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87B1 -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87B1
KR101575187B1 KR1020150029340A KR20150029340A KR101575187B1 KR 101575187 B1 KR101575187 B1 KR 101575187B1 KR 1020150029340 A KR1020150029340 A KR 1020150029340A KR 20150029340 A KR20150029340 A KR 20150029340A KR 101575187 B1 KR101575187 B1 KR 101575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duct
flange
pipe
branch pi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규팔
윤금수
Original Assignee
(주)명성씨.엠.아이
에스케이하이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성씨.엠.아이, 에스케이하이닉스(주) filed Critical (주)명성씨.엠.아이
Priority to KR102015002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4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 F16L41/06Tapping pipe walls, i.e. making connections through the walls of pipes while they are carrying fluids; Fittings therefor making use of attaching means embracing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36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the tensioning members, e.g. specially adapted bolts or C-c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2Branch units, e.g. made in one piece, welded, rive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생산현장(FAB 또는 Fabrication)의 배기덕트 시공에 있어서,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의 접속을, 간편하면서도 기밀성과 유지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는,
상기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밀착플레이트(10)와,
일단은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관통,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는 플랜지(21)가 구비된 연결관(20)으로 구성됨으로써,
FRP재질의 메인덕트(1) 외표면에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부착시킨 후, 상기 밀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20)의 단부 플랜지를 상기 분기관(2) 플랜지와 맞대어 볼팅클램프(C)로써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Description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Joint Adaptor for jointing a branch pipe to main duct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반도체 생산현장(FAB 또는 Fabrication)의 배기덕트 시공에 있어서,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의 접속을, 간편하면서도 기밀성과 유지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산업은 그 유용성만큼이나 복잡하면서도 매우 정교한 정밀도를 요구하는 많은 종류의 제조설비 및 제조공정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반도체 제조공정은 그 공정 특성상, 인체에 치명적인 각종 유독성, 부식성, 인화성 가스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반도체 제조공정 중의 하나인 CVD(Chemical Vapor Deposition)공정에서는 예컨대, 다량의 실란, 디클로실란, 암모니아, 산화질소, 아르신, 포스핀, 디보론, 보론, 트리클로라이드 등의 유독성 가스를 사용한다.
상기 CVD공정 이외에도 플라즈마 에칭, 에피택시 증착, 스퍼터링 등과 같은 여러 종류의 반도체 공정들에서도 상술한 각종 유독성 가스를 다량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각종 설비가 마련된 생산라인 내의 온도, 습도 조절을 위해 에어를 공급하고 있다.
도 1은 상술한 유독성 가스를 배기시키거나 에어를 공급하는 FAB 내부의 덕트설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대형 직경을 갖는 FRP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이 상기 메인덕트에서 분기되는 구조이다.
기존의 접속방식은, FRP재질의 메인덕트(1)에 구멍을 천공하여 SUS재질의 분기관(2)을 삽입하고, 그 틈새(이음부)를 레진(Resin)으로 밀봉하여 시공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접속방식은 현장에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즉, 진동에 의해 분기관(2)이 상기 메인덕트(1)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US 분기관의 단부를 FRP 메인덕트 내부로 깊이 삽입하여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메인덕트 내부로 깊숙이 삽입된 분기관 단부에 파우더가 적층되고 이로 인한 분기관 단부의 부식이 쉽게 발생되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덕트의 진동 및 장기간 사용에 의해, 이음부를 밀봉하고 있는 레진에 미세 균열이 발생되는 현상이 잦아,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더 나아가, FAB 공조설비의 가동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메인턱트에서 분기하는 분기관을 추가 시공하여야 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종래 시공방법으로는 이러한 요구를 충족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KR 10-2003-0069301 A KR 10-2010-001121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발명으로서,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의 접속을, 간편하면서도 기밀성과 유지관리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FAB 공조설비의 가동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메인덕트에서 분기하는 분기관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추가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는,
상기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밀착플레이트(10)와,
