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5174B1 -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5174B1
KR101575174B1 KR1020140001333A KR20140001333A KR101575174B1 KR 101575174 B1 KR101575174 B1 KR 101575174B1 KR 1020140001333 A KR1020140001333 A KR 1020140001333A KR 20140001333 A KR20140001333 A KR 20140001333A KR 101575174 B1 KR101575174 B1 KR 101575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ry
filtered
bag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81644A (en
Inventor
권용현
Original Assignee
권용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용현 filed Critical 권용현
Priority to KR1020140001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5174B1/en
Publication of KR2015008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16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5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51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8Removing dust other than cleaning filters, e.g. by using collecting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필터백에 집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의 분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여과 효율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내측에 집진공간이 형성되되, 상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주를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를 감싸는 필터백을 포함하는 집진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배기덕트부; 상기 하우징 하부와 연통되어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에서 발생되는 유수분 분진입자를 함유한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는 흡기유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의 외면이 코팅되도록, 상기 흡기유로의 일측과 합류되어 상기 여과대상가스로 건조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수단; 및 상기 배기덕트부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분진에 의해 외면이 코팅되어 상기 필터백에 포집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가 탈리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펄스탈진부를 포함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dust collec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 hole formed in an upper surface thereof so as to easily remove dust and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filter bag to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A dust collecting part extending downward along a rim of the through hole,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filter frame having a vent hol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filter bag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An exhaust duc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 intake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sucking a gas to be filtered containing water and dust particles generated in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supplying means for joining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to supply dry dust to the gas to be filtere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wdery dust particles is coated; And a pulse exhausting part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part for selectively ejecting the compressed air so that the water and oil dust particles collected on the filter bag ar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by the dry dust to be desorbed, Thereby providing a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Description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 cell injecting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터백에 집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의 분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여과 효율성이 개선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ld cell injecting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which easily removes dust and foreign matter adhered to a filter bag to improve filtration efficiency.

일반적으로, 집진기는 분진이 다량 발생되는 시멘트 제조공정, 금속 제련공정 등의 작업장에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 등의 분진이 함유된 여과대상가스를 정화하고 청정가스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분진이나 오염물질로 인한 대기오염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Generally, a dust collector is installed in a workplace such as a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or a metal smelting process in which a large amount of dust is generated, purifies the gas to be filtered containing dust such as dust or foreign matter, and discharges the clean gas to the outside. It is a device to prevent air pollution caused by.

이때, 상기 집진기는 외부로부터 밀폐된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작업장과 연통되도록 구비되어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는 유입구,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서 흡입된 여과대상가스의 분진을 여과하는 필터백, 필터백에 의해 여과된 청정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한다.In this case, the dust collector includes a housing formed with a sealed space from the outside, an inlet for communicating with a work site at one side of the housing to suck the gas to be filtered, a filter for filtering dust of the gas to be filtered, And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clean gas filtered by the filter bag.

여기서, 필터백은 부직포나 세라믹으로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백의 내부에는 분사노즐이 배치되고, 상기 분사노즐은 펄스펌프 등에 연결되어 일정한 주기 혹은 간헐적으로 압축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필터백은 분사된 압축공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팽창되고 진동됨에 따라 외부 표면에 집착된 분진이 탈리될 수 있다. Here, the filter bag may be made of nonwoven fabric or ceramic. A spray nozzle is disposed inside the filter bag, and the spray nozzle is connected to a pulse pump or the like to spray compressed air at a predetermined period or intermittently. At this time, the filter bag is instantaneously expanded and vibrated by the compressed air injected, so that dust adhering to the outer surface can be desorbed.

그러나, 종래에는 필터백에 오일미스트 등 유분이나 수분이 함유되어 높은 점착성을 가진 분진이 포집된 경우, 압축공기에 의한 필터백의 탈리가 원활하게 이루지지 못하였으며, 지속적으로 여과가 진행됨에 따라 필터백의 표면이 분진으로 둘러 쌓여버려 여과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으며, 잦은 필터백의 교체로 인해 불편함을 유발하였다. However, in the past, when the filter bag contains oil or moisture such as oil mist or the like and the dust having high tackiness is trapped, the filter bag can not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ilter bag due to the compressed air. As the filtration progresses continuously, The surface was surrounded by dust and could not perform the filtration function properly, and frequent replacement of the filter bag caused discomfort.

이에, 필터백측으로 별도의 촉매제를 분사해주는 기술이 고안된 바 있으나, 소모된 촉매제는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매번 새로운 촉매제를 구매해야 하므로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us, although a technology for spraying a separate catalyst onto the filter bag has been devised, there is a problem that additional cost is incurred because a new catalyst must be purchased every time since it is impossible to reuse the consumed catalyst.

한국 공개특허 제10-1987-000567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87-0005677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백에 집착된 먼지와 이물질 등의 분진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여과 효율성이 개선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or capable of easily removing dust and foreign matter adhered to a filter bag and improving filtration efficiency.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집진공간이 형성되되, 상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주를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를 감싸는 필터백을 포함하는 집진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배기덕트부; 상기 하우징 하부와 연통되어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수분이 함유된 고점착성의 유수분 분진입자를 함유한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는 흡기유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의 외면이 코팅되도록, 상기 흡기유로의 일측과 합류되어 상기 여과대상가스로 저점착성의 건조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수단; 및 상기 배기덕트부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분진에 의해 외면이 코팅되어 상기 필터백에 포집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가 탈리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펄스탈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분진이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와 혼합되도록, 상기 분진공급수단이 합류된 상기 흡기유로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혼합안내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dust collecting space formed on an inner side thereof and a through hole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dust collecting part extending downward along a rim of the through hole,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filter frame having a vent hol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filter bag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An exhaust duc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 intake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sucking a gas to be filtered containing high-viscosity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containing oil and moisture generated in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mixing means for joining with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so as to coa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based dust particles to supply dry dust of low viscosity to the gas to be filtered; And a pulse exhausting part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part, the pulse exhausting part being selectively opened so that the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collected on the filter bag are desorbed and sprayed with compressed air, the outer surface being coated by the dry dust, And a spiral mixing guide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flow path in which the dust supplying means is merged so as to be mixed with the powdery dust particles.

