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879B1 - 누설 감지 센서 - Google Patents

누설 감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879B1
KR101574879B1 KR1020140025259A KR20140025259A KR101574879B1 KR 101574879 B1 KR101574879 B1 KR 101574879B1 KR 1020140025259 A KR1020140025259 A KR 1020140025259A KR 20140025259 A KR20140025259 A KR 20140025259A KR 101574879 B1 KR101574879 B1 KR 101574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base film
shield
pair
conductiv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796A (ko
Inventor
유홍근
Original Assignee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민에쓰티, 유홍근 filed Critical (주)유민에쓰티
Priority to KR1020140025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879B1/ko
Publication of KR2015010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87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파 등의 외부 잡음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센싱 감도를 가지도록 한 누설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음각에 의해 격자문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쉴드 음각부; 상기 한 쌍의 쉴드 음각부의 상부면에 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누설 감지 센서{Leak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누설 감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파 등의 외부 잡음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센싱 감도를 가지도록 한 누설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미 여러건의 등록 특허(10-0909242, 10-0827385 등)에서 테이프 형태로 되어 누수가 발생하기 쉬운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누수 발생을 쉽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테이프 형태의 누수감지센서를 제안한 바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누수감지센서(100)는 하부접착층(120), 베이스필름층(110),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저면에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하부접착층(120)은 누수가 발생되는 곳에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 접착 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베이스필름층(110)은 도전라인(111,112)이 상부에 형성되기 위한 층으로서, 도전라인(111,112)의 패턴을 인쇄 방식에 형성하기 위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의 필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라인(111,112)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표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스트립 형태로 배치되며, 도전성 잉크 또는 은(Silver) 화합물로 인쇄된다.
상부보호필름층(130)은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에 적층되어 도전라인(111,112)을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베이스필름층(110)과 같이 PET, PE, PTFE, PVC 또는 기타 테프론 계열의 재질로 형성되며, 도전라인(111,112)에 해당하는 위치에 일정간격마다 센싱홀(131)이 관통되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면, 누수가 발생된 위치의 센싱홀(131)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어 두 도전라인(111,112)이 수분에 의해 통전되어 저항값이 변화되며, 원격의 제어기가 그 저항값의 변화 상태를 파악하여 누수여부를 감지하고, 그에 따른 경보를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그 저항값의 크기에 따라 누수가 발생된 위치를 제어기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저항값이 낮으면 제어기로부터 가까운 거리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이고, 저항값이 크다면 도전라인(111,112)의 고유저항이 거리에 따라 합산되어 크게 되므로 제어기로부터 먼 거리에서 누수가 발생한 것인지를 제어기가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필름형 누수감지센서(100)는 전자파 등의 외부의 전기적 잡음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서, 전기적 잡음이 도전라인(111,112)으로 유입되면 저항값의 변화가 달라져서 센싱의 감도가 변화되거나 센싱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재질의 베이스필름층(110)에 도전라인(111,112)이 인쇄방식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인쇄시 베이스필름층(110)으로부터 쉽게 박리되거나 또는 시공중 구부러짐 등에 의해 쉽게 박리됨으로써 불량이 발생할 소지가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베이스필름층의 도전라인이 인쇄될 위치에 먼저 음각으로 격자무늬의 쉴드 문양을 형성하고, 그 쉴드 문양의 상부에 도전라인을 인쇄함으로써 외부의 전기적 잡음을 차폐함은 물론 도전라인이 더욱 견고하고 베이스필름층에 유착될 수 있도록 한 누설 감지 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누설 감지 센서는,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음각에 의해 격자문양으로 형성된 한 쌍의 쉴드 음각부;
상기 한 쌍의 쉴드 음각부의 상부면에 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쉴드 음각부에 도전라인이 형성됨으로써 도전라인 자체가 차폐재 역할을 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기적 잡음을 차폐함으로써 센싱 오류가 발생하지 않으며, 아울러 쉴드 음각부에 의해 도전라인이 베이스필름층에 접촉하는 면적이 커져서 쉽게 박리되지 않으므로 불량의 소지를 해소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누수감지장치의 분해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도1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누설 감지 센서의 베이스필름층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도3의 단면구조를 보인 도.
도5는 쉴드 음각부의 그루브에 도전라인이 유입되어 인쇄된 상태를 보인 도.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구조는 도1 및 도2에서 이미 언급한 형태와 동일하므로, 도3에서와 같이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면에서 도전라인이 인쇄될 위치에 먼저 쉴드 음각부(113,114)가 형성된 상태를 설명한다.
쉴드 음각부(113,114)는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면에서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음각에 의해 격자문양으로 한 쌍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쉴드 음각부(113,114)는 롤 프레스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압인과정에 의해 격자 문양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쉴드 음각부(113,114)는 베이스필름층(110)의 하부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단지 상부면에서 격자 형태의 그루브(groove)(115)가 형성되는 형태이다.
그루브(115)를 갖는 쉴드 음각부(113,114)는 격자 형태로 되어 있어서, 그 그루브(115)에 전기적 도전 물질이 충전되면 전자파 등 외부의 전기적 잡음을 차폐할 수 있게 되는 차폐층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루브(115)에 별도의 전기적 도전 물질을 충전하지 않고, 쉴드 음각부(113,114)의 상부면에 도4에서와 같이 곧바로 인쇄방식에 의해 도전라인(111,112)을 형성함으로써 누설을 감지함과 아울러 외부의 전기적 잡음을 차폐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쉴드 음각부(113,114)의 상부면에 인쇄되는 도전라인(111,112)은 도전성 잉크 또는 은 화합물에 의해 인쇄되므로, 도5에서와 같이 도전라인(111,112)의 하측이 그루브(115)에 유입되어 충전됨으로써 그루브(115)에 차폐를 위한 쉴드층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이렇게 도전라인(111,112)의 하측이 그루브(115)의 내측에 충전됨으로써 베이스필름층(110)과의 접촉면적이 크게 증대되므로, 인쇄시 또는 시공시에 베이스필름층(110)으로부터 쉽게 박리되지 않아 불량 소지를 크게 해소하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베이스필름층(110)의 상부면에는 종래와 같이 상부보호필름층(130)이 적층될 수 있을 것이다.
110 : 베이스필름층 111,112 : 도전라인
113,114 : 쉴드 음각부 115 : 그루브