일단은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는 플랜지(21)가 구비된 연결관(20)으로 구성됨으로써,
FRP재질의 메인덕트(1) 외표면에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부착시킨 후, 상기 밀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20)의 단부 플랜지를 상기 분기관(2) 플랜지와 맞대어 볼팅클램프(C)로써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는,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21)에 끼워지는, SUS재질의 연결링(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20)의 플랜지(21) 후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은 단턱(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30)의 내측으로는 상기 단턱(22) 후면에 밀착되는 보강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기(32)의 후면 주연(周緣)에는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를 이용한 FRP재질 메인덕트와 SUS재질 분기관의 접속 시공방법은,
분기관(2)이 설치될 위치의 메인덕트의 표면에 마킹(marking) 테이프를 부착한 후, 분기공(1a)을 천공하는 메인덕트 천공단계와;
메인덕트에 천공된 분기공(1a)의 절단면에 내식수지를 코팅하는 절단면 보수단계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밀착플레이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일단이 상기 분기공(1a) 속으로 삽입되도록 하여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밀착시켜 접합하고, 상기 밀착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리섬유시트를 덧대어 레진과 경화제를 함침시켜 경화하는, 메인덕트(1)와 접속구(J)의 결합단계와;
상기 접속구의 연결관(20)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를 서로 맞댄 후, 볼팅클램프(C)로써 상기 두 플랜지를 결합시키는, 접속구(J)와 분기관(2)의 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따른 접속구는, 반도체 생산현장(FAB 또는 Fabrication)의 배기덕트 시공에 있어서,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기 위해, FRP재질의 메인덕트(1) 외표면에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부착시킨 후, 상기 밀착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20)의 단부 플랜지를 상기 분기관(2) 플랜지와 맞대어 볼팅클램프(C)로써 간단하게 결합하면서도,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메인덕트(1)와 접속구(J)를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여, 배기시설이 가동중인 경우에도 분기관 설치시공 작업 중에 Blind처리(외부공기의 유입차단)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분기관 시공작업 동안의 배기 압력의 요동현상(정압헌팅)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결관(20)의 단부 플랜지에 SUS재질의 연결링(30)을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볼팅클램프(C)의 죔력에 의해 FRP재질의 연결관(20)의 단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죄어진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를 이용하여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 시공방법은, 그 작업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사기간 단축은 물론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방법 및 이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한 설명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와 메인덕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와 메인덕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를 정면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6은 메인덕트와 분기관이 135°로 접속하는 경우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접속구 예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와 분기관(2)이 볼팅클램프(C)에 의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접속구에 있어서, 노출부(25) 외주면에 패킹(27)이 적용된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 설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해,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접속구를 기준으로, 분기관(2)이 접속되는 쪽을 '전방'으로, 메인덕트가 접속되는 쪽을 '후방'으로 지칭하기로 하며,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특허청구범위’에서도 이를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는,
FRP재질의 메인덕트(1)와 SUS재질의 분기관(2)을 연결하는, FRP재질의 접속구(J)로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의 외형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밀착플레이트(10)와;
일단은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관통, 삽입하여 일체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는 플랜지(21)가 구비된 연결관(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밀착플레이트와 연결관은 모두 FRP재질로 제작함으로써, 무게를 최소화하여 운반 및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밀착플레이트와 연결관은, 둘 다 동일한 FRP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밀착플레이트와 연결관의 접합이 용이하여, 이들의 결합부위에서의 기밀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를 메인덕트(1)와 동일한 FRP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외부요인(예; 온도변화 등)에 따른 신축변형이 발생될 때, 메인덕트(1)와 동일하게 반응하게 되므로, 메인덕트와 접속구 사이의 이음부 크랙발생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접속구(J)의 밀착플레이트(10)는, 표면처리(겔코팅)가 완료된 면(10a)과 표면처리되지 않은 면(10b)를 포함한다. 표면처리되지 않은 면(10b) 위에, 후술할 결합용 유리섬유시트(50)가 적층되어 결합될 것이다.