여기서, 상기 분진공급수단은 상기 흡기유로의 일측에 연통되는 합류관과, 상기 합류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여과대상가스가 발생되는 여과대상공간 내부에서 수집된 상기 건조분진이 저장되는 분진백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분진백의 하부로 배출되는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dust supplying means may include a confluent pipe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a dust bag provided above the confluent pipe and storing the dry dust collected in the space to be filtered where the gas to be filtered is generated, And a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erging pipe for adjusting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bag.

이때,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로터부와, 상기 로터부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원통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이 조절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dry dust supply controlling means includes a roto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otation driving portion for rotating the rotor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formed by the blades, And a cylindrical cas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ocus, wherein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part.

그리고, 상기 분진백은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어 배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을 상기 분진백의 하부로 정렬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분진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ust ba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and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for aligning the dry dust supply control means with the lower part of the dust bag, And an upper frame for supporting the dust bag.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solution, the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가 분진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건조분진에 의해 코팅됨에 따라 낮은 점착성을 가지게 되므로 필터백으로부터의 탈리가 원활하게 이루질 수 있어 필터백의 여과물 포집에 따른 압력증가로 인한 손상을 방지함과 함께 탈리를 위한 압축공기의 분출압력과 분출횟수 절감이 가능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First, since the dust particles in the filtrate gas are coated with the dry dust supplied by the dust supply means, the dust particles are low in tackiness, so that the filter bag can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ilter ba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amage due to the increase of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and to reduce the ejection pressure and the number of ejection times of the compressed air for desorption, so that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둘째, 상기 건조분진이 별도의 촉매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청소 등의 환경정비 과정을 통해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작업장 내의 각종 분진으로 구비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dry dust is not provided as a separate catalyst but is provided with various dusts in the workplac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through an environmental maintenance process such as cleaning,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

셋째,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은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에 따라 연동 제어되어 건조분진의 공급량을 조절하므로, 건조분진이 과다투입됨으로 인한 흡기유로의 통기량 감소 혹은 건조분진 부족으로 인한 필터백 열화를 방지하여 제품의 여과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irdly,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controls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by controlling the interlocking depending on the content of the dust particles in the filtrate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so that the amount of the airflow reduced Or the filter bag deterioration due to the lack of dry dust can be prevented and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공급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기유로에서 건조분진과 유수분 분진입자의 혼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ust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dust supply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mixing the dry dust and the water dust particles in the intake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1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100)는 하우징(10), 집진부(30), 배기덕트부(20), 펄스탈진부(40), 흡기유로(50), 그리고 분진공급수단(70)을 포함한다. 1,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 dust collecting unit 30, an exhaust duct unit 20, a pulse discharging unit 40, An intake flow path 50, and a dust supply means 70.

여기서, 상기 하우징(10)은 내측에 집진공간이 형성되되, 상면부에 관통공(1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공간에는 흡기유로(50)로 흡입된 여과대상가스(b)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집진공간에 채워진 여과대상가스(b)는 상기 관통공(13)을 통과하여 상기 배기덕트부(20)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Here, the housing 10 has a dust-collecting space formed therein, and a through-hole 13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dust collecting space may be filled with a gas b to be filtered which is sucked into the suction duct 50. The gas b to be filtered which is filled in the dust collecting space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 (20) and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때, 여과대상가스(b)는 사출성형이 이루어지는 작업장 내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유수분 분진을 포함한 가스나 공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13)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관통공(13)에는 상기 여과대상가스(b)를 여과하는 집진부(3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gas b to be filtrated is understood to mean gas or air containing various kinds of water and dust generated in the work place where injection molding is performed. A plurality of the through holes 13 may be formed and each through hole 13 may be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portion 30 for filtering the gas b to be filtered.

물론,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상향하는 나선형태를 가진 가이드판이 돌설될 수 있다. 즉, 상기 여과대상가스(b)는 상기 집진공간으로 유입되어 상기 가이드판을 따라 상향하는 나선형의 기류를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13)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10) 상측의 배기덕트부(20)로 유동될 수 있다. Of course, a guide plate having a spiral shape up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the gas b to be filtered flows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to form a spiral airflow upward along the guide plate,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hole 13 to the exhaust duct portion 20).

이에 따라, 상기 여과대상가스(b)는 상기 집진부(30)를 통과할 때 필터백(32)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백(32)의 일측에 집중되지 않고 전체 표면에 균형적으로 퍼져 통과될 수 있으므로 여과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not only the contact area of the gas b to be filtered with the filter bag 32 when passing through the dust collecting part 30 but also the entire surface of the filter bag 32, So that the filtr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단에는 상기 필터백(32)에서 탈리된 분진이 배출되는 분진배출구(11)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진배출구(11)에는 배출되는 분진을 이송하는 분진이송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ust outlet 11 through which the dust removed from the filter bag 32 is discharged may be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housing 10. The dust outlet (11) may be provided with a dust transfer unit (12) for transferring the dust to be discharged.

한편, 상기 집진부(30)는 상기 관통공(13)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주를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필터프레임(31)과, 상기 필터프레임(31)의 외주를 감싸는 필터백(32)을 포함한다. The dust collecting part 30 includes a filter frame 31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rim of the through hole 13 and having a vent hol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filter bag 32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31 ).

