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997B1 -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997B1
KR101574997B1 KR1020140087273A KR20140087273A KR101574997B1 KR 101574997 B1 KR101574997 B1 KR 101574997B1 KR 1020140087273 A KR1020140087273 A KR 1020140087273A KR 20140087273 A KR20140087273 A KR 20140087273A KR 101574997 B1 KR101574997 B1 KR 101574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lid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준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탭코리아
(주)톨리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탭코리아, (주)톨리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탭코리아
Priority to KR102014008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9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18Casings combined with othe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8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spreading already applied paint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203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화장품용기를 힌지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는 이중의 용기로 구비하면서도 화장품이 직접 수납되는 내부용기의 뚜껑은 힌지를 지지점으로 개폐되는 방식과 더불어 정,역회전의 나사식으로 밀폐시키는 구조를 더함으로써 화장품용기의 밀폐력을 월등히 향상시켜 화장품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면서도 보습, 보향의 유지는 물론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전면에 뚜껑의 록킹수단이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록킹수단과 연통되면서 뚜껑의 후크가 삽입체결되는 후크체결홈을 가지는 고정프레임; 상기 케이스 일측에 제1힌지로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후크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뚜껑;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내부에는 화장품이 직접 수납됨과 동시에, 외측 둘레에는 다수의 슬라이드홈과 걸림턱을 가지는 수납용기체; 상기 수납용기체의 개구부에 별도의 고정링으로 체결고정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밀폐패킹; 상기 수납용기체의 일측에서 제2힌지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밴드형의 개폐프레임; 상기 개폐프레임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이에 지지된채로 정,역회전 작동되고, 상부에는 퍼프가 수납되는 안착실을 가짐과동시에, 내경에는 수납용기체의 슬라이드홈에 삽탈되어 슬라이드될 수 있는 복수의 가이드돌기를 가지는 회전밀폐커버;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Representatives of the cosmetic compact container lid}
본 발명은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팩트 화장품용기를 힌지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되는 이중의 내외부용기로 구비하면서도 화장품이 직접 수납되는 내부용기의 뚜껑은 힌지를 지지점으로 개폐되는 방식과 더불어 정,역회전의 나사식으로 밀폐시키는 구조를 더함으로써 화장품용기의 밀폐력을 월등히 향상시켜 화장품의 오염 및 변질을 방지하면서도 보습, 보향의 유지는 물론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용기는 내부에 크림, 액체, 분말, 고형 등 여러 가지 형태의 화장품들을 효과적으로 수납하였다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지금까지도 여러 가지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화장품용기는 일정량의 내용물을 안전하고도 효율적으로 수납하는 기능과 더불어, 내용물을 장기간동안 안전하게 보호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즉 내용물에 함유된 수분이나 유분 또는 고유의 향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나 공기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토록 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화장품용기의 형태에 따라서는 화장품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방식도 달리하고 있겠지만, 가장 보편적인 구성 중에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를 별도의 뚜껑으로서 나사체결토록 하는 방식이 있고, 또한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되는 뚜껑으로서 개폐토록 하는 방식이 있으며, 그 밖에도 슬라이드 방식 등 여러 가지 개폐방식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화장품용기의 뚜껑 개페방식 중에서도 전자의 나사식 개폐방식은 뚜껑을 화장품용기로 부터 강하게 나사 조임할 수 있어 기밀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은 있으나, 화장품용기로 부터 뚜껑이 완전히 분리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분실의 위험과 더불어 사용의 불편함이 있는 특징이 있다.
이와 반면에 화장품용기로 부터 뚜껑이 힌지를 지지점으로 개폐되는 방식은 화장품용기와 뚜껑이 힌지로 축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분리될 수가 없어 분실의 위험이 없고 열고 닫는 작동의 편리성이 좋은 장점은 있으나,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의 주입구에 역시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뚜껑이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회동되는 구성임으로써 닫혔을 때 기밀성이 좋지 못한 특징이 있다.