상기 연결관(20)의 일단은, 밀착플레이트(10)를 관통한 상태에서 일체로 결합된다. 즉, 밀착플레이트(10)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연결관(20)을 삽입한 상태에서, 이음부 주위로 유리섬유시트를 덧대어 레진과 경화제를 함침시켜 경화함으로써 상기 밀착플레이트(10)와 연결관(20)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연결관의 일단은,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일단(메인덕트 내부로 노출되는 단부를 의미한다. 이하, '노출부(25)'라 한다)은, 상기 분기공(1a) 속으로(즉, 메인덕트 내부로) 삽입되어야만,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를 정확한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와 메인덕트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노출부(25)가, 상기 분기공(1a) 속으로(메인덕트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덕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일단의 노출부(25)의 외표면에 내식성 패킹(27)을 구비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패킹(27)은, 상기 메인덕트(1)에 형성된 분기공(1a)으로 상기 연결관 노출부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메인덕트(1)의 분기공(1a)과 상기 연결관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패킹(27)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날개부(27a)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날개부(27a)는, 이 날개부의 탄성 변형력에 의해 상기 메인덕트의 분기공(1a)과 상기 노출부 외주면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관(20)의 타단에는 플랜지(21)가 형성되어, 이 플랜지(21)에 분기관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21)에는, SUS재질의 연결링(30)을 더 포함함으로써, FRP재질의 연결관 플랜지를 보강함과 함께 후술할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21)에 SUS재질의 연결링(30)을 구비하기 위해, 상기 연결관(20)의 플랜지(21) 후면에, 상기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은 단턱(22)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링(30)의 내측(중심방향)으로는 상기 단턱(22) 후면에 밀착되는 보강돌기(32)를 형성하고, 상기 보강돌기(32)의 후면 주연(周緣)에는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3)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연결링(30)이 연결관의 플랜지(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가 서로 맞대어져 볼팅클램프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볼팅클램프의 죔력이 상기 연결링(30)의 보강돌기(32) 후면에 작용하여 FRP재질의 연결관 단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죄어진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를 이용한 덕트 분기관 접속 시공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메인덕트 천공
먼저, 분기관이 설치될 위치(메인덕트의 시공 부위)를 마킹(marking)한 후, 분기공(1a)을 천공하는 단계이다.
메인덕트의 외표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가 설치될 위치(즉, 분기관이 설치될 위치)를 확정하고, 마킹테이프를 붙인다. 메인덕트의 중심축선에 대해 직각으로 분기하는 경우에는 원형이 마킹된 테이프를 부착한다. 만약, 메인덕트의 중심축선에 대해 45°(또는 135°)로 경사방향으로 분기하는 경우에는 타원이 마킹된 테이프를 부착한다.
절단톱으로 상기 마킹을 따라 메인덕트를 천공한다. 천공 작업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메인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것(특히, 배기시설이 가동중인 경우에는 흡인력에 의해 분진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방지하기 위해, 진공흡입 청소기를 사용하여 절단분진을 흡입한다.
이 때, 절단 분리된 메인덕트 조각이 메인덕트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잘 붙잡아야 한다.
<제2단계> 절단면 보수작업
분기공(1a)이 형성된 메인덕트의 절단면은 내식성이 없으므로, 배기가스에 노출될 경우 부식이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분기공(1a)의 절단면에 내식수지를 코팅한다.
<제3단계> 메인덕트(1)와 접속구(J)의 결합
접속구의 밀착플레이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밀착시켜 접합한다. 이 때,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일단(이하, '노출부'라 한다)이 상기 분기공(1a) 속으로(즉, 메인덕트 내부로) 삽입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접속구의 밀착플레이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할 때, 상기 노출부 외주면에도 접착제를 충분히 바른 후에,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밀착시켜 접합하면, 상기 분기공(1a)과 노출부 사이의 틈새의 기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로서,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일단(이하, '노출부'라 한다)의 외표면에 내식성 패킹(27)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덕트(1)에 형성된 분기공(1a)으로 상기 연결관 노출부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메인덕트(1)의 분기공(1a)과 상기 연결관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패킹(27)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날개부(27a)를 형성함으로써, 이 날개부의 탄성변형력에 의해 상기 메인덕트의 분기공(1a)과 상기 노출부 외주면 사이의 기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밀착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결합용 유리섬유시트(50)를 덧대어 적층함으로써 상기 밀착플레이트(10)와 메인덕트(1)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유리섬유시트의 폭은 최소 150mm 이상이 되도록 하고, 레진과 경화제를 100:15의 혼합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레진과 유리섬유시트의 함침비는 2.3:1로 함침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함침 후에는 탈포기를 이용하여 기포를 충분히 제거한 후 20분 이상 경화시킨다.