상세히, 상기 필터프레임(31)은 상기 관통공(13)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백(32)의 내부를 지지하는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 In detail, the filter frame 3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through-hole 13 to form a skeleton for supporting the inside of the filter bag 32.

또한, 상기 필터프레임(31)은 일정한 강성을 가진 금속이나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어 하우징(10) 내부에서 유동되는 상기 여과대상가스(b)의 흐름에 유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 필터백(32)을 지지할 수 있다.The filter frame 31 is formed of metal or synthetic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rigidity and is fixed to the filter bag 32 in a fixed state without flowing in the flow of the gas b to be filtered flowing in the housing 10. [ ). ≪ / RTI >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31)의 표면에는 다수의 통기공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집진공간에 유입된 여과대상가스(b)는 상기 필터프레임(31)의 통기공을 통과하여 상기 관통공(13)을 지나 상기 배기덕트부(20)로 유동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frame 31. That is, the gas b to be filtered, which flows into the dust collecting space, can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s of the filter frame 31 and flow to the exhaust duct portion 20 through the through holes 13.

이때, 상기 필터프레임(31)의 표면을 감싸는 필터백(32)에 의해 상기 여과대상가스(b)가 여과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백(32)은 부직포나 얇은 종이, 세라믹 등으로 구비되어 내부 섬유층 내에 분진을 모으거나 표면층에 분진을 흡착됨으로써 상기 여과대상가스(b)를 여과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gas b to be filtered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bag 32 surrounding the surface of the filter frame 31. Here, the filter bag 32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a thin paper, ceramic, or the like to collect dust in the inner fiber layer or adsorb dust on the surface layer, thereby filtering the gas b to be filtered.

한편, 상기 배기덕트부(20)는 상기 하우징(10) 상부에 상기 관통공(13)과 연통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기덕트부(20)의 일측에는 배기유로(60)가 구비되고, 상기 배기유로(60)를 통해 상기 필터백(32)에서 여과된 여과대상가스(b)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The exhaust duct portion 20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through-hole 13. At this time, an exhaust duct 6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duct unit 20, and a gas b to be filtered, which is filtered by the filter bag 32 through the exhaust duct 60, have.

물론, 상기 배기유로(60)의 일측에는 상기 작업장의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고 여과된 상기 여과대상가스를 배출하도록 가스 혹은 공기 흐름을 형성하는 송출팬이 구비될 수 있다. Of course, a discharge fa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exhaust channel 60 to form a gas or an air flow to suck the gas to be filtered in the work area and discharge the filtered gas.

한편, 상기 흡기유로(50)는 상기 하우징(10) 하부와 연통되어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에서 발생되는 유수분 분진입자를 함유한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한다. Meanwhile, the intake passage 5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sucks the gas to be filtered containing the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generated in the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여기서, 상기 금형은 사출성형공정에 사용되는 틀을 말하며, 금형 셀 주입 라인은 금형 내부에 형성된 셀에 용융된 금속이나 가소화된 합성수지를 주입하는 공정을 의미하고, 냉각 라인은 셀에 주입된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냉각시켜 셀의 형상으로 성형된 사출물을 경화하는 공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old refers to a mold used in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and the mold cell injection line refers to a process for injecting molten metal or plasticized synthetic resin into a cell formed inside a mold, Or the step of cooling the synthetic resin to cure the molded article molded into the shape of the cell.

이때,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가열하여 용융하는 과정, 셀에 주입된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냉각하여 경화하는 과정에서 그을음이나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며, 금형 셀 내부 혹은 사출공정장치 등에 사용된 이형제나 윤활제 등이 함께 증발하여 높은 점착성을 가진 유수분 분진입자(c)가 여과대상가스에 함유될 수 있다. At this time, soot and water vapor are generated during the process of melting the metal or the synthetic resin by heating and cooling the metal or synthetic resin injected into the cell by curing, and the mold release agent and the lubricant used in the mold cell, And water-repellent particles (c) having high adhesiveness by evaporation may be contained in the gas to be filtered.

물론, 상기 집진장치(100)는 상기 금형 셀 주입 및 냉각라인 이외에도 유분이나 수분이 함유되어 끈적한 성질을 가진 유수분 분진입자(c)가 다량 발생되는 공간의 공기를 여과하도록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Of cours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be installed in addition to the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so as to filter air in a space in which a large amount of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c) containing sticky oil or moisture is contained.

그리고, 상기 흡기유로(50)의 일측에는 흡입팬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팬은 상기 흡기유로(50)의 일단이 배치된 상기 금형 셀 주입 및 냉각라인의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여, 상기 흡기유로(50)와 연통된 상기 집진공간으로 송출할 수 있다.A suction fan may b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50. The suction fan sucks a gas to be filtered in the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in which one end of the intake passage 50 is disposed, And can be sent to the dust collecting space communicated with the intake flow path (50).

한편,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은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의 외면이 코팅되도록, 상기 흡기유로(50)의 일측과 합류되어 상기 여과대상가스로 건조분진(d)을 공급한다. Meanwhile, the dust supplying means 70 is joined to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50 so as to coat the outer surface of the powdery dust particles c, and supplies dry dust d to the gas to be filtered.

상세히,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은 흡기유로(50)의 일측으로 건조분진(d)을 공급하며, 상기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c)는 공급된 상기 건조분진(d)과 혼합되어 혼합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혼합입자는 높은 점착성을 가진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의 표면에 낮은 점착성을 가진 건조분진(d)이 코팅되어 형성되며, 낮은 점착성을 가지게 된다. In detail, the dust supplying means 70 supplies the dry dust d to one side of the intake flow path 50, and the wet dust particles c in the gas to be filtered are mixed with the supplied dry dust d Thereby forming mixed particles. At this time, the mixed particles are formed by coating the surface of the water-based dust particles (c) having high tackiness with the dry dust (d) having a low tackiness, and have a low tackiness.

