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255B1 -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255B1
KR101574255B1 KR1020090082578A KR20090082578A KR101574255B1 KR 101574255 B1 KR101574255 B1 KR 101574255B1 KR 1020090082578 A KR1020090082578 A KR 1020090082578A KR 20090082578 A KR20090082578 A KR 20090082578A KR 101574255 B1 KR101574255 B1 KR 101574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conversion
header
short
div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4542A (ko
Inventor
노재연
김문기
임철호
한경식
최근환
유재황
김민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25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4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4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04L69/166IP fragmentation; TCP segm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04W28/065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using assembly or disassembly of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제1디바이스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제2디바이스가 수신하여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근거리 무선 통신, IP, 패킷, 분할

Description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PACKET BASED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 근거리무선통신장치 및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은 지리적으로 한정된 범위 내에서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위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무선 인터넷(WLAN,Wireless LAN) 기술과 같은 종래 기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정보 전송률(Data Rate) 때문에 활용이 한정되어 있었으나, 점차 높은 정보 전송률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개발되고 다양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관련 기술들과 응용 방법이 연구됨에 따 라 그 활용 분야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 중 IEEE 802.15.4 규격은 근거리 저속, 저전력 통신을 위한 맥/물리 계층(MAC/PHY layer)을 정의한 규격으로서 저전력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센서 및 이동단말기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다. 현재, 이러한 IEEE 802.15.4를 활용한 주요 상위 어플리케이션으로 지그비(ZigBee) 통신 기술이 확산되어 있으나, 기타 IEEE 802.15.4를 활용한 다른 상위 프로토콜(Protocol)은 확산이 미미한 상태이다. 즉, IEEE 802.15.4 기반의 통신 기술은 저전력 특성을 활용하여 모바일 기기에 쉽게 탑재가 가능하나 정보 전송률과 상위 프로토콜의 제한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의 활용이 어렵다.
한편, Internet Protocol(IP)은 Ethernet 등을 이용한 인터넷 망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제정된 프로토콜로서, IP망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일반적으로 1500byte의 패킷 사이즈를 갖는 Ethernet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적용되고 있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과 IP 기반 네트워크 기술에 대한 융합 방안이 모색된다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활용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제1디바이스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 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면,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제2디바이스가 수신하여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여,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고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및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또 다른 목적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및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을 제공하여,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임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며,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제1디바이스; 및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제2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바이스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에 대한 분할을 수행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패킷을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에 전달하여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디바이스는,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로 변환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에 부가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는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는 패킷분할부;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패킷생성부; 및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패킷송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분할부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생성부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생성부는, 상기 패킷분할부에 의해 상기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변환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에 부가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송출부는, 상기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변환패킷의 기 정의된 송출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거나 또는 그룹캐스팅(Groupcasting)하거나 또는 인다이렉팅(Indirecting)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부; 상기 패킷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판단부; 및 상기 패킷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패킷조합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판단부는, 상기 패킷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킷조합부는, 상기 패킷판단부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 내 상기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ID정보를 갖는 변환패킷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변환패킷들의 헤더 내 상기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변환패킷들을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조합함으로써, 상기 IP 패킷을 복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은 제1디바이스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는 분할 단계;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제1디바이스가 생성한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송출 단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제2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디바이스가 수신된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단계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분할 단계에 의해 상기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변환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에 부가하여,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는 분할 단계;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 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할 단계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분할 단계에 의해 상기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변환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에 부가하여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 단계; 상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판단 단계는, 상기 수신 단계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상기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원 단계는, 상기 판단 단계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 내 상기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ID정보를 갖는 변환패킷들을 수집하는 단계와, 상기 수집된 변환패킷들의 헤더 내 상기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 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변환패킷들을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에 의하면,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할 때 IP 패킷 사이즈에 따라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여 IEEE 802.15.4 MAC/PHY 패킷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IP 패킷을 분할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적용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고, 아울러 모바일 기기에서 저전력 통신기술인 IEEE 802.15.4를 사용하면서도 IP 망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며,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하는 제1디바이스(100)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제2디바이스(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는, 제1디바이스(100) 및 제2디바이스(200)가 상호 간에 근거리 무선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네트워크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제1디바이스(100) 및 제2디바이스(200)는 상호 동일한 구성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측이 제1디바이스(100)이고, 수신측이 제2디바이스(200)인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1디바이스(100)는, 제2디바이스(20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며,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변환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한다.