이외에도 뚜껑의 슬라이드 개폐방식이나 기타 개폐방식들의 구조는 원형의 화장품용기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거나, 또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성 및 작동성이 좋지 못한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와 화장품용기 중에서도 화운데이션을 수납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는 대체적으로 고형의 파운데이션을 수납 보관하였다가 사용시에는 내부에 별도로 보관되는 퍼프(분첩)을 이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찍어서 얼굴에 화장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고형의 파운데이션은 인체의 무해한 휘발성 용매가 함유되어 있고 이러한 휘발성 용매는 기밀이 제대로 유지되지 않으면 대기 중에 쉽게 증발하여 파운데이션이 딱딱하게 굳어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경우 화장품이 갖고 있는 고유의 습도나 향이 증발되지 않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요구되는 바, 이러한 화장품 용기의 대체적인 구성은 화장품을 수납하는 공간을 갖는 내부용기, 퍼프(분첩) 등이 차례로 수용되는 외부용기, 상기 외부용기의 일측에 힌지로 축결합되고 그 대향측이 로크에 의해 록킹상태를 유지 및 해제하면서 개폐작동하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부용기에 수납되는 화장품의 보습, 보향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부용기 외측 상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탄성 고무재질의 가스켓이 설치되어 뚜껑을 닫음에 의해 상기 가스켓의 상면을 가압하여 기밀를 유지토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콤팩트 화장품의 구조에서는 뚜껑이 힌지축을 지지점으로 개폐작동됨에 따라 가스켓의 가압력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충분한 기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 제안된 실용신안등록 제20-0429553호가 있다.
이는 하부몸체와, 이 하부몸체에 제1힌지로 결합되어 개폐되는 거울커버와, 상기 거울커버에 체결되어 정,역회전 작동되면서 다수의 스톱퍼 및 안내홈을 가지는 회전커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몸체의 내부에는 별도의 중간몸체가 체결되고, 이 중간몸체의 내부에는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부재와 퍼프가 수납되는 수납용기가 다층으로 적층되게 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특히 상기 회전커버는 거울커버에 체결되면서 그 사이에는 일정한 탄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설치되고, 방사상으로는 복수 개의 스톱퍼 및 안내홈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품용기를 밀페하여 보관하고자 할 때는 회전커버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거울커버의 측면돌기는 안내홈을 따라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회전커버의 스톱퍼는 중간몸체의 풀림방지수단에 삽입되면서 경사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수납용기가 탄성부재를 압축하면서 하측으로 압착되어 수납부재를 긴밀하게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정,역 회전작동되는 회전커버가 화장품용기의 거울커버에 체결되는 구성임에 따라 그 전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개폐작동시 약간의 충격이나 터치에도 회전되어져 오작동을 유발시키게 되는 작동성의 문제점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관성이 좋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화장품용기의 외부에서 회전커버를 나사식으로 돌려서 거울커버를 압축하고, 이 거울커버는 다시 퍼프가 수납되는 수납부재를 연차적으로 압축하여 수납부재의 상단면을 밀폐시키는 구성임으로써 상기 거울커버 및 수납부재 등은 다소 후렉시블한 재질로 제조되어야만 하는 조건과 더불어 탄력성이 좋아야 한다는 전제가 제공되어야만 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더불어 압착된 상태에서 복원시에는 수납부재 및 거울커버의 탄성력과 더불어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존하여 복원되어야 함에 따라 원할한 작동성을 기대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장시간 사용시 복원력의 변화로 인한 오작동의 우려도 있는 것이었다.
한편, 다른 종래의 구성을 살펴보면, 이는 특허등록 제10-1112477호를 들 수 있다.
상기 선등록특허는 내,외부케이스와, 외부케이스에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전 개폐되는 개폐커버와, 상기 개폐커버에 체결되어 일정 범위내에서 정,역회전작동되어 밀폐 및 해제토록 하는 밀폐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내부케이스에는 액체 또는 고형의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 및 보조커버가 상,하 적층되는 형태로 체결되는 구성을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개폐커버와 밀폐커버 사이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복귀력을 제공하게 되고, 밀폐부재의 외주연상에는 안내홈 및 고정돌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록킹부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화장품용기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내,외부케이스에 설치되는 수납용기의 상면에 보조커버를 덮어주고, 보조커버에는 퍼프를 안착시킨 후, 개폐커버를 닫아서 케이스의 상부를 커버한다.
