수집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면, 디자이너는 자신이 시험적으로 작성한 디자인에 대한 (때로는, 잠재적인) 소비자(또는, 디자이너의 상사나 동료, 다른 디자이너 등의 임의의 피드백 제공자)의 피드백을 입수하기 위하여, 소비자에게 긴 텍스트의 입력이나 투표를 강요하는 소비자 성향 조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873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디자인에 관한 입력을 하면 그것을 수집하여 다른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기술이나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5990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의류 디자인에 대한 자신의 선호를 컴퓨터 그래픽 인터페이스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단지 소비자가 텍스트를 힘들여 입력하거나 투표를 행하여야 하는 부담을 덜어줄 뿐, 소비자가 디자인에 대하여 제공함에 따라 수집되는 소비자 피드백이 컴퓨터로 핸들링하기에 적절한 데이터로서 정리되고 그루핑(grouping)되도록 하는 데에는 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는 본 발명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을 소비자 등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수집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의 데이터가 컴퓨터로 핸들링하기 쉬운 형태로 적절하게 정리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의 데이터가 필요한 만큼 필터링되고 그루핑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피드백을 제공 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대상 이미지를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다수의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피드백을 제공 받는 단계, 및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관하여 상기 다수의 피드백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관리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대상 이미지 제공부,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피드백을 제공 받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관리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대상 이미지를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대상 이미지 제공부,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다수의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피드백을 제공 받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관하여 상기 다수의 피드백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을 소비자 등에게 편리한 방식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의 데이터가 컴퓨터로 핸들링하기 쉬운 형태로 적절하게 정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패션 디자인에 관한 소비자 등의 피드백의 데이터가 필요한 만큼 필터링되고 그루핑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이 가능케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되어 구획화된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본 명세서에서, 컨텐츠(contents) 또는 컨텐트란, 통신망을 통하여 접근 가능한,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정보 또는 개별 정보 요소를 총칭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컨텐츠는,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링크(예를 들면, 웹 링크) 등의 데이터 또는 이러한 데이터 중 적어도 두 가지의 조합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이 가능케 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인터랙션 시스템(200),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 및 소비자 단말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200)은, 디자이너가 통신망(100)을 통하여 자신의 (시험 디자인 등의) 디자인에 관한 이미지(같은 역할을 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타 컨텐츠일 수도 있음)를 업로드하면, 상기 이미지의 적어도 일부를 피드백을 수집하기에 용이하도록 분할하거나 구획화하는 처리를 수행한 후에, 통신망(100)을 통하여 피드백 수집의 대상이 되는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등의 피드백 제공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소비자의 피드백을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200)의 구성과 기능에 관하여는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는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디지털 기기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PDA, 웹 패드, 이동 전화기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라면 얼마든지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로서 채택될 수 있다.
특히,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에는 디자이너가 디자인에 관한 이미지를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업로드할 수 있도록 하는 업로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업로드 프로그램은 전형적으로는 인터넷 브라우져 프로그램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한편,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에는,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의하여 디자이너에게 제공되는, 디자인에 관한 피드백에 대한 정보가 조회될 수 있도록 하는 조회 프로그램이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조회 프로그램 역시 브라우져 프로그램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로그램은 전술한 바와 같은 업로드 프로그램과 연동하거나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은 디자이너가 디자인을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일반적인 디자인 저작 프로그램과 연동하거나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디자이너는 자신이 사용하던 디자인 저작 프로그램 외의 디자인 저작 프로그램을 번거롭게 새로 배우거나 익힐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비자 단말 장치(400) 역시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의 속성과 유사한 속성을 갖는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특히, 소비자 단말 장치(400)에는, 소비자가 대상 이미지를 제공 받고, 이것의 분할되거나 구획화된 일부를 선택하며, 선택된 대상 이미지의 일부분에 대하여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 피드백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소비자 피드백 프로그램은 전형적으로는 인터넷 브라우져 프로그램이나 전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소비자가 대상 이미지의 시각적인 표시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하고, 소비자가 표시된 대상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소비자가 선택된 부분을 대상으로 삼아서 자신의 피드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소비자 단말 장치(40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 피드백은 대상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색상, 무늬, 패턴, 질감, 재료, 광택, 모양 등에 관한 지정에 대한 변경 요청일 수 있다. 이러한 피드백은 필요에 따라 해당 소비자에 관한 식별 정보와 함께, 또는 이러한 정보를 배제한 채로,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전달될 수 있다.
