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313B1 -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313B1
KR101574313B1 KR1020150109308A KR20150109308A KR101574313B1 KR 101574313 B1 KR101574313 B1 KR 101574313B1 KR 1020150109308 A KR1020150109308 A KR 1020150109308A KR 20150109308 A KR20150109308 A KR 20150109308A KR 101574313 B1 KR101574313 B1 KR 101574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vement
soldier
uni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9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태
장재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09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06F17/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은,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및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soldiers}
본 발명은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단위병력관리부에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와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고, 이동현황관리부에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군인들은 이동할 때 이동현황을 지휘관(당직사관)에게 보고한다. 그리고 지휘관은 군인들의 이동현황을 표에 필기구로 메모하여 관리한다. 누가 야근을 하고, 누가 외출을 나가고, 어느 생활관 휴가자는 몇 명이고 등을 모두 손으로 작성한다. 그리고 상기 작성한 것을 토대로 총원이 몇 명인지 열외자가 몇 명인지 각 분대당 현재원이 몇 명인지따라서 직접 계산하였다. 따라서 상기 이동현황을 관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고, 손으로 직접 작성하다보니 실수도 많이 생겨왔다. 또한 보통 한 지휘관당 200~300여명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다보니 업무 스트레스도 많이 발생하였다.
뿐만 아니라 전역, 파견 등의 이유로 군인의 총원이 변경되었을 때 상기 이동현황을 작성하는 표를 다시 만들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따라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것이 하나의 큰 업무로 남아있었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용해 군인의 인적사항이 기록되어 있는 병자력관리부와 상기 군인의 이동현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상기 이동현황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이동현황관리부를 연동하여 상기 이동현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언급된 기술적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은,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및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병자력관리부는 상기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병자력입력모듈, 및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병자력저장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는 검색어를 입력받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군인의 인적정보를 상기 병자력저장모듈에서 검색하는 병자력검색모듈, 및 상기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정보와 상기 병자력저장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이동처리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현황관리부는 상기 이동처리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저장모듈, 및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편집 또는 삭제하는 이동현황수정모듈을 포함한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 따를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인 관리방법은,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의 군인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력 관리시스템은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및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군인 관리방법은 상기 단위병력관리부의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상기 인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인적정보와 상기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상기 이동현황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들을 가진다.
첫째로, 컴퓨터를 이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군인의 이동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이동정보를 사람이 직접 손으로 기록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기록하기 때문에 신속하고 정확하게 기록할 수 있다.
둘째로, 상기 이동정보의 변동사항을 깔끔하게 수정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상기 이동정보를 수정해야 할 때 펜으로 일자를 긋고 그 밑에 덧붙여 기록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동현황수정모듈을 이용하여 깔끔하게 수정할 수 있고 상기 이동정보의 가독성도 뛰어나다.
셋째로, 군인의 총원 수, 현재원 수, 열외자 수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소속별 총원 수, 열외자 수를 파악하여 상기 총원 수에서 열외자 수를 뺌으로서 현재원 수를 파악했다. 또한 상기 열외자 수도 각 사유별 열외자 수를 모두 더하여 파악했으므로 그 계산에 있어서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고 실수도 많이 발생했다.
넷째로, 전역, 파견등의 이유로 군인의 총원 수가 변동되었을 때 이동현황작성표를 다시 만들지 않아도 된다. 지금까지는 군인의 총원 수가 변동되었을 때 변동된 총원 수를 토대로 이동현황표를 다시 만들었었고 이에 따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병자력관리부와 연동함으로써 상기 변동된 총원 수가 이동현황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에 즉시 반영되어 위와 같은 수고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관리카드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처리모듈과 그룹화모듈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병자력저장모듈과 전역자처리모듈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종합출력모듈이다.