메인덕트(1)와 접속구(J)를 결합하는 단계에서, 배기시설이 가동중인 경우에 외부공기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마개(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를 별도로 준비하여, 밀착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의 입구(플랜지가 형성된 단부)를 밀폐함으로써, 시공작업 도중에 외부공기가 메인덕트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메인덕트(1)와 접속구(J)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외부공기가 장기간 유입될 경우, 덕트 내부의 압력변화로 인한 요동현상(실무적으로 '정압헌팅'이라 함)이 발생되어 배기시설 전반에 많은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접속구(J)의 연결관(20) 노출부를 메인덕트의 분기공(1a) 속으로 삽입하는 것만으로 Blind처리(외부공기의 유입차단)가 가능하므로, 분기관 시공작업 동안의 배기 압력의 요동현상(정압헌팅)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특징이 있다.
<제4단계> 접속구(J)와 분기관의 결합
상기 접속구의 연결관(20)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를 서로 맞댄 후, 볼팅클램프(C)로써 상기 두 플랜지를 결합시켜 접속 작업을 완료한다.(물론, 상기 접속구의 연결관(20)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를 서로 맞대기 직전에 상기 제3단계에서의 마개를 제거하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연결관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 플랜지를 서로 맞댄 후에 볼팅클램프로 결합할 때, 상기 볼팅클램프의 일측 죠(jaw)가 상기 연결링(30)의 이탈방지턱(33) 내측에 형성된 보강돌기(32) 후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죔으로써, 죄어진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J)를 사용함으로써, 간편하면서도 높은 기밀성을 확보하여,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용이하게 접속 시공할 수 있다. 특히, FAB 공조설비의 가동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기관의 추가 시공이 가능하다.
1: FRP재질의 메인덕트 2: SUS재질의 분기관
J: 접속구 C: 볼팅클램프
10: 밀착플레이트
20: 연결관 21: 플랜지
22: 단턱 27: 패킹
30: 연결링 32: 보강돌기
33: 이탈방지턱
50: 결합용 유리섬유시트

Claims (4)

  1. 삭제
  2. FRP재질의 메인덕트(1)와, 상기 메인덕트에서 분기하여 연결되는 SUS재질의 분기관(2)을 연결하는, FRP재질의 접속구(J)에 있어서,
    상기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부착되는 밀착플레이트(10)와;
    일단은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된 상태에서 일체로 성형되고, 타단은 상기 분기관과 연결되는 플랜지(21)가 구비된 연결관(20)으로 구성되어;
    상기 연결관(20)의 플랜지가 상기 분기관(2)에 형성된 플랜지에 맞대어져 볼팅클램프(C)로써 결합되는 접속구로서;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21)에 끼워지는, 연결링(3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연결관(20)의 플랜지(21) 후면에는, 상기 플랜지의 외경보다 작은 단턱(22)이 더 구비되고;
    상기 연결링(30)은 SUS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링(30)의 내측으로는 상기 단턱(22) 후면에 밀착되는 보강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돌기(32)의 후면 주연(周緣)에는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33)이 형성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링(30)이 연결관(20)의 플랜지(21)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연결관의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가 서로 맞대어져 볼팅클램프에 의해 결합될 때,
    상기 볼팅클램프의 죔력이 상기 연결링(30)의 보강돌기(32) 후면에 작용하여 FRP재질의 연결관 단부를 보강함과 동시에, 죄어진 볼팅클램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삽입된 연결관(20)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부위를 따라, 상기 연결관(20)의 일단 외표면에 내식성 패킹(27)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메인덕트(1) 내부로 상기 접속구(J) 노출부(25)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메인덕트(1)의 분기공과 상기 노출부(25) 외주면 사이에 틈새가 패킹(27)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