인터랙션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과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시스템(200)은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랙션 시스템(200)은 서버 시스템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 시스템(200)은 이미지 관리부(210), 이미지 처리부(215),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 피드백 관리부(225),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 관리부(210), 이미지 처리부(215),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 피드백 관리부(225),, 데이터베이스(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나 소비자 단말 장치(400)와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고,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인터랙션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관리부(210)는 디자이너가 업로드한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미지를 필요에 따라 적절한 식별 정보와 함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미지 관리부(210)는 디자이너가 자신의 단말 장치(300)를 사용하여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이미지(피팅 모델의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패션 상품 일부의 디자인에 관한 이미지일 수도 있음)를 업로드하면, 상기 이미지를 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 대하여 적절한 전처리(예를 들면, 불필요한 배경의 삭제 등)를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이미지를 해당 디자이너의 ID, 해당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의 기기 ID나 네트워크 주소 등과 같은 소정의 식별 정보와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처리부(215)는 이미지 관리부(210)에 의하여 저장된 이미지(즉, 일단 하나의 시각적인 객체인 이미지)를 디자인적인 관점에서 다수의 시각적인 객체로 분할하거나 구획화하는 처리를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지의 자동화된 이미지 분할(automated image segmentation) 기술이 채용될 수 있다. 자동 이미지 분할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이미지에 대하여 공지의 K 평균 군집화 알고리즘(K-means clustering algorithm)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미지는 그것을 둘 이상의 이미지 부분으로 나누는 윤곽을 가질 수 있게 된다(즉, 분할되어 구획화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미지 처리부(215)는 분할되어 구획화된 이미지가 그 구획별로 별도의 선택 가능한 객체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소비자가 이미지에 대하여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일부를 선택하는 경우에 그 선택된 부분이 보다 확실하게 특정되도록 하는 데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3을 더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되어 구획화된 이미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 이미지는 피팅 모델이 착용하고 있는 모자, 재킷 등의 이미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분할하여 구획화하는 경우, 이미지는 모자 본체 부분(310), 모자 장식 부분(320), 재킷 칼라 부분(330), 재킷 앞판 부분(340) 및 재킷 팔 부분(350)으로 나누어져서 표시될 수 있고, 이렇게 표시된 각 이미지 부분은 서로 독립적으로 소비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여기서, 선택은 클릭, 터치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복수의 부분이 한 번에 선택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듯 처리된 이미지는 대상 이미지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는 이미지 처리부(215)에 의하여 처리되어 생성된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 장치(4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소비자가 디자인에 대하여 더 잘 알고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대상 이미지는 그것이나 그것의 일부에 관하여 해당 디자이너가 사전에 입력한 설명과 함께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은 디자이너가 애초의 디자인 이미지를 업로드한 때에 입력하여 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드백 관리부(225)는, 소비자가 자신의 단말 장치(400)에서 대상 이미지의 분할되어 구획화된 일부를 선택하여 그것에 대한 피드백을 입력하면, 이것을 수신하고 나서 피드백 내용을 필터링하거나 그루핑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피드백은 대상 이미지의 일부의 색상, 무늬, 패턴, 질감, 재료, 광택, 모양 등에 관한 지정의 변경 요청(또는, 의견)일 수 있다. 변경 요청은 소비자 단말 장치(400) 상에서 연관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보기들(examples) 중 하나에 대한 단순 선택일 수도 있고, 변경 요청에 따른 디자인 속성 값(예를 들면, 색상 코드나 재료 코드)에 관한 구체적인 기술(description)일 수도 있다.
피드백 관리부(225)는 하나의 대상 이미지에 대하여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400)로부터 수신된 다수의 피드백 중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준(예를 들면, 특정 명도 범위)을 벗어나는 것은 필터링하고 나서, 남은 다수의 피드백을 그루핑하여 그 중 보다 많은 소비자가 제공한 피드백(또는, 유사한 피드백의 그룹)을 우선시하여 디자이너 단말 장치(300)에 제공함으로써 디자이너가 보다 대중적인 피드백(또는, 그 그룹)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양질의 피드백을 선별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루핑 시에 일부 소비자의 피드백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부 소비자는, 예를 들면, 보다 대중적인 것으로 선별된 피드백을 일정 횟수 이상 또는 보다 높은 빈도로 제공한 바 있는 소비자일 수 있다. 물론, 반대의 종류의 소비자의 피드백은 경우에 따라 경시되거나 무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베이스(230)에는, 업로드된 이미지, 대상 이미지, 대상 이미지의 일부에 대한 소비자의 피드백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 데이터베이스(230)가 인터랙션 시스템(200)에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을 구현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데이터베이스(230)는 인터랙션 시스템(200)과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협의의 데이터베이스뿐만 아니라 파일 시스템에 기반을 둔 데이터 기록 등을 포함하는 광의의 데이터베이스일 수도 있으며, 단순한 로그의 집합이라도 이를 검색하여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의 데이터베이스(230)가 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40)는 이미지 관리부(210), 이미지 처리부(215),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 피드백 관리부(225) 및 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이미지 관리부(210), 이미지 처리부(215),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 피드백 관리부(225),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50)는 인터랙션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인터랙션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이미지 관리부(210), 이미지 처리부(215), 대상 이미지 제공부(220), 피드백 관리부(225), 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210: 이미지 관리부
215: 이미지 처리부
220: 대상 이미지 제공부
225: 피드백 관리부
230: 데이터베이스
240: 통신부
250: 제어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관리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대상 이미지를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대상 이미지 제공부, 및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피드백을 제공받아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디자인 이미지에 대하여 불필요한 배경을 삭제하는 전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의 기기 ID와 네트워트 주소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생성된 대상 이미지가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생성된 대상 이미지는 구획별로 선택 가능한 객체이며,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는, 조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조회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피드백 관리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또는 구획화는 K 평균 군집화 알고리즘에 의하여 수행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은 상기 대상 이미지의 상기 특정 일부에 대한 색상, 무늬, 패턴, 질감, 재료, 광택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지정에 대한 변경 요청인 시스템.
