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889B1 - Cup for tea beverage - Google Patents

Cup for tea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889B1
KR101574889B1 KR1020140045239A KR20140045239A KR101574889B1 KR 101574889 B1 KR101574889 B1 KR 101574889B1 KR 1020140045239 A KR1020140045239 A KR 1020140045239A KR 20140045239 A KR20140045239 A KR 20140045239A KR 101574889 B1 KR101574889 B1 KR 10157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rtridge
water
tea
dischar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2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19632A (en
Inventor
이병인
Original Assignee
이병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인 filed Critical 이병인
Priority to KR102014004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889B1/en
Publication of KR2015011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963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8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6Tea infusers, e.g. infusing bags, egg-shaped infu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14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with filters placed in or behind pouring spouts

Abstract

본 발명은, 차 음료의 음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차음료용 컵에 관한 것으로, 용기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유통부와, 차의 원액 또는 원재료가 수용되어 내부를 통과한 물이 차와 혼합되고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용기의 내부는 평면상 카트리지를 통과한 차와 혼합되는 물이 음용될 수 있는 배출부가 배치되는 영역과 배출부의 외주와 용기 내주면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전의 물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구획되는 차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과 차의 혼합 성능이 향상되며 균일한 농도의 차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a beverage cup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for drinking tea beverage, comprising: a discharge portion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portion of a container; and a discharg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and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And a cartridge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and which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communicating portion and into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flows, a cartridge for containing the raw liquid or the raw material of the car and mixing the water with the car,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 region in which a discharge portion in which water to be mixed with a ca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in a plane is arranged and a region in which water is received between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efore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A beverage cup is provided. Therefore, mixing performance of water and tea is improved, and tea beverages of a uniform concentration can be consumed.

Description

차음료용 컵{CUP FOR TEA BEVERAGE}Cup for tea beverage {CUP FOR TEA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 음료의 음용이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차음료용 컵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a beverage cup having a convenient structure for drinking tea beverage.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커피 전문점 등에서 뜨거운 커피를 종이컵 등에 담아 취식하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it is often the case that hot coffee is taken into paper cups at home or at coffee shops.

보통 일회용 컵에 차를 혼합하여 마시는 경우, 커피믹스나 분말 차류 등을 컵에 넣고 뜨거운 물을 타서 스틱과 같은 부재를 저어서 혼합하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Usually, when a tea is mixed in a disposable cup, it is common to use a method in which a coffee mix or a powdered tea is put into a cup, and a member such as a stick is mixed by stirring with hot water.

한편, 녹차나 홍차와 같은 차종류의 경우 티백을 물에 잠기도록 넣고 이를 컵 안에서 흔들면서 우러난 물을 마시는 식으로 음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ea such as green tea or tea, the tea bag is put in the water so that it can be consumed by drinking the water while shaking it in the cup.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별도의 분말용기나 티백을 비치하여야 하고 혼합하는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의성과 비치공간 등의 확보의 목적 등에서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described methods require a separate powder container or tea bag and the mixing process is cumbersom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convenient for use and securing a beach space.

특히, 티백의 경우 마시는 과정에서 물의 양이 줄어듦에 따라 지나치게 농도가 높아져서 미감을 저해하는 문제를 가지기도 한다.In particular, tea bags have a problem of deteriorating their aesthetics due to excessive concentration as the amount of water decreases during the drinking process.

최근에는 상기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회용 컵 안에 티백이나 커피를 미리 구비하여 놓고 물을 넣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개념들이 제안되기도 한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olve the inconvenience mentioned above, there have been proposals of using a tea bag or coffee in a disposable cup in advance and using water immediately.

특허공개공보 2003-68874호는 티백이 구비된 일회용 컵을 제시하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도 종래의 티백의 음용에 따른 농도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물과의 혼합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를 가진다.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Publication No. 2003-68874 discloses a disposable cup provided with a tea bag. In this structure, however, the conventional problem of concentration of the tea bag due to drinking can not be solved, and mixing with water is difficult .

이를 위하여 별도의 스틱을 사용해야하는 바 이러한 경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그대로 내포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a separate stick must be us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음료를 음용함에 있어서 이용자가 음용 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일회용 컵의 사용상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cup lid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maximizing convenience in use of disposable cups by allowing a user to select a drinking mode The purpose is to do.