이어서 개폐커버에 조립된 밀폐커버를 눌러 가이드돌기와 안내홈부를 일치시켜 개폐커버로 부터 밀폐커버가 회전가능한 상태를 만든 후, 밀폐커버를 회전시키면 고정돌기가 고정홈부에 삽입되고, 고정돌기의 회전방지홈이 고정홈부의 회전방지돌기에 도달되어 고정된다.
이때 밀폐부재와 개폐커버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개폐커버를 가압되고, 다시 개폐커버는 보조커버를 가압하여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등록특허의 구성 역시 전술한 등록 고안과 그 기술적 구성이 유사한 것으로, 즉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수단의 밀폐커버가 개폐커버의 외측에 노출되게 구성됨으로써 작동성 및 외관성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밀폐작동시 밀폐커버를 눌러서 위치를 맞춘 다음 일정한 범위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밀폐커버는 개폐커버와 보조커버를 차례로 눌러서 케이스를 밀폐시키는 구성임으로써 밀폐력이 좋지 못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문제점을 그래도 안고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으로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반고형 상태의 화장품을 수납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를 각각 뚜껑으로서 개폐되는 내,외부용기의 이중구조로 형성하고, 화장품이 직접 수납되는 내부용기를 개폐토록 하는 뚜껑을 회전밀페커버로 구성하여 개폐와 동시에 밀폐시키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시 외부로부터 공기 및 이물질의 유입을 원초적으로 차단하여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토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품용기를 이중으로 구비하여 내부용기에는 밀폐수단을 구비하는데 반하여 외부용기에는 외관에 따른 디자인을 구비함으로써 제품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내,외부 이중용기의 각 뚜껑은 물론이고, 화장품을 수납하는 수납용기가 몸체인 외부용기로 부터 분리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리필이 가능한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개선된 구조의 콤팩트형 화장품용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상기 화장품용기는 전체적인 외관을 유지하면서 상부와 오픈되는 오목한 내부공간을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제1힌지로 축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을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화장품이 수납되면서 내부케이스의 기능을 가지는 수납용기체가 별도의 고정프레임에 의해 고정설치되고, 이 고정프레임의 일측에는 역시 제2힌지로 축결합되어 개폐되는 개폐프레임이 설치되며, 지지프레임에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정,역회전 작동되어 수납용기체를 밀폐되게 긴밀히 개페토록 하는 회전밀폐커버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들의 사이에는 기밀을 위한 밀폐패킹 및 가이드링 등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콤팩트형 화장품용기를 이중 용기의 구조로 형성하면서도 내,외용기는 힌지를 지지점으로 각각 개폐 가능토록 구성함은 물론이고, 화장품을 직접 수납하는 수납용기체를 회전식으로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밀폐력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됨은 물론이고, 사용의 편리성 및 보관성을 월등히 향상시키게 된다.
