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198B1 -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198B1
KR101574198B1 KR1020150092964A KR20150092964A KR101574198B1 KR 101574198 B1 KR101574198 B1 KR 101574198B1 KR 1020150092964 A KR1020150092964 A KR 1020150092964A KR 20150092964 A KR20150092964 A KR 20150092964A KR 101574198 B1 KR101574198 B1 KR 101574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hacking
communication
monitor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근
홍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엔티
Priority to KR1020150092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4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5Protection from unauthorised access, e.g. eavesdrop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80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 H04B10/801Optical 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optical transmission for specific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B10/03 - H04B10/70, e.g. optical power feeding or optical transmission through water using optical interconnects, e.g. light coupled isolators,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케이블에 전송되는 광신호의 일부만을 불법으로 검출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광케이블의 해킹을 방지하면서 광케이블망의 보안을 철저하게 유지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는 상기 광선로 감시시스템이 적용된 광선로를 운용함에 있어 통신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광섬유를 구부려 광신호의 일부만을 검출하여 전송중인 데이터를 100% 수신하며, 해킹 파장을 입사하여 통신을 교란하는 불법적인 광케이블의 해킹이 자행되됨으로써 광신호에 실린 데이터의 분석으로 정보를 유출하고, 통신서비스의 장애를 초래하며, FTTH 서비스를 부정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주요 시설물(통신실, 인공 등)의 불법적인 개방시 광어댑터에 접속된 해킹 반사필터가 분리되면서 반사파형이 변화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감시하고, 이를 자동으로 통보하여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Hacking monitoring system of optical cable}
본 발명은 광케이블에 전송되는 광신호의 일부만을 불법으로 검출하여 데이터를 100% 수신하거나 해킹 광신호를 입사하여 통신서비스를 교란하는 광케이블의 해킹을 감시하면서 광케이블망의 보안을 철저하게 유지하는 신개념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유선통신망이 광케이블로 구축되고 있으며, 모든 산업분야인프라시설들이 광통신망과 연계되어 각종 서비스들이 제공되고 있어 광통신망 장애로 인한 피해는 경제적, 사회적으로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광통신망의 기초 인프라인 광케이블은 옥외 가공, 지하, 교량 , 직매 등의 형태로 시설되어 있어, 운용환경이 매우 열악하며, 관리가 어렵고, 광케이블루트 변형공사 증가, 광분기에 의한 복잡한 선로구성, 케이블매설지역의 유관공사 등이 설비의 운용성을 저해하며, 시설의 보존 관리업무를 어렵게 하고 있다.
또한, 광케이블은 경년변화에 따른 열화로 기계적 특성이나 광학적 특성변화로 안정적인 운용이 어렵고, 외부 물리적인 영향으로 인한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통신사업자의 운용보전 분석에 따르면, 광통신망 장애는 광케이블 고장이 90%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광케이블망의 신뢰성을 높이고, 광선로망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해, 광선로망을 자동 및 원격으로 감시하여, 경년변화에 따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고, 신속한 고장위치 추적, 광케이블 보전업무지원, 선로시설 관리 업무 효율화 등 광선로 운용상황을 통합적으로 관제하는 시스템들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관련한 선행기술로는 본 발명 출원인의 선등록 발명인 「특허등록 제1030109호, 명칭/ 연속되는 다수의 통신링크 단위구간에서의 통신서비스 중인 운용 광심선을 감시하는 감시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시험장치(OTDR)를 이용하여 광선로에 설치된 감시필터에 감시파장을 입사한 후 상기 광선로를 따라 진행하게 하면서 발생하는 후방산란광을 분석하여 광케이블의 운용 광심선들을 자동ㆍ원격으로 감시하여 물리적 또는 경년변화에 따른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근자에는 상기 광선로 감시시스템이 적용된 광선로를 운용함에 있어 통신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도 10과 같이 불법으로 광섬유를 구부려 광신호의 일부만을 검출하여 전송중인 데이터를 100% 수신하며, 해킹 파장을 입사하여 통신을 교란하는 불법적인 광케이블의 해킹이 자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케이블의 해킹은 광전송장치의 광신호들을 검출·복조함으로써 광신호에 실린 데이터의 분석으로 정보를 유출하고, 광신호들을 교란시켜 통신서비스의 장애를 초래하며, FTTH 서비스를 부정으로 사용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현재까지 보안대책이 강구되어온 서버나 컴퓨터, 네트워크 장비들은 단위별 통신 데이타들을 해킹되는 것에 반해 광케이블의 해킹은 광심선을 전반하는 광신호를 검출하기 때문에 한번의 해킹으로 광전송장비가 수용하는 많은 통신 데이타들을 한번에 해킹할 수 있다.
