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711B1 -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 Google Patents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711B1
KR101574711B1 KR1020150074624A KR20150074624A KR101574711B1 KR 101574711 B1 KR101574711 B1 KR 101574711B1 KR 1020150074624 A KR1020150074624 A KR 1020150074624A KR 20150074624 A KR20150074624 A KR 20150074624A KR 101574711 B1 KR101574711 B1 KR 101574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ir gun
protective film
injection ro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기원
Original Assignee
강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기원 filed Critical 강기원
Priority to KR102015007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7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6Cleaning by making use of hand-held spray guns; Fluid preparations therefor
    • B08B3/028Spray gu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28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integral means for shielding the discharged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limit area of spray; with integral means for catching drips or collecting surplu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05Nozzles or other outlets specially adapted for discharging one or more gase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보호막을 장착함으로써 에어건 분사 시 공기압에 의해 발산되는 이물질이 작업자 쪽으로 향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막을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결합하기 위하여 보호막과 결합된 제1 고정부재를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 1차 결합하고, 제2 고정부재를 제1 고정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체결하여 제1 고정부재와 분사로드 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끼움식으로 장착하고 탄성부재의 양측단부를 제2 고정부재에 의하여 결속함으로써 에어건의 방아쇠를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될 시에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반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omitted}
본 발명은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보호막을 장착함으로써 에어건 분사 시 공기압에 의해 발산되는 이물질이 작업자 쪽으로 향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보호막을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결합하기 위하여 보호막과 결합된 제1 고정부재를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 1차 결합하고, 제2 고정부재를 제1 고정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체결하여 제1 고정부재와 분사로드 간의 결속력을 높이고,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끼움식으로 장착하고 탄성부재의 양측단부를 제2 고정부재에 의하여 결속함으로써 에어건의 방아쇠를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될 시에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반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에 관한 것이다.
에어건은 압축된 공기를 에어 건으로 분사하여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장비에 부착된 잔재물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종래의 에어건은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공기 공급부와 손잡이가 형성된 본체부와, 본체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레버에 의해 압축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종래의 에어건의 경우에는 압축공기가 일시적으로 방출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분진과 같은 이물질이 날려 사용자의 인체에 닿을 염려가 있다. 특히나, 눈이나 호흡기에 유입될 경우에는 호흡기 질환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에어건의 일측에 보호장비를 장착하여 이물질의 방출을 인체로부터 최소화하도록 하는 장비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20835호(2014.7.11 등록), 보호막을 갖는 에어건 조립체가 대표적이다.(이하, 선행기술문헌)
상기 선행기술문헌은 에어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고압의 공기를 외부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분사노즐을 지지하는 본체, 분사노즐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 분사노즐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기의 분사시에 이물질이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막을 포함하며, 보호막은 내부에 분사노즐이 삽입되는 결합축, 결합축의 외주연에 방사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며 분사노즐의 반경방향 외측을 감싸는 보호막본체, 결합축에 삽입된 분사노즐의 위치를 구속하는 결합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발명은 복수개의 프레임이 지탱함으로써 지지력은 있으나, 복잡화된 구성요소로 인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에어건 분사 시 공기압에 의해 발산되는 이물질이 작업자 쪽으로 향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에어건의 방아쇠를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될 시에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보호막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은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결합되되,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는 이물질의 날림을 방지하는 보호막; 보호막과 결합되어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보호막을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및 제1 고정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체결되어 제1 고정부재가 분사로드에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호막의 내주면은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어 분사 시 방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고, 제1 고정부재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양측단부에 제2 고정부재를 체결하여 양단을 결속하며, 에어건을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되는 순간 반동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보호막을 장착함으로써 에어건 분사 시 공기압에 의해 발산되는 이물질이 작업자 쪽으로 향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보호막을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결합하기 위하여 보호막과 결합된 제1 고정부재를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 1차 결합하고, 제2 고정부재를 제1 고정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체결하여 제1 고정부재와 분사로드 간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고정부재의 외주면에 탄성부재를 끼움식으로 장착하고 탄성부재의 양측단부를 제2 고정부재에 의하여 결속함으로써 에어건의 방아쇠를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될 시에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한 반동을 완화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 유닛의 제1 고정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결합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 유닛의 제1 고정부재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은 기존에 에어건 분사로 인하여 절삭팁과 같은 이물질이 작업자 방향으로 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고안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은 보호막(10), 제1 고정부재(20), 및 제2 고정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호막(10)은 에어건의 분사로드(50)에 결합된다.
보호막(10)의 구조는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 작업자 쪽으로 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보호막의 형상을 돔 형상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보호막(10)의 중앙부에는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보호막(10)이 에어건의 분사로드(50)로 관통하여 끼워진다.
보호막(10)의 소재는 금속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보호막(10)의 소재를 특정 소재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부재(20)는 보호막(10)과 분사로드(50) 간을 상호 고정하기 위하여 에어건의 분사로드(50)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제1 고정부재(20)의 장착 위치는 보호막(10)의 일측과 밀착하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막(10)과 제1 고정부재(20) 간에는 용접하여 결합한다.
도 3은 제1 고정부재(20)의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 양방향으로 개방된 타입과 단방향으로 개방된 타입 중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여기서, 제1 고정부재(20)의 형상을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부재(30)는 에어건의 분사로드(50)에 고정된 제1 고정부재(20)의 결속력을 높이기 위하여 체결하는 것으로, 제1 고정부재(10)의 외주면을 감싸안으며 결합되어 제1 고정부재(10)가 분사로드(50)에 결속될 수 있도록 고정한다.
일례로, 제2 고정부재(30)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으며, 다른 부재로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제2 고정부재(30)의 형상과 종류를 특정한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부재(30)가 클램프로 적용될 경우, 클램핑 시 분사로드(50)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사로드(50)의 내부 소재는 플랙시블(flexible)한 형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 고정부재(20)의 외주면에 탄성부재(40)를 더 장착할 수도 있다.
탄성부재(40)는 에어건의 방아쇠를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되면 압축공기의 압력에 의하여 보호막(10)에 가해지는 충격력(반동)을 완충시킨다.
탄성부재(40)는 분사로드(50)를 관통하여 제1 고정부재(20)에 끼워지고, 일측단부가 보호막(10)과 접촉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탄성부재(40)가 에어건의 분사로드(50)에 결속되도록 탄성부재(40)의 양측단부에 제2 고정부재(30)를 각각 장착하여 탄성부재(40)의 움직임을 제한한다.
탄성부재(40)를 장착할 경우에는 제1 고정부재(20)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30)는 생략하고, 탄성부재(40)의 양측단부를 고정하는 제2 고정부재(30)만을 이용하여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호막(10)의 내주면은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형성할 수도 있다. 홈 또는 돌기는 에어건 분사 시 방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보호막 20 - 제1 고정부재
30 - 제2 고정부재 40 - 탄성부재
50 - 분사로드