도 8은 복귀자결산모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모습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군인 관리방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이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력 관리시스템은,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100),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200), 및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는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한다. 여기서 상기 인적정보는 이름, 군번, 계급 또는 소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소속은 몇 중대인지, 몇 소대인지, 또는 몇 분대인지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는 상기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병자력입력모듈(110), 및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병자력저장모듈(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병자력입력모듈(110)은 키보드, 마이크, 터치패드 등의 입력장치로부터 상기 인적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고, 엑셀파일 등과 같은 데이터파일의 수신을 통해 상기 인적정보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상기 병자력저장모듈(120)은 도 6과 같이 상기 병자력입력모듈(110)이 입력받은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는 도 6처럼 전역한 군인의 인적정보를 상기 병자력저장모듈(120)에서 삭제하는 전역자처리모듈(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역한 군인의 인적정보는 더 이상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삭제하여 불필요한 정보의 누적을 막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전역자처리모듈(130)은 상기 군인의 전역일자와 현재일자를 비교하여 전역자를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일자가 2015년 3월 4일일 때, 전역일자가 2015년 3월 2일인 군인은 현재일자가 전역일자보다 나중이기 때문에 전역자로 판별될 수 있다.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는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한다. 여기서 이동관리카드(900)란 도 2, 도 3처럼 상기 군인의 이동에 관한 이동정보와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의 데이터 집합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이동정보는 이동목적(921), 행선지(922), 연락처(923), 출발시간(924), 복귀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목적(921)은 휴가, 외박, 외출, 파견, 출장, 입창, 면회, 일직, 상황, 야근 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는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식별하는 식별번호(90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는 병자력검색모듈(210)과 이동처리모듈(220)을 포함한다. 상기 병자력검색모듈(210)은 검색어를 입력받아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군인의 인적정보를 상기 병자력저장모듈(120)에서 검색한다. 여기서 상기 검색어는 이름, 군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은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정보와 상기 병자력저장모듈(120)로부터 수신한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한다. 도 5에는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은 상기 이동목적(921)이 휴가, 외박, 또는 외출일 때 현재시간을 출발시간(924)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은 상기 이동목적(921)이 야근일 때 특정시간을 출발시간(924)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들어, 군 내부규정상 상기 야근은 17시부터 가능하다고 한다면 상기 이동목적(921)이 야근일 때 상기 출발시간(924)은 17시로 자동입력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는 그룹화모듈(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룹화모듈(230)은 도 5처럼 상기 병자력저장모듈(120)로부터 상기 이동처리모듈(220)로 송신되는 복수의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하여 그룹화한다. 만약 같은 시간에 같은 행선지에 같은 목적으로 이동하는 군인이 여러명일 때, 이들의 이동정보는 동일하므로 그룹화하여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는 목적저장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저장부(240)는 상기 이동목적(921)의 구체적인 예들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기 목적저장부(240)에는 ‘휴가’, ‘외박’, ‘외출’, ‘파견’, ‘출장’, ‘입창’, ‘면회’, ‘일직’, ‘상황’, ‘야근’ 또는 ‘기타’라는 이동목적(921)의 예들이 저장되어 있어서,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에서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할 때 상기 이동목적(921)은 상기 예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는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저장한다.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는 이동현황저장모듈(310), 이동현황수정모듈(330)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310)은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에서 생성한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저장하고, 상기 이동현황수정모듈(330)은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편집 또는 삭제한다. 여기서 편집이라 함은 상기 이동관리카드(900)에 포함되어 있는 인적정보(911, 912, 913, 914), 이동정보(921, 922, 923, 924)를 추가 또는 변경하거나 복귀정보(931)를 추가 또는 변경하는 행위를 말한다. 복귀정보(931)란 해당 군인이 이동한 후 다시 대대로 복귀했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로서, 도 4에 그 예시가 나타나 있다. 즉 도 3의 이동관리카드에는 복귀정보(931)가 없으므로 해당 군인은 아직 미복귀 상태인 것이고, 도 4의 이동관리카드에는 복귀정보(931)가 있으므로 해당 군인은 복귀한 상태인 것이다.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는 복귀현황저장모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은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900)를 저장하는 모듈이다. 이때 상기 병력관리시스템은 결산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결산부는 상기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900)를 관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결산부(400)는 복귀자결산모듈(41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귀자결산모듈(410)은 도 8처럼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31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900)를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결산부(400)는 복귀자출력모듈(420)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복귀자출력모듈(420)은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출력한다.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는 복귀현황수정모듈(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현황수정모듈(340)은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편집 또는 삭제한다.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310)은 출타자데이터베이스(311)와 열외자데이터베이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목적(921)이 휴가, 외박, 외출, 파견, 출장 또는 입창인 이동관리카드(900)는 출타자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되고, 상기 이동목적(921)이 면회, 일직, 또는 상황인 이동관리카드(900)는 열외자데이터베이스(312)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은 출타복귀자데이터베이스(321)와 열외복귀자데이터베이스(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타자데이터베이스(311)에 저장되어 있던 이동관리카드(900) 중에서 복귀정보(931)가 추가된 것은 상기 복귀자결산모듈(410)에 의해 상기 출타복귀자데이터베이스(321)로 이동되고, 상기 열외자데이터베이스(322)에 저장되어 있던 이동관리카드(900) 중에서 복귀정보(931)가 추가된 것은 상기 복귀자결산모듈(410)에 의해 상기 열외복귀자데이터베이스(322)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병력 관리시스템은 종합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부(500)는 상기 군인의 이동현황을 종합한다. 상기 종합부(500)는 총원파악모듈(510)과 이동파악모듈(520)을 포함한다. 상기 총원파악모듈(510)은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로부터 상기 군인의 총원 수를 수신하며, 상기 이동파악모듈(520)은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로부터 이동한 군인의 수를 수신한다.