본 발명은, 용기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연통부와, 상기 연통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유통부와, 차의 원액 또는 원재료가 수용되어 내부를 통과한 물이 차와 혼합되고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용기의 내부는 평면상 카트리지를 통과한 차와 혼합되는 물이 음용될 수 있는 배출부가 배치되는 영역과 배출부의 외주와 용기 내주면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전의 물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구획되는 차음료용 컵을 제공한다. 따라서, 물과 차의 혼합 성능이 향상되며 균일한 농도의 차음료를 음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ainer comprising: a discharge portion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a container; a communication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and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on a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a cartridge for allowing the raw liquid or raw material of the car to be mixed and mixed with the car and to discharge water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a water And an area in which the drinkable discharging portion is disposed and a region in which water is received before the cartridge is passed between the outer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portion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refore, mixing performance of water and tea is improved, and tea beverages of a uniform concentration can be consumed.

상기 카트리지는, 연통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The cartridge can be received in the communicating portion.

또한, 상기 유통부는, 용기의 저부에서 측벽을 따라 연통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에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flow-through portion may be formed in an extension portion extending from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to both sides of the communication portion along the side wall.

또한,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연통부에 일측에 결합되며 용기의 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타측에 유입부가 형성되는 저부카트리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artridge may be composed of a bottom cartridge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ng part and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having an inflow part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상기 저부카트리지는, 상면이 방수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cartridge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on the upper surface.

상기 카트리지는, 용기 내부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고 제1물질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를 통과한 물이 유동되고 제2물질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artridge may consist of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water in the container flows in and a first material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wa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lows and a second material is accommodated.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용기 내벽의 취출부를 통하여 용기의 구역을 분할하여 차를 혼합한 물의 영역과 혼합 이전의 물을 수용한 영역을 구획하기 때문에 음용시 혼합되는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region of the container is divided through the take-out portion of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connected to the cart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divide the area of the water mixed with the tea and the area of the water before the mixing, It is effective.

또한, 본 발명은 카트리지의 교환에 따라 다양한 음료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고 종래기술에 배하여 차와 물의 혼합의 번거로움이 저감되고, 2가지 이상의 물질을 하나의 카트리지에 수용하여 다양한 향취를 음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lectively drink various beverages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of cartridges, reduce the inconveniences of mixing tea and water in the prior art, accommodate two or more substances in one cartridg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enjoy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측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차음료용 컵의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평단면도.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sectional view of the tea beverage cup of Fig. 4; Fig.
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개폐가 가능한 일회용 컵뚜껑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isposable cup lid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용기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개구인 배출부(220)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연통부(201)와, 상기 연통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유통부(210)와, 상기 연통부와 연결되어 내부에서 차의 원액 또는 원재료가 수용되는 카트리지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discharge part 220 which is an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a communication part 201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rt and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a cartridg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ng part to receive a raw liquid or a raw material of the car t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카트리지로 용기(100) 내부의 물이 유동하는 과정에서 물과 차의 원재료가 혼합되어 연통부(201) 및 배출부(220)를 통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mixed with raw materials of tea and tea in the process of water flowing inside the container 100 by the cartridge, so that the drink can be consum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art 201 and the discharge part 220.

이에 따라, 용기는 취출부(200) 측에서 평면상 차와 혼합된 영역과 그렇지 않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고, 이용자는 혼합된 영역의 물만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tainer can be divided into a mixed region with the planar phase difference region and the non-planar region on the extraction unit 200 side, and the user can drink only water in the mixed region.

여기서, 후술될 실시예들의 경우 카트리지 내부에서 차와 혼합된 물이 일부 역류되어 혼합되지 않은 영역의 농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영역은 다시 카트리지를 통과하여야 음용이 가능하므로 실질적으로 차가 혼합되지 않은 영역은 일부 역류되어 소정의 농도를 가진 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됨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the water mixed with the tea in the cartridge partially flows backward to increase the concentration of the unmixed region. However, since such a region can be consumed again afte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region is understood to comprise some backwash to contain water of a predetermined concentration.