이를 위해, 제1디바이스(100)는 IEEE 802.15.4 MAC/PHY 계층과 IP 패킷을 전달하는 상위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 사이에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을 마련하고, 상기 마련된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이하 PAL 이라 함) 기능을 기반으로 패킷의 분할(Fragmentation) 및 변환패킷을 생성하여, 상위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의 IP 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에 전달한다.
즉, 제1디바이스(100)는, PAL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에서 전달되는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IP 패킷에 대한 분할을 수행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하고, 생성된 변환패킷을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에 전달한다.
이때, 제1디바이스(100)는,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로 변환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 각각에 부가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디바이스(100)는, 변환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디바이스(100)는, PAL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변환패킷을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에 전달함으로써,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거나 또는 그룹캐스팅(Groupcasting)하거나 또는 인다이렉팅(Indirecting)한다.
제2디바이스(2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수신하며, 수신된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한다. 이에, 제2디바이스(200)는 제1디바이스(100)로부터 송출된 데이터 패킷 즉 변환패킷을 조합하여 IP 패킷을 복원함으로써, 복원된 IP 패킷에 따른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처리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송출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측으로 언급된 제1디바이스의 참조번호(100)를 언급하여 도 2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100)는,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는 패킷분할부(110)와,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패킷생성부(120)와, 상기 변환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하는 패킷송출부(130)를 포함한다.
패킷분할부(110)는,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에 따라 상기 IP 패킷을 분할한다. 즉, 패킷분할부(110)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에서 전달되는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한다.
여기서, 분할적용사이즈는,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지원하는 IEEE 802.15.4 MAC/PHY 계층의 전송가능 사이즈에 해당하며, 이는 현재 사용되는 IEEE 802.15.4 MAC/PHY 계층의 패킷 사이즈를 토대로 획득하여 기 정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IEEE 802.15.4 MAC/PHY 계층에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사이즈가 127 bytes이고, MAC 헤더가 평균 13 bytes(frame control 2bytes, sequence number 1bytes, destination PAN ID 2bytes, source PAN ID 2bytes, destination address 2bytes, source address 2bytes, FCS 2bytes로 전부 13bytes의 헤더 길이가 예상됨)를 필요로 하므로, 114 bytes 또는 113 bytes를 분할적용사이즈로 기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할사이즈는, 후술의 패킷생성부(120)가 생성하는 IEEE 802.15.4 MAC/PHY 계층의 전송가능 사이즈의 변환패킷에서 변환헤더가 차지하는 사이즈를 제외한 사이즈에 해당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IEEE 802.15.4 MAC/PHY 계층에서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사이즈가 127 bytes이고, MAC 헤더가 평균 13 bytes를 필요로 하므로, 114 bytes에서 변환헤더가 차지하게 될 사이즈(예 : 6 bytes)를 제외한 108 bytes를 분할사이즈로 기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PAL 기반으로 동작하는 패킷분할부(110)는, 상부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에서 전달되는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인 경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예 : 108 bytes)를 갖도록 분할한다. 여기서,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IP 패킷은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미만일 수도 있으나, MPEG2-TS 계층으로부터 전달되는 IP 패킷은 사이즈가 매우 크기 때문에 대부분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에 해당할 것이다.
패킷생성부(120)는,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패킷분할부(110)에서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한다. 즉, 패킷생성부(120)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한다.