따라서 광통신망의 가입자는 해킹으로부터 안정한 망을 요구하고 있고, 통신사업자는 상기 광통신망을 해킹으로부터 보호하여야만 가입자들이 안심하고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광케이블망에서 불법으로 자행되는 해킹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함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광심선 중간에서 광신호를 검출하는 광섬유 클립에 의한 광심선 밴딩에 따른 손실변화, 주요 시설물(통신실, 인공 등)의 불법적인 개방시 광심선 종단의 광어댑터에 접속된 해킹 반사필터가 분리되면서 반사파형이 변화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감시하고, 이를 자동으로 통보하여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통신 장비(광분배함(OFD), 광접속함체 등)의 불법적인 개방시 광어댑터를 매개로 연결된 한 쌍의 광커넥터 간이 상호 분리되면서 광심선이 단선상태로 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감시하고, 이를 자동으로 통보하여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주요 시설물의 도어나 덮개에 해킹 반사필터를 부착하고, 상기 해킹 반사필터는 주요 시설물의 도어틀이나 입출구에 부착된 광어댑터의 일측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광어댑터의 타측에는 통신센터의 시험장치와 접속된 광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된 광커넥터를 끼움 결합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광통신 장비의 커버에는 건물 통신실의 광전송장치나 가입자의 댁내로 접속된 광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된 제1 광커넥터를 부착하고, 상기 제1 광커넥터는 광통신 장비의 함체에 부착된 광어댑터의 일측에 끼움 결합하며, 상기 광어댑터의 타측에는 통신센터의 시험장치와 접속된 광케이블의 선단에 연결된 제2 광커넥터를 끼움 결합하는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케이블망에서의 불법적인 해킹을 방지함으로써 정보의 유출을 차단하고, 통신서비스의 장애를 해소하여 고품질의 FTTH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신업자는 주요 고객에게 보안대책이 강구된 전용망을 임대하여 부가가치를 향상함은 물론 가입자는 안심한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며, FTTH 서비스의 부정사용을 금지하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고, 국가기간통신망의 쾅케이블 해킹을 방지함으로써 불순분자에 의한 국가 안보에 관한 정보유출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광선로 해킹 보안시스템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킹 보안시스템의 분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킹 보안시스템의 조립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킹 반사필터의 분리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킹 보안시스템의 분해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킹 보안시스템의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1 광커넥터의 분리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광케이블의 해킹 예방을 나타낸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의 해킹 반사필터를 대신하여 더미 광섬유가 적용된 해킹 보안시스템의 분해상태도
도 10은 종래의 광케이블 해킹 원리를 나타낸 개요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광선로 감시시스템, 해킹 반사필터(10), 광어댑터(20), 광커넥터(30)의 구성요소로 대분 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도록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해킹 보안시스템이 적용되는 광선로 감시시스템은 도 1과 같이 시험장치(1)를 이용하여 광선로에 설치된 감시필터반(2)에 감시파장을 입사한 후 상기 광선로를 따라 진행하게 하면서 발생하는 후방산란광을 분석하여 광케이블의 운용 광심선들을 자동ㆍ원격으로 감시하는 기술이다.
이와 같은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적용되는 주요 시설물(F)의 도어(41)나 덮개(51)에는 도 3과 같이 해킹 반사필터(10)가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요 시설물(F)의 도어(41)나 덮개(51)와 조합을 이루는 도어틀(42)이나 출입구(52)에는 광어댑터(2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광어댑터(20)의 일측에는 상기 해킹 반사필터(10)가 끼움 결합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해킹 반사필터(10)를 대신하여 도 9와 같은 더미 광섬유(10a)가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주요 시설물(F)은 도 1과 같이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적용되는 통신실(40)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통신실(40)에는 출입을 위한 도어(41) 및 도어틀(42)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통신실(40)에 구비된 도어(41)의 불법적인 개방을 감시하는 방법을 통해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주요 시설물(F)로는 지하에 매설되는 인공(50)이 적용될 수 있고, 상기 인공(50)에는 사람의 출입을 위한 덮개(51) 및 입출구(5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인공(50)에 구비된 덮개(51)의 불법적인 개방을 감시하는 방법을 통해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광어댑터(20)의 타측에는 상기 시험장치(1)와 접속되는 광케이블(3)의 선단에 연결된 광커넥터(3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해킹 반사필터(10) 및 광커넥터(30)는 광어댑터(20)를 매개로 상호 일체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요 시설물(F)의 도어(41)나 덮개(51)를 해커가 불법으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도어(41)나 덮개(51)에 일체로 부착된 해킹 반사필터(10)가 도 4와 같이 광어댑터(20)에서 분리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반사파형이 변화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상기 시험장치(1)가 즉시 감시함으로써 상기 도어(41)나 덮개(51)의 불법적인 개방 여부를 자동으로 통보함으로써 광선로의 불법적인 해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커넥터(30)는 SC, FC, LC, MT, MPO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광커넥터(30)의 핵심부품으로 섬유와 소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페룰은 PC, A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해킹 보안시스템은 