도면에서는 용기(100)가 대략 원뿔의 일부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나 이러한 용기(100)의 형상은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이 또는 플라스틱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an illustration of the container 100 in the form of a part of a cone is shown in the figure, the shape of the container 100 may be optional and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aper or plastic.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후술될 취출부(200)가 배치되는 부위를 일측으로, 이에 대향되는 부위를 타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돌고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in which the take-out unit 200 is to be disposed will be described as one side and a portion opposite thereto as another side.

또한, 카트리지 내부에 수용되는 차는 커피, 녹차, 우롱차, 보리차 등의 물에 혼합되어 향취 또는 맛을 내는 다양한 종류의 음용이 가능한 차의 원재료 또는 원액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Further,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ea contained in the cartridge contains raw materials or raw materials of tea which can be mixed with various kinds of water such as coffee, green tea, oolong tea, barley tea, etc. to taste or taste.

본 발은 상기 연통부(201)가 측벽에 밀착 또는 인접되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입에 닿는 입구측인 배출부(220)가 용기의 상단과 실질적으로 일치된다.The foot is dispos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onnecting portion 201 is in close contact with or adjacent to the side wall, and the discharging portion 220, which is the inlet side contacting the mouth, substantially coincides with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이러한 개념에 의하여 상측에서 바라볼 때 연통부(201)가 배치되는 측에는 카트리지를 통과하여 차를 혼합한 물이 배치되고, 용기(100)의 연통부(201)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는 직접 음용하지 않는 물이 배치되는 구역으로 분할되며, 이용자는 상기 연통부(201) 측으로 유동되어 차가 우려난 물만을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렇게 평면상 구획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아 물이 전체적으로 혼합되어 높이별 또는 부위별로 농도의 차이가 있었음에 반하여 본 발명의 개념에서는 카트리지를 통과한 물만을 음용하기 때문에 균일한 농도로서 향취를 음미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짐에 유의하여야 한다.According to this concept, water mixed with tea through the cartridge is disposed on the side where the communicating part 201 is disposed, and the remaining part except the communicating part 201 of the container 100 is not directly consumed And the user moves to the side of the communicating part 201 to drink only the water concerned. In the prior art, since there is no such a planarly divided region, water is mixed as a whole,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y height or region, whereas in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water passing through a cartridge is consumed, It should be noted that it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njoyed.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카트리지가 연통부(201)의 내부에 배치되어 측벽카트리지(230)를 이루는 예를 설명한다.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cartridge is disposed inside the communicating portion 201 to form the side wall cartridge 230 will be described.

이때, 상기 측벽카트리지(230)는 연통부(201)의 일부를 이루게 되며, 내부의 소정의 공간에 층을 형성하여 연통부(201) 내부를 통과하는 물과 차가 혼합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ide wall cartridge 230 forms a part of the communication part 201, and a layer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 the inside to allow the water and tea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mmunication part 201 to be mixed.

이때, 상기 측벽카트리지(230)의 상하단 측은 물은 통과하면서 차의 원재료는 유출되지 않도록 메시 형태나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ide wall cartridge 230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such as a mesh or cloth so that the water does not flow out of the car while the water passes through.

또한, 상기 연통부(201)는 내부에 측벽카트리지(230)를 구비하여 용기(100)의 측벽에서 탈착 가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용기(100)는 하단측에 홀더부(11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201 may include a side wall cartridge 230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The container 100 may include a holder 110 at a lower end thereof .

이러한 홀더부(110)는 용기(100)의 취출부(200)가 배치되는 측벽에 인접되는 저부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연통부(201)의 하단부측의 측벽을 지지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holder 110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to support the side wall of 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unit 201.