상기 종합부(500)는 종합출력모듈(5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종합출력모듈(530)은 상기 총원파악모듈(510)에서 수신한 총원 수와 상기 이동파악모듈(520)에서 수신한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이동파악모듈(520)은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로부터 상기 이동한 군인의 소속을 추가로 수신하여, 상기 종합출력모듈(530)은 도 7처럼 상기 소속별로 상기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 따를 때, 상기 병력 관리시스템은 상기 병자력관리부(100),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 및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병력 관리시스템의 병력 관리방법은 도 9처럼 상기 단위병력관리부(200)의 이동처리모듈(220)이 상기 병자력관리부(100)로부터 상기 인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이 상기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이 상기 인적정보와 상기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처리모듈(220)이 상기 이동관리카드(900)를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병력 관리방법은 상기 이동현황관리부(300)의 이동현황수정모듈(330)이 복귀한 군인의 상기 이동관리카드(900)에 복귀정보(931)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력 관리방법은 상기 결산부(400)의 복귀자결산모듈(410)이 상기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900)를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320)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력 관리방법은 상기 종합부(500)의 종합출력모듈(530)이 상기 군인의 총원 수와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병자력관리부
110: 병자력입력모듈
120: 병자력저장모듈
130: 전역자처리모듈
200: 단위병력관리부
210: 병자력검색모듈
220: 이동처리모듈
230: 그룹화모듈
240: 목적저장모듈
300: 이동현황관리부
310: 이동현황저장모듈
311: 출타자데이터베이스
312: 열외자데이터베이스
320: 복귀현황저장모듈
321: 출타복귀자데이터베이스
322: 열외복귀자데이터베이스
330: 이동현황수정모듈
340: 복귀현황수정모듈
400: 결산부
410: 복귀자결산모듈
420: 복귀자출력모듈
500: 종합부
510: 총원파악모듈
520: 이동파악모듈
530: 종합출력모듈
900: 이동관리카드

Claims (20)

  1.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를 관리하는 결산부; 및
    군인의 이동현황을 종합하는 종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인적정보는 이름, 군번, 계급, 또는 소속이며, 상기 이동정보는 이동목적, 행선지, 연락처, 출발시간, 또는 복귀시간이고,
    상기 병자력관리부는
    상기 인적정보를 입력받는 병자력입력모듈;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하는 병자력저장모듈; 및
    전역한 군인의 인적정보를 삭제하는 전역자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는
    검색어를 입력받고, 상기 검색어에 대응되는 군인의 인적정보를 상기 병자력저장모듈에서 검색하는 병자력검색모듈;
    상기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이동정보와 상기 병자력저장모듈로부터 수신한 상기 인적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이동처리모듈; 및
    상기 병자력저장모듈로부터 상기 이동처리모듈로 송신되는 복수의 상기 인적정보를 저장하여 그룹화하는 그룹화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현황관리부는
    상기 이동처리모듈에서 생성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저장모듈;
    복귀한 군인의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복귀현황저장모듈; 및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편집 또는 삭제하는 이동현황수정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은 출타자데이터베이스와 열외자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목적이 휴가, 외박, 외출, 파견, 출장 또는 입창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는 출타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며, 상기 이동목적이 면회, 일직, 또는 상황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는 열외자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결산부는
    상기 이동현황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복귀한 군인의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로 이동시키는 복귀자결산모듈; 및
    상기 복귀현황저장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출력하는 복귀자출력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종합부는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상기 군인의 총원 수를 수신하는 총원파악모듈;
    상기 이동현황관리부로부터 이동한 군인의 수 및 이동한 군인의 소속을 수신하는 이동파악모듈; 및
    상기 총원파악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총원 수와 상기 이동파악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하는 종합출력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종합출력모듈은 상기 소속별로 상기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력 관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목적이 휴가, 외박, 외출, 또는 야근일 때 상기 출발시간은 특정시간으로 자동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력 관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역자처리모듈은 상기 군인의 전역일자와 현재일자를 비교하여 전역자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력 관리시스템.