  9. 통신망 상에서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디자이너 단말 장치로부터 디자인 이미지를 수신하는 이미지 관리부,
    상기 디자인 이미지를 분할하거나 구획화하여 대상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처리부,
    상기 대상 이미지를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대상 이미지 제공부, 및
    상기 다수의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특정 일부에 대한 다수의 피드백이 입력되면, 상기 다수의 피드백을 제공받고, 상기 디자인 이미지에 관하여 상기 다수의 피드백에 대한 그루핑을 수행하여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에 제공하는 피드백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관리부는 상기 수신된 디자인 이미지에 대하여 불필요한 배경을 삭제하는 전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디자인 이미지와,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의 기기 ID와 네트워트 주소를 포함하는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함께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생성된 대상 이미지가 상기 소비자 단말 장치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상기 이미지 처리부에서 생성된 대상 이미지는 구획별로 선택 가능한 객체이며,
    상기 디자이너 단말 장치는, 조회 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된 조회 프로그램을 통해 상기 피드백 관리부에 의해 제공된 상기 피드백에 대한 정보를 조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관리부는, 상기 그루핑이 수행되기 전에, 상기 다수의 피드백 중 적어도 일부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시스템.
  11. 삭제
KR1020140006801A 2014-01-20 2014-01-20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575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01A KR101575446B1 (ko) 2014-01-20 2014-01-20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801A KR101575446B1 (ko) 2014-01-20 2014-01-20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50A KR20150087450A (ko) 2015-07-30
KR101575446B1 true KR101575446B1 (ko) 2015-12-08

Family

ID=53876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801A KR101575446B1 (ko) 2014-01-20 2014-01-20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7039B2 (en) 2019-12-20 2022-08-16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81B1 (ko) * 2010-08-10 2011-03-04 김태희 디자인의 수정 및 디자인 선호도 조사 방법
KR101322914B1 (ko) 2013-02-26 2013-10-29 김진산 비주얼 아이템이 적용된 제품의 검색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8481B1 (ko) * 2010-08-10 2011-03-04 김태희 디자인의 수정 및 디자인 선호도 조사 방법
KR101322914B1 (ko) 2013-02-26 2013-10-29 김진산 비주얼 아이템이 적용된 제품의 검색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17039B2 (en) 2019-12-20 2022-08-16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US11625877B2 (en) 2019-12-20 2023-04-11 Clo Virtual Fashion Inc. Method to provide design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450A (ko) 2015-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6158B1 (en) Dynamic availability-based integration of external functionality
US10019779B2 (en) Browsing interface for item counterparts having different scales and lengths
US201500739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Customized Advertisement Creatives
US2019011632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amera effect
US20110167336A1 (en) Gesture-based web site design
TWI691934B (zh) 基於擴增實境的影像識別方法及裝置
US201602594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third party user interface adjustment
KR20200021555A (ko) 자동 가이드식 이미지 캡쳐 및 프레젠테이션
CN107787503A (zh) 基于动作的应用推荐引擎
JP2022534933A (ja) ウェブ構築システムサービスにユーザフィードバックを統合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4903932A (zh) 定制共享的web资源的快照
CN107430768A (zh) 图像编辑和修补
KR101837558B1 (ko)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표시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026176B2 (en) Browsing interface for item counterparts having different scales and lengths
WO2011082075A2 (en) Incoming web traffic conversion
US20180089905A1 (en) Visualisation and navigation of transmedia content data
US9373188B2 (en) Techniques for providing content animation
KR20220066944A (ko) 조직 분할을 위한 머신 러닝 모델의 상호작용 트레이닝
US20150193563A1 (en) Method for creating template of building component, method for creating primitive, and apparatus for modeling building component
US11423620B2 (en) Use of secondary sources for location and behavior tracking
WO2022153122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nhanced collaborative work documents
JP677189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75446B1 (ko) 패션 디자인에 관한 인터랙션을 가능케 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190172260A1 (en) System for composing or modifying virtual reality sequences, method of composing and system for reading said sequences
JP6844143B2 (ja) 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