여기서,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 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PAL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패킷생성부(120)는, 패킷분할부(110)에 의해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IP 패킷의 압출된 헤더+IP 패킷의 분할된 페이로드)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로 지정하고,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PAL header)를 생성하여, 변환헤더를 변환페이로드 각각에 부가하여 변환패킷(PAL 패킷)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TCP/IP 계층으로부터 1500 bytes 사이즈(length)를 갖는 도 4와 같은 IP 패킷(3)이 전달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패킷분할부(110)는 IP 패킷(3)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IP 패킷(3)의 헤더(Header)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3)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예 : 108 bytes)를 갖도록 분할할 것이다. 이에, 패킷생성부(120)는, 패킷분할부(110)에 의해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패킷들(IP 패킷의 압출된 헤더+IP 패킷의 분할된 페이로드)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로 지정하고 6 bytes 변환헤더(PAL header)를 생성하여 각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에 부가함으로써 변환패킷(3a, 3b...3n)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패킷생성부(120)가 생성하는 변환헤더(PAL header, 5a)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Frame control field와 Fragmentation subhead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참고로, 도 5는 IP 패킷을 패킷분할부(110)에서 분할함에 따라 패킷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변환패킷(PAL 패킷)을 도시하고 있으므로, 변환헤더(PAL header)에 Frame control field와 Fragmentation subheader가 포함되어 있 다.
패킷생성부(120)의 변환헤더(PAL header) 생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킷생성부(120)는,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패킷을 생성함에 있어서 Frame control field를 설정/생성한다.
이러한 Frame control field는,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변환패킷에 따른 프레임이 Data Frame인지 Command Frame인지, Command Frame이면 세부적으로 어떤 종류의 command인지를 구별하여 나타내는 Type field와, Unicast, Indirect, Broadcast, Groupcast 등 송출 방식을 나타내는 Delivery mode field와, 송신측에서 어떤 layer가 PAL 위에 있는지를 알려주어 수신 시 변환헤더(PAL header) 다음에 어떤 header가 압축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Next header field와, Frame control field 직후에 Fragmentation subheader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즉 PAL에서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Fragmentation flag field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원정보에 해당하는 분할플래그정보는, Fragmentation flag field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한다.
참고로, 변환헤더(PAL header)에 포함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세부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Frame control field의 Type field에는, 도6의 6a-1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변환패킷에 따른 프레임이 Data Frame이면 '00', Command Frame이면 '01', Acknowlegement Frame이면 '10'이 설정될 것이고, Frame control field의 Delivery mode field에는, 도6의 6a-2에서 알 수 있듯이 Unicast 송출 방식이면 '00', Indirect 송출 방식이면 '01', Broadcast 송출 방식이면 '10', Groupcast 송출 방식이면 '11'이 설정될 것이고, Frame control field의 Next header field에는, 도6의 6a-3에서 알 수 있듯이 변환헤더(PAL header) 다음에 TCP/IP header가 압축되어 있으면 '1', UDP/IP header가 압축되어 있으면 '2', ICMP/IP header가 압축되어 있으면 '3', MPEG2-TS header가 압축되어 있으면 '4', TCP/IP header 또는 UDP/IP header 또는 ICMP/IP header가 압축되어 있지 않으면 '5', MPEG2-TS header가 압축되어 있지 않으면 '6'이 설정될 것이고, Frame control field의 Fragmentation flag field에는, 도6의 6a-4에서 알 수 있듯이 PAL 기반에서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된 패킷이면 '1', 분할된 패킷이 아니면 '0'이 설정될 것이다.
그리고, Frame control field를 설정한 후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된 패킷이면 패킷생성부(120)는,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를 설정/생성한다.
이러한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는,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Fragmentation value field와,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Total length field와,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나타내는 Packet ID field와,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Fragment offset field를 포함한다. 여기서, 복원정보에 해당하는 분할등급정보는 Fragmentation value field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고, 복 원정보에 해당하는 전체길이정보는 Total length field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고, 복원정보에 해당하는 패킷ID정보는 Packet ID field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하고, 복원정보에 해당하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는 Fragment offset field에 기록되는 정보에 대응한다.