도 5 내지 도 7과 같은 다른 실시 예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적용된 광통신 장비(C)의 불법적인 개방 여부를 감시함으로써 해킹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기술구성으로 상기 도 1과 같이 건물 통신실(4)이나 가입자의 댁내(5)로 접속된 광케이블(3a)의 선단에는 제1 광커넥터(100)가 연결되고, 상기 제1 광커넥터(100)는 다양한 광통신 장비(C)의 커버(61)에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광통신 장비(C)의 커버(61)와 조합을 이루는 함체(62)에는 광어댑터(200)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광어댑터(200)의 일측에는 상기 제1 광커넥터(100)가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광통신 장비(C)는 도 1과 같이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적용되는 광분배함(60)이 적용되고, 상기 광분배함(60)에는 커버(61) 및 함체(6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광분배함(60)에 구비된 커버(61)의 불법적인 개방을 감시하는 방법을 통해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광통신 장비(C)로는 광접속을 위한 광접속함체(70)가 적용되고, 상기 광접속함체(70)에는 커버(71) 및 함체(72)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광접속함체(70)에 구비된 커버(71)의 불법적인 개방을 감시하는 방법을 통해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광어댑터(200)의 타측에는 상기 시험장치(1)와 접속되는 광케이블(3)의 선단에 연결된 제2 광커넥터(30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 광커넥터(100) 및 제2 광커넥터(300)는 광어댑터(200)를 매개로 상호 일체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통신 장비(C)의 커버(61)(71)를 해커가 불법으로 개방하게 되면 상기 커버(61)(71)에 일체로 부착된 제1 광어댑터(200)가 도 7과 같이 함체(62)에 부착된 광어댑터(200)에서 분리되면서 광심선이 단선되고, 이와 같은 과정에서 반사파형이 변화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감시함으로써 상기 광통신 장비(C)의 커버(61)(71)를 불법으로 개방하는지의 여부를 자동으로 통보하여 광선로의 불법적인 해킹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광커넥터(100) 및 제2 광커넥터(300)는 SC, FC, LC, MT, MPO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제1 광커넥터(100) 및 제2 광커넥터(300)의 핵심부품으로 섬유와 소자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페룰은 PC, A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C: 광통신 장비 F: 주요 시설물
1: 시험장치 2: 감시필터반
3, 3a: 광케이블 4: 건물 통신
10: 해킹 반사필터 10a: 더미 광섬유
20, 200: 광어댑터 30: 광커넥터
40: 통신실 41: 도어
42: 도어틀 50: 인공
51: 덮개 52: 입출구
60: 광분배함 61, 71: 커버
62, 72: 함체 70: 광접속함체
100: 제1 광커넥터 300: 제2 광커넥터

Claims (8)

  1. 시험장치(1)를 이용하여 광선로에 설치된 감시필터반(2)에 감시파장을 입사한 후 상기 광선로를 따라 진행하게 하면서 발생하는 후방산란광을 분석하여 광케이블의 운용 광심선들을 자동ㆍ원격으로 감시하는 광선로 감시시스템에 있어서,
    주요 시설물(F)의 도어(41)나 덮개(51)에 일체로 부착된 해킹 반사필터(10) 또는 더미 광섬유(10a)와;
    상기 주요 시설물(F)의 도어틀(42)이나 입출구(52)에 부착되고, 일측에 상기 해킹 반사필터(10)가 끼움 결합되는 광어댑터(20)와;
    상기 시험장치(1)와 접속된 광케이블(3)의 선단에 연결되고, 상기 광어댑터(20)의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광커넥터(30)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광커넥터(30)는 SC, FC, LC, MT, MPO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광커넥터(30)의 페룰은 PC, APC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주요 시설물(F)은 출입을 위한 도어(41) 및 도어틀(42)이 구비된 통신실(40)이 적용되거나, 출입을 위한 덮개(51) 및 입출구(52)가 구비된 인공(50)이 적용되며;
    상기 주요 시설물(F)의 불법적인 개방시 광어댑터(20)에 결합된 해킹 반사필터(10) 또는 더미 광섬유(10a)가 분리되면서 반사파형이 변화됨에 따른 광섬유의 손실변화를 시험장치(1)가 감시하고, 이를 자동으로 통보하여 광선로의 해킹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50092964A 2015-06-30 2015-06-30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KR101574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64A KR101574198B1 (ko) 2015-06-30 2015-06-30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964A KR101574198B1 (ko) 2015-06-30 2015-06-30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4198B1 true KR101574198B1 (ko) 2015-12-03

Family

ID=5487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964A KR101574198B1 (ko) 2015-06-30 2015-06-30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198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93U (ko) 2019-01-15 2019-02-01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보안 강화를 위한 금속재 보호 외장을 구비하는 광케이블
KR102224653B1 (ko) * 2020-11-09 2021-03-08 주식회사 세영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 장치
GB2587593A (en) * 2020-09-11 2021-03-31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direct optical injection
KR102391342B1 (ko) * 2020-11-10 2022-04-28 주식회사 에스지 광케이블 해킹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킹 감시 방법
US11502750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protecting multiple fiber runs
US11502749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outgoing communication
US11502748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complex test signal
US11502751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organized in a common housing
US11515940B2 (en) 2020-09-11 2022-11-29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KR102494053B1 (ko) * 2022-04-18 2023-01-31 (주)세영통신 광케이블 해킹 감시 장치