이에 따라, 상기 필터백(32)의 표면이나 내부 섬유층에 상기 높은 점착성을 가진 유수분 분진입자(c)가 포집되는 대신에,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보다 낮은 점착성을 가지고 더 크고 무거운 혼합입자가 포집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펄스탈진부(40)에 의한 압축공기(a) 분출시 상기 필터백의 탈리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instead of collecting the high-moisture-content dust particles (c)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bag (32) or on the inner fiber layer, larger and heavier mixed particles having adhesiveness lower than that of the water- Can be captured. Therefore, when the compressed air (a) is blown out by the pulse exhausting part (40), the filter bag can be desorbed more smooth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공급수단(70)을 설치한 결과, 필터백(32)의 차압이 270mmAq에서 100mmAq 정도까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차압의 감소는 필터백(32)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여 압력으로 인한 섬유의 늘어짐, 찢어짐 등의 손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of installing the dust supplying means 7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tial pressure of the filter bag 32 dropped from about 270 mmAq to about 100 mmAq. Such reduction of the differential pressure reduc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bag 32,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fiber caused by sagging or tearing of the filter, thereby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혼합입자는 낮은 점착성과 높아진 중량으로 인해 상기 분사노즐(41)로부터 분출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낮아지거나 분출횟수가 감소되더라도 필터백으로부터 원활하게 탈리될 수 있으므로 상기 펄스탈진부(40)를 간소화할 수 있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mixed particles can be smoothly separated from the filter bag even if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ejected from the injection nozzle 41 is lowered or the number of times of ejection is decreased due to the low adhesive property and the increased weight, The productiv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더욱이, 상기 혼합입자는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와 상기 건조분진(d)이 결합됨에 따라 각 입자의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필터백(32)에 의한 여과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volume of each particle increases as the powdery dust particles (c) and the dry dust (d) are combined, the filtration efficiency by the filter bag 32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펄스탈진부(40)는 상기 배기덕트부(20)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분진(d)에 의해 외면이 코팅되어 상기 필터백(32)에 포집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가 탈리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한다. Meanwhile, the pulse exhausting part 40 is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part 20, and the water-wettable dust particles c coated on the outer surface by the dry dust d and collected in the filter bag 32 And is selectively opened to discharge compressed air.

여기서, 상기 펄스탈진부(40)는 분사노즐(41), 펄스밸브(42), 그리고 압축공기저장탱크(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펄스탈진부(40)는 상기 관통공(13)의 내부 일측에 대향 배치되어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개폐되는 분사노즐(41)을 통해 상기 필터백(32)의 내측으로 압축공기(a)를 분사한다. Here, the pulse exhausting unit 40 may include an injection nozzle 41, a pulse valve 42, and a compressed air storage tank 43. Specifically, the pulse exhausting part 40 is disposed in the interior of the through-hole 13 to communicate with the filter bag 32 through the injection nozzle 41, which is opened and clos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

상기 필터백(32)의 표면 혹은 내부 섬유층에 분진이 포집되는 과정이 진행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포집된 분진량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분진이 상기 필터백(32)에서 가스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 작용하게 되며 상기 필터백(32)의 내부와 외부의 차압이 증가하고 상기 필터백(32)에 가해지는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As the process of collecting dust on the surface of the filter bag 32 or the inner fiber layer proceeds, the amount of collected dust increases with time, and the dust accumulates in the filter bag 32, The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lter bag 32 increases and the pressure applied to the filter bag 32 increases.

이때, 상기 관통공(13)의 직경보다 좁은 직경을 가지도록 구비된 분사노즐(41)을 상기 관통공(13) 중심측에 배치하고 순간적으로 압축공기(a)를 분사함으로써 필터백(32)이 순간적으로 팽창될 수 있으며, 팽창과 함께 진동되어 필터백(32)에 포집된 여과물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injection nozzle 41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hole 13 is disposed on the center side of the through-hole 13 and the filter bag 32 is instantaneously sprayed with compressed air (a) The filter bag 32 can be inflated instantaneously, and the filter bag 32 may be vibrated together with the expansion, so that the filter bag 32 may be impacted.

여기서, 상기 여과물은 높은 점착성의 유수분 분진입자(c)의 외면에 낮은 점착성의 건조분진(d)이 코팅된 혼합입자를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입자는 점착성이 높은 부분에 이미 상기 건조분진(d)이 붙어 있으므로 낮은 점착성을 갖게 되고, 상기 충격에 의해 손쉽게 탈리 될 수 있다. Here, the filtrate refers to a mixed particle in which low-tacky dry dust (d) is co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ighly sticky water-repellent dust particles (c). Further, since the mixed particles are already adhered to the high-tackiness portion, they have low tackiness and can be easily removed by the impact.

여기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간격은 30초, 1분 등 정해진 고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집진장치(100)에는 상기 필터백(32)의 내부 및 외부 사이의 차압을 측정하는 압력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측정된 차압에 대응하여 상기 시간간격이 조절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차압이 높을수록 상기 시간간격이 빨라지도록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edetermined time interval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fixed value such as 30 seconds, 1 minute, or the like. Of course,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1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ure sensor for measuring a differential pressur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filter bag 32, and the time interval may be contro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measured differential pressure It is possible.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interval is controlled to be faster as the differential pressure is higher.