즉, 변환헤더(PAL header)에 포함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세부 내용을 보이는 도 6의 6b-1에서 알 수 있듯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Fragmentation value field에는,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이면 '00',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이면 '10',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이면 '01'이 설정될 것이다.
그리고,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Total length field에는,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예 : 도 4의 경우 1500 bytes length)가 설될 것이다. 그리고, 상위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에서 전달된 하나의 IP 패킷 내 페이로드가 분할되었을 때 그 분할된 각각의 페이로드들은 0 ~ 65535범위의 값 중에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부여 받은 동일한 패킷 ID를 지니게 되며, PAL 기반 패킷생성부(120)는 상위 계층으로부터 전달된 각 IP 패킷에 대해서 0 ~ 65535범위의 값을 순차적으로 1씩 증가시켜 부여할 것이다. 따라서,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Packet ID field에는,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부여된 패킷 ID(예 : 0x5DC)가 설정될 것이다. 그리고,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Fragment offset field에는,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으로부터 분할 된 순번을 의미하는 정보 즉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가 설정된다. 이는, 분할 전 해당 IP 패킷으로부터 분할된 하나의 페이로드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분할된 페이로드와의 조합(reassembling) 과정을 거쳐야만 하나의 original 페이로드로의 복원이 가능한데, 이 original 페이로드의 분할된 페이로드들은 Packet ID field에 동일한 패킷ID정보를 지니기 때문에, 분할된 각각의 페이로드들은 서로 다른 offset 숫자를 가져야만 순서에 맞게 조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처음 분할된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Fragment offset field에는 '0', 그 다음 두번째 분할된 페이로드에 대응하는 Fragment offset field부터 1~255 범위의 정보가 순차적으로 부여될 것이다.
이에, TCP/IP 계층으로부터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인 1500 bytes 사이즈(length)를 갖는 도 4와 같은 IP 패킷(3)이 전달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패킷분할부(110)는 IP 패킷(3)의 헤더(Header)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3)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예 : 108 bytes)를 갖도록 분할하고, 패킷생성부(120)는,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패킷들(IP 패킷의 압출된 헤더+IP 패킷의 분할된 페이로드)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로 지정하고, 아래의 예시1.과 같이 Frame control field의 Type field, Delivery mode field, Next header field, Fragmentation flag field을 설정하고, 분할 과정에 대응하여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Fragmentation value field, Total length field, Packet ID field, Fragment offset field를 설정하여 6 bytes 변환헤더(PAL header, 도 5의 5a)를 생성하여 각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 도 5의 5b)에 부가함으로써 변환패킷(도 4의 3a, 3b...3n)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TCP/IP 계층으로부터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미만인 IP 패킷이 전달되는 경우라면, 패킷분할부(110)는 IP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지 않고, 패킷생성부(120)는, 아래의 예시2.와 같이 Frame control field의 Type field, Delivery mode field, Next header field, Fragmentation flag field을 설정하고,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는 생성하지 않는다. 이에, 패킷생성부(120)는, 분할되지 않은 IP 패킷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에 지정하고 Frame control field를 포함하는 변환헤더(PAL header)를 갖는 변환패킷(PAL packet)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시1.
Type field Delivery mode field Next header field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
0b00(data) 0b00(Unicast) 0b001(TCP/IP) 0b1(Frag.)
예시2.
Type field Delivery mode field Next header field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
0b00(data) 0b00(Unicast) 0b001(TCP/IP) 0b0(Not Frag.)
패킷송출부(130)는, PAL 기반으로 동작한 패킷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변환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한다. 즉,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패킷생성부(120)의 변환패킷을 기 정의된 송출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거나 또는 그룹캐스팅(Groupcasting)하거나 또는 인다이렉팅(Indirec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시1.에서와 같이 현재 변환패킷의 송출방식이 Unicast인 경우, 패킷송출부(130)는, 패킷생성부(120)에서 생성된 변환패킷을 유니캐스팅(Unicasting)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수신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측으로 언급된 제2디바이스의 참조번호(200)를 언급하여 도 3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무선통신장치(2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수신부(210)와, 패킷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패킷판단부(220)와, 패킷판단부(220)의 판단 결과 상기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변환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패킷조합부(230)를 포함한다.