또한, 경우에 따라 용기(100)의 상단측을 덮도록 배치되는 캡(미도시)에도 배출부(220)의 형상에 대응되는 추가적인 홀더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홀더부(110)는 배출부(220)에 대응되는 홀을 구비하고 상기 추가적인 홀더부는 배출부(220)의 상단 외벽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져 음용시 차가 혼합된 물이 다른 부위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홀더부와 함께 취출부(200)를 지지하도록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p (not shown) disposed to cover the upper end side of the container 100 may have an additional holder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discharge portion 220, (220), and the additional holder par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upper outer wall of the discharge part (220), so that water mixed with tea at the time of drinking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to other parts,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연통부(201)의 하단측에는 측벽에 대향되어 개방된 부위인 유통부(210)를 구비하며, 상기 유통부(210)는 측벽카트리지(230)로 용기(100) 내부의 물이 유통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유통부(210)는 개방부위가 메시 등의 거름망이 구비되어 이물질의 유출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연통부(201) 내부로 측벽카트리지(230)가 배치되기 때문에 이러한 거름망은 생략될 수 있다.The lower end of the communication part 201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art 210 which is opposed to the side wall and the circulation part 210 is connected to the side wall cartridge 230, .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dewall cartridge 230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part 201, and the sidewall cartridge 230 is inserted into the communication part 201, Such a sieve may be omitted because it is disposed.

도 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측단면도이다.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용기(100)의 상단측에 실질적으로 일치되게 배출부(22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배출부(220)는 하측으로 연장되는 홀더부(110)에 구비된다.The discharge unit 220 is provided substantially in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100 as in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discharge unit 220 is provided in the holder unit 110 extending downward.

상기 홀더부(110)는 제1실시예의 취출부(200)의 상측 연통부(201)에 대응될 수 있는데, 제2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취출부(200)가 홀더부(11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차이가 있다.The holder portion 11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communicating portion 201 of the take-out portion 200 of the first embodiment.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take-out portion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holder portion 110 There is a difference that is combined to be possible.

취출부(200)는 내부에 측벽카트리지(230)를 수용하며, 홀더부(110)의 하단측에 형성되는 개구측을 통하여 상단측이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take-out part 200 can be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side wall cartridge 230 is received therein and the upper end side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side formed at the lower end side of the holder part 110.

이러한 개념에 따라 취출부(200)의 상단측은 홀더부(110)와 연통되고, 하단측에는 유통부(210)가 배치되어 용기(100) 내부의 물을 측벽카트리지(230)로 유통되도록 유입시키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upper end of the take-out part 200 communicates with the holder part 110, and the lower end of the take-out part 200 is provided with a circulation part 210 so that water in the container 100 flows into the side wall cartridge 230 .

상기 유통부(210)는 취출부(200)가 배치되는 용기(100)의 측벽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다.The flow-through part 210 may be disposed in a shape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where the take-out part 200 is disposed.

도 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평단면도이다.3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와 같이 용기(100)의 측벽에는 연통부(201)가 인접되거나 일체로서 배치되어 측벽카트리지(230)를 통과한 물이 차와 혼합되어 배출부(220) 측을 통하여 음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경우 도시된 사항을 기준으로 타측 즉, 취출부(200)가 배치되는 용기의 측벽에 대향되는 측으로 유통부(210)가 형성되는 데 반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유통부(210)가 측벽을 따라 더욱 연장되는 형태를 나타낸다.As described above, the communicating part 201 is disposed adjacent to or integrally with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so that the water passing through the side wall cartridge 230 can be mixed with the tea so as to be consumed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220 side, In the case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second embodiment, the flow channel 210 is formed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on which the other side, that is, the take-out unit 200 is disposed, And the distribution portion 210 extends further along the side wall.

이러한 개념에 따라 상기 취출부(200)는 용기(100)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연장부(240)를 더 포함하게 되고, 이러한 연장부(240)의 소정의 부위에 각각 유통부(210)가 형성된다.According to this concept, the take-out part 200 further includes an extension part 240 extending along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flow part 210 is formed on a predetermined part of the extension part 240 .

상기 연장부(240)는 전체적으로 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내측 즉, 타측방향으로 용기의 저면에서 내측을 지향하도록 배치되며, 물의 유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단부측으로 갈수록 평면상 단면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취출부(200)는 전체적으로 초승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xtending portion 240 is formed in a generally arcuate shape and is disposed so as to be directed i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oward the inner side, that is, toward the other side,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flat top surface is narrowed toward the end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efficiency of water inflow desirable. Accordingly, the take-out unit 200 can be formed in a crescent shape as a whole.