또한, 분사노즐(41)은 펄스밸브(42)에 의해 기설정된 시간간격으로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압축공기(a)는 상기 펄스밸브(42)의 일측에 연결된 압축공기저장탱크(43)에 의해 공급될 수 있다. The compressed air (a) is supplied to the compressed air storage tank 43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pulse valve 42, and the compressed air Lt; / RTI >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공급수단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진공급수단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흡기유로에서 건조분진과 유수분 분진입자의 혼합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ust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dust suppl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process of mixing dry dust and wet dust particles in an intake pass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은 합류관(71), 분진백(72), 그리고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합류관(71)은 상기 흡기유로(50)의 일측에 연통되며, 상기 분진백(72) 내의 건조분진(d)은 상기 합류관(71)을 통해 상기 여과대상가스로 공급될 수 있다. 2 to 5, the dust supply unit 70 preferably includes a confluent pipe 71, a dust bag 72, and a dry dust supply adjusting unit 73. Herein, the merging pipe 71 communicates with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50, and the dry dust d in the dust bag 72 can be supplied to the gas to be filtered through the merging pipe 71 have.

또한, 상기 분진백(72)은 상기 합류관(71)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여과대상가스가 발생되는 여과대상공간 내부에서 수집된 상기 건조분진(d)이 저장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ust bag 72 is disposed above the confluent pipe 71, and the dry dust d collected in the space to be filtered where the gas to be filtered is generated is stored.

여기서, 상기 여과대상공간은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이 형성된 작업장을 의미하며, 상기 작업장의 바닥에는 미세 금속가루나 합성수지 가루, 각종 공정에 사용되는 모래 등 여러 종류의 분진이 존재할 수 있다.Here, the space to be filtered refers to a worksite where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is formed, and various kinds of dust such as fine metal, synthetic resin powder, and sand used in various processes may exist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이때, 상기 작업장 바닥의 각종 분진을 진공청소기나 빗자루 등으로 수집하여 상기 건조분진(d)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건조분진(d)이 별도의 촉매로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작업장 내의 각종 분진으로 구비되므로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할 수 있어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various dusts on the floor of the workplace can be collected by a vacuum cleaner or a broom to be used as the dry dust (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ry dust (d) is not provided as a separate catalyst, it is provided with various dusts in a workplace that can be easily obtained, so that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and the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그리고,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는 상기 합류관(71)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분진백(72)의 하부로 배출되는 상기 건조분진(d)의 공급량을 조절함이 바람직하다. The drying dust supply control means 7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nfluent pipe 71 and regulates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d dischar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bag 72.

여기서, 상기 흡기유로(50)의 단부에는 흡입되는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감지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은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유수분 함량을 측정하는 센서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유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Here, sensing means may be provided at the end of the intake passage 50 to measure the content of the dust particles in the filtered gas to be inhaled. The sensing means may be a sensor for measuring the water content of the gas to be filtered. At this time,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higher the water content of the gas to be filtered is, the higher the content of the powdery dust particles is.

그리고,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은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에 대응하여 건조분진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연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is interlocked to adjust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dust particles of the water content in the gas to be filtered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즉,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은 구동량에 따라 상기 합류관으로 공급되는 건조분진의 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은 마이콤 등으로 구비된 제어부에 의해 구동량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의 구동량을 연동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can adjust the amount of dry dust supplied to the merging pipe according to the driving amount. At this time,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including a microcomputer.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amount of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unit 73 to be interlocked with the content of the water / oil dust particles measured by the sensing unit.

이때, 상기 구동량은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이 회전에 의해 상기 건조분진을 이송하는 회전구동식인 경우에는 회전량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건조분진 공급수단(73)은 건조분진이 배출되는 개방공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이나, 개방공의 개방시간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는 구동량은 개방공의 크기 및 개방공의 개방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riving amount may mean the amount of rotation in the case of the rotational driving type in which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rotates to transfer the dry dust. Of course, the dry dust supplying means 73 may be provided in a manner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open hole through which the dry dust is discharged, or in a manner of adjusting the opening time of the open hole. In this case, It can mean the opening time of the open ball.

상세히,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이 높은 경우에 상기 구동량을 증가시키는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건조분진이 많이 공급되도록 하며,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이 낮은 경우에는 상기 구동량을 감소시키는 신호를 송출하여 상기 건조분진이 적게 공급되도록 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sends a signal for increasing the driving amount to supply a large amount of the dry dust when the content of the measured water / oil dust particles is high, and decreases the drive amount when the content of the water / So that the dry dust is supplied less.

이에 따라, 건조분진이 과다투입됨으로 인한 흡기유로의 통기량 감소 혹은 건조분진 부족으로 인한 필터백 열화를 방지하여 제품의 여과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preventing the filter bag from being deteriorat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airflow in the intake passage due to excessive input of the dry dust or the lack of dry dust.

상세히, 건조분진이 과다투입되는 경우에는 유수분 분진입자와 결합되고 남은 건조분진으로 인해 여과대상가스가 탁해지게 되고, 탁해진 여과대상가스는 필터백으로 여과되는 시간이 증가되기 때문에 흡기유로의 통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detail, when the dry dust is overloaded, the gas to be filtered becomes turbid due to the dry dust remaining after being combined with the dust particles of the oil water, and since the filtered gas is filtered with the filter bag, Can be reduced.

그리고, 건조분진이 부족한 경우에는 건조분진에 의해 코팅되지 못하고 남는 유수분 분진입자가 필터백에 점착되고, 이러한 유수분 분진입자는 압축공기에 의해 쉽게 탈리되지 못하고 필터백에 남아 여과면적을 감소시켜 필터백을 열화시키게 된다. When the dry dust is insufficient, the water-dispersed dust particles remaining uncoated by the dry dust adhere to the filter bag. Such dust particles can not easily be desorbed by the compressed air and remain in the filter bag to reduce the filtration area, .