특히 실질적으로 화장품이 수납되면서 내부용기에 해당되는 수납용기체의 개구부를 회전밀폐커버로서 직접 나사조임식으로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외부로 부터 공기와 각종 미세한 이물질의 유입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되어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하게 되고, 또한 화장품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이나 유분, 향 등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원초적으로 차단하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회전밀폐커버를 나사식으로 조여주는 조임력이 수납용기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르게 전달되어 짐으로써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체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부용기에 해당되는 케이스 및 고정프레임으로 부터 내부용기에 해당되는 수납용기체가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리필이 가능한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뚜껑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도1에서 회전밀폐커버를 개방위치로 회전시킨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밀폐커버를 개방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외부용기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도1의 정단면구성도
도 7은 도6의 일부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내부용기에 해당되는 부분을 보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 도8의 분해단면도
도10은 도9에서 고정프레임과 회전밀폐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11은 도10의 결합된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 도11의 "가"부분 확대도
도13은 본 발명 도11의 "나"부분 확대도
도14는 도13에서 결합된 상태의 구성도
도15는 도10에서 고정프레임과 회전밀폐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도15의 평면구성도
도17은 본 발명 수납용기체와 회전밀폐부재의 결합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설명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1 내지 도3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에 따른 도면을 순서대로 나타내고 있고, 도4 내지 도7 에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도8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세부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여 외형을 유지하는 외부용기와, 화장품을 안전하게 수납하는 내부용기로 구분되고, 이들은 각각 힌지를 지지점으로 회동되는 뚜껑에 의해 개폐가능토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용기를 개폐하는 뚜껑은 힌지 개폐방식과 더불어 회전방식에 의해 화장품이 수납되는 내부용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은 외부용기에 해당되는 케이스(10)와, 이 케이스(10)의 일측에 제1힌지(11)로 축결합되어 개폐되는 뚜껑(20)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와 뚜껑(20)은 외부용기 및 외부뚜껑에 해당되는 것으로, 전체적인 외형을 유지하며, 케이스(10)는 내부에 후술할 내부용기와 관련되는 각종 부품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내부에는 별도의 고정프레임(30)이 삽입체결되고, 이들의 전단 내부에는 뚜껑(20)의 후크(21)가 삽입체결될 시 록킹 및 해제토록 하는 록킹수단(12)이 설치된다.
즉, 고정프레임(30)의 전단에는 상부측으로 개구되는 후크체결홈(31)을 갖추어 구성되고, 이와 연통되는 내부에는 전면으로 노출되는 버튼(13)에 의해 작동되는 록킹수단(1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록킹수단(12)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으로, 케이스(10)의 전단으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버튼(13)의 누름작동에 의해 진퇴작동되어 뚜껑(20)의 후크를 록킹 및 해제하게 된다.
또한 뚜껑(20)은 케이스(10)와 제1힌지(11)로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개폐토록 구성되는 것이며, 그 전단에는 고정프레임(30)의 후크체결홈(31)을 통하여 록킹수단(12)에 삽입되어 록킹 및 해제되는 후크(21)가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별도의 거울(2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는 원형의 고정프레임(30)이 삽입체결되고, 이 고정프레임(30)에는 내부용기에 해당되는 수납용기체(40)가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된다.
상기 고정프레임(30)은 케이스(10)의 내부공간에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상,하 개구되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외주연상에 다수 개의 걸림턱을 갖추어 케이스(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결합돌기들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30)의 내부에는 수납용기체(40)가 삽입체결되는 것으로, 이의 수납용기체(40)는 내부에 화장품을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관토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며, 스폰지 등에 침전되는 액상, 분말 또는 반고형 상태의 화장품 등이 주로 수납된다.
수납용기체(40)는 상부가 개구되는 그릇형으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제2힌지(41)가 설치됨과 동시에, 외주연의 하부에는 다수의 걸림턱(42)이 형성되어 고정프레임(30)과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고정토록 구성되고, 외주연상의 상부에는 다수의 슬라이드홈(43)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밀폐커버와 결합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43)은 사방향으로 4곳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로 개구되는 수직입구부(43a)을 가지면서 시계회전을 따라 하향 경사지는 테이퍼부(43b)를 가지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체(40)의 상단 개구부에는 별도의 밀폐패킹(50)이 고정링(51)에 의해 고정된다.
이의 밀폐패킹(50)은 도13 및 도14에서 보듯이 탄성력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고, 상단면에는 상부를 행해 돌출되는 밀착테(50a)가 적어도 한 줄 이상으로 형성되어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기밀을 좋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밀폐패킹(50)은 수납용기체(40)의 상부 내경에 별도의 고정링(51)에 의해 고정설치되면서도 상단면의 밀착테(50a)는 수납용기체(40)의 상단면보다는 약간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용기체(40)의 상부 개구부에는 제2힌지(41)에 의해 축결합되는 개폐프레임(60)이 설치되어 제2힌지(41)를 지지점으로 수납용기체(40)로부터 회동작동된다.