상기 유통부(210)는 양측의 연장부(240)에서 단부에 인접된 내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물질의 유출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메시형태의 거름망이 형성될 수 있다.The flow channel 210 may be formed inwardly adjacent to an end of the extension 240 on both sides, and a mesh-type sieve may be formed to prevent foreign matter from flowing out.

도 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측단면도이다.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4실시예 이하에서는 배출부(220)가 구비되는 연통부(201)가 측벽 부위에 배치되고, 차의 원재료나 원액을 수용하는 카트리지가 용기(100)의 저부에 배치되는 예를 제시한다.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a communication portion 201 having a discharge portion 220 is disposed at a side wall portion, and a cartridge accommodating a raw material or a raw liquid of a car is disposed at a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present.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201)는 상단측의 배출부(220)와 하단측의 유통부(210)를 구비하는데, 제4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가 용기(100)의 저면에 인접되어 배치되는 저부카트리지(300)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를 유동하는 물이 연통부(201)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통부(210)는 연통부(201)의 타측을 지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communicating part 201 includes a discharging part 220 on the upper side and a circulating part 210 on the lower side.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bottom part of the cartridge 1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flow channel unit 2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ommunication unit 201 in order to allow the water flowing inside the cartridge 300 to flow into the communication channel unit 201.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대략 용기(100)의 저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위치의 고정을 고려하여 바람직한데, 이와 관련하여 후술하도록 한다.The bottom cartridge 300 generall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in consideration of the fixing of the posi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측벽카트리지(230)의 경우와 달리 용기의 저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메시형태 또는 투습성의 섬유재질로 이루어져 물이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으나 물이 차와 혼합되는 경로의 확보를 위하여 일부 구간에서만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bottom cartridge 30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unlike the side wall cartridge 230, the bottom cartridge 300 may be made of a mesh or moisture-permeable fiber material to allow water to flow therethrough. However,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hat water is introduced into only some sections.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유입부가 취출부(200)가 배치되는 측에서 멀게 배치되고 나머지 부위는 방수성의 재질로서 외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한다.Preferably, the bottom cartridge 300 is formed such that the inflow portion is located away from the side where the take-out portion 200 is disposed,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formed of a water-resistant material.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한편,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서로 다른 성상의 물질을 분리하여 수용할 수 있으며, 2가지의 물질이 수용되는 경우 유통부(210)에서 먼 측에 제1물질을 구비하는 제1수용부(350)와 유통부(210)에서 인접되고 제2물질을 구비하는 제2수용부(360)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the bottom cartridge 300 can separate and accommodate different constellation materials, and when the two materials are accommodate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00 having the first material farther from the circulation portion 210 350 and a second receiving part 360 adjacent to the circulation part 210 and having a second material.

예를 들어, 제1수용부(350)에 홍삼원재료가 수용되는 경우 쓴맛의 저감 및 미감의 향상을 위하여 제2수용부(360)에 꿀이나 시럽이 수용될 수 있고, 제1수용부(350)측으로 유동된 물이 차를 혼합하여 제2수용부(360)에서 단맛을 내는 물질과 혼합된 이후에 배출부(220)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차음료용 컵으로써의 효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raw material of red ginseng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50, honey or syrup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60 for reducing the bitter taste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and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50 Is mixed with the sweet taste material in the second storage part 360, and then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art 220, thereby maximizing utility as a tea beverage cup.

상기 제1수용부(350)와 제2수용부(360)의 사이에는 상호간에 물이 통과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메시 형태의 격벽이나 투습성의 섬유재질인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A predetermined mesh-shaped partition wall or a moisture-permeable fibrous partition wall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units 350 and 360 so that water can pass therethrough.

이러한 제1수용부(350)와 제2수용부(360)는 후술될 실시예는 물론 상기된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카트리지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5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360 may be applied to the cartridges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as well as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later.

도 5는 상기된 제4실시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5 is a plan 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fourth embodiment described above.

상기 용기(100)의 일측으로는 취출부(200)가 측벽에 인접되어 배치되고, 용기(100)의 저부에 저부카트리지(300)가 삽입된 형태로서 배치된다. The take-out part 2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이때,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일측으로 취출부(200)의 저부 외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고, 저부카트리지(300)가 용기(100)의 저부에 삽입되면서 끼움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취출부(200)와 저부카트리지(300) 상호간에 유통부(210)를 통하여 연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cartridge 300 may have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ottom of the take-out part 2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take-out unit 2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can be made through the circulation unit 210.