패킷판단부(220)는, 패킷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패킷판단부(220)는, 패킷수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패킷판단 부(220)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Frame control field에서 Next header field를 확인하여 헤더 다음에 어떤 header(예 : TCP/IP header)임을 인지하고, Fragmentation flag field를 확인하여 '0b1'인 경우 해당 데이터 패킷이 소정의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인 것으로 인지함으로써,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패킷조합부(230)는, 패킷판단부(220)의 판단 결과 해당 데이터 패킷이 분할 처리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데이터 패킷(이하, 변환패킷(PAL packet)이라 함)의 헤더(이하에서는 변환헤더(PAL header)라 함)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타 변환패킷과 조합함으로써,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한다.
즉, 패킷조합부(230)는,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내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를 토대로 동일한 패킷ID정보를 갖는 변환패킷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변환패킷들의 헤더 내 복원정보에 포함된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수집된 변환패킷들을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하여 조합함으로써,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패킷조합부(230)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 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에서 Packet ID field를 확인하여 동일한 패킷ID정보가 설정된 변환패킷들을 수집한다. 그리고, 패킷조합부(230)는, 수집된 변환패킷들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value field 및 Fragment offset field를 확인하여 수집된 변환패킷들을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한다. 예를 들어,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0'이면서 Fragment offset field의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가 '0x0'인 변환패킷은 조합 처리를 위한 가장 첫번째 패킷이고,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p'인 변환패킷들은 조합 처리를 위한 중간 패킷들이므로 Fragment offset field의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에 따라 정렬하고,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2'인 변환패킷이 조합 처리를 위한 가장 마지막 패킷이 되도록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한다. 그리고, 패킷조합부(230)는, 정렬한 변환패킷들의 사이즈(length)를 확인하고,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에서 Total length field에 설정된 전체길이정보와 정렬한 변환패킷들의 사이즈(length)가 일치하면 조합 처리를 종료하고, 이에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
한편, 패킷조합부(230)는, 패킷판단부(220)의 판단 결과 해당 데이터 패킷이 분할 처리되지 않은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즉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Frame control field에서 Fragmentation flag field를 확인한 결과 '0b0'이 설정된 경우, 송신 측에서 분할 처리를 적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전술의 조합 처리 없이 패킷을 처리하여 원래의 IP 패킷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전술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거리무선통신장치(100,200)는 단일장치로 마련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즉, 근거리무선통신장치(100)의 패킷송출부(130)가 패킷수신부(210)의 기능을 구비하고, 근거리무선통신장치(100)가 패킷판단부(220) 및 패킷조합부(230)를 구비함으로써, 단일화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할 때 IP 패킷 사이즈에 따라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여 IEEE 802.15.4 MAC/PHY 패킷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은, IP 패킷을 분할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적용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고, 아울러 모바일 기기에서 저전력 통신기술인 IEEE 802.15.4를 사용하면서도 IP 망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을 설명하면, 제1디바이스(100)는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가 분할 처리를 적용해야하는 사이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 판단 결과 분할 처리를 적용해야하는 경우, 제1디바이스(100)는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한다(S20). 물론, 분할 처리를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사이즈인 경우, 제1디바이스(100)는 IP 패킷을 분할하지 않고 IP 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하여 송출할 것이다(S15).
S20단계 후, 제1디바이스(100)는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분할된 패킷에 부가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한다(S30). 그리고, 제1디바이스(100)는 생성한 변환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한다(S40).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되는 데이터 패킷을 제2디바이스(200)가 수신하면(S50), 제2디바이스(200)는 수신된 데이터 패킷이 분할 처리된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60). 분할 처리된 변환패킷이라고 판단되면, 제2디바이스(200)는,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한다(S70).