  4. FRP재질의 메인덕트(1)와 SUS재질의 분기관(2)을 연결하는 접속 시공방법에 있어서,
    분기관(2)이 설치될 위치의 메인덕트의 표면에 마킹(marking) 테이프를 부착한 후, 분기공(1a)을 천공하는 메인덕트 천공단계와;
    관통공이 천공된 메인덕트의 절단면에 내식수지를 코팅하는 절단면 보수단계와;
    제2항에 따른 접속구의 밀착플레이트 후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상기 밀착플레이트의 후면으로 돌출된 연결관(20) 노출부(25)가 상기 분기공(1a) 속으로(즉, 메인덕트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메인덕트의 외표면에 밀착시켜 접합하고, 상기 밀착플레이트(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리섬유시트를 덧대어 레진과 경화제를 배합하여 유리섬유시트에 함침시켜 경화하는, 메인덕트(1)와 접속구(J)의 결합단계와;
    제2항에 따른 접속구의 연결관(20) 플랜지와, 상기 분기관(2)의 플랜지를 서로 맞댄 후, 볼팅클램프(C)로써 상기 두 플랜지를 결합시키는, 접속구(J)와 분기관의 결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덕트와 분기관의 접속 시공방법.
KR1020150029340A 2015-03-02 2015-03-02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KR101575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40A KR101575187B1 (ko) 2015-03-02 2015-03-02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9340A KR101575187B1 (ko) 2015-03-02 2015-03-02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5187B1 true KR101575187B1 (ko) 2015-12-08

Family

ID=54872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340A KR101575187B1 (ko) 2015-03-02 2015-03-02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46B1 (ko)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고 밀폐성을 갖는 가스배관장치
KR101472494B1 (ko) * 2013-11-01 2014-12-12 박문식 새들 플랜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146B1 (ko) 2012-01-12 2012-06-22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고 밀폐성을 갖는 가스배관장치
KR101472494B1 (ko) * 2013-11-01 2014-12-12 박문식 새들 플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7772B2 (en) Quick change restrictor plate
US8540287B2 (en) Saddle tap connection and installation device
US8936280B2 (en) Saddle tap connection and installation device
US8182642B2 (en) Flange assembly
JP7061608B2 (ja) フランジ継手の平型ガスケット用の取付装置
JP5400594B2 (ja) 管路構成部材のフランジ接合構造
KR101575187B1 (ko) Frp재질의 메인덕트와 sus재질의 분기관을 연결하는 접속구 및 이를 이용한 접속 시공방법
JP2014005930A (ja) 流水管補修工法
WO2015093257A1 (ja) 流体輸送用ヘッダー管継手
KR10095328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를 이용한 파형강관 연결방법
KR100917120B1 (ko) 파이프용 커플러
CN101852318B (zh) 压缩空气输送管路的法兰式连接系统
KR200486534Y1 (ko) 관이음구용 플랜지
JP2009210023A (ja) 分岐継手
CN210830958U (zh) 一种连接快速稳定的螺旋风管
KR20080005671U (ko) 플랜지 누수 및 누유 방지용 가스켓
KR101911543B1 (ko) 냉온수 배관의 용이성과 기밀유지가 우수하도록 밸브의 입구측에 연결고정되는 배관연결부속
KR101839512B1 (ko) 분기관이 형성된 페놀덕트 어셈블리의 시공방법
EP21626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fluid connection to a container
CN207421608U (zh) 快装管道结构
CN220540521U (zh) 一种连接结构及流体输送设备
JP2012051109A (ja) 積層管及びその接続構造
JP2014074458A (ja) 分岐管接続装置
CN212537029U (zh) 一种地下车库的排风管道安装结构
EP2938915A1 (en) Sealing element and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