또한,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상면의 대부분이 방수성의 재질로서 이루어져 상면으로 직접 물의 유입을 방지하고, 타측으로 용기(100)의 측벽 사이에 개방된 유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유입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입공간은 반드시 용기(100)의 저면이 노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유입부(310)가 형성되는 저부카트리지(300)의 상면이 사면의 형태로서 용기(100)의 측벽에 인접될수록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ottom cartridge 300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so as to prevent water from being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cartridge 300 and to form an inflow space between the side walls of the container 100 on the other side. . Howe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100 is not necessarily exposed, and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cartridge 300, on which the inflow portion 310 is formed, is in the shape of a slope, It can be made into a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lower.

이에 따라, 취출부(200)와 저부카트리지(300)는 평면상 전체적으로 용기(100)의 저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지되 타측의 일부에서 용기(100)의 저면을 노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형태로서 저부카트리지(300)의 수평방향으로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은 방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take-out unit 2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as a whole on the plane, whil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is exposed at a portion of the other side. In this manner, undesirable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ottom cartridge 300 can be prevented.

상기 유입부(310)가 형성되는 저부카트리지(300)의 측벽은 물이 유입될 수 있는 메시형태 또는 투습성의 재질로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를 따라 유통된 물이 제1수용부(350) 및/또는 제2수용부(360)를 유동하고 유출부(320)와 연통되는 유통부(210)에서 유입되어 배출부(220)를 통하여 음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side wall of the bottom cartridge 300 in which the inflow portion 310 is formed may be formed of a mesh type or a moisture-permeable material into which water can flow, and water distributed along the inside can be introduc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350 and / Or may flow in the second receiving part 360 and flow into the circulation part 210 which communicates with the outflow part 320 and can be consum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20.

상기 유통부(210)와 유출부(320)는 연통부(201)를 기준으로 인접되는 측벽에 대향된 부위에만 배치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태의 연통부(201)의 외면인 3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유입량의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flow channel 210 and the flow channel 320 may be disposed only at a portion opposed to the adjacent sidewall with reference to the communication portion 201. However,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상기 유입부(310)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 타측에 형성되는 예만이 설명되었으나 양측으로 추가적 또는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유입부(310)가 형성되는 측은 용기(100)의 저부가 노출되거나 사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물이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Although the inlet 31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in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let 310 may be 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formed on both sides. In this case,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on which the inlet 310 is formed is exposed or formed in the shape of a slope so that the water can flow smoothly.

상기 저부카트리지(300)는 최소한 상면의 대부분이 방수성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되 유입부(310)와 유출부(320) 측에서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형태나 재질로서 이루어지는데, 물의 효과적인 유입을 위하여 저부카트리지(300)의 저면 역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형태와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bottom cartridge 300 is made of at least a waterproof material at leas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is made of a material or a material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from the inflow portion 310 and the outflow portion 320. Howe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300 may also be made of a material and a type through which water can pass.

상기 유통부(210)와 유출부(320)가 인접되는 측에서 취출부(200)의 하단측 측벽은 저부카트리지(300)의 고정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결합의 신뢰성 향상 및 누수의 방지를 위하여 상기 저부카트리지(300)와 취출부(200)의 결합부위에는 소정의 요철이 구비될 수 있다.The bottom side wall of the take-out part 200 on the side where the flow part 210 and the outflow part 320 are adjacent can perform the function for fixing the bottom part cartridge 300, A predetermined concavity and convexity may be provided at a joint portion between the bottom cartridge 300 and the take-out unit 200. [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차음료용 컵의 평단면도이다.6 is a plan sectional view of a tea beverage cup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는 제4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취출부(200)가 용기(100)의 일측 측벽에 인접배치되고, 저면에 저부카트리지(300)가 배치되는데 이와 관련되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take-out unit 200 is disposed adjacent to one side wall of the container 1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

제5실시예에서는 저부카트리지(300)의 유입부(310)의 면적을 확보하기 위하여 제4실시예에 비하여 유입부(310)가 취출부(200) 즉, 일측에 더 가깝게 형성된다.The inflow portion 310 is formed closer to the take-out portion 200, that is, one side of the fourth embodiment, in order to secure the area of the inflow portion 310 of the bottom cartridge 300 in the fifth embodiment.