  4. 군인의 이동현황을 관리하는 병력 관리시스템의 군인 관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병력 관리시스템은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관리하는 병자력관리부;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군인의 인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위병력관리부;
    상기 단위병력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저장하는 이동현황관리부;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를 관리하는 결산부; 및
    군인의 이동현황을 종합하는 종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군인 관리방법은
    상기 단위병력관리부의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병자력관리부로부터 상기 인적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군인의 이동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인적정보와 상기 이동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적 정보형태인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이동처리모듈이 상기 이동관리카드를 상기 이동현황관리부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이동현황관리부의 이동현황수정모듈이 복귀한 군인의 상기 이동관리카드에 복귀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결산부의 복귀자결산모듈이 상기 복귀한 군인의 이동관리카드를 복귀현황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종합부의 종합출력모듈이 상기 군인의 총원 수와 이동한 군인의 수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군인 관리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109308A 2015-08-03 2015-08-03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574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08A KR101574313B1 (ko) 2015-08-03 2015-08-03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9308A KR101574313B1 (ko) 2015-08-03 2015-08-03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313B1 true KR101574313B1 (ko) 2015-12-21

Family

ID=55083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9308A KR101574313B1 (ko) 2015-08-03 2015-08-03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3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JP2012203435A (ja) * 2011-03-23 2012-10-22 Seikatsu Kyodo Kumiai Coop Sapporo 職員情報提供サーバ、及び職員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02A (ko) * 2010-07-14 2012-01-20 주식회사 비즈엠텍 업무 관리 시스템
JP2012203435A (ja) * 2011-03-23 2012-10-22 Seikatsu Kyodo Kumiai Coop Sapporo 職員情報提供サーバ、及び職員情報提供処理プログラム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액셀출석부(디자인변경)(2014.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54243B2 (en) Providing recommended meeting parameters based on religious or cultural attributes of meeting invitees obtained from social media data
KR100768127B1 (ko) 가독성 데이터로부터 인간 관계를 추론하는 방법과 가독성데이터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내의 인물 식별을 통해태그를 부여하는 방법 및 시스템
Michael et al. Innovative Automatic Identification and Location-Based Services: From Bar Codes to Chip Implants: From Bar Codes to Chip Implants
CN108241737A (zh) 用于提供地点信息的系统和支持该系统的电子装置和方法
KR20230037675A (ko) 생성 방법, 프로그램, 정보처리 장치
Gulotta et al. Engaging with death online: An analysis of systems that support legacy-making, bereavement, and remembrance
US10235864B2 (en) Tracking items in a container
Habib et al. Development of Archiv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ith RFID and SMS Gateway Development of Archive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with RFID and SMS Gateway
Ismail et al. Perception of knowledge creation, knowledge management processes, technology and application in military organisations
Petrović et al. Smart technologies for COVID-19 indoor monitoring
Hsu et al. An RFID-based reminder system for smart home
KR101574313B1 (ko) 병력 관리시스템 및 방법
Friedewald et al. The brave new world of ambient intelligence: An analysis of scenarios regarding privacy, identity and security issues
US11132519B1 (en) Virtual asset tagging and augmented camera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Memon Smarter Healthcare Collaborative Network
Memon et al. RFID–based patient tracking for regional collaborative healthcare
Bates et al. Sustainable Platform Cooperativism: Towards social and environmental justice in the future of the gig-economy
Bernasconi et al. Making state violence visible: documenting, investigating and denouncing atrocities
JP5793465B2 (ja) 文章素材添付投稿方法、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を提供するサービス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1401047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Lewis-McCoy et al. Suburban Struggles Muted, During COVID-19
Kaur Mobile Technology with QR-codes to Enhance Usability in Health Work. A prototype for the DHIS2 AndroidTracker app.
Gonzalez et al. Supporting Immigrant Families in Houston
Reedy et al. An RFID-Based Reminder System for Smart Home
Götmark Coercion and population policies, Pa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