물론, 상기 건조분진(d)의 공급량은 상기 흡기유로(50)의 내부로 유동되는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유속에 대응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흡기유로(50) 내부에는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유속을 측정하는 유속감지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유속감지부는 측정된 유속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의 구동량을 제어하여 상기 건조분진(d)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다. Of course,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d) may be set corresponding to the flow rate of the gas to be filtered flowing into the intake passage (50). In this case, a flow rate sensing unit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gas to be filtered may be provided in the intake passage 50, and the flow rate sensing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amount of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unit 73 according to the measured flow rate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d can be controlled.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은 로터부(73b), 회전구동부(73a), 그리고 원통케이스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Referring to FIG. 4, the dry dust supply control unit 73 includes a rotor unit 73b, a rotation drive unit 73a, and a cylindrical case.

여기서, 상기 로터부(73b)는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터부(73b)는 일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73a)에 의해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rotor portion 73b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portion 73b can be adjusted by a rotation driving portion 73a provided at one side.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선택적으로 회전속도가 조절될 수 있는 인버터 모터 등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로터부의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otation driving unit may include an inverter motor or the like capable of selective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and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rotation driving unit to adjust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or unit.

또한,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의 내측에는 원통케이스가 구비되되, 상기 원통케이스 내에 상기 로터부(73b)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통케이스는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공간(73e)이 형성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rying dust supply control means 73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case, and the rotor portion 73b may be disposed in the cylindrical case. In this case, the cylindrical case is preferably formed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locus of the blade so that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73e are formed by the blades.

그리고, 상기 원통케이스에는 상측에 상기 분진백(72)과 연결되는 투입부(73c)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상기 합류관(71)과 연결되는 배출부(73d)가 형성될 수 있다.The cylindrical case may have a charging portion 73c connected to the dust bag 72 on the upper side and a discharge portion 73d connected to the merging pipe 71 on the lower side.

상세히, 상기 원형케이스에는 로터부(73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로터부(73b)는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되되,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상기 원형케이스 내의 공간은 복수개의 구획공간(73e)으로 구획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ircular case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tor portion 73b. Here, the rotor portion 73b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blade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one surface thereof, and the space in the circular case can be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73e by the blades .

그리고, 상기 투입부(73c)는 상기 분진백(72)과 연통되어 상기 각 구획공간(73e)으로 상기 건조분진(d)을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배출부(73d)는 상기 로터부(73b)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각 구획공간(73e)에 유입된 상기 건조분진(d)을 상기 합류관(71)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The inlet portion 73c communicates with the dust bag 72 to guide the dry dust d into each of the partition spaces 73e and the outlet portion 73d communicates with the rotor portion 73b The drying dust d flowing into each of the partition spaces 73e can be discharged to the confluent pipe 71 side.

이때, 상기 로터부(73b)는 외측에 구비된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며, 하나의 구획공간(73e)은 상기 투입부(73c)와 연통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내측에 건조분진(d)이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공간(73e)이 상기 배출부(73d)측으로 회전됨에 따라 수납된 건조분진(d)이 배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로터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rotor part 73b is rotated by the rotation driving part provided on the outside, and one compartment space 73e is rotated to communicate with the charging part 73c, and the drying dust d flows inward And the collected dry dust d can be discharged as the compartment space 73e is rotated toward the discharge portion 73d. Therefore,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or part.

이때,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감지수단에 의해 측정된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의 함유량에 대응하여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이 조절되도록 연동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driving unit is interlockedly controlled so that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is adjus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content of the dust particles in the filtrate measured by the sensing means.

이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d)이 상기 흡기유로(50)에 과다 유입되어 상기 흡기유로(50)의 가스흐름을 막거나 방해하지 않고, 적당량 유입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흐름 내에 합류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dry dust d is excessively introduced into the intake passage 50, so that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dry dust d flows into the intake passage 50 without blocking or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the intake passage 50. Therefore, It can flow smoothly.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흡기유로(50)의 내주면에는 혼합안내부(5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혼합안내부(51)는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이 합류된 상기 흡기유로(50)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it is preferable that a mixing guide portion 51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passage 50. Here, the mixing guide portion 51 may b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passage 50 in which the dust supplying means 70 is joined.

상세히, 상기 혼합안내부(51)는 상기 흡기유로(50)에서 상기 합류관(71)과 연결된 부분의 상기 여과대상가스 진행방향측에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진행방향을 따라 돌설됨이 바람직하다.In detail, the mixing guide portion 51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intake passage 50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gas to be filtered in the portion connected to the merging pipe 71, and is dispos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gas to be filtered It is preferable to stray.

즉, 상기 혼합안내부(51)는 상기 흡기유로(50)로 공급된 상기 건조분진(d)이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와 혼합되도록 상기 흡기유로(5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 및 상기 여과대상가스의 진행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돌설되어 상기 여과대상가스가 나선 기류를 형성하여 진행시키게 된다. That is, the mixing guide portion 51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passage 50 so that the dry dust d supplied to the intake passage 50 is mixed with the oil powder particles c, So that the gas to be filtered flows in a helical flow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target gas.

이에 따라, 상기 여과대상가스 내의 유수분 분진입자(c)와 건조분진(d) 간의 충돌횟수가 증가될 수 있으며,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c)와 상기 건조분진(d)이 원활하게 혼합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number of times of collision between the powdery dust particles c and the dry dust d in the gas to be filtered can be increased and the powdery dust particles c and the dry dust d can be smoothly mixed .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분진백(72)은 지지프레임(74)의 내측에 결합되어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지지프레임(74)은 상부프레임(74a,74b,74c)과 하부프레임(74d,74e)을 포함할 수 있다. 2 to 3, it is preferable that the dust bag 72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74. Here, the support frame 74 may includ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and lower frames 74d and 74e.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을 상기 분진백의 하부로 정렬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되 상기 분진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frame may include a lower frame for aligning the dry dust supply control means with the lower part of the dust bag, and an upper frame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frame to support the dust bag.