상기 개폐프레임(60)은 원형의 밴드형으로 구비되고, 수납용기체의 뚜껑의 기능을 가지는 회전밀폐커버(70)와 체결되는 지지대의 기능을 가지게 되며, 내경의 둘레면에는 회전밀폐커버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홈(61)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개페프레임(60)에는 별도의 회전밀폐커버(70)가 체결되어 일정범위내에서 즉, 개폐프레임(60)의 체결홈(61)의 범위내에서 정,역회전 작동되는 것으로, 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수납용기체(40)를 개폐하는 뚜껑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회전밀폐커버(70)는 상부에 별도의 화장도구인 퍼프가 삽입 체결되는 안착실(71)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수납용기체(40)의 개구부를 감싸아 개폐토록 하는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72)이 형성됨과동시에 이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하부를 향해 개구되는 체결홈(73)이 갖추어져 개폐프레임(60)에 억지끼움식으로 삽입체결된다.
상기 체결홈(73)은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개폐프레임(60)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의 내측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턱(74)이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이는 개폐프레임(60)의 체결홈(61)에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어 이에 안내되어 정,역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74)은 체결홈(73)을 통하여 개폐프레임(60)과 결합시 개폐프레임(60)의 내경에 구비되는 체결턱(61)과 억지끼움식으로 체결되므로써 이 체결홈(61)에 의해 걸려져 회전밀폐커버(70)가 일정범위내에서 정,역회전은 허용하지만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프레임(60)의 체결홈(61)은 회전밀폐커버(70)의 회전반경만큼 원주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됨으로써 최초 조립시에는 회전밀폐커버(70)의 걸림턱(74)이 합성수지 재질이 가지는 탄성에 의해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되지만, 조립된 후에는 걸려서 상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게 된다.
또한 삽입홈(72)의 내측 둘레면에는 수납용기체(40)의 슬라이홈(43)에 삽탈되는 가이드돌기(75)가 내향 돌출되게 복수 개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75)는 회전밀폐커버(70)가 제2힌지(41)를 지지점으로 개폐작동시 수납용기체(40)의 외주연상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를 통해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삽입후에는 회전밀폐커버(70)의 정,역회전 작동에 따라 일정한 범위내에서 슬라이드홈(43)의 테이퍼부(43b)를 따라 이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드홈(43)의 테이퍼부(43b)는 회전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수납용기체(40)의 끝단부로 부터 회전방향을 따라 점차적으로 멀어지는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전밀폐커버(70)를 닫아서 가이드돌기(73)가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밀폐커버(7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밀폐커버(70)는 나사조임식으로 조여져 수납용기체(40)를 밀폐시키는 기능을 가지게 되고, 이와 반대로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가이드돌기(73)가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에 위치하게 되어 밀폐기능을 해소시킴과 동시에 회전밀폐커버(70)의 개방을 허용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밀폐커버(70)의 후단에는 회전밀폐커버(70)의 정,역회전에 따른 작동에 관섭을 받지 않도록 제2힌지(41)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76)을 가지게 됨과 동시에, 전단에는 회전밀폐커버(70)의 개방 및 폐쇄작동을 표시하면서도 고정프레임(30)상에 형성된 후크체결홈(31)을 개방 및 폐쇄토록 하는 개폐편(77)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76)은 회전밀폐커버(70)가 정,역회전작동시 제2힌지(41)에 의해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와 반면에 개폐편(77)은 회전밀폐커버(7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고정프레임(30)의 후크체결홈(31)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상기 개폐편(77)은 회전밀폐커버(7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용기체(40)를 밀페한 경우에는 후크체결홈(31)을 개방하여 뚜껑(20)이 케이스(10)에 닫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와 반면에 회전밀폐커버(7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수납용기체(40)을 밀폐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후크체결홈(31)을 폐쇄하여 뚜껑(20)이 케이스(10)에 닫히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편(77)의 표면에는 개방 및 폐쇄를 표시하는 안내문구를 구비하므로써 사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한편 상기 회전밀폐커버(70)는 개폐프레임(60)에 지지되어 정,역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그 회전범위는 대략 30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의 끝단과 페이퍼부(43b)의 끝단까지의 회전범위 역시 30도의 범위를 가지게 될 것이다.