US11631308B2 (en) 2020-09-11 2023-04-18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by injection of longitudinal strain
KR102571584B1 (ko) * 2022-08-26 2023-08-28 (주)드림엔지니어링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654A (ja) * 2006-02-28 2007-09-13 Yukio Takaok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8180819A (ja) * 2007-01-23 2008-08-07 Yazaki Corp 光アダプタの固定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33654A (ja) * 2006-02-28 2007-09-13 Yukio Takaoka ホーム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2008180819A (ja) * 2007-01-23 2008-08-07 Yazaki Corp 光アダプタの固定構造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293U (ko) 2019-01-15 2019-02-01 대한광통신 주식회사 보안 강화를 위한 금속재 보호 외장을 구비하는 광케이블
US11502749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outgoing communication
GB2587593A (en) * 2020-09-11 2021-03-31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direct optical injection
GB2587593B (en) * 2020-09-11 2021-11-03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direct optical injection
US11502750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protecting multiple fiber runs
US11501617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S11502748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tilizing complex test signal
US11502751B2 (en) 2020-09-11 2022-11-15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organized in a common housing
US11515940B2 (en) 2020-09-11 2022-11-29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US11631308B2 (en) 2020-09-11 2023-04-18 Network Integrity Systems, Inc. Test device for verifying operation of an optical fiber monitoring system by injection of longitudinal strain
KR102224653B1 (ko) * 2020-11-09 2021-03-08 주식회사 세영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 장치
KR102391342B1 (ko) * 2020-11-10 2022-04-28 주식회사 에스지 광케이블 해킹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킹 감시 방법
KR102494053B1 (ko) * 2022-04-18 2023-01-31 (주)세영통신 광케이블 해킹 감시 장치
KR102571584B1 (ko) * 2022-08-26 2023-08-28 (주)드림엔지니어링 정보통신 지중 광케이블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198B1 (ko) 광선로 및 광선로 종단의 손실 및 반사량 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 감시시스템
Shaneman et al. Optical network security: technical analysis of fiber tapping mechanisms and methods for detection & prevention
US7120324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use on an optical fiber using a translator of transmitted data for optimum monitoring conditions
KR101553246B1 (ko) 광선로감시를 이용한 광케이블의 해킹보안 시스템
US7376293B2 (en) Remote location of active section of fiber in a multimode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7403674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a multimode optical fiber using a bulk optical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for maintaining modal power distribution
US201402943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ecting fiber optic distribution systems
US8588571B1 (en) Installation of fiber-to-the-premise using optical demarcation devices
US6317535B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ptical fibers that lead between a telecommunications provider and a customer's premises
Caviglia et al. Optical maintenance in PONs
US9046669B2 (en) Hardware and methods for secure alarmed armored protective distribution systems and management
US9780868B2 (en) Security monitoring for optical network
JP6196124B2 (ja) 光ファイバ伝送路モニタシステム
KR20190047278A (ko) 광케이블의 해킹보안 방법 및 장치
CN104933785B (zh) 一种光缆交接箱门禁监控系统及方法
US10600294B2 (en) Alarm system for a single mode optical fiber network
Cen et al. Advanced fault-monitoring scheme for ring-based long-reach optical access networks
Grishachev Detecting threats of acoustic information leakage through fiber optic communications
KR102052325B1 (ko) 무전원 양방향 광선로 감시 장치
Grenar et al. Network Physical Layer Attack in the Very High Capacity Networks
US20150333822A1 (en) Network Alarm System Utilizing a Single Sensing Fiber
Everett Tapping into fibre optic cables
KR101377266B1 (ko) 광케이블 접속분기함 및 광선로 감시 시스템
Ab-Rahman et al. Transmission surveillance and self-restoration against fibre fault for time division multiplexing using passive optical network
Bréda Monitoring Optical Data Connection between Protected Rooms in Smart C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