Claims (1)

  1. 필름재질로 된 베이스필름층;
    상기 베이스필름층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프레스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압인과정에 의해 격자 문양을 갖는 음각 형태로 형성된 한 쌍의 쉴드 음각부;
    상기 한 쌍의 쉴드 음각부의 상부면에 인쇄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도전라인;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설 감지 센서.

KR1020140025259A 2014-03-04 2014-03-04 누설 감지 센서 KR101574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59A KR101574879B1 (ko) 2014-03-04 2014-03-04 누설 감지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259A KR101574879B1 (ko) 2014-03-04 2014-03-04 누설 감지 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796A KR20150103796A (ko) 2015-09-14
KR101574879B1 true KR101574879B1 (ko) 2015-12-04

Family

ID=5424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259A KR101574879B1 (ko) 2014-03-04 2014-03-04 누설 감지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8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0224B1 (ko) * 2020-12-30 2024-01-30 (주)유민에쓰티 정전용량형 누액 감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796A (ko) 2015-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3744B2 (en) Capacitive tactile sensor with nested matrix electrodes
US9274083B2 (en) Leak detector
EP3285137A3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1706354B (zh) 防渗膜防渗效果探测方法
WO2014060894A3 (en) Wide dynamic range fluid sensor based on nanowire platform
US10553655B2 (en) Force sensor device and OLE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TW201614824A (en) Pressure array sensor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460020B1 (ko) 산성용액 누설 감지 장치
EP2779810A3 (en) Printed circuit board packa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66361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obscured features
WO2012095608A3 (fr) Dispositif de mesure de la pression a partir d'un objet souple, pliable et/ou extensible realise a partir de matiere textil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mesure
JP2019061683A5 (ko)
KR102305127B1 (ko) 누설용액 감지장치
JP2020517956A (ja) 難視構成を検出する装置及び方法
JP2017510385A5 (ko)
JP2010238052A5 (ko)
KR101574879B1 (ko) 누설 감지 센서
KR20160003431A (ko) 발열기능을 갖는 누설감지장치
EP3843148A3 (en) Touch display device
KR20160006091A (ko) 용액 누설 감지 장치
KR101847090B1 (ko) 누설 및 누설위치 감지 센서
US20200256817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etecting obscured features
KR101508553B1 (ko) 누수 감지 센서
KR102228312B1 (ko) 화학용액 누설감지장치
CN204069470U (zh) 一种可检测高精密线路板防焊对位精度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