용기(100)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일측에서는 저부카트리지(300)가 대략 원반 형태로 이루어지는데, 최소한 이러한 저부카트리지(300)의 형태는 용기(100) 저부의 반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용기 내부에서의 저부카트리지(300)의 바람직하지 않은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When the container 100 is in the shape of a cylinder, the bottom cartridge 300 is substantially disc-shaped on one side because at least the shape of the bottom cartridge 300 includes a semicircle at the bottom of the container 100, In order to prevent undesirable flow of the bottom cartridge 300 of the apparatus 100. [

한편, 상기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서는 취출부(200)와 저부카트리지(300)의 결합의 확실성을 고려하여 취출부(200)의 하단측 유통부(210)가 타측으로 더욱 연장된 형태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개념은 제2실시예의 유통부(210)의 개념이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취출부(200)의 하단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소정의 연장부위가 형성되고 그 단부측으로 유통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In the fourth and fifth embodi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certainty of the engagement between the take-out unit 200 and the bottom cartridge 300, the lower end-side flow portion 210 of the take-out portion 200 is further extended toward the other side . That is, a predetermined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take-out part 200 to the other end is formed, and the flow part 210 is formed at the end side of the take- Can be disposed.

이 경우 용기(100)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저부카트리지(300)가 연통부(201)를 따라 삽입되는 과정에서 저부카트리지(300)가 저부에 인접되고 밀착되면 유통부(210)가 형성되는 일부가 저부카트리지(300) 내부의 공간으로 수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bottom cartridge 30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bottom cartridge 300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into the bottom portion of the container 100 from the top to the bottom along the connecting portion 201,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space inside the bottom cartridge 300.

이에 따라, 상기 유출부(320) 역시 저부카트리지(300)의 내부 공간으로 더욱 만입된 형태로서 배치될 수 있는데, 이러한 변형 및 적용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Accordingly, the outlet 320 may also be disposed in a further recessed form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bottom cartridge 300, which variations and applications ar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된 취출부(200)의 예들은 용기(100)의 내벽에서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생산성을 고려하여 용기(100)와 취출부(200)가 하나의 사출물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된 홀더부들의 예 또한 사출되는 방식으로 일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Examples of the take-out unit 200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100.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the container 100 and the take-out unit 200 are preferably formed as a single injection product. Examples of the above-described holder portions may also be integrally formed in an injection manner.

또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취출부(200)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이 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는 예가 도시되었으나, 외벽이 호형 또는 직선형 등으로 선택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in which the column shape constituting the take-out part 200 is basically formed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column is shown, but the outer wall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or a straight shap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카트리지와 연결되는 용기 내벽의 취출부를 통하여 용기의 구역을 분할하여 차를 혼합한 물의 영역과 혼합 이전의 물을 수용한 영역을 구획하기 때문에 음용시 혼합되는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음은 물론, 카트리지의 교환에 따라 다양한 음료를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area of the container is divided through the take-out part of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connected to the cartridg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divide the area of water mixed with tea and the area of water before mixing,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ink various drinks according to the exchange of cartridges.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In the forego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limited only by the content of the following claims.

100...용기 110,111...홀더부
200...취출부 201...연통부
210...유통부 220...배출부
230...측벽카트리지 240...연장부
300...저부카트리지 301...바디부
310...유입부 320...유출부
350...제1수용부 360...제2수용부
100 ... containers 110, 111 ... holder part
200 ... take-out portion 201 ... communicating portion
210 ... distribution part 220 ... discharge part
230 ... side wall cartridge 240 ... extension
300 ... bottom cartridge 301 ... body part
310 ... inlet portion 320 ... outlet portion
350 ... First storage portion 360 ... Second storage portion

Claims (3)