이에, 제2디바이스(200)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되어 복원된 IP 패킷에 따른 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 프로세스를 처리하게 된다(S80).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패킷 송출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는 전술의 S10단계 내지 S40단계에 대응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가 분할 처리를 적용해야하는 사이즈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00). 즉,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예 : TCP/IP 계층, 또는 UDP/IP 계층, 또는 ICMP/IP 계층, 또는 MPEG2-TS 계층)에서 전달되는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에,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을 분할한다(S110). 즉,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예 : 108 bytes)로 분할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PAL header)를 생성한다(S120). 여기서,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 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S120단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먼저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패킷을 생성함에 있어서 Frame control field를 설정/생성한다. 이러한 Frame control field는, 전술에서 도 5 및 도 6을 언급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Frame control field의 각 필드(Field)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Frame control field를 설정한 후 해당 변환패킷이 분할된 패킷이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를 설정/생성한다. 이러한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는, 도 5 및 도 6을 언급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의 각 필드(Field)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처럼 S120단계에서 변환헤더(PAL header)를 생성한 후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변환패킷을 생성한다. 즉,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S110단계에 의해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IP 패킷의 압출된 헤더+IP 패킷의 분할된 페이로드)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로 지정하고, S120단계에서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한 변환헤더(PAL header)를 변환페이로드 각각에 부가하여 변환패킷(PAL 패킷)을 생성한다(S130).
예를 들어, TCP/IP 계층으로부터 1500 bytes 사이즈(length)를 갖는 도 4와 같은 IP 패킷(3)이 전달되는 경우를 설명하면, 패킷분할부(110)는 IP 패킷(3)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이라고 판단하고 IP 패킷(3)의 헤더(Header)를 압축하고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여, IP 패킷(3)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예 : 108 bytes)를 갖도록 분할할 것이다. 이에, 패킷생성부(120)는, 패킷분할부(110)에 의해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패킷들(IP 패킷의 압출된 헤더+IP 패킷의 분할된 페이로드)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로 지정하고 6 bytes 변환헤더(PAL header)를 생성하여 각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에 부가함으로써 변환패킷(3a, 3b...3n)을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PAL 기반으로 생성된 변환패킷을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송출한다(S140). 즉,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변환패킷을 기 정의된 송출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거나 또는 그룹캐스팅(Groupcasting)하거나 또는 인다이렉팅(Indirecting)할 수 있다.
한편, S100단계에서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예 : 113 bytes)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IP 패킷의 페이로드(Payload)를 분할하지 않고, 패킷생성부(120)는, 전술의 예시2.와 같이 Frame control field의 Type field, Delivery mode field, Next header field, Fragmentation flag field을 설정하고,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는 생성하지 않는다. 이에,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분할되지 않은 IP 패킷을 변환페이로드(PAL payload)에 지정하고 Frame control field를 포함하는 변환헤더(PAL header)를 갖는 변환패킷(PAL packet)을 생성하여 일반 데이터 패킷으로서 송출할 수 있다(S150).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패킷 수신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흐름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는 전술의 S50단계 내지 S70단계에 대응될 것이다.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판단하여(S200),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이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10). 즉,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데이터 패킷이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1)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Frame control field에서 Next header field를 확인하여 헤더 다음에 어떤 header(예 : TCP/IP header)임을 인지하고, Fragmentation flag field를 확인하여 분팔플래그정보가 '0b1'인 경우 해당 데이터 패킷이 소정의 전송대상 IP 패킷을 분 할하여 생성된 변환패킷인 것으로 인지함으로써, 변환패킷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S210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데이터 패킷이 분할 처리된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해당 데이터 패킷(이하, 변환패킷(PAL packet)이라 함)의 헤더(이하에서는 변환헤더(PAL header)라 함)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타 변환패킷과 조합함으로써,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한다(S220~S250).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에서 Packet ID field를 확인하여 동일한 패킷ID정보가 설정된 변환패킷들을 수집한다(S220). 그리고,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수집된 변환패킷들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value field 및 Fragment offset field를 확인하여 분할등급정보 및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에 기초하여 수집된 변환패킷들을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한다(S230). 예를 들어,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0'이면서 Fragment offset field의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가 '0x0'인 변환패킷은 조합 처리를 위한 가장 첫번째 패킷이고,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p'인 변환패킷들은 조합 처리를 위한 중간 패킷들이므로 Fragment offset field의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에 따라 정렬하고, Fragmentation value field의 분할등급정보가 '0x2'인 변환패킷이 조합 처리를 위한 가장 마지막 패킷이 되도록 분할 순서에 따라 정렬한다. 그 리고,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정렬한 변환패킷들의 사이즈(length)를 확인하고,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내 Fragmentation subheader field에서 Total length field에 설정된 전체길이정보와 정렬한 변환패킷들의 사이즈(length)가 일치하는지 판단하여(S240), 일치하면 조합 처리를 종료하고 이에 원래의 IP 패킷을 복원하는 결과를 얻게 된다(S250).