이러한 회전범위는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외부용기에 해당되는 케이스(10)의 내부에 고정프레임(30)에 의해 체결되면서도 내부용기에 해당되는 수납용기체(40)가 설치되고, 이의 수납용기체(40)에는 필요로 하는 반고형 화장품, 분말 또는 액상의 화장품이 침전된 스폰지 등의 화장품이 수용된다.
이러한 화장품용기는 사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케이스(10)에 뚜껑(20)이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으로, 수납용기체(40)에 제2힌지(41)로 결합된 개폐프레임(60) 및 회전밀폐커버(70) 역시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밀폐커버(70)는 수납용기체(40)에 닫혀진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에 따라 회전밀폐커버(70)가 슬라이드홈(43)의 테이퍼부(43b)의 경사만큼 하향으로 조임력을 제공하게 됨으로써 회전밀폐커버(70)는 수납용기체(40)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밀폐패킹(50)을 가압하여 밀폐시키게 된다.
즉, 회전밀폐커버(70)는 닫힌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밀폐커버(70)의 내경 하단에 형성된 다수의 슬라이드돌기(74)들이 수납용기체(4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로 삽입되어 경사진 테이퍼부(43b)를 따라 경사지게 슬라이드 됨으로써 밀폐패킹(50)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밀폐커버(70)의 저면부가 밀폐부재(50)의 상단면을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에 우수한 탄성을 가진 밀폐패킹(50)은 가압력만큼 변형되면서 수납용기체(4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상태로 휴대 및 보관시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체(40)를 직접 밀폐시키게 되어 안전한 상태로 보관 및 휴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납용기체(40)내에 수납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스(10)의 전단에 구비되는 버튼(13)을 눌러서 록킹수단(12)을 해제하게 되면, 뚜껑(20)은 제1힌지(11)를 지지점으로 회동되어 개방하게 된다.
이어서 회전밀폐커버(70)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려주면, 회전밀폐커버(70)는 개폐프레임(60)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작동된다.
이때 회전밀폐커버(70)는 이미 일정한 범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음으로써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 역시 일정한 범위내에서만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는 회전밀폐커버(70)의 내경에 형성된 가이드돌기(74)가 수납용기체(4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3)으로 부터 이탈이 가능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가이드돌기(74)는 슬라이드홈(43)의 테이퍼부(43b)를 따라 이동되어 수직입구부(43a)의 위치에 도달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밀폐커버(70)를 수납용기체(40)로 부터 개방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회전밀폐커버(7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시 그 전면에 일체로 구비되는 개폐편(77)도 동일한 범위에서 회전되어 고정프레임(30)에 형성된 후크체결홈(31)을 폐쇄하게 되어 뚜껑(20)의 닫힘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후크체결홈(31)의 폐쇄작동은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한 후, 실수로 인하여 수납용기체(40)를 미쳐 밀폐시키지 못하고 뚜껑(20)을 닫음으로써 기밀을 유지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토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회전밀폐커버(70)는 억지끼움식으로 조립된 개폐프레임(60)과 함께 제2힌지(41)를 지지점으로 회동작동이 가능하게 되어 수납용기체(40)의 내부공간을 개방할 수 있음으로써 회전밀폐커버(70)의 상면 안착실(71)에 안착된 퍼프를 이용하여 편리하고도 안전하게 화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화장을 종료한 후에는 전술한 역순으로 회전밀폐커버(70)를 수납용기체(40)에 닫게 되면, 회전밀폐커버(70)는 제2힌지(41)를 지지점으로 회전되면서 그 내경에 형성된 다수의 각 가이드돌기(74)들이 수납용기체(40)의 둘레면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3)의 수직입구부(43a)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회전밀폐커버(7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회전밀폐커버(70)는 개폐프레임(60)에 지지된채로 회전되고, 가이드돌기(74)는 수직입구부(43a)에서 경사진 테이퍼부(43b)를 따라 그 끝단까지 이동하게 된다.