여기서,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은 상하로 연장되어 상기 분진백(72)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부수직지지바(74a)와, 상기 분진백(72)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수평지지바(74c)와, 상기 분진백(72)의 배출구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배출안내부(74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include upper vertical support bars 74a extending vertically and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dust bag 72 and upper and lower support bars 74b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dust bag 72, A support bar 74c and a discharge guide 74b f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of the dust bag 72. [

이때, 상기 상부수평지지바(74c)는 상기 분진백(72)의 외측에 배치되는 각각의 상부수직지지바(74a)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이 직립할 수 있는 골격을 형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bar 74c interconnects the upper vertical support bars 74a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dust bag 72 so that th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can stand upright To form a skeleton.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은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작업장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작업장 내에서 수집된 미세 금속가루나 합성수지 가루, 각종 공정에 사용되는 모래 등 여러 종류의 분진을 상기 분진백(72)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may be separated and disposed at one side of the worksite, and various types of dust such as fine metal, synthetic resin powder, sand used in various processes, The dust bag 72 can be easily injected.

그리고, 상기 상부수평지지바(74c)에는 상기 배출안내부(74b)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분진백(72)은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가 상기 배출안내부(74b)에 결합되고, 상기 배출안내부(74b)는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의 투입부(73c)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horizontal support bar 74c may be provided with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That is, the dust bag 72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through a discharge port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ion 73c of the dry dust supply control means 73 Lt; / RTI >

이에 따라, 상기 배출안내부(74b)를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을 이동하거나 분진백(72)을 충진할 수 있으며, 상기 분진백(72)이 충진되면 상기 배출안내부(74b)를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와 결합하고 상기 배출안내부(74b)를 개방하여 상기 건조분진(d)을 상기 합류관(71)측으로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frame 74a, 74b, 74c can be moved or the dust bag 72 can be filled with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being closed. When the dust bag 72 is filled, The drying dust d may be supplied to the joining pipe 71 side by coupling the guide portion 74b with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and opening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74d,74e)은 상기 각 상부수직지지바(74a)의 하단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수직지지바(74d)와, 상기 하부수직지지바(74d)를 연결하되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가 상기 배출안내부(74b)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안내하여 지지하는 하부수평지지바(74e)를 포함한다. The lower frames 74d and 74e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lower vertical support bars 74d selectively coupled to lower ends of the upper vertical support bars 74a and to the lower vertical support bars 74d, And a lower horizontal support bar 74e for guiding and supporting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so as to be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이때, 상기 각 상부수직지지바(74a)의 하단부(74f)에는 상기 하부수직지지바(74d)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되, 분리시 지면을 지지하도록 외주를 따라 원주방향으로 돌설된 지지날개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end of the lower vertical supporting bar 74d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lower end portion 74f of each upper vertical supporting bar 74a, and is inser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Preferably, the support vane portion is formed.

이에 따라,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은 상기 하부프레임(74d,74e)의 상측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으며, 분리시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어 분진백(72)을 충진하고 충진된 분진백(72)을 결합하여 건조분진을 공급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can be stably coupl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frames 74d and 74e, and can be stably fixed to the ground when separated, The operation of supplying the dry dust by combining the filled and filled dust bags 72 can be smoothly performed.

또한, 상기 하부수평지지바(74e)는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가 상기 배출안내부(74b)의 하단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합류관(71)이 연결된 흡기유로(50)의 하측을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하부수평지지바(74e)는 상기 하부수직지지바(74d)를 상호 연결하되,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73)를 상기 배출안내부(74b)의 하단부에 결합될 수 있는 높이 범위로 지지할 수 있다.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bar 74e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intake passage 50 connected to the merging pipe 71 so that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3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portion 74b. . That is, the lower horizontal support bar 74e interconnects the lower vertical support bar 74d, and the dry dust supply control means 73 may be disposed at a height range that can be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74b .

이처럼, 상기 상부프레임(74a,74b,74c)을 상기 하부프레임(74d,74e)에서 독립적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상기 분진백(72)의 내부에 건조분진을 충진하는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upper frames 74a, 74b, and 74c can be independently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s 74d and 74e, the dust bag 72 can be easily filled with dry dust. .

또한,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은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통해 지지되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별도의 설계 변경 없이도 종래의 집진장치의 흡기유로에 상기 분진공급수단(70)을 편리하게 설치 및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dust supplying means 70 is supported through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nd the dust- Since the supply means 70 can be conveniently installed and connected, the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 a: 여과대상가스
b: 압축공기 c: 유수분 분진입자
d: 건조분진 10: 하우징
11: 분진배출구 12: 분진이송부
13: 관통공 20: 배기덕트부
30: 집진부 31: 필터프레임
32: 필터백 40: 펄스탈진부
41: 분사노즐 42: 펄스밸브
43: 압축공기저장탱크 50: 흡기유로
51: 혼합안내부 60: 배기유로
70: 분진공급수단 71: 합류관
72: 분진백 73: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
74: 지지프레임
100: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 gas to be filtered
b: Compressed air c: Powdered dust particles
d: dry dust 10: housing
11: dust outlet 12: dust is sent
13: Through hole 20: Exhaust duct part
30: dust collecting part 31: filter frame
32: filter bag 40: pulse exhausting part
41: injection nozzle 42: pulse valve
43: Compressed air storage tank 50:
51: Mixing guide portion 60:
70: dust supply means 71: confluence tube
72: dust bag 73: drying dust supply adjusting means
74: Support frame