한편, S210단계에서 판단 결과 해당 데이터 패킷이 분할 처리되지 않은 변환패킷에 해당하는 경우, 즉 수신된 데이터 패킷의 헤더 내 Frame control field에서 Fragmentation flag field를 확인한 결과 '0b0'이 설정된 경우, 송신 측에서 분할 처리를 적용하지 않음을 의미하므로, 본 발명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은, 전술의 조합 처리 없이 패킷을 처리하여 원래의 IP 패킷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은,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할 때 IP 패킷 사이즈에 따라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여 IEEE 802.15.4 MAC/PHY 패킷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은, IP 패킷을 분할하여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효율적으로 전송함으로써,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적용 범위를 효과적으로 넓힐 수 있고, 아울러 모바 일 기기에서 저전력 통신기술인 IEEE 802.15.4를 사용하면서도 IP 망을 활용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근거리무선통신장치에서 IP 패킷을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고자 할 때 IP 패킷 사이즈에 따라 IP 패킷을 분할(Fragmentation)하여 사이즈를 줄여 IEEE 802.15.4 MAC/PHY 패킷에 탑재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의 패킷을 지원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IP 패킷을 전송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의 적용 범위 확대 및 효율 증대, 및 성능 개선, 이용자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 및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 송출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 수신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위 계층에서 전달된 IP 패킷 및 분할된 변환패킷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변환패킷의 변환헤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헤더에 포함되는 각 필드(Field)에 대한 세부 내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전체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 송출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패킷 수신측의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100 : 제1디바이스 200 : 제2디바이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기 위해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Fragmentation)하는 패킷분할부;
    상기 IP 패킷의 분할한 각 페이로드와 상기 IP 패킷의 압축한 헤더로 이루어진 변환페이로드에,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부가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패킷생성부; 및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패킷송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분할부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생성부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킷송출부는,
    상기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기반으로 하는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변환패킷의 기 정의된 송출방식에 따라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하거나 또는 유니캐스팅(Unicasting)하거나 또는 그룹캐스팅(Groupcasting)하거나 또는 인다이렉팅(Indirect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9. 제 4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1디바이스가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기 위해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Fragmentation)하는 분할 단계;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상기 IP 패킷의 분할한 각 페이로드와 상기 IP 패킷의 압축한 헤더로 이루어진 변환페이로드에,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부가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상기 제1디바이스가 생성한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송출 단계;
    상기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되는 상기 변환패킷을 제2디바이스가 수신하는 수신 단계; 및
    상기 제2디바이스가 수신된 상기 변환패킷의 변환헤더에 포함된 복원정보를 기반으로 변환패킷을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는 복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계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상기 분할 단계에 의해 상기 분할사이즈를 갖도록 분할된 적어도 하나의 패킷을 변환페이로드로 하고, 상기 분할에 대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변환페이로드에 부가하여,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방법.