Claims (2)

  1.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결합되고, 내경에서 외경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커지는 돔 구조로 형성되며,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압축공기에 의해 분사되는 이물질의 날림을 방지하는 보호막;
    양방향으로 개방된 슬롯 타입 또는 단방향으로 개방된 슬롯 타입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취하며, 보호막과 결합되어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보호막을 에어건의 분사로드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부재;
    제1 고정부재의 임의의 위치에 체결되어 제1 고정부재가 분사로드에 고정되도록 결속하는 클램프를 포함하는 제2 고정부재; 및
    분사로드를 관통하여 제1 고정부재에 끼워지고, 일측단부가 보호막과 접촉하여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에어건을 당겨 압축공기가 발사되는 순간 반동에 의한 충격력을 완충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고,
    보호막의 내주면은 나선형의 홈 또는 돌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분사 시 방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제어하는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2. 삭제
KR1020150074624A 2015-05-28 2015-05-28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KR1015747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24A KR101574711B1 (ko) 2015-05-28 2015-05-28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24A KR101574711B1 (ko) 2015-05-28 2015-05-28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711B1 true KR101574711B1 (ko) 2015-12-04

Family

ID=54867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24A KR101574711B1 (ko) 2015-05-28 2015-05-28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71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957B1 (ko) * 2016-10-18 2017-04-11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KR101879773B1 (ko) * 2016-07-13 2018-07-18 조희근 에어건용 비산 방지 커버
WO2018189188A1 (de) * 2017-04-10 2018-10-18 Patrick Jungenblut Handgeführtes, druckbetriebenes arbeitsgerät mit schutzabdeckung
KR102290133B1 (ko) * 2020-10-28 2021-08-13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835B1 (ko) * 2013-03-20 2014-07-17 이용석 보호막을 갖는 에어건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835B1 (ko) * 2013-03-20 2014-07-17 이용석 보호막을 갖는 에어건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73B1 (ko) * 2016-07-13 2018-07-18 조희근 에어건용 비산 방지 커버
KR101725957B1 (ko) * 2016-10-18 2017-04-11 21세기해양개발주식회사 고압수를 이용한 부착생물의 선택적 제거장치
WO2018189188A1 (de) * 2017-04-10 2018-10-18 Patrick Jungenblut Handgeführtes, druckbetriebenes arbeitsgerät mit schutzabdeckung
KR102290133B1 (ko) * 2020-10-28 2021-08-13 한신호 도장용 스프레이건의 도료 비산방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711B1 (ko) 이물질 날림 방지용 에어건 보호유닛
US20170216702A1 (en) Sports safety screen apparatus and methods
KR101420835B1 (ko) 보호막을 갖는 에어건 조립체
CN109515388A (zh) 车辆清洗装置
US8181379B2 (en) Composite gun scope cover
KR101647498B1 (ko) 소방용 다각도 관창
KR101809600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에어건
KR101735747B1 (ko) 건축물의 소방용 관창 클램핑 장치
KR101887914B1 (ko) 장식기능을 갖는 소화기용 보호장치
CN214388597U (zh) 消防盾牌
KR200463334Y1 (ko) 에어건용 신축(伸縮) 팁 및 이를 구비한 에어건
US20060283432A1 (en) Air cannon apparatus and method
KR102331512B1 (ko) 크롤러 텐션 조절장치
KR101322249B1 (ko) 시위진압 방패용 캡사이신 분사기의 장착지그
CA2054328A1 (en) Arrangement in a chain saw
US4340804A (en) Welding nozzle
KR101777969B1 (ko) 보호틀을 구비한 스프링클러
KR101234297B1 (ko) 진동 분사식 제전기.
JP3157006U (ja) エア吹付けガン
KR20120005823U (ko) 이산화탄소 용접기의 토치헤드
KR101751491B1 (ko) 파이프 외관 클리닝 장치
KR20060039575A (ko) 외부 체결방식의 블라스팅 호스 연결장치
JPH03189281A (ja) 倒立式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のプロテクタ
US11660725B2 (en) Abrasive blasting nozzle noise reduction shroud and safety system
JP4813337B2 (ja) 吹付け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吹付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