용기의 상단부와 대응되는 높이에 형성되는 배출부;
상기 배출부와 연통되고 용기의 측벽에 높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연통부;
상기 연통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용기에 저장된 물을 유입하는 유통부; 및
차의 원액 또는 원재료가 수용되어 내부를 통과한 물이 차와 혼합되고 배출부를 통하여 배출하도록 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연통부에 일측에 연결되고 용기의 저면에 밀착되어 배치되고 상면이 방수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타측에 유입부가 형성되는 저부카트리지로 이루어지고,
용기의 내부는 평면상 카트리지를 통과한 차와 혼합되는 물이 음용될 수 있는 배출부가 배치되는 영역과 배출부의 외주와 용기 내주면 사이에서 카트리지를 통과하기 전의 물이 수용되는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료용 컵.
A discharge portion formed at a height corresponding to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A communic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ortion and disposed in a height direction on a side wall of the container;
A circulation part provided at a lower end side of the communication part to introduc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And
And a cartridge for containing the raw liquid or the raw material of the tea so that wa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tea is mixed with the tea and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ion,
Wherein the cartridge comprises a bottom cartridge which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mmunication part and is dispo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whose upper surface is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and the inflow par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a region in which a discharge portion in which water mixed with a car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in a plane is disposed and a region in which water is received before passing through the cartridge between the circumference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A cup for drinking t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용기 내부의 물이 내부로 유동되고 제1물질을 구비하는 제1수용부와, 제1수용부를 통과한 물이 내부로 유동되고 배출되며 제2물질을 구비하는 제2수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료용 컵.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water in the container flows to the inside and has a first material,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water having passed throug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flows in and is discharged and includes a second material Tea drink cup.
삭제delete
KR1020140045239A 2014-04-16 2014-04-16 Cup for tea beverage KR1015748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39A KR101574889B1 (en) 2014-04-16 2014-04-16 Cup for tea bever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39A KR101574889B1 (en) 2014-04-16 2014-04-16 Cup for tea bever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32A KR20150119632A (en) 2015-10-26
KR101574889B1 true KR101574889B1 (en) 2015-12-04

Family

ID=5442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239A KR101574889B1 (en) 2014-04-16 2014-04-16 Cup for tea bever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88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30A (en) 2017-01-11 2018-07-1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Takeout food beverage cup holder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3537A1 (en) 2007-04-27 2008-11-20 Evergreen Innovation Partners I, Lp Spill-resistant cups with active ingredient delivery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83537A1 (en) 2007-04-27 2008-11-20 Evergreen Innovation Partners I, Lp Spill-resistant cups with active ingredient delivery 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2730A (en) 2017-01-11 2018-07-19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Takeout food beverage cup hol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9632A (en) 201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79630B (en) Beverage cartridge
CA2713641C (en) Pitcher with infuser
KR101444008B1 (en) Basket assembly for beverage bottle
EP2346750B1 (en) Sealing means for beverage container
RU2605183C2 (en) Capsule for preparing beverage
EA031158B1 (en) Capsule, method and device for brewing a beverage
CN105792711A (e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US20160157660A1 (en) Brewing Material Container
US20160206133A1 (en) Brewing Material Container
US20190000262A1 (en) Filter member for brewing coffee, apparatus and products comprising such filter,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filter, product and apparatus, and coffee brewing methods
US8734874B1 (en)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EA023862B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and method
US20180354714A1 (en) Permeable disposable filter and beverage system
KR101574889B1 (en) Cup for tea beverage
US10221956B2 (en) Filter assembly for a beverage dispenser
CN201135324Y (en) Tea cup with function of separating the tea and the water
KR20090005514U (en) A portable drinking receptacle for tea
US20140182458A1 (en) Microwave Beverage Cartridge Holder
NL2007724C2 (en) Form-retaining pa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assembly of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comprising a pad holder and such a form-retaining pad,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form-retaining pad, pre-form stiffening body for use in such a method, a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using such a form-retaining pad or such an assembly and a kit of part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form-retaining pads.
KR200419616Y1 (en) Tea containers
KR20070114940A (en) Tea vessel structure for straining out tea leaves
CN212037190U (en) Multifunctional portable water boiler
CN210823696U (en) Cover body capable of accommodating object to be soaked and bottle capable of accommodating object to be soaked
JP6152651B2 (en) Foldable beverage extraction container
CN212654704U (en) Structure of upper and lower double-cap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