상기 테이퍼부(43b)는 경사지게 이루어짐에 따라 이를 따라 슬라이드되는 가이드돌기(74)에 의해 그 경사만큼 회전밀폐커버(70)는 밀폐패킹(50)을 가압하게 되어 수납용기체(40)의 개구부를 긴밀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밀폐커버(7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작동됨에 따라 그 전단에 형성된 개폐편(77)도 동일한 범위로 회전되면서 폐쇄하고 있던 고정프레임(30)의 후크체결홈(31)을 개방하게 되므로 뚜껑(20)이 닫힐 수가 있게 되는 것이며, 이어서 뚜껑(20)을 닫아서 보관 및 휴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장품을 직접 수납하는 수납용기체의 입구부를 나사식으로 조여주는 형태로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그 밀폐력을 월등히 향상시킬 수가 있음은 물론이고, 수납용기체의 개구부를 원초적으로 밀폐시킬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10:케이스 11:제1힌지
12;록킹수단 13:버튼
20:뚜껑 21:후크
22:거울 30:고정프레임
31:후크체결홈 40:수납용기체
41:제2힌지 42:걸림턱
43:슬라이드홈 43a:수직입구부
43b:테이퍼부 50:밀폐패킹
51:고정링 60:개폐프레임
61:체결홈 70:회전밀폐커버
71:안착실 72:삽입홈
73:체결홈 74;걸림턱
75;가이드돌기 76:수용홈
77:개폐편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면에 뚜껑의 록킹수단이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 일측에 제1힌지로 축결합되고 전면에는 후크가 구비되어 개폐작동되는 뚜껑(20)과,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록킹수단과 연통되면서 뚜껑의 후크가 삽입체결되는 후크체결홈을 가지는 고정프레임(30)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에 고정설치되고 화장품이 직접 수납됨과 동시에 외측 둘레에는 복수의 슬라이드홈과 걸림턱을 가지는 수납용기체(40)와, 상기 수납용기체의 개구부에 별도의 고정링으로 체결고정되고 탄성력을 가지는 밀폐패킹(50)와, 상기 수납용기체의 일측에서 제2힌지에 의해 축결합되어 회동되는 밴드형의 개폐프레임(60)과, 상기 개폐프레임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 이에 지지된채로 정,역회전 작동되고 상부에는 퍼프가 수납되는 안착실을 가지는 회전밀폐커버(70)로 구성되는 콤펙트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밀폐커버(70)는 내경의 하부에 수납용기체(40)의 개구부를 감싸아 개폐토록 하는 삽입홈(72)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내경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납용기체의 슬라이드홈(43)에 삽입 및 이탈되는 다수 개의 가이드돌기(75)가 내향 돌출되게 구비되고,
    외측 가장자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하향 개구되는 체결홈(73)이 갖추어져 개폐프레임(60)에 삽입체결됨과 동시에, 체결홈(73)의 내측 둘레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걸림턱(74)이 형성되어 개폐프레임(60)의 각 체결홈(61)내에 억지끼움식으로 결합되어져 회전밀폐커버(70)의 회전은 허용하면서도 분리되는 것을 방지토록 구비되며,
    전단에는 외향 돌출되게 개폐편(77)이 구비되어 정,역회전의 회전작동에 따라 고정프레임(30)의 후크체결홈(31)을 개방 및 페쇄토록 함과 동시에, 이의 개폐편(77)에는 개방 및 폐쇄의 안내문구가 구비됨으로써 회전밀폐커버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화장품이 수납되는 수납용기체(40)를 개폐 및 밀폐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40087273A 2014-07-11 2014-07-11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KR101574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73A KR101574997B1 (ko) 2014-07-11 2014-07-11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7273A KR101574997B1 (ko) 2014-07-11 2014-07-11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997B1 true KR101574997B1 (ko) 2015-12-21

Family

ID=55083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7273A KR101574997B1 (ko) 2014-07-11 2014-07-11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997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0298B1 (ko) * 2016-09-21 2017-04-06 안시은 다중 잠금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28057B1 (ko)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84509Y1 (ko) * 2016-06-23 2017-09-1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내용물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82905B1 (ko) 2016-12-05 2017-09-28 임준국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KR101789406B1 (ko) 2016-02-19 2017-10-23 양형택 화장품 케이스