Claims (5)

내측에 집진공간이 형성되되, 상면부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연장되되 외주를 따라 통기공이 형성된 필터프레임과, 상기 필터프레임의 외주를 감싸는 필터백을 포함하는 집진부;
상기 하우징 상부에 상기 관통공과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배기덕트부;
상기 하우징 하부와 연통되어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에서 발생되는 유분 및 수분이 함유된 고점착성의 유수분 분진입자를 함유한 여과대상가스를 흡입하는 흡기유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의 외면이 코팅되도록, 상기 흡기유로의 일측과 합류되어 상기 여과대상가스로 저점착성의 건조분진을 공급하는 분진공급수단; 및
상기 배기덕트부에 구비되되, 상기 건조분진에 의해 외면이 코팅되어 상기 필터백에 포집된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가 탈리되도록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펄스탈진부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분진이 상기 유수분 분진입자와 혼합되도록, 상기 분진공급수단이 합류된 상기 흡기유로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의 혼합안내부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
A housing in which a dust collecting space is formed inside and a through hole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portion;
A dust collecting part extending downward along a rim of the through hole, the dust collecting part including a filter frame having a vent hole formed along an outer periphery thereof and a filter bag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lter frame;
An exhaust duct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through hole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 intake flow path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sucking a gas to be filtered containing high-viscosity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containing oil and moisture generated in a mold cell injection and cooling line;
Dust mixing means for joining with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so as to coat the outer surface of the water-based dust particles to supply dry dust of low viscosity to the gas to be filtered; And
And a pulse exhausting part provided in the exhaust duct part, the pulse exhausting part being selectively opened to spray the compressed air so that the water-containing dust particles collected on the filter bag are coated on the outer surface by the dry dust,
Wherein a spiral mixing guide portion is protruded and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take passage in which the dust supplying means is merged so that the dry dust is mixed with the powdery dust particl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공급수단은
상기 흡기유로의 일측에 연통되는 합류관과,
상기 합류관의 상측에 구비되되, 상기 여과대상가스가 발생되는 여과대상공간 내부에서 수집된 상기 건조분진이 저장되는 분진백과,
상기 합류관의 일측에 연결되되, 상기 분진백의 하부로 배출되는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ust supply means
A merging tube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intake passage;
A dust bag which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erging tube and stores the dry dust collected in the space to be filtered where the gas to be filtered is generated,
And a dry dust supply adjusting uni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erging pipe for adjusting a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discharged to a lower portion of the dust bag.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은
원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복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로터부와,
상기 로터부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블레이드에 의해 복수개의 구획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궤적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원통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부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건조분진의 공급량이 조절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A roto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blad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rotation driving unit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rotor unit,
And a cylindrical case formed corresponding to a rotation locus of the blade so that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are formed by the blades,
Wherein the supply amount of the dry dust is controlled according to a rotation speed of the rotor uni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진백은 지지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어 배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건조분진 공급조절수단을 상기 분진백의 하부로 정렬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선택적으로 분리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분진백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셀 주입 및 냉각 라인 집진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dust bag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The support frame includes a lower frame for aligning the dry dust supply adjusting means to the lower part of the dust bag,
And an upper frame coupled to the upper frame for selectively separating the dust bag and supporting the dust bag.
삭제delete
KR1020140001333A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KR1015751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33A KR101575174B1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333A KR101575174B1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44A KR20150081644A (en) 2015-07-15
KR101575174B1 true KR101575174B1 (en) 2015-12-07

Family

ID=53793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333A KR101575174B1 (en) 2014-01-06 2014-01-06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517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50714B (en) * 2023-09-05 2023-11-14 山东中科医药科技有限公司 Moisture-proof caking multilayer filtering type cloth bag dust remov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117A (en) 1999-08-23 2001-03-06 Chugai Ro Co Ltd Method for treating exhaust gas and apparatus thereof
JP2006142210A (en) 2004-11-19 2006-06-08 Hitachi Maxell Ltd Microchip and fluid mixing method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117A (en) 1999-08-23 2001-03-06 Chugai Ro Co Ltd Method for treating exhaust gas and apparatus thereof
JP2006142210A (en) 2004-11-19 2006-06-08 Hitachi Maxell Ltd Microchip and fluid mixing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1644A (en) 2015-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93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roducing auxiliary materials
KR101753542B1 (en) A dust collector removing air pollutants with fine dust
JP5869578B2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paint overspray
CN101745486B (en) Device for spraying paint for object
KR101708624B1 (en) Filter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wet-paint overspray
CN102366681B (en) Equipment for purifying fluid
CN101024136B (en) Wet-type duster
MX2014000902A (en) Painting facility and method for operation a painting facility.
US20070218809A1 (en) Recovery device of blasting medium and method therefor
CN102036593A (en) Cyclonic filter for surface maintenance machine
CN102828461A (en) Milling machine and dust removing system thereof
JP5222178B2 (en) Painting booth equipment
KR101377268B1 (en) Dust collector for cleaning filter easily
JP4112588B2 (en) Mist collection device in cleaning equipment
KR101575174B1 (en) apparatus for dust collector of cell injection and product cooling line in molding process
KR100547286B1 (en) Water Wash Vacuum Cleaner
KR101352617B1 (en) Complex dust collector for cutting apparatus of printed circuit board
JP2004106163A (en) Dust collector
KR101586292B1 (en) A gathering device of the acme dust
KR200487433Y1 (en) Industrial Cleaner
CN216230273U (en) Vacuum hopper for preventing powder from being stuck and blocked
KR20170021568A (en) Dust treatment apparatus
JP2002113434A (en) Device for cleaning sheet
JP2014516018A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pneumatic material transfer system
JP5988956B2 (en) Paint mist coll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