  16. 전송대상 IP 패킷의 사이즈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기 위해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Fragmentation)하는 분할 단계;
    상기 IP 패킷의 분할한 각 페이로드와 상기 IP 패킷의 압축한 헤더로 이루어진 변환페이로드에, 상기 IP 패킷의 분할상태를 조합(Reassembling)하여 상기 IP 패킷을 복원하기 위한 복원정보를 포함하는 변환헤더를 부가하여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생성 단계; 및
    상기 변환패킷을 상기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하는 송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단계는,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PAL:Protocol Adaptation Layer) 기능을 기반으로, 상부 계층에서 전달되는 상기 IP 패킷의 사이즈가 기 정의된 분할적용사이즈 이상인 경우 상기 IP 패킷의 헤더를 압축하고 상기 IP 패킷의 페이로드를 분할하여 상기 IP 패킷을 기 정의된 분할사이즈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단계는,
    상기 프로토콜 어댑테이션 계층 기능을 기반으로, 하부 계층에 위치한 IEEE 802.15.4 MAC/PHY 계층을 지원하는 상기 변환패킷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
  19. 삭제
  20. 제 16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정보는,
    분할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플래그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첫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마지막 번째 변환패킷인지 또는 첫 번째와 마지막 번째의 사이의 변환패킷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분할등급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의 사이즈를 나타내는 전체길이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을 의미하는 패킷ID정보, 분할 전 해당 IP 패킷에 대응하여 분할 순서를 나타내는 프레그먼트오프셋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무선통신장치의 패킷 전송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0082578A 2009-09-02 2009-09-02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74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578A KR101574255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2578A KR101574255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542A KR20110024542A (ko) 2011-03-09
KR101574255B1 true KR101574255B1 (ko) 2015-12-04

Family

ID=43932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2578A KR101574255B1 (ko) 2009-09-02 2009-09-02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7398B1 (ko) * 2013-12-12 2020-09-17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컨텐츠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66115B1 (ko) 2016-03-10 2023-08-14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다중 사용자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단말
JP6759354B2 (ja) * 2016-04-04 2020-09-23 ウィルス インスティテュート オブ スタンダーズ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フラグメンテーションを利用する無線通信方法及びそれを使用する無線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4542A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52560B2 (en) Bi-directional packet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RU2677976C2 (ru) Фрагментация данных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для много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х сетей
EP24640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der compression in network relay scenarios
US8670369B2 (en) Method, relay node, and system for processing data on relay link
EP2854359B1 (en) Compression and decompression methods of ethernet header and corresponding devices
US200500740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protocols for a multimedia broadcast/multicast service
JP2004173229A (ja) パケット圧縮方式及びパケット復元方式並びにパケット圧縮方法及びパケット復元方法
WO2016141793A1 (zh) 一种空口协议栈的配置方法、数据传输方法及设备
WO2021026939A1 (zh) 以太帧头的压缩、解压方法和装置
Abdelfadeel et al. Lschc: Layered static context header compression for lpwans
JP2022501945A (ja) 通信方法及びデバイス
KR101574255B1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1157190A2 (zh) 数据接收处理方法及装置
Awwad et al. Second and subsequent fragments headers compression scheme for IPv6 header in 6LoWPAN network
Fortuna et al. Header compressed VoIP in IEEE 802.11
KR101590373B1 (ko)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 기반 패킷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Yoon et al. Header Compression Method and Its Performance for IP over Tactical Data Link
Awwad et al. The integrated versus standalone operation mode for second and subsequent fragments headers compression scheme in 6LoWPAN
CN106332179B (zh) 一种报文压缩方法及移动终端
Kim et al. Dynamic adjustment of optimistic parameter of ROHC for performance improvement
WO2017113342A1 (zh) 数据包传输方法及装置
Yoon et al. Header compression for resource and energy efficient ip over tactical data link
KR20090085407A (ko) 광대역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종단 간 압축 채널 구성을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50046483A (ko) 점대점 모드의 멀티미디어 방송/멀티캐스트 서비스를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ZA200403512B (en) Bi-directional packet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