USD920775S1 (en) 2019-05-09 2021-06-01 Berlin Packaging, Llc Container
WO2021246678A1 (ko) * 2020-06-01 2021-12-09 펌텍코리아(주) 거울 분리형 화장품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128A (ja) * 1996-03-29 1997-10-07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用気密コンパクト容器
KR20140012845A (ko) * 2012-07-23 2014-02-04 (주)유니팩 코리아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378521B1 (ko) * 2012-10-29 2014-03-27 변재삼 기밀 화장품용기
KR20140067401A (ko) * 2012-11-26 2014-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더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2128A (ja) * 1996-03-29 1997-10-07 Yoshino Kogyosho Co Ltd 化粧用気密コンパクト容器
KR20140012845A (ko) * 2012-07-23 2014-02-04 (주)유니팩 코리아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378521B1 (ko) * 2012-10-29 2014-03-27 변재삼 기밀 화장품용기
KR20140067401A (ko) * 2012-11-26 2014-06-05 쓰리애플즈코스메틱스 주식회사 파우더 화장품 용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8057B1 (ko) 2015-11-18 2017-04-18 (주)이엠케이트레이딩코퍼레이션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101789406B1 (ko) 2016-02-19 2017-10-23 양형택 화장품 케이스
KR200484509Y1 (ko) * 2016-06-23 2017-09-14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내용물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화장품 용기
WO2017222163A1 (ko) * 2016-06-23 2017-12-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화장품 내용물과의 우수한 밀착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20298B1 (ko) * 2016-09-21 2017-04-06 안시은 다중 잠금 기능을 갖는 화장품 용기
KR101782905B1 (ko) 2016-12-05 2017-09-28 임준국 이종화장품과 화장도구를 동시에 저장할 수 있는 콤팩트 화장품용기
USD920775S1 (en) 2019-05-09 2021-06-01 Berlin Packaging, Llc Container
WO2021246678A1 (ko) * 2020-06-01 2021-12-09 펌텍코리아(주) 거울 분리형 화장품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997B1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밀폐를 위한 뚜껑 개폐장치
KR200429553Y1 (ko) 화장품용기의 밀폐구조
KR100712934B1 (ko) 이중밀폐구조의 화장품케이스
JP5926865B2 (ja) コンパクト型エアタイト化粧品容器
USRE39311E1 (en) Hermetically sealed cosmetic compact case
JP3878413B2 (ja) 気密容器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KR101448713B1 (ko) 화장품 용기
KR200423018Y1 (ko) 화장품용기
KR101481544B1 (ko) 결합형 화장품 용기
KR200409415Y1 (ko) 화장품용기
JP6353921B2 (ja) 内容器と内容器蓋間の密閉構造を有する化粧品容器
KR101336014B1 (ko) 화장품 케이스
US5819764A (en) Hermetically-sealed cosmetic compact
KR101638813B1 (ko) 인출식 팔레트를 갖춘 화장품용기
KR200473787Y1 (ko) 화장용 이중 퍼프용기
GB2512630A (en) Compact housing for a cosmetic container
KR200483748Y1 (ko) 화장품 용기
KR200484166Y1 (ko) 화장품 용기
KR101915152B1 (ko) 콤팩트 화장품용기의 화장품 수납용기 밀폐장치
KR102383572B1 (ko) 콤팩트 용기
KR200487039Y1 (ko) 교체용 에어쿠션 유닛의 덮개 결합 구조
KR20160123518A (ko) 내용기의 이중밀폐구조를 구비한 콤팩트용기
KR200362370Y1 (ko) 화장품 용기
JPH08154730A (ja) 